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60Y1 -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60Y1
KR200396260Y1 KR20-2005-0019111U KR20050019111U KR200396260Y1 KR 200396260 Y1 KR200396260 Y1 KR 200396260Y1 KR 20050019111 U KR20050019111 U KR 20050019111U KR 200396260 Y1 KR200396260 Y1 KR 200396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cross member
adjuster
adjus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용
유근호
김종주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성 filed Critical (주)거성
Priority to KR20-2005-0019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6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등받이의 요추점 부분을 전후진시켜 조절함으로써 자세 교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프레임, 시트 베이스 및 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크로스부재와; 등받이와 크로스부재 사이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조절체와; 조절체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조절부와; 크로스부재와 조절체 사이에 개재되어 조절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좌우 한 쌍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seat back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용 등받이의 요추점 부분을 전후진시켜 조절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 교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의자라 함은 사람이 앉기 위한 도구로서, 등받이(seat back), 시트 베이스(seat base), 다리로 이루어진다.
의자의 종류는 형태·용도·구조 및 재료 측면에서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그 형태상으로 스툴·소의자·팔걸이의자·긴의자·눕는의자·로킹체어 등이 있고, 그 용도상으로는 작업 목적으로 사무용의자·학습용의자·식사용의자 등이 있고, 휴식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안락의자·소파·디 베드·카우치 등이 있다.
구조상으로 나누면 고정식·접는식·경사조절식·회전식·조립식 등이 있고, 재료에 따라 나누면 목제의자·금속의자·플라스틱의자·등의자 등이 있다.
의자의 시트나 등받이에 대는 재료로는 직물(실크·면·마직·양모·화학섬유)·수피(獸皮)·플라스틱·로프 등이 있고, 시트에 탄력을 주는 속재료에 짚·면포·양모·새털·짐승털·헤어로크·코일스프링·웨이브 스프링·폼러버·우레탄 폼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학습용 또는 사무용 의자의 경우, 등받이에 만곡부가 형성되어 인체의 등 부분을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자세 교정, 사용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등받이 부분에 인체 공학적인 설계를 적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가 시트 베이스 상에 고정되거나 시트 베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이루어져, 착석자의 체형 또는 크기에 따라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등받이와 착석자의 등 부분이 밀착되지 못하여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착석자의 자세 불량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의자용 등받이의 요추점 부분을 전후진시켜 조절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 교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등받이, 등받이가 고정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 시트 베이스 및 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크로스부재와;
등받이와 크로스부재 사이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조절체와;
조절체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조절부와;
크로스부재와 조절체 사이에 개재되어 조절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좌우 한 쌍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후진 조절부는 조절체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크로스부재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조절나사와,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나사이동되게 체결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절체와 등받이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체는 원추형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는 등받이(3), 등받이(3)가 고정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1), 시트 베이스(2) 및 다리(4)로 이루어진 의자의 등받이(3)의 후면 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등받이(3)는 연질 재질로 이루어지고, 등받이 프레임(1)은 "ㅁ"자의 액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등받이 프레임(1)의 테두리 부분에 등받이(3)의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는 등받이 프레임(1)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설치된 크로스부재(10)와, 크로스부재(10)의 전방 측에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체(20)와, 조절체(20)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조절부(50)와, 크로스부재(10)와 조절체(2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25)를 포함한다.
크로스부재(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1)의 중앙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고정설치되고, 그 중앙 부분에는 관통구(11)가 형성되며, 이 관통구(11)에 후술하는 전후진 조절부(50)의 조절너트 및 조절나사(51, 52)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크로스부재(10)의 관통구(11)는 외측 내경부(11a)와 내측 내경부(11b)로 이루어지고, 내측 내경부(11b)에 후술하는 조절나사(52) 및 조절너트(51)가 상호 체결된 상태로 관통되며, 내측 내경부(11b)의 자유단부(11c)에는 조절너트(51)의 걸림턱(51d)이 걸려진다.
또한, 크로스부재(10)의 관통구(11)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탄성체(25)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2, 1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조절체(20)는 등받이(3) 및 크로스부재(10) 사이에 전후진가능하게 개재되고, 그 중앙부(즉, 크로스부재(10)의 관통구(11)와 일치하는 부분)에 후술하는 조절나사(52)가 고정장착되는 장착좌면(21)이 형성되며, 이 장착좌면(21)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탄성체(25)의 타측단을 지지하는 지지턱(22, 2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후진 조절부(50)는 조절체(20)를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후진 조절부(50)는 조절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좌면(21) 상에 고정설치되는 조절나사(52)와, 조절나사(52)의 외주면에 나사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조절너트(51)를 포함한다.
조절나사(52)는 그 전방단부에 구비된 장착면(52a) 및 이 장착면(52a)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52b)로 이루어지고, 장착면(52a)은 조절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좌면(21)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설치되며, 수나사부(52b)의 외주면에는 조절너트(51)의 암나사부(52b)가 체결된 상태로 크로스부재(10)의 관통구(1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조절나사(52)의 수나사부(52b) 외주면에는 복수의 슬롯(52c)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절너트(51)의 암나사부(52b)의 나사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조절너트(51)는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방단부에 조절핸들(51a)이 형성되며, 이 조절핸드(51a)의 전방 측에 내경면에는 조절나사(52)의 수나사부(52b)에 체결되는 암사나부(51b)가 형성되고, 조절너트(51)의 전방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51d)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51d)은 상술한 관통구(11)의 내측 내경부(11b) 자유단부(11c)에 걸림결합되어 조절너트(5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나사(52) 및 조절너트(51)로 이루어진 전후진 조절부(50)의 구성에 의해, 등받이(3)의 요추를 지지하는 부분을 보다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착석자의 체형 또는 크기에 맞출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탄성체(25)는 크로스부재(10)와 조절체(20) 사이에 개재되어 조절체(20) 측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체(25)는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각 탄성체(25)의 양단부는 크로스부재(10)의 장착턱(12, 13) 및 조절체(20)의 장착턱(22, 23)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체(25)는 원추형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조절체(20)의 이동간격을 크게 한다.
또한, 조절체(20)와 등받이(3) 사이에는 완충재(40)가 개재된다.
완충재(40)는 완충재 지지판(41)에 의해 지지되고, 이 완충재 지지판(41)의 후면은 조절체(20)의 전방면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등받이(3)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너트(51)의 조절핸들(51a)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조절나사(52)의 수나사부(52b)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전후진 조절부(50)의 구동에 의해 조절체(20) 및 완충재(40)가 일체로 전후진하게 된다.
이렇게 조절체(20)가 전후진하게 됨에 따라, 등받이(3)의 요추점 부분이 전후진 조절되어 착석자의 자세교정을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그 사용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의 요추점 부분을 전후진시켜 조절함으로써 착석자의 자세 교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가 장착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의 전후진 조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등받이 프레임 20 : 조절체
30 : 등받이 40 : 완충재
51 : 조절너트 52 : 조절나사

Claims (4)

  1. 등받이, 등받이가 고정설치되는 등받이 프레임, 시트 베이스 및 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설치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구가 형성된 크로스부재와;
    상기 등받이와 크로스부재 사이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개재된 조절체와;
    상기 조절체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조절부와;
    상기 크로스부재와 조절체 사이에 개재되어 조절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좌우 한 쌍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조절부는 조절체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되어 크로스부재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조절나사와, 조절나사의 외주면에 나사이동되게 체결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와 등받이 사이에는 완충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원추형 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2005-0019111U 2005-07-01 2005-07-01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396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11U KR200396260Y1 (ko) 2005-07-01 2005-07-01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11U KR200396260Y1 (ko) 2005-07-01 2005-07-01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60Y1 true KR200396260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11U Expired - Lifetime KR200396260Y1 (ko) 2005-07-01 2005-07-01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6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3B1 (ko) 2005-05-23 2007-04-17 (주)체어텍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886008B1 (ko) 2007-07-20 2009-02-2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1009491B1 (ko) 2010-04-28 2011-01-19 주식회사 토치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09488B1 (ko) 2010-04-28 2011-01-20 주식회사 토치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98520B1 (ko) * 2009-11-06 2012-11-06 이상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2088189B1 (ko)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3B1 (ko) 2005-05-23 2007-04-17 (주)체어텍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886008B1 (ko) 2007-07-20 2009-02-26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1198520B1 (ko) * 2009-11-06 2012-11-06 이상호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009491B1 (ko) 2010-04-28 2011-01-19 주식회사 토치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09488B1 (ko) 2010-04-28 2011-01-20 주식회사 토치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2088189B1 (ko)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US8408647B2 (en) Movable chair backrest
JPH0146127B2 (ko)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US20180289164A1 (en)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090124050A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101473879B1 (ko)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NZ529154A (en) Recline mechanism for seating furniture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JP3137036U (ja) 椅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200436742Y1 (ko) 의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200245168Y1 (ko)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445660Y1 (ko) 의자
JP5088847B2 (ja) 椅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0325403Y1 (ko) 보조등판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7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6092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6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