KR101867148B1 -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 Google Patents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148B1
KR101867148B1 KR1020160030772A KR20160030772A KR101867148B1 KR 101867148 B1 KR101867148 B1 KR 101867148B1 KR 1020160030772 A KR1020160030772 A KR 1020160030772A KR 20160030772 A KR20160030772 A KR 20160030772A KR 101867148 B1 KR101867148 B1 KR 101867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fixing
backres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182A (ko
Inventor
유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파트너
Priority to KR1020160030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or inclined toothed rack; with peg-and-notch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면서도, 성장기 학생으로 하여금 항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여 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좌판과 등받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항시 안정적인 자세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좌판의 텐션을 부여하여 착석감을 한층 향상시켜주며, 또한, 구조적으로 간소화 시켜 그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desk chair the size regulation to be available}
본 발명은 책상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자를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전,후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의자의 전체적인 사이즈의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의자는 책상을 사용함에 있어 편안한 자세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통상적으로 의자다리를 통해 일정한 높이를 이루며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판과, 좌판의 후방에서 좌판과 직각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등받이로 구성되며, 부수적으로 좌판의 양측에는 팔걸이가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책상의자는 그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얼마나 편안한 자세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자세의 교정 및 책상 사용시간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인바, 사용자는 최대한 편안하고 신체 사이즈에 맞는 책상의자를 구비하게 된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의자의 구현을 위해 좌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책상의자는 단순히 의자의 높낮이 조절에 제한된 것인바, 이러한 좌판의 높낮이 조절시, 등을 받치고 있는 등받이와의 위치가 맞지 않는 등 의자의 구조적인 불균형으로 오히려 자세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성장기 학생으로 하여금 척추질환을 불러오는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43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 좌판의 높낮이 조절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면서도, 성장기 학생으로 하여금 항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여 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과 등받이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항시 안정적인 자세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좌판의 텐션을 부여하여 착석감을 한층 향상시켜주기 위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으로 간소화 시켜 그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지지부와, 좌판부와, 연장부와, 등받이부로 된 책상의자에 있어서,
지지부는,
각각의 저면 단부에는 바퀴가 형성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된 책상다리와, 각각의 책상다리가 연결된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대 고정부와, 지지대 고정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 돌출관과 수평 돌출관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면서 전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돌출되고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1 볼트걸림공이 형성된 경사관으로 된 관체 형태의 L형 지지대로 구성하고,
좌판부는,
L형 지지대의 경사관을 감싸며 상,하 이동되고 측면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제1 볼트걸림공과 연통되며 제1 승강조절볼트가 나삽되는 제1 볼트공이 형성된 좌판 연결관과, 좌판 연결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2열의 좌판 연결대와, 깊이 조절수단을 통해 좌판 연결대를 따라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한 좌판으로 구성하며,
연장부는,
하부가 L형 지지대의 경사관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관과, 지지대 결합관의 상부 전방에서 경사관과 대칭되는 각도를 이루며 상부에는 제2 승강조절볼트가 나삽되는 제2 볼트공이 형성되는 등받이 연결관과, 지지대 결합관과 등받이 연결관을 감싸며 어느 하나에는 제2 볼트공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된 양측 분할형 커버체로 구성하고,
등받이부는,
등받이 연결관에 삽탈되며 측면에는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2 볼트걸림공이 형성된 등받이 연결대와, 등받이 연결대의 상단을 씌워 마감 및 볼트 결합되는 등받이 고정관과 등받이 고정관의 전방에서 하방을 향하게 연장되는 등받이 지지대로 된 등받이 고정구와, 등받이 지지대의 단부에 축 결합되는 등받이로 구성하되,
2열의 좌판 연결대는,
관체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 좌판 연결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방 경사를 이루는 좌판 경사부와, 좌판 경사부의 선단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며 돌출 연장되는 수평부를 이루게 구성하며,
깊이 조절수단은,
수평부에 형성되어 좌판이 수평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되,
양측 좌판 연결대의 수평부를 연결하되 수평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 및 수평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대와, 한 쌍의 고정대 상단을 연결하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으로 된 가이드부;
어느 한 측의 좌판 연결대의 수평부 외측면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깊이 조절공이 형성된 깊이 조절판;
각각 가이드판의 폭방향 양단을 감싸며 그 가이드판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ㄷ"형 가이드레일과, 양측 가이드레일의 상단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며 좌판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는 좌판 결합편과, 깊이 조절판 측의 가이드레일에 하방 돌출 형성 및 깊이 조절판의 외측에 위치되며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과 연통되는 핀 삽탈홀이 형성된 고정판으로 된 이동부; 및
고정판에 형성되어 깊이 조절판에 이동부의 고정을 단속하는 고정 단속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고정 단속부는,
중앙에는 핀 출몰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양단에서 고정판 측으로 돌출 및 다시 외측을 향하게 직각 절곡되어 고정판에 볼트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서 고정판 측으로 개방되는 핀 가이드홈으로 된 고정 브라켓;
핀 출몰공을 관통하여 출몰되며, 선단에는 핀 삽탈홀을 관통 및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에 끼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의 후방 둘레에는 핀 삽탈홀의 주변에 걸림되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지지판의 외측에서 손잡이가 결합된 고정핀; 및
핀 가이드홈에서 고정핀을 감싸며, 양단이 각각 지지판과 걸림돌부에 탄설되어 고정핀이 항시 고정판 측을 향하게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L형 지지대와 좌판 연결관과 지지대 결합관과 등받이 연결관과 등받이 연결대와 등받이 고정관은, 전방과 양측면이 면을 이루는 삼각 관체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는, 좌판이 L형 지지대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및 좌판 연결대로부터 전,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등 좌판의 높낮이는 물론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등받이 연결대의 상,하 조절에 의해 등받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의 조절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성장기 학생으로 하여금 항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절 사용이 가능하여 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게 하는 등 의자의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L형 지지대와 좌판 연결관과 지지대 결합관과 등받이 연결관과 등받이 연결대와 등받이 고정관이 단면상 삼각 형태를 이루고 있어 항시 좌판과 등받이가 유동없이 고정되는 등 항시 안정된 자세의 유도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L형 지지대 및 좌편 연결대를 통해 좌판에 대하여 텐션이 부여되어 착석시 그 착석감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체적인 기초를 이루는 L형 지지대와 좌판 연결대와 등받이 연결대가 일렬 구조를 이루는 한편,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특히 좌판과 등받이의 분리로 필요시 교체 또는 세탁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좌판부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등받이부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좌판부 높이 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좌판부 깊이 조절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좌판부 탄력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등받이부 높이 조절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등받이부 각도 조절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1)는, 지지부(100)와, 좌판부(200)와, 연장부(300)와, 등받이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0)는, 본 발명 책상의자(1)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지지부(100)는, 먼저 바닥면에 지지 및 책상의자(1)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책상다리(110)가 구성된 것으로, 책상다리(110)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열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외측단 저면에는 바퀴(111)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책상다리(110)를 연결하는 중앙의 상부에는 블럭 형태의 지지대 고정부(120)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100)에는, 하기하는 좌판부(200)를 일정한 높이로 이격 형성하기 위한 관체 형태의 L형 지지대(130)가 구성된 것으로, L형 지지대(130)는 수평 돌출관(131)과 경사관(132)을 이루게 "L"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그 수평 돌출관(131)을 통해 지지대 고정부(120)에 연결 및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고, 그 수평 돌출관(131)의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한편 전방을 향하게 경사를 이루는 경사관(132)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경사관(132)에는, 그 측면에 수직상으로 다수단을 이루는 제1 볼트걸림공(133)(133')이 형성된다.
즉, 지지부(100)는, 책상다리(110)를 통해 바닥에 지지되는 한편 바퀴(111)를 통해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L형 지지대(130)를 통해 하기하는 좌판부(200)가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일정한 높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좌판부(200)는, 상기 L형 지지대(13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좌판부(200)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먼저 상기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을 감싸며 그 경사관(13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좌판 연결관(210)이 구성된 것으로, 외측에는 상기 경사관(132)의 어느 하나의 제1 볼트걸림공(133)(133')과 연통되며 제1 승강조절볼트(212)가 나삽되는 제1 볼트공(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상기 좌판 연결관(2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좌판 연결대(220)(220')가 구성된다.
이때 좌판 연결대(220)(220')는, 양측 2열을 이루게 구성되며, 각각 원형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좌판 연결대(220)(220')는, 좌판 연결관(21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면서 하방을 향하도록 하방 경사를 이루는 좌판 경사부(221)와, 상기 좌판 경사부(221)의 선단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부(222)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좌판부(20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좌판(23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좌판(230)은, 좌판 연결대(220)(220')의 수평부(222)에 구성되며, 역시 수평부(222)에 구성되는 깊이 조절수단(24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 및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좌판(230)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의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좌판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쿠션소재가 충전되며 외부는 직물재나 피혁재로 감싸져 쿠션감을 가지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깊이 조절수단(240)은, 먼저 좌판(23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50)가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부(250)는, 먼저 양측 좌판 연결대(220)(220')의 수평부(222)를 용접 연결하되, 수평부(22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수평부(222)의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대(251)가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부(250)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대(251) 상단을 연결하며 폭방향 양측이 고정대(251)보다 돌출되는 가이드판(252)이 구성된다.
그리고 깊이 조절수단(240)에는, 어느 한 측의 좌판 연결대(220)의 수평부(222) 외측면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깊이 조절공(261)(261')이 관통 형성된 깊이 조절판(260)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깊이 조절판(260)은 "ㄴ" 형으로 절곡되게 구성되어 그 수직면에 깊이 조절공(261)(261')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깊이 조절수단(240)에는, 상기 가이드부(250)를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270)가 구성된다.
이때 이동부(270)는, 먼저 상기 가이드판(252)과 연결되어 그 가이드판(252)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레일(271)(271')이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가이드레일(271)(271')은, 서로 대항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ㄷ" 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개방부를 통해 가이드판(252)의 폭방향 양측을 감싸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부(270)에는, 양측 가이드레일(271)(271')의 상단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한 쌍의 좌판 결합편(272)이 형성된 것으로, 그 좌판 결합편(272)은, 양측 가이드레일(271)(271')을 연결하는 한편, 좌판(230)의 저면에 볼트(B) 체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부(270)에는, 상기 깊이 조절판(260)과 결합력을 가지는 고정판(273)이 구성된 것으로, 고정판(273)은, 상기 깊이 조절판(260) 측의 가이드레일(27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편 깊이 조절판(260)의 외측에 위치되게 구성되며, 중앙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261)(261')에 연통되는 핀 삽탈홀(274)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깊이 조절수단(240)에는, 상기 고정판(273)에 형성되어 상기 깊이 조절판(260)에 이동부(270)의 고정을 단속하는 고정 단속부(280)가 구성된다.
한편, 고정 단속부(280)는, 먼저 고정 브라켓(281)이 구성된다.
이때 고정 브라켓(281)은, 절곡된 판체 형태로 구성되되, 먼저 중앙에는 핀 출몰공(282a)이 관통 형성된 지지판(282)이 구성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281)에는, 상기 지지판(282)의 양단에는 고정판(273) 측으로 돌출 및 다시 각각 외측을 향하게 직각 절곡되는 플랜지부(283)가 구성된 것으로, 그 플랜지부(283)를 통해 상기 고정판(273)에 볼트(B) 결합되게 구성되며, 결합시에는 핀 출몰공(282a)이 상기 고정판(273)의 핀 삽탈홀(274)과 동일 수평선상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281)에는, 상기 지지판(282)의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양측의 플랜지부(283)의 사이에 고정판(273) 측으로 개방되는 핀 가이드홈(284)이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단속부(280)에는, 상기 핀 가이드홈(284)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단이 지지판(282)의 핀 출몰공(282a)을 관통 및 그 핀 출몰공(282a)을 통해 출몰하는 한편, 상기 깊이 조절판(260)과 고정판(273)의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원형봉 형태를 이루는 고정핀(285)이 구성된다.
이때 고정핀(285)은, 먼저 그 선단에는 상기 고정판(273)의 핀 삽탈홀(274)을 관통 및 깊이 조절판(260)의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261)(261')에 끼움되는 고정부(286)를 이룬다.
또한 고정핀(285)에는, 상기 고정부(286)가 핀 삽탈홀(27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 삽입력을 제한하기 위해 핀 삽탈홀(274)의 주변에 걸림 지지되도록 고정부(286)의 후방 둘레에 걸림돌부(287)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고정핀(285)에는, 그 후단에 지지판(282)의 외측에서 손잡이(288)가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 단속부(280)에는, 고정핀(285)이 항시 고정판(273) 측으로 돌출되는 탄력을 가지도록 탄력 스프링(289)이 구성된다.
이때 탄력 스프링(289)은, 통상의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핀 가이드홈(284)에서 고정핀(285)을 감싸며, 양단이 각각 지지판(282)의 내측과 걸림돌부(287)에 탄설되어 고정핀(285)이 항시 고정판(273) 측을 향하게 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300)는, 상기 L형 지지대(130)와 하기하는 등받이부(400)의 연결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등받이부(4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하부가 상기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 상단에 삽입되어 볼트(B)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관(3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00)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관(310)의 상부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관(132)과 대칭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등받이 연결관(320)이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 연결관(320)에는, 그 상부 측면에는 제2 승강조절볼트(322)가 나삽되는 제2 볼트공(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300)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을 감싸는 커버체(3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커버체(330)는 서로 홈과 돌부 등을 통해 결합력을 가지도록 양측 분할 형태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제2 승강조절볼트(322)가 관통되며 제2 볼트공(321)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공(331)이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부(400)는, 사용자가 좌판(230)에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먼저 상기 등받이 연결관(320)에 삽탈되는 등받이 연결대(410)가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 연결대(41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측면에는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2 볼트걸림공(411)(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400)에는, 상기 등받이 연결대(410)의 상단을 씌워 마감 및 볼트(B) 결합되는 등받이 고정관(421)과 등받이 고정관(421)의 전방에서 하방을 향하게 연장되는 등받이 지지대(422)로 된 등받이 고정구(420)가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400)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등을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43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등받이는, 상기 등받이 지지대(422)의 단부에 회동 유동력을 가지도록 축(431)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때 등받이(43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의 의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등받이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쿠션소재가 충전되며 외부는 직물재나 피혁재로 감싸져 쿠션감을 가지는 것이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L형 지지대(130)와 좌판 연결관(210)과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과 등받이 연결대(410)와 등받이 고정관(421)을 구성함에 있어, 전방과 양측면이 면을 이루는 삼각 관체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책상의자(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지지부(100)에 형성된 책상다리(110)에 바퀴가 형성된 것인바,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판부(2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좌판 연결관(210)을 통해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제1 볼트공(211)이 어느 하나의 제1 볼트걸림공(133)(133')과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제1 승강조절볼트(212)를 제1 볼트공(211)에 나삽 및 연통된 제1 볼트걸림공(133)에 끼움 고정하여 좌판부(2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좌판부(200)는, 전,후방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되, 이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의 도시와 같이 좌판 결합편(272)을 통해 좌판(230)이 연결된 이동부(270)를 가이드부(250)의 가이드판(252)을 가이드로 하여 가이드레일(271)(271')을 따라 슬라이딩 전,후 조절하며, 고정판(273)에 형성된 핀 삽탈홀(274)이 깊이 조절판(26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261)(261')과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핀(285)의 고정부(286)를 핀 삽탈홀(274) 및 연통된 깊이 조절공(261)에 끼움 고정하여 좌판(230)의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좌판(230)을 고정함에 있어, 고정핀(285)은 탄력 스프링(289)에 의해 항시 고정판(273) 측으로 둘출되는 탄력을 가지게 되는 것인바, 손잡이(288)를 후방으로 당겨 고정부(286)가 깊이 조절공(261)(261') 및 핀 삽탈홀(274)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조절함이 당연할 것이며, 이후 손잡이(288)의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력 스프링(289)의 탄력 복원력에 의해 핀 삽탈홀(274) 및 연통된 깊이 조절공(261)으로 자연스럽게 진입되어 고정력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좌판부(20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230)에 앉을시 소정의 탄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지지부(100)의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이 전방을 향하게 상향 돌출 형성된 것인바 앉을시 하중이 전방에 작용하여 자연스럽게 텐션이 부여되게 되고, 좌판 경사부(221)와 수평부(222)로 된 관체상의 좌판 연결대(220)(220')에 소정의 텐션이 부여되게 되는 것인바 사용자의 착석감을 증대시켜주게 된다.
또한, 등받이부(400)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 연결관(320)에 삽탈되는 등받이 연결대(410)의 상,하 슬라이딩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제2 볼트공(321)이 어느 하나의 제2 볼트걸림공(411)(411')과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제2 승강조절볼트(322)를 제2 볼트공(321)에 나삽 및 연통된 제2 볼트걸림공(411)에 끼움 고정하여 등받이부(4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등받이(430)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 지지대(422)의 단부에 축(431) 결합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하 유동되어 편안한 자세의 유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L형 지지대(130)와 좌판 연결관(210)과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과 등받이 연결대(410)와 등받이 고정관(421)은, 삼각 관체로 구성된 것인바, 이는 L형 지지대(130)와 좌판 연결관(210)과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과 등받이 연결대(410)와 등받이 고정관(421)이 서로간에 결합시 회전 유동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책상의자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좌판부의 높낮이 조절과 좌판의 전,후 깊이의 조절과 등받이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누구나 편안하면서도 안정된 자세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구조적으로 매우 간소화 시켜 설치 공간의 활용도가 우수하면서도 그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0 : 지지부 110 : 책상다리
111 : 바퀴 120 : 지지대 고정부
130 : L형 지지대 131 : 수평 돌출관
132 : 경사관 133,133' : 제1 볼트걸림공
200 : 좌판부 210 : 좌판 연결관
211 : 제1 볼트공 212 : 제1 승강조절볼트
220,220' : 좌판 연결대 221 : 좌판 경사부
222 : 수평부 230 : 좌판
240 : 깊이 조절수단 250 : 가이드부
251 : 고정대 252 : 가이드판
260 : 깊이 조절판 261,261' : 깊이 조절공
270 : 이동부 271,271' : 가이드레일
272 : 좌판 결합편 273 : 고정판
274 : 핀 삽탈홀 280 : 고정 단속부
281 : 고정 브라켓 282 : 지지판
282a : 핀 출몰공 283 : 플랜지부
284 : 핀 가이드홈 285 : 고정핀
286 : 고정부 287 : 걸림돌부
288 : 손잡이 289 : 탄력 스프링
300 : 연장부 310 : 지지대 결합관
320 : 연결관 321 : 제2 볼트공
322 : 제2 승강조절볼트 330 : 커버체
331 : 볼트 삽입공
400 : 등받이부 410 : 등받이 연결대
411,411' : 제2 볼트걸림공 420 : 등받이 고정구
421 : 고정관 422 : 등받이 지지대
430 : 등받이 431 : 축

Claims (5)

  1. 지지부(100)와, 좌판부(200)와, 연장부(300)와, 등받이부(400)로 된 책상의자에 있어서,
    지지부(100)는,
    각각의 저면 단부에는 바퀴(111)가 형성된 방사상으로 다수 배열된 책상다리(110)와, 각각의 책상다리(110)가 연결된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대 고정부(120)와, 지지대 고정부(12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수평 돌출관(131)과 수평 돌출관(131)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면서 전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돌출되고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1 볼트걸림공(133)(133')이 형성된 경사관(132)으로 된 관체 형태의 L형 지지대(130)로 구성하고,
    좌판부(200)는,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을 감싸며 상,하 이동되고 측면에는 어느 하나의 제1 볼트걸림공(133)(133')과 연통되며 제1 승강조절볼트(212)가 나삽되는 제1 볼트공(211)이 형성된 좌판 연결관(210)과, 좌판 연결관(2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2열의 좌판 연결대(220)(220')와, 깊이 조절수단(240)을 통해 좌판 연결대(220)(220')를 따라 전,후 깊이의 조절이 가능한 좌판(230)으로 구성하며,
    연장부(300)는,
    하부가 L형 지지대(130)의 경사관(132)에 삽입되어 볼트(B)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관(310)과, 지지대 결합관(310)의 상부 전방에서 경사관(132)과 대칭되는 각도를 이루며 상부에는 제2 승강조절볼트(322)가 나삽되는 제2 볼트공(321)이 형성되는 등받이 연결관(320)과,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을 감싸며 어느 하나에는 제2 볼트공(321)과 연통되는 볼트 삽입공(331)이 형성된 양측 분할형 커버체(330)로 구성하고,
    등받이부(400)는,
    등받이 연결관(320)에 삽탈되며 측면에는 수직상으로 다수단의 제2 볼트걸림공(411)(411')이 형성된 등받이 연결대(410)와, 등받이 연결대(410)의 상단을 씌워 마감 및 볼트(B) 결합되는 등받이 고정관(421)과 등받이 고정관(421)의 전방에서 하방을 향하게 연장되는 등받이 지지대(422)로 된 등받이 고정구(420)와, 등받이 지지대(422)의 단부에 축(431) 결합되는 등받이(430)로 구성하되,
    2열의 좌판 연결대(220)(220')는,
    관체 형태로 구성하며, 각각 좌판 연결관(2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하방 경사를 이루는 좌판 경사부(221)와, 좌판 경사부(221)의 선단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며 돌출 연장되는 수평부(222)를 이루게 구성하며,
    깊이 조절수단(240)은,
    수평부(222)에 형성되어 좌판(230)이 수평부(22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되,
    양측 좌판 연결대(220)(220')의 수평부(222)를 연결하되 수평부(22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 및 수평부(222)의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대(251)와, 한 쌍의 고정대(251) 상단을 연결하며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252)으로 된 가이드부(250);
    어느 한 측의 좌판 연결대(220)의 수평부(222) 외측면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깊이 조절공(261)(261')이 형성된 깊이 조절판(260);
    각각 가이드판(252)의 폭방향 양단을 감싸며 그 가이드판(2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ㄷ"형 가이드레일(271)(271')과, 양측 가이드레일(271)(271')의 상단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며 좌판(230)의 저면에 볼트(B) 결합되는 좌판 결합편(272)과, 깊이 조절판(260) 측의 가이드레일(271)에 하방 돌출 형성 및 깊이 조절판(260)의 외측에 위치되며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261)(261')과 연통되는 핀 삽탈홀(274)이 형성된 고정판(273)으로 된 이동부(270); 및
    고정판(273)에 형성되어 깊이 조절판(260)에 이동부(270)의 고정을 단속하는 고정 단속부(28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고정 단속부(280)는,
    중앙에는 핀 출몰공(282a)이 형성된 지지판(282)과, 지지판(282)의 양단에서 고정판(273) 측으로 돌출 및 다시 외측을 향하게 직각 절곡되어 고정판(273)에 볼트(B)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283)와, 플랜지부(283)의 사이에서 고정판(273) 측으로 개방되는 핀 가이드홈(284)으로 된 고정 브라켓(281);
    핀 출몰공(282a)을 관통하여 출몰되며, 선단에는 핀 삽탈홀(274)을 관통 및 어느 하나의 깊이 조절공(261)(261')에 끼움되는 고정부(286)가 형성되고, 고정부(286)의 후방 둘레에는 핀 삽탈홀(274)의 주변에 걸림되는 걸림돌부(287)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지지판(282)의 외측에서 손잡이(288)가 결합된 고정핀(285); 및
    핀 가이드홈(284)에서 고정핀(285)을 감싸며, 양단이 각각 지지판(282)과 걸림돌부(287)에 탄설되어 고정핀(285)이 항시 고정판(273) 측을 향하게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 스프링(289)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L형 지지대(130)와 좌판 연결관(210)과 지지대 결합관(310)과 등받이 연결관(320)과 등받이 연결대(410)와 등받이 고정관(421)은, 전방과 양측면이 면을 이루는 삼각 관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30772A 2016-03-15 2016-03-15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KR101867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72A KR101867148B1 (ko) 2016-03-15 2016-03-15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772A KR101867148B1 (ko) 2016-03-15 2016-03-15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82A KR20170107182A (ko) 2017-09-25
KR101867148B1 true KR101867148B1 (ko) 2018-07-23

Family

ID=6003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772A KR101867148B1 (ko) 2016-03-15 2016-03-15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1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71428Y (zh) * 2003-12-24 2005-01-19 泰桦家具股份有限公司 座椅的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3984B2 (ja) * 1992-03-18 1998-06-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構造体の構造
KR200384317Y1 (ko) 2005-02-07 2005-05-13 김은영 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TWM522647U (zh) * 2016-01-13 2016-06-01 Tayhuah Furniture Corp 可調式座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71428Y (zh) * 2003-12-24 2005-01-19 泰桦家具股份有限公司 座椅的调整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 M414158U1*
TW M522647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82A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900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KR200416754Y1 (ko) 등받이가 전, 후 이동되는 회전의자
CN219742239U (zh) 无需紧固件即可组装的模块化人体工学座椅
KR101232825B1 (ko) 의자
KR20110043307A (ko)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101867148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110041092A (ko)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
CN211048881U (zh) 一种靠背可前后调节的椅子
CN210008754U (zh) 一种倚靠自适应可调节靠背机构及带该靠背机构的座椅
KR20130012912A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635091B1 (ko) 의자의 등받이 구조
KR101052551B1 (ko) 의자
KR200451948Y1 (ko) 각도조절형 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314499Y1 (ko)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31389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217668Y1 (ko) 의자용 발 받침대
CN209677897U (zh) 扶手开关调节椅架
CN219306256U (zh) 一种靠背可调节课桌椅
CN113498945B (zh) 椅子及其椅背的调节机构
EP1164896B1 (en) A chair with an elastic, counter-reacting, reclining seat 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