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228B1 - 의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의자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2228B1 KR101582228B1 KR1020140104932A KR20140104932A KR101582228B1 KR 101582228 B1 KR101582228 B1 KR 101582228B1 KR 1020140104932 A KR1020140104932 A KR 1020140104932A KR 20140104932 A KR20140104932 A KR 20140104932A KR 101582228 B1 KR101582228 B1 KR 101582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armrest
- frame
- backres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217 Buttock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7202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분기 다리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좌판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상기 좌판, 등받이 및 팔걸이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착석자의 둔부가 좌판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착석자는 둔부와 허리를 각각 상기 좌판과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의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착석자의 둔부가 좌판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착석자는 둔부와 허리를 각각 상기 좌판과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의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의 회동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척추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의도에 따른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의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학교, 학원, 도서관 또는 공공기관이나 각종 산업체의 사무실 및 회의실 등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부 및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사람들은 의자에 앉아서 공부 및 사무를 보게 되며, 대부분의 의자에는 착석자의 등과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등받이와 팔걸이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르는 의자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조립체는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10)과, 등을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 조립체(20)와, 상기 좌판(10)과 등받이 조립체(20)를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30)과, 상기 좌판(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팔걸이(40)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등받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금속재의 브라켓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금속재의 브라켓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경도 및 강도가 약화되어 탄성력이 크게 줄어듬과 아울러 절곡된 부분에 대한 균열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받이는 착석자가 등받이를 가압하는 상태로 기댈 경우, 좌판은 수평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등받이만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착석자의 체중이 등받이에 집중되면 착석자의 둔부는 조금씩 좌판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이러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경우 허리에 부담을 주어 요통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팔걸이는 의자와 평행한 수평각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석자의 앉는 자세 및 습관 등에 따라 상기 팔 받침대의 위치를 전후 또는 좌우 직선 방향으로 가변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의 회동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척추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의도에 따른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의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조립체는, 다수의 분기 다리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좌판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팔걸이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상기 좌판, 등받이 및 팔걸이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면을 형성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구조의 좌판지지부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 힌지운동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좌판과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과 등받이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연결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걸이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가동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에 설치되며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팔받침대와,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팔받침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팔받침대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상기 팔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1 이동부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팔받침대를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이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레일홈과, 상기 제1 레일홈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2 레일홈과, 상기 제2 레일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부재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이드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좌우방향의 직선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보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부재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보조 레일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착석자의 둔부가 좌판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착석자는 둔부와 허리를 각각 상기 좌판과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의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과 팔받침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팔받침대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조립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판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동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동프레임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팔걸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높이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팔걸이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팔걸이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판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동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동프레임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팔걸이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높이조절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팔걸이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7의 팔걸이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조립체는 다수의 분기 다리부(120)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200)과, 상기 좌판(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300)와, 상기 좌판(200)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팔걸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좌판(2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키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는 기둥축(110)과, 상기 기둥축(110)과 결합되는 다수의 분기 다리부(1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 다리부(120)에는 지면에 대하여 구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축(110)에는 지면으로부터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구조를 가지며 내측에는 에어실린더(미도시)가 장착된다.
상기 좌판(2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좌판(200)은 후술할 가동프레임(500)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좌판 프레임(210)과, 좌판 프레임(210) 상부에 설치되는 쿠션부재(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죄판 프레임(210)의 후방에는 상기 좌판(200)과 등받이(300)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좌판(200)을 등받이(300) 쪽으로 원활하게 당기는 압력을 제공하는 링크연결부재(23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재(230)는 후술할 연결브라켓(540)의 회동작용시 상기 좌판 프레임(210)을 후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판(200)이 연결브라켓(540)의 회동방향 아래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좌판(200)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역할도 병행한다.
또한, 상기 링크연결부재(230)는 후술할 연결브라켓(540)의 회동작용시 상기 좌판 프레임(210)을 후방향으로 직선이동 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판(200)이 연결브라켓(540)의 회동방향 아래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좌판(200)을 안정적으로 떠받치는 역할도 병행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300)는 좌판(2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으로, 메쉬소재의 등받이부재(310)와, 상기 등받이부재(3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재(310)는 메쉬소재로 제작되며 소재의 특성에 따른 탄력으로부터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에 따라 착석자의 등에 땀이 차는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좌판(20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좌판(200), 등받이(300) 및 팔걸이(400)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등받이(300) 회동시 상기 좌판(200)을 등받이(300)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50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가동프레임(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가동프레임(5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 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면(511)을 형성한 고정몸체(510)와, 상기 고정몸체(510)에 결합되며 상기 좌판(200)을 지지하는 구조의 좌판지지부(520)와, 상기 고정몸체(510)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 힌지운동하는 회동플레이트(530)와, 상기 회동플레이트(530)에 설치되며 상기 좌판(20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5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동프레임(500)은 착석자가 등받이(300)에 기댈 경우 상기 등받이(300)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과정이 종래기술과 같이 금속의 탄성 브라켓을 이용하여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동플레이트(530)의 힌지운동으로부터 상기 등받이(300)를 탄성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판(20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착석자가 상체를 상기 등받이(300)에 기대는 자세로 앉을 경우, 상기 등받이(30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이 상기 회동플레이트(530)의 끝단에 전달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530)를 아래쪽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등받이(300)의 회동작용이 이루어지며, 아울러 상기 회동플레이트(530)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브라켓(540)도 함께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540)의 회동작용은 상기 좌판 프레임(210)을 후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물론, 상기 등받이(300)가 뒤로 젖혀지는 경사각에 비례하여 상기 좌판 프레임(210)의 직선이동 거리가 설정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프레임(500)의 구성은 착석자의 상체 체중이 등받이(300)에 집중될 경우, 착석자의 둔부가 조금씩 좌판(200)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등받이(300)에 장시간 기댄 상태로 앉아 있을 경우 발생되는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착석자의 둔부와 허리를 각각 상기 좌판(200)과 등받이(3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팔걸이(400)는 상기 좌판(200)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걸이(400)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가동프레임(5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높이조절수단(420)과,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팔받침대(430)와, 상기 높이조절수단(420)과 팔받침대(43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팔받침대(430)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10)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가동프레임(5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대략 'ㄴ'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은 상기 고정프레임(410)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팔받침대(43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은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삽입 고정되며 내측 길이방향에 다수의 걸림홈(421a)이 형성된 외측프레임(421)과, 상기 외측프레임(421) 내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홈(421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걸림돌기(422a)를 형성한 내측프레임(422)과, 상기 내측프레임(422)에 결합되며 상기 내측프레임(422)과 함께 승하강 이동하는 승강플레이트(423)와, 상기 내측프레임(422)과 승강플레이트(423) 사이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42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플레이트(423)의 상단 일측에는 승강플레이트(423)의 승하강 조작을 위한 작동레버(423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측프레임(422)과 걸림돌기(422a)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422a)가 걸림홈(421a)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복원스프링(422b)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플레이트(423)에는 승하강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422a)를 걸림홈(421a)으로부터 착탈을 유도하는 경사유도부(423b)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유도부(423b)는 상기 승강플레이트(423)의 승하강 이동시 상기 경사유도부(423b)의 경사면이 상기 걸림돌기(422a)와 접촉하여 상기 걸림돌기(422a)를 걸림홈(421a)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은 상기 외측프레임(421)이 고정프레임(410)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프레임(421)에 결합되는 내측프레임(422)과 승강플레이트(423)가 함께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423a)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423)가 스프링(424)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플레이트(423)의 경사유도부(423b)가 상기 걸림돌기(422a)와 면접촉하여 걸림돌기(422a)를 걸림홈(421a)으로부터 탈착시킴으로써 상기 팔받침대(430)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어 누르고 있던 조작레버(423a)을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424)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423)는 하강하고 이때 상기 걸림돌기(422a)는 경사유도부(423b)와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22a)는 탄성복원스프링(422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421a) 쪽으로 진입하여 높낮이 조절이 완료된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은 승강 이동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425)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팔받침대(430)는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를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팔받침대(430)는 후술할 슬라이딩 이동수단(440)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43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31)를 감싸는 쿠션부재(432)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수단(420)과 팔받침대(430) 사이에는 상기 팔받침대(430)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440)은 상기 팔받침대(430)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이동부재(441)와, 상기 제1 이동부재(441)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팔받침대(430)를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이동부재(4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동부재(441)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레일홈(441a)과, 상기 제1 레일홈(441a)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420)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체결부(441b)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이동부재(442)의 일측과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2 레일홈(442a)과, 상기 제2 레일홈(442a)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부재(441)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이드체결부(44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440)은 상기 팔받침대(430)를 자유롭게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가변 이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부재(441)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442)의 좌우방향의 직선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보조 가이드돌기(441c)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부재(442)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돌기(441c)에 대응하는 보조 레일홈(442c)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착석자의 둔부가 좌판 앞쪽으로 밀려나와 요추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착석자는 둔부와 허리를 각각 상기 좌판과 등받이에 밀착된 상태의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허리 및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420)과 팔받침대(4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팔받침대(430)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440)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팔걸이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좌판
300 : 등받이
400 : 팔걸이
410 : 고정프레임
420 : 높이조절수단
430 : 팔받침대
440 : 슬라이딩 이동수단
500 : 가동프레임
510 : 고정몸체
520 : 좌판지지부
530 : 회동플레이트
540 : 연결브라켓
200 : 좌판
300 : 등받이
400 : 팔걸이
410 : 고정프레임
420 : 높이조절수단
430 : 팔받침대
440 : 슬라이딩 이동수단
500 : 가동프레임
510 : 고정몸체
520 : 좌판지지부
530 : 회동플레이트
540 : 연결브라켓
Claims (7)
- 다수의 분기 다리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둔부를 받치는 좌판;
상기 좌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상기 좌판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착석자의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팔걸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좌판 사이에는 상기 좌판, 등받이 및 팔걸이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등받이 회동시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동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면을 형성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구조의 좌판지지부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 힌지운동하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좌판과 연결되어 상기 좌판을 후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판과 등받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좌판을 등받이 쪽으로 당기는 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링크연결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가동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에 설치되며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일정 넓이를 가지는 팔받침대와,
상기 높이조절수단과 팔받침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팔받침대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수단은,
상기 팔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이동부재와, 상기 제1 이동부재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팔받침대를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이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레일홈과, 상기 제1 레일홈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고정되는 제1 가이드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일측과 타측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2 레일홈과, 상기 제2 레일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이동부재에 고정이 이루어지는 제2 가이드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좌우방향의 직선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보조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부재에는 상기 보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보조 레일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4932A KR101582228B1 (ko) | 2014-08-13 | 2014-08-13 | 의자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4932A KR101582228B1 (ko) | 2014-08-13 | 2014-08-13 | 의자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82228B1 true KR101582228B1 (ko) | 2016-01-04 |
Family
ID=5516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4932A KR101582228B1 (ko) | 2014-08-13 | 2014-08-13 | 의자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22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46244A (zh) * | 2019-03-23 | 2019-06-07 | 肖增荣 | 多功能办公椅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7961B1 (ko) | 2006-04-12 | 2007-07-13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
KR100903215B1 (ko) * | 2008-10-10 | 2009-06-18 | 주식회사 시디즈 | 틸팅 가능 의자 |
KR20130045407A (ko) * | 2010-11-09 | 2013-05-03 | 테-춘 첸 |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
KR20140025209A (ko) | 2012-08-22 | 2014-03-04 | 주식회사 시디즈 | 틸팅 가능 의자 |
KR101378400B1 (ko) * | 2011-06-01 | 2014-04-08 | 주식회사 코아스 |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
-
2014
- 2014-08-13 KR KR1020140104932A patent/KR1015822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7961B1 (ko) | 2006-04-12 | 2007-07-13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
KR100903215B1 (ko) * | 2008-10-10 | 2009-06-18 | 주식회사 시디즈 | 틸팅 가능 의자 |
KR20130045407A (ko) * | 2010-11-09 | 2013-05-03 | 테-춘 첸 |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
KR101378400B1 (ko) * | 2011-06-01 | 2014-04-08 | 주식회사 코아스 |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
KR20140025209A (ko) | 2012-08-22 | 2014-03-04 | 주식회사 시디즈 | 틸팅 가능 의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846244A (zh) * | 2019-03-23 | 2019-06-07 | 肖增荣 | 多功能办公椅 |
CN109846244B (zh) * | 2019-03-23 | 2022-04-22 | 肖增荣 | 多功能办公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62586B2 (en) |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 |
US10383445B2 (en) |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 |
US8944507B2 (en) | Ergonomic adjustable chair mechanisms | |
KR101575774B1 (ko) |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 |
KR20140013899A (ko) | 의자의 조절장치 | |
KR101232825B1 (ko) | 의자 | |
JP3177652U (ja) |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 |
KR200478039Y1 (ko) |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 |
KR101582228B1 (ko) | 의자 조립체 | |
KR101105316B1 (ko) |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 |
KR20130064453A (ko) |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 |
US9609949B2 (en) | Chair capable of interlocking back support and footrest | |
JP6538020B2 (ja) | 椅子の背もたれの高さ調節構造 | |
KR100760756B1 (ko) | 의자의 틸팅장치 | |
KR101495603B1 (ko) | 자세 교정용 의자 | |
KR101505665B1 (ko) | 의자 조립체 | |
KR101941528B1 (ko) |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 |
KR20150108091A (ko) |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 |
KR101052551B1 (ko) | 의자 | |
KR20200003987A (ko) |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 |
CN205214733U (zh) | 一种可躺式椅子 | |
KR200482304Y1 (ko) | 의자용 등받이 | |
KR102098952B1 (ko) | 의자의 전후방향 틸팅 기구 | |
KR102193999B1 (ko) | 조절 가능한 요추지지부재를 갖는 의자 | |
EP4215085A1 (en) | Seat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