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499Y1 -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499Y1
KR200314499Y1 KR20-2003-0006828U KR20030006828U KR200314499Y1 KR 200314499 Y1 KR200314499 Y1 KR 200314499Y1 KR 20030006828 U KR20030006828 U KR 20030006828U KR 200314499 Y1 KR200314499 Y1 KR 200314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ckrest
chai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in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정관영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6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4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사진 이동궤적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는, 좌판(23)의 양 측 전방 선단부측에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경사도를 갖도록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 일자형 경사프레임(24)(24')(24")(24'")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외주면 내지는 내주면 중의 하나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등받이(21)가 부착된 "ㄷ"자형 내지는 일자형 중의 한 형상을 하는 등받이프레임(22)(22')(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프레임을 따라 등받이프레임이 경사각도를 갖고 전·후로 이동가능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등받이의 전·후진에 의해 좌판의 착석 가능 길이와 등받이의 높낮이까지 동시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장과 앉은 키에 따라 최적의 좌판 길이와 등받이 높이 확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잘못된 착석 자세에 의한 척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The chair with the back being adjustble of its postion on the bias}
본 고안은 경사진 이동궤적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좌판에 대하여 등받이의 전·후 위치 조절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등받이의 높이가 수평 방향 위치 변화와 동시에 낮아지도록 등받이의 이동궤적이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등받이를 전진시킬수록 착석가능한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가 줄어드는 동시에 등받이의 높이까지도 함께 낮아지도록 하여 신장에 따라 최적의 좌판 길이와 이에 적합한 등받이 높이 조절이 동시에 조절가능한 구조를 갖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사용하는 의자는 크게 사람이 앉는 부위인 좌판과,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와, 상기 좌판과 등받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그 외에 팔을 올려 놓기 위한 암레스트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등이 부가적으로 결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좌판과 등받이와 프레임의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의자에서 상기 등받이는 착석자의 어깨 부위에서 허리에 이르는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허리에 가해지는 상체의 하중을 효울적으로 분산시키는 동시에 척추를 똑바로 지지하여 척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석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형태의 의자 등받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에 구비된 등받이는 대부분 고정된 형태이거나, 등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과 함께 등받이가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전·후 방향의 탄력적인 움직임만이 가능한 구조이다.
즉, 종래의 의자는 좌판에 대한 등받이의 결합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거나, 고정된 위치에서 전·후 탄성적인 움직임만이 가능한 구조로서, 신장과 앉은 키 등의 신체 조건이 서로 다른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일반 사무용 뿐 아니라, 특히 키가 계속 자라고 있는 학생용 의자의 경우 척추를 비롯한 신체의 정상적인 성장을 방해할 수 있게 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종래 교구 의자의 사시도를 예로 하여 등받이가 고정된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구 의자(1)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11)과, 상기 좌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와, 상기 좌판과 등받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프레임(13)과, 프레임에 고정된 좌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내지는 좌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다리(14)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종래의 교구 의자(1)는 착석자가 앉게 되는 좌판(11)과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가 별도로 구성되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프레임(13)에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조건에 관계없이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와 등받이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 질수록 후두부에서 골반부에 이르는 척추에 무리가 따르게 된다.
즉, 초·중·고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교구(校具) 의자는 인체의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가 일체로 절곡형성된 철제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조로서,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와 등받이의 높이가 조절되지 못하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균 신장 보다 작은 학생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가 길어 등받이가 척추 부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척추의 변형이 초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평균 신장 보다 큰 학생의 경우에는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될 뿐 아니라, 등받이의 지지 위치가 척추 하부측으로 치우치게 되어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거나 등받이에 기대어 휴식을 취할 때 목이나 어깨가 결리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 내에서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됨은 물론,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의 발육 장애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받이가 고정된 상기 종래의 교구 의자와 달리 일반 사무용 의자나 가정에서 학생용으로 사용되는 의자의 경우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좌판에 대한 등받이의 위치 조절이 높이 변화 없이 전·후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서, 신장에 따라 사용자의 등에 등받이를 밀착되도록 그 위치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앉은 키에 관계 없이 등받이의 지지 위치가 일정한 문제가 있다.
즉, 신장에 따라 다른 좌판 상의 둔부 위치가 다르게 되고, 그에 따라 함께달라지는 등의 전·후 방향 위치에 알맞도록 등받이를 전·후 이동시켜 등을 지지하도록 할 수는 있으나, 앉은 키에 관계 없이 등받이의 높이가 항상 같기 때문에 최적의 등받이 위치가 확보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구조는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좌판의 유효 나비)와 등판 하단까지의 최고 높이 등을 규정하고 있는 KS G2010(학생용 책상 및 의자)을 충족시킬 수 없어 학생용 교구 의자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등받이의 위치가 고정되었거나, 전·후 방향의 위치 조절만이 가능한 종래 의자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등받이의 위치를 전·후 방향 뿐 아니라 상·하 높이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의 높이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사용자가 앉게 되는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가 자동적으로 증가하거나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신장과 앉은 키에 따라 항상 최적의 좌판 길이와 등받이 높이가 동시에 확보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교구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나사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돌기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스프링/볼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지렛대/스프링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조임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스토퍼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일실시예 등받이 프레임의 톱니식 위치 조정 및 고정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2는 일자형 등받이프레임을 갖는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사시도.
도 13은 일자형 등받이프레임을 갖는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사시도.
도 14,15,16은 또다른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구의자 11,23. 좌판
12,21. 등받이 13. 프레임
14,26,26'. 다리 22,22',22". 등받이프레임
24,24',24",24'". 경사프레임 25. 좌판프레임
a. 지지구 b. 구슬 c. 고정구
d. 레버 E. 단부 f. 결합구
H. 중공 h. 걸림공 h'. 걸림홈
k. 조절놉 k1. 고정키 p. 선단면
r. 래크기어 s,s2. 스프링 s1. 핀스프링
S. 슬라이딩홈 t. 피니언기어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등받이가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과, 좌판의 양 측면 전방 선단부에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된 한 쌍의 경사프레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하나의 프레임에 등받이와 좌판이 함께 고정결합된 종래 의자와 달리, 등받이와 좌판이 등받이프레임 및 좌판프레임에 각각 별개로 고정 결합되어 양 자의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경사프레임은 좌판 또는 좌판프레임의 좌·우측 전방 선단부에 서로 평행하도록 각각 고정결합되고, 각 경사프레임에 등받이프레임의 양 단부가 경사프레임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일자형 내지는 "ㄷ"자 형상을 하는 바, 그 중앙부에 등받이프레임이 고정결합되며, 그 양 단부가 각각 상기 두 경사프레임을 따라 지면에 대하여 경사각을 갖는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으로써, 등받이가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판에 대한 등받이의 수평 위치와 수직 위치가 동시에 조절되게 된다.
즉, 서로 평행한 일자형 상기 경사프레임이 의자의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좌판에 대하여 상향 경사지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등받이프레임이 경사프레임을 따라 축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게 되면 등받이프레임의 중앙부에 결합된 등받이의 좌판에 대한 수평 위치와 함께 그 높이가 동시에 변화되도록 한 구조에 본 고안 의자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의자에서 등받이 프레임이 경사프레임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루어지는 등받이의 전·후방 위치 및 높이 조절 정도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경사각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등받이의 수평 위치에 따라 착석자가 차지할 수 있는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가 조절되고, 좌판의 전·후 길이가 증가하면 등받이의 높이도 함께상승되며, 좌판의 전·후 길이가 축소되면 등받이의 높이도 함께 하강하게 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특히 신장 조건이 다를 경우에도 최적의 등받이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수평 방향 전·후 이동에 따라 조절되는 좌판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등받이 높이의 변화 정도를 결정짓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경사각도는 KS G2010(학생용 책상 및 의자)의 규정에 알맞도록 선택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일실시예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사시도를, 도 3에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일자형 중앙부 내측 외주면에 등받이(21)가 결합되며, 고정수단이 구비된 양 단부가 상기 중앙부의 양 단부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등받이프레임(22)과; 좌판(23)이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좌판프레임(25)과; 좌판프레임(25)의 전방 양 단부로부터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평행한 양 단부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H)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이프형 경사프레임(24)과; 상기 좌판(23)의 저면 내지는 좌판프레임(25)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리(2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의자는 등받이프레임(22)의 평행한 양 단부가 경사프레임(24)의 중공을 따라 전·후진하면서 등받이(21)의 위치가 조절된다.
따라서, 등받이의 위치가 조절 후에는 상기 경사프레임(24)에 대하여 등받이프레임(22)의 조절된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와 경사프레임(24)에는 서로 맞물리므로써 경사프레임(24)에 대하여 등받이프레임(22)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자체로서 암레스트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상기 경사프레임(24)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 바, 상기 좌판프레임(25)과 일체로 만들지 않고 별개로 제작하여 좌판프레임(25)이나 다리(26)에 부착할 수도 있고, 다리(26)와 일체형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6')와 좌판프레임(25')을 일체로 만든 후 다리(26')와의 경계부근 좌판프레임(25') 외주면에 경사프레임(24')을 부착하는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는 등, 본 고안 일실시예 의자의 상기 경사프레임(24)(24')은 경사도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 일시시예 의자는,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가 경사프레임(24)(24')의 축방향 중공에 삽입되어 그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등받이는 사선 방향의 운동 궤적을 갖게 되므로써 한 번의 움직임에 의해 전·후 위치와 상·하 방향 위치가 모두 조절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경사프레임(24)(24')이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 중공으로 삽입되고 등받이프레임(22)이 경사프레임(24)(24')의 내주면이 아닌 외주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전·후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프레임(24)(24')을 따라 전·후진하는 등받이프레임(22)에 결합된 등받이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다음 위치 조절시까지 등받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을 경사프레임(24)(24')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는 바, 상기 경사프레임(24)(24')과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맞물리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일 간단한 장치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24)(24')의 선단부에 프레임 내·외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조절놉(k)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 조절놉(k)을 풀거나 조임으로써 경사프레임(24)(24') 내부로 관통된 조절놉의 일측선단부를 등받이프레임(22)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경사프레임(24)(24') 내부에 삽입된 등받이프레임(2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등받이프레임(22)은 그 외주면이 고정수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놉의 압착력에 의해 등받이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절놉이 밀착되는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보강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22)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돌기(e)를, 경사프레임(24)(24') 하부에는 축방향을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공(h)을 일렬로 형성시켜 각각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등받이프레임(22) 외경과 경사프레임(24)(24') 내경의 차이(d)를 상기 돌기(e)의 높이 보다 크게 하므로써, 등받이프레임을 경사프레임 내부에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전·후진 시킨 후 상기 돌기(e)를 원하는 걸림공(h)에 끼우는 방식으로 등받이프레임을 다음의 위치 조절시까지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장치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e) 대신 등받이프레임(22)의 내부에 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구슬(b)을 장착하고, 이 구슬(b)이 경사프레임(24)(24')의 걸림공(h)에 끼워지도록 하는 장치를 들 수 있으며, 등받이프레임(22)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상기 구슬(b)을 누른 후 등받이프레임(22)을 움직여 주면 된다.
또 다른 장치로는, 도 8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생각할 수 있는 바, 이들을 차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장치는, 등받이프레임(22) 양 단부 중공에 외주면이 중공 내주면에 밀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상 지지구(a)의 관통공에 중앙부가 결합되어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양 단부가 유동가능하고 상기 절곡된 양 단부가 각각 등받이프레임(22)의 중공 상·하부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 봉형 지렛대(L)와,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 중공 끝단부에 상기 지렛대(L)의 절곡되지 않은 일측단부를 눌러주도록 삽입결합된 핀스프링(s1)과 핀스프링 고정구(c) 및 경사프레임(24)(24')의 외주면 하부로부터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걸림공(h)으로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도 8의 장치는 경사프레임(24)(24')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등받이프레임 중공에 장착된 지렛대(L)의 절곡된 일측단부가 등받이프레임을 관통한 후 경사프레임의 걸림공(h)을 통하여 등받이프레임 외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등받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등받이프레임만을 관통하고 있는 상기 지렛대의 절곡된 타측단부 선단면(p)을 누르게 되면 경사프레임까지 관통하였던 일측단부가 등받이프레임 중공측으로 들어가면서 경사프레임의 걸림공에서 빠지게 됨으로써, 등받이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선단면(p)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피스프링(s1)에 의해 지렛대의 절곡되지 않은 일측단부가 눌리면서 절곡된 일측단부가 등받이프레임 외주면으로 다시 돌출되어 등받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9의 장치는, 각 단부가 축 방향으로 갈라져 직경 방향으로 유동가능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사프레임(24)(24')의 각 단부(E)와, 이 단부(E)의 외주면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파이프형 결합구(f)로 구성된 장치로서, 이 경우 등받이프레임에는 별도의 고정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
상기 도 9의 장치는 등받이프레임을 경사프레임의 중공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f)를 경사프레임(24)(24')의 단부(E) 외주면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결합구(f)의 내경 축소에 의해 경사프레임(24)(24')의 갈라진 단부(E)가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함께 그 직경이 작아져 그 내주면이 등받이프레임의 외주면을 조여 주는 구조의 장치이다.
도 10의 장치는, "ㄴ"형으로 절곡되며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해 위치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절곡된 끝단부가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 외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된 레버(d)와, 경사프레임(24)(24')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h)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d)의 절곡된 끝단부가 경사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관통된 후 경사프레임의걸림공(h)에 걸림으로써, 등받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도 11의 장치는, 원호상 외주면을 가지며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기어가 형성되고 경사프레임(24)(24')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래크기어(r)와, 등받이 프레임(22)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기어(r)의 기어와 맞물리는 원판상 피니언기어(t)와, 등받이 프레임(22)의 반대되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각각 분리가능하게 관통된 후 상기 피니언기어(t)의 중앙부에 끼워져 피니언기어(t)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키(k)로 구성된다.
상기 도 11의 장치는 고정키를 분리하여 래크기어를 따라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면서 등받이프레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고정키를 다시 결합시켜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프레임에서의 등받이프레임 위치를 조절하고 일시적으로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장치 역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상기 일곱 가지 방법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 실시예의 경우 등받이프레임의 양 단부가 경사프레임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등받이프레임의 이동가능 거리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등받이프레임의 평행한 양 단부 길이와 경사프레임의 길이를 대략 비슷하게 하는 동시에 좌판 전·후 길이의 반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두 프레임간 삽입 구조에 의해 경사프레임 또는 등받이프레임의 삽입부측 선단부에 삽입 단턱부가 필연적으로 형성되고, 이단턱부가 팔에 접촉시 불쾌감을 초래할 수도 있는 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프레임을 좌판의 전·후 방향 전길이에 걸쳐 확장시킨 형태(24")로 하고, 평행하게 절곡된 등받이프레임의 양 단부를 제거한 일자형 구조의 등받이프레임(22')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사프레임(24")의 내측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프레임 내·외를 관통하는 슬라이딩홈(S)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홈을 이루는 상·하 두 대향면 중의 하면에는 다수의 걸림홈(h')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가, 서로 평행하게 경사진 두 경사프레임(24")의 각 슬라이딩홈(S)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치가 조절된 후에는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를, 대향하는 상기 걸림홈(h')에 각각 안착시키므로써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홈(S)이 없는 경사프레임(24'")과, 양 단부에 폐루프를 이루는 고리(R)가 각각 구비된 등받이프레임(22")을 생각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경사프레임(24'")이 상기 각 고리(R)를 관통하게 되고, 등받이프레임(22")의 위치 고정은 각 고리(R)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측으로 관통결합되는 조절놉(k)을 조여 조절놉(k)의 선단부를 경사프레임(24'")의 외측 외주면에 밀착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의자는 좌판(23)의 양 측면 전방 선단부측에,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도를 갖는 일자형 경사프레임(24)(24')(24")(24'")을 각각 결합시킴에 본 고안의 기본적 사상이 있으며, 상기 경사프레임의 외주면 내지는 내주면 중의 하나를 따라 등받이(21)가 결합된 등받이프레임(22)(22')(22")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됨에 구조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의자는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의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등받이를 전·후진 시켜 등받이의 전·후 위치 뿐 아니라 그 높낮이까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장과 앉은 키에 따라 최적의 좌판 길이와 등받이 높이 확보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잘못된 착석 자세에 의한 척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동일 학년임에도 불구하고 신장과 앉은 키의 차이가 큰 성장기의 학생들에게 종래와 같이 동일 한 크기의 의자를 사용하면서도 신체 조건에 따라 좌판의 착석 가능 길이와 등받이의 높이를 동시에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초·중·고등학생들의 착석자세 교정에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5)

  1. 다리와 좌판 및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좌판(23)의 양 측면 전방 선단부측에 전방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상향경사도를 갖도록 고정결합되며, 등받이프레임(22)(22')(22")을 일시적으로 반복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일자형 경사프레임(24)(24')(24")(24'")과;
    상기 경사프레임(24)(24')(24")(24'")의 외주면 내지는 내주면 중의 하나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경사프레임의 고정수단과 맞물리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등받이(21)가 부착된 등받이프레임(22)(22')(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4)은 좌판(23)이 고정결합된 좌판프레임(25)의 전방 양 단부로부터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후방측으로 각각 상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4')은 다리(26')와 일체로 형성된 좌판프레임(25')의 다리(26')측 경계부근 외주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24")(24'")은 좌판의 전·후 방향 전길이에 걸쳐 확장된 것이며, 상기 경사프레임(24")(24'")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프레임(22')(22")은 일자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은 일자형 중앙부 내측 외주면에 등받이(21)가 결합되며, 양 단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절곡연장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은 양 단부에 폐루프를 이루는 고리(R)가 각각 구비된 일자형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22)의 외주면 및 경사프레임(24)(24')의 선단부 내·외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는 조절놉(k)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 선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돌기(e) 및 경사프레임(24) 하부에 축방향을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공(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의 내부 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며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구슬(b)과 경사프레임(24) 하부에 축방향을 따라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걸림공(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와, 경사프레임(24")의 내측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며 하면에 다수의 걸림홈(h')이 구비된 슬라이딩홈(S)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4")과 경사프레임(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24") 양단부에 구비되며 외주면에서 내주면측으로 관통결합되는 조절놉(k)이 결합된 한 쌍의 고리(R)와, 경사프레임(24'")의 외주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등받이프레임(22) 양 단부 중공에 외주면이 중공 내주면에 밀착되며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상 지지구(a)의 관통공에 양 단부가 유동가능하도록 중앙부가 결합되고 절곡된 양 단부가 각각 등받이프레임(22)의 중공 상·하부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장착된 봉형 지렛대(L)와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 중공 끝단부에 상기 지렛대(L)의 절곡되지 않은 일측단부를 눌러주도록 삽입결합된 핀스프링(s1)과 핀스프링 고정구(c) 및경사프레임(24)(24')의 외주면 하부로부터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걸림공(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각 단부가 축 방향으로 갈라져 직경 방향으로 유동가능하며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사프레임(24)(24')의 각 단부(E)와, 이 단부(E)의 외주면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며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파이프형 결합구(f)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ㄴ"형으로 절곡되며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해 위치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절곡된 끝단부가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등받이프레임(22)의 양 단부 외주면 하부에 각각 결합된 레버(d)와, 경사프레임(24)(24')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22)과 경사프레임(24)(24')의 각 고정수단은 원호상 외주면을 가지며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기어가 형성되고 경사프레임(24)(24')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 래크기어(r)와, 등받이 프레임(22)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기어(r)의 기어와 맞물리는 원판상 피니언기어(t)와, 등받이 프레임(22)의 반대되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각각 분리가능하게 관통된 후 상기 피니언기어(t)의 중앙부에 끼워져 피니언기어(t)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키(k)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2003-0006828U 2003-03-07 2003-03-07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14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28U KR200314499Y1 (ko) 2003-03-07 2003-03-07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828U KR200314499Y1 (ko) 2003-03-07 2003-03-07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368A Division KR20040079275A (ko) 2003-03-07 2003-03-07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499Y1 true KR200314499Y1 (ko) 2003-05-27

Family

ID=4940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828U KR200314499Y1 (ko) 2003-03-07 2003-03-07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9Y1 (ko) 2012-06-04 2014-04-25 한의경 의자
KR101678809B1 (ko) * 2014-12-22 2016-11-24 (주) 파트라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850963B1 (ko) * 2017-08-14 2018-04-23 유선희 의자 일체형 책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9Y1 (ko) 2012-06-04 2014-04-25 한의경 의자
KR101678809B1 (ko) * 2014-12-22 2016-11-24 (주) 파트라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850963B1 (ko) * 2017-08-14 2018-04-23 유선희 의자 일체형 책상
WO2019035650A1 (ko) * 2017-08-14 2019-02-21 유선희 의자 일체형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US9538849B2 (en) Chair back with lumbar and pelvic supports
JPH08507935A (ja) 事務用椅子
US9585485B2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0314499Y1 (ko)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US11744375B2 (en) Seat configuration
KR20040079275A (ko)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CN211048881U (zh) 一种靠背可前后调节的椅子
EP3179886B1 (en) Chair
KR101052551B1 (ko) 의자
WO2008054225A1 (en) Chair
CN219306256U (zh) 一种靠背可调节课桌椅
US5052755A (en) Chair,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CN221635401U (zh) 一种舒适型儿童布椅
US20230414002A1 (en) Seat configuration
AU661312B2 (en) A chair
KR200331389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867148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책상의자
AU595304B2 (en) Tilt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