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316B1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Google Patents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5316B1 KR101105316B1 KR1020110008337A KR20110008337A KR101105316B1 KR 101105316 B1 KR101105316 B1 KR 101105316B1 KR 1020110008337 A KR1020110008337 A KR 1020110008337A KR 20110008337 A KR20110008337 A KR 20110008337A KR 101105316 B1 KR101105316 B1 KR 101105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hair
- horizontal portion
- horizontal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등받이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부의 받침프레임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로 연장구비된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에 그 단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구비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따르면, 좌판부의 하부에 제1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2지지부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탄성조절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제2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따르면, 좌판부의 하부에 제1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2지지부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탄성조절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제2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등받이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몸을 뒤로 기댈 수 있도록 하거나, 걸터앉을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책상에서 각종 작업을 할 경우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신체 거치 수단인 것이다.
종래의 의자는 좌석부와 등받이부와 팔걸이부 등으로 구성되며, 좌석부 및 등받이부에는 사용자의 안락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근무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의 경우 허리 부분을 지지해주는 특별한 장치가 없어 허리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에 별도의 쿠션을 대고 앉거나 또는 등받이부가 복수인 듀오백 형식의 의자를 사용하는데, 그럼에도 대다수의 많은 사람이 허리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허리받이를 구비한 의자가 제조 판매되고 있으나, 허리받이의 지지 지점이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이 되지 못하고, 미리 정해진 방향과 복원력으로 일정한 지점만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좌판부의 하부에 제1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2지지부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탄성조절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제2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는, 좌판부(100)의 받침프레임(15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수평부(5131)와 상기 제1수평부(5131)의 후단부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된 제1연장부(5135)로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513)과, 상기 제1연장부(5135) 단부에 결합된 제1받침부(511)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510)와; 상기 제1지지부(510)의 제1수평부(5131)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부(5531)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상부로 연장구비된 제2연장부(5535)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갖는 제2지지프레임(553)과, 상기 제2연장부 (5535) 단부에 결합된 제2받침부(551)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550)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513)의 제1수평부(5135)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553)의 제2수평부(553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650)와, 상기 제1수평부(5131)와 탄성부재(650)와 제2수평부(553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부(610)를 포함하는 탄성조절부(600)로 구성되어서, 상기 볼트부(630)를 회전시켜 볼트부(630)를 너트부(610)에 조이면, 제2수평부(553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상기 볼트부(630)를 역회전시켜 볼트부(630)를 너트부(610)에 대해 풀면, 제2수평부(55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해제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에 따르면, 좌판부의 하부에 제1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제2지지부를 결합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탄성조절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체를 후방으로 기댔을 경우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제2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최적의 자세와 기울기로 신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왼쪽방향을 '후방', 오른쪽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부(100)의 받침프레임(150)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부로 연장구비된 제1지지부(510)와, 상기 제1지지부(51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510)와 이격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구비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지지부(550)와 상기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50)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50)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부(100)와, 상기 좌판부(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둥부(200) 및 다리부(250)와,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제1지지부(510)와, 사용자의 어깨 또는 머리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제2지지부(550)와,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거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지지부(510) 및 제2지지부(550)가 구비될 수 있는 좌판부(100)와 다리부(250)가 구비된 의자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로는 받침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프레임(150) 하부로 기둥부(200)와 다리부(250)가 구비되어 바닥으로부터 상기 좌판부(100)를 지지한다.
상기 다리부(250)의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의자가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좌판부(10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부(200)에 높이조절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받침프레임(150)에는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가이드부(15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부(510)는 전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53)에 결합된 제1지지프레임부(513)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513)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1받침부(5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513)는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제1수평부(5131)와 상기 제1수평부(5131)의 후단부에서 상부로 수직 연장구비된 제1연장부(5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평부(5131)의 전단부는 상기 가이드부(15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5135)에는 상기 가이드부(153)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부를 향하여 제1브라켓(5137)이 연장구비된다.
상기 제1브라켓(5137)은 상기 제1수평부(5135)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5135)의 상단부에 상기 제1받침부(5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513)는 금속재질이며, 제1받침부(511)는 후방으로 오목한 곡면 구조로 형성되고 완충효과 또는 탄력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550)는 상기 제1브라켓(5137)에 그 전단부가 힌지 결합된 제2지지프레임부(553)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2받침부(5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는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제2수평부(5531)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후단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상부로 연장구비된 제2연장부(55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평부(5531)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1브라켓(5137)과 대응되도록 하부를 항하여 연장구비된 제2브라켓(5537)이 구비된다.
상기 제2브라켓(5537)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브라켓(5537)의 하단부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5137)과 제2브라켓(5537)을 체결수단(590)으로 힌지 결합시키며, 상기 제2수평부(5531)는 상기 제1수평부(5131)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부(5131)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연장부(5535)는 상기 제1연장부(5135)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2연장부(5535)의 단부에 상기 제2받침부(5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는 금속재질이며, 제2받침부(551)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 구조로 형성되고 완충효과 또는 탄력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2받침부(551)는 상기 제1받침부(511)의 하단부와 상기 좌판부(100)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연장부(5535)의 상단부는 상기 제1연장부(5135)의 상단부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2받침부(551) 또한 상기 제1받침부(511)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부(513)에 대하여 이격된 거리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게 되면 상기 제2받침부(551)는 허리 또는 등 부분을 받칠 수 있으며, 상기 제1받침부(511)는 목 또는 머리 부분을 받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제1받침부(511)의 오목한 부분으로 사용자의 목 부분 또는 머리 부분이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받침부(551)의 볼록한 부분으로 사용자의 등 부분 또는 허리 부분이 밀착될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지지부(510)의 상부로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머리 지지수단(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의자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6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부(5131)와 제2수평부(5531)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50)와, 상기 제1수평부(5131)와 탄성부재(650)와 제2수평부(553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부(6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조절부(600)는 상기 제1브라켓(5137) 또는 제2브라켓(5537)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너트부(610)는 상기 제2수평부(553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630)는 상기 제1수평부(5131)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650)를 지나 상기 제2수평부(5531)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6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부(610)를 상기 제1수평부(5131)의 하면에 구비시키고, 상기 볼트부(630)를 상기 제2수평부(5531)의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650)를 지나 상기 제1수평부(513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610)에 체결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부재(65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650)의 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보다 탄성부재(650)의 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가 길게 구비되므로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상기 제2수평부(5531)가 탄성부재(650)를 가압하면서 하부로 회전하는 길이에 비해 상기 제2연장부(5535)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가 길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장부(5535)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에 비해 상기 탄성부재(650)가 압축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탄성부재(650)의 수명이 증가될 수가 있다.
상기 볼트부(630)를 상기 너트부(610)에 대해 조이거나 풀면, 상기 제1수평부(5131)는 상기 가이드부(153)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2수평부(5531)는 상기 제1브라켓(5137)과 제2브라켓(5537)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수평부(5531)가 힌지결합점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너트부(610)와 볼트부(6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630)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부(630)가 상기 너트부(610)로 조여지도록 하면, 상기 제1수평부(5131)는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2수평부(5531)는 상기 제1브라켓(5137)과 제2브라켓(5537)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수평부(5531)가 하부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되고 상기 제1수평부(5131)와 제2수평부(5531)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혀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연장부(5535)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연장부(5131)와의 이격거리가 좁혀진다.
반대로, 상기 볼트부(630)를 회전시켜 상기 너트부(610)로부터 볼트부(630)의 조임이 풀어지도록 하면, 상기 제1수평부(5131)는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2수평부(5531)는 상기 제1브라켓(5137)과 제2브라켓(5537)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수평부(5531)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해제되고 상기 제1수평부(5131)와 제2수평부(5531)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연장부(5535)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연장부(5131)와의 이격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탄성조절부(600)를 통하여 상기 제2연장부(553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의자에 앉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 다르더라도 상기 제2지지부(550)에 구비된 제2받침부(551)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부위에 위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는 상기 탄성부재(650)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제2받침부(551)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의자의 제1받침부(511) 및 제2받침부(551)에 기대면서 앉을 수가 있다.
상기 제2받침부(551)가 제1받침부(511)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후방으로 기대지 않더라도 상기 제2받침부(551)가 자연스럽게 허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허리 부분이 상기 제2받침부(5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체를 후방으로 밀착시키면,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는 탄력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전방을 향한 복원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2받침부(551)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복원력으로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허리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제2지지프레임부(553)가 후방으로 가압될 수가 있으며, 이에 따른 복원력이 크게 되어 상기 제2받침부(551)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불필요하게 큰 힘으로 가압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부(600)에서 상기 볼트부(630)를 회전시켜 상기 볼트부(630)를 상기 너트부(610)에 조이면, 상기 제2수평부(553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이격거리가 좁혀지게 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힘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후방으로 기대었을 경우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를 가압하는 힘이 줄어드는 동시에 그에 따른 복원력 또한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허리둘레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경우 상기 제2받침부(551) 부분이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앉을 수가 없게 된다.
이런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부(600)에서 볼트부(630)를 역회전시켜 볼트부(630)를 너트부(610)에 대해 풀면, 제2수평부(55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해제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이격거리가 멀어져서, 사용자는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조절부(600)를 통하여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밀착되는 제2받침부(5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신체 구조가 다르더라도 허리 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면서 의자에 앉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서 상체를 후방으로 밀착시켜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65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650)의 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보다 탄성부재(650)의 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가 길게 구비되므로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상기 제2연장부(5535)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에 비해 상기 제2수평부(5531)가 탄성부재(650)를 가압하면서 하부로 회전하는 길이가 짧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장부(5535)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길이에 비해 상기 탄성부재(650)가 압축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탄성부재(650)의 수명이 증가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 의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부(5131)에 상하로 관통된 장공 형태의 제1이동공(513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부(5531)에 상기 제1이동공(5139)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관통된 장공 형태의 제2이동공(553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50)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탄성조절부(60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등받이 의자는 상기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탄성조절부(6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부(5131)의 제1이동공(5139)과 제2수평부(5531)의 제2이동공(5539)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650)와, 상기 제1이동공(5139)와 탄성부재(650)와 제2이동공(5539)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부(6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부(610)는 상기 제2이동공(5539)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630)는 상기 제1이동공(5139)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650)를 지나 상기 제2이동공(5539)를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61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부(610)를 상기 제1이동공(5139)의 하면에 구비시키고, 상기 볼트부(630)를 상기 제2이동공(5539)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탄성부재(650)를 지나 상기 제1이동공(5139)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610)에 체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부(600)를 상기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조절부(600)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65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650)의 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는 늘어나고 탄성부재(650)의 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방으로 기댈 시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이 상태는 허리 부분을 좀 더 강한 힘으로 받치고자 하려는 사용자들한테 적당할 것이다.
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조절부(600)를 상기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조절부(600)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전방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탄성부재(650)를 기준으로 탄성부재(650)의 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는 줄어들고 탄성부재(650)의 후방에 위치한 제2지지프레임부(553)의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방으로 기댈 시 상기 제2지지프레임부(55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며, 이 상태는 허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약한 힘으로 받치고자 하려는 사용자들한테 적당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1이동공(5139)의 하면 또는 제2이동공(5539)의 상면에 구비되는 너트부(610) 대신 상기 제1이동공(5139) 또는 제2이동공(5539)의 내측면에 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한 후 상기 볼트부(630)가 나사산에 직접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수평부(5131) 및 제2수평부(5531)에 장공 형태의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 대신, 제1수평부(5131)에 상하로 관통된 복수의 통공을 형성하고 제2수평부(5531)에 상기 제1수평부(5131)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5131)와 제2수평부(5531)에 형성된 통공 사이에 탄성조절부(600)를 위치시키고, 탄성조절부(600)의 위치를 전방에 형성된 통공 및 후방에 형성된 통공 사이로 이동시킴으로 해서 상기 탄성조절부(600)를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 사이에서 위치 이동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좌판부 150: 받침프레임
510: 제1지지부 550: 제2지지부
600: 탄성조절부
510: 제1지지부 550: 제2지지부
600: 탄성조절부
Claims (7)
- 좌판부(100)의 받침프레임(150)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수평부(5131)와 상기 제1수평부(5131)의 후단부에서 상부로 수직연장된 제1연장부(5135)로 구성되는 제1지지프레임(513)과, 상기 제1연장부(5135) 단부에 결합된 제1받침부(511)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510)와;
상기 제1지지부(510)의 제1수평부(5131)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부(5531)와 상기 제2수평부(5531)의 후단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면서 상부로 연장구비된 제2연장부(5535)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갖는 제2지지프레임(553)과, 상기 제2연장부 (5535) 단부에 결합된 제2받침부(551)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550)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513)의 제1수평부(5135)와 상기 제2지지프레임(553)의 제2수평부(553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650)와, 상기 제1수평부(5131)와 탄성부재(650)와 제2수평부(5531)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부(610)를 포함하는 탄성조절부(600)로 구성되어서,
상기 볼트부(630)를 회전시켜 볼트부(630)를 너트부(610)에 조이면, 제2수평부(5531)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이격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상기 볼트부(630)를 역회전시켜 볼트부(630)를 너트부(610)에 대해 풀면, 제2수평부(553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50)가 압축해제되고 제2연장부(5535)가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연장부(5135)와 제2연장부(5535)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50)에는 후방으로 수평 연장된 가이드부(153)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53)에 상기 제1지지부(510)의 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5131)에는 상기 가이드부(153)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부를 향하여 제1브라켓(5137)이 연장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부(5531)에는 상기 제1브라켓(5137)과 대응되도록 하부를 향하여 제2브라켓(5537)이 구비되며, 상기 제2브라켓(5537)과 상기 제1브라켓(5137)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5537)의 하단부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등받이를 갖는 의자.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5131) 및 제2수평부(5531)에는 상기 제1브라켓(5137) 및 제2브라켓(5537)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 형태의 제1이동공(5139) 및 제2이동공(5539)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600)는 상기 제1수평부(5131)와 제2수평부(5531)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650)와, 상기 제1이동공(5139)과 탄성부재(650)와 제2이동공(5539)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630)와, 상기 볼트부(630)의 단부에 체결된 너트부(610)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브라켓(5137) 또는 제2브라켓(5537)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8337A KR101105316B1 (ko) | 2011-01-27 | 2011-01-27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8337A KR101105316B1 (ko) | 2011-01-27 | 2011-01-27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5316B1 true KR101105316B1 (ko) | 2012-01-18 |
Family
ID=45614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8337A KR101105316B1 (ko) | 2011-01-27 | 2011-01-27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531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9757A (ko) * | 2001-05-08 | 2001-07-25 | 류형선 | 폴리크레줄렌을 이용한 신규 구강 청결 소독제에 제조에관한 의약 조성물 |
KR101476419B1 (ko) * | 2012-11-16 | 2014-12-30 | 박민석 | 의자 기울기 장치의자 |
CN110833279A (zh) * | 2018-08-17 | 2020-02-25 | 大河精工有限公司 | 具备张力椅背的椅子 |
US20220095797A1 (en) * | 2020-09-29 | 2022-03-31 | Rocking, Inc. |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force adjustment assembly |
-
2011
- 2011-01-27 KR KR1020110008337A patent/KR1011053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9757A (ko) * | 2001-05-08 | 2001-07-25 | 류형선 | 폴리크레줄렌을 이용한 신규 구강 청결 소독제에 제조에관한 의약 조성물 |
KR101476419B1 (ko) * | 2012-11-16 | 2014-12-30 | 박민석 | 의자 기울기 장치의자 |
CN110833279A (zh) * | 2018-08-17 | 2020-02-25 | 大河精工有限公司 | 具备张力椅背的椅子 |
US20220095797A1 (en) * | 2020-09-29 | 2022-03-31 | Rocking, Inc. |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force adjustment assembly |
US11730271B2 (en) * | 2020-09-29 | 2023-08-22 | Rocking, Inc. | Portable rebounding device with force adjustment assembl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72691B2 (en) | Resilient lower-back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vertical adjustment along with backrest of chair | |
US20060103221A1 (en) | Ergonomic chair | |
KR102206733B1 (ko) |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 |
US9585485B2 (en) |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 |
KR101143619B1 (ko) |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
US10561248B2 (en) |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 |
CN107411394B (zh) | 用于椅子的椅背的背部支撑组件 | |
KR101105316B1 (ko)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
KR101232825B1 (ko) | 의자 | |
US8469449B2 (en) |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 |
KR200396260Y1 (ko) |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 |
JP2006296960A (ja) |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 |
KR200421443Y1 (ko) |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 |
KR101473879B1 (ko) |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 |
KR101527459B1 (ko) |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 |
US5213395A (en) | Adjustable seating assembly | |
KR101296612B1 (ko) |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 |
KR20200144928A (ko) | 마사지기능이 있는 컴퓨터의자 | |
KR101733981B1 (ko) |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 |
KR101303263B1 (ko) |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 |
KR100760756B1 (ko) | 의자의 틸팅장치 | |
KR20180133674A (ko) | 다기능 좌식의자 | |
JP2017086369A (ja) | 椅子 | |
KR101582228B1 (ko) | 의자 조립체 | |
KR101552791B1 (ko) |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