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619B1 -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619B1
KR101143619B1 KR1020110078428A KR20110078428A KR101143619B1 KR 101143619 B1 KR101143619 B1 KR 101143619B1 KR 1020110078428 A KR1020110078428 A KR 1020110078428A KR 20110078428 A KR20110078428 A KR 20110078428A KR 101143619 B1 KR101143619 B1 KR 10114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at plate
bar
suppor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to KR102011007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과 다리부를 구비한 의자에 적용되는 좌판 틸팅장치에 있어서, 좌판과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좌판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의자에 좌판을 시소운동시키도록 좌판 틸팅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닐링 체어 자세로 의자에 착석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SEAT TILTING APPARATUS AND CHAI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방을 향해 몸을 용이하게 기울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 좌석부를 받치는 다리 및 좌석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침이 한 세트로 형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이 등받침의 상측에 위치하고, 좌석부나 다리 또는 등받침에는 팔걸이가 설치된다.
근래에는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등과 허리에 무리가 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어 등과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자의 좌석부의 높이, 팔걸이의 높이, 머리받침의 높이를 체형에 따라 조절하는 의자나 요추 받침이 구비된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스코틀랜드와 캐나다 과학자들은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는 135°임을 증명하였다.
또 이미 그전부터 상체와 허벅지의 각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의자의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고, 의자의 앞부분에 넘어지지 않도록 무릎받침대(Knee Cushion)를 설치한 의자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런 종류의 의자는 통칭하여 닐링 체어(Kneeling Chair)라고 불려지고 있는데, 닐링 체어는 1970년대 후반 노르웨이의 Hans Christian Mengshoel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현재까지 유럽과 북미, 일본 등에서 인체공학 의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닐링 체어는 좌판 앞쪽에 무릎받침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의 측면을 통해서 앉거나 일어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닐링 체어는 의자의 앞부분에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침대를 설치함에 따라 의자의 구조가 복잡해져서 작업성이 저하되고, 부품수 증가로 인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일반적인 의자의 구조를 가지면서 닐링 체어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을 향해 좌판을 틸팅시켜 척추와 허벅지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되어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닐링 체어의 기능을 제공하는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좌판과 다리부를 구비한 의자에 적용되는 좌판 틸팅장치에 있어서, 좌판과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좌판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 프레임과 상기 경사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보다 전방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 프레임은 하방을 항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굴곡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굴곡부의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손잡이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지지바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바 중에서 제 1 및 제 2지지바의 전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연결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전후 방향 시소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단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는 걸이가 형성되고 하단에 원형판이 결합되는 봉, 상하방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원통, 상방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원통에 내접하게 결합되고 상기 봉과 원형판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제 2원통 및 상기 제 1원통과 제 2원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판과 연결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와 나란하게 한 쌍의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 틸팅장치는 상기 좌판의 시소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수평 프레임에 고정하는 틸팅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바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바에는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틸팅방지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제 1바, 상기 제 1바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바의 다른 하나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제 2바, 상기 제 1바와 제 2바의 일측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제 2바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바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원판 형상으로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바와 걸림판 사이에는 상기 걸림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좌판 회전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판을 시소운동시켜 사용자의 척추와 허벅지를 약 130°정도의 각도로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릎받침대 없이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여 닐링 체어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일반적인 의자에서도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용이하게 닐링 체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 본 발명은 스토퍼를 이용해 좌판의 전방 틸팅각도를 제한하고, 탄성부를 이용해 좌판의 시소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좌판을 시소운동시키는 회전축을 좌판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닐링 체어 자세를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좌판을 전방으로 시소운동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방지수단을 이용해 좌판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 닐링 체어 기능을 차단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제품의 제작 비용 증가 없이 닐링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따라 제품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판 틸팅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의 분리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판 틸팅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도 조절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판을 중심으로 등받이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등받이를 중심으로 좌판 방향을 '전방'이라 하며, 등받이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을 각각 '좌측' 및 '우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0), 좌판(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좌판(10)을 지지하는 다리부(20), 좌판(10)과 다리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10)의 각도와 다리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0) 및 조절부(3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다리부(20)는 회전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용 다리로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의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용 다리를 구비한 다리부(20)와 등받이부(11)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다리부(20)에 회전용 다리 대신 복수의 다리를 구비하거나, 등받이부(11)를 제거하도록 변경될 수 있고, 좌판(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받쳐주는 팔걸이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조절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판(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다리부(20)의 길이 및 좌판(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조절부(30)는 다리부(20)와 연결되는 실린더(311)를 신축 동작시켜 다리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31) 및 높이 조절부(31)와 좌판(10)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10)의 전후 방향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2)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부(31)는 다리부(20)에 내장되는 실린더(311), 실린더(311)의 로드에 연결되어 실린더(311)의 압축력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레버(312) 및 실린더(311)를 압축상태로 록킹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한다.
각도 조절부(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31)의 상부에 연결되어 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프레임(33)과 경사 프레임(33)의 상단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34)을 포함하는 프레임, 수평 프레임(34)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35) 및 좌판(10)의 하면에 장착되고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경사 프레임(3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 프레임(33)의 후측 부분은 높이 조절부(31)의 상부에 연결된다.
경사 프레임(33)의 전측 중앙부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하방을 향해 굴곡지게 굴곡부(331)가 형성되고, 굴곡부(331)에는 플레이트(36)의 전방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332)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굴곡부(331)의 중앙에는 스토퍼(332)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형성된다.
스토퍼(332)는 굴곡부(331)의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333), 나사부(333)의 하단에 결합되는 손잡이(334) 및 나사부(333)의 상단에 결합되는 완충부재(335)를 포함한다.
손잡이(33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손잡이(334)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완충부재(335)는 좌판(10)의 시소운동시 플레이트(36)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플레이트(36)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수평 프레임(34)은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와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345)를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바(345) 중에서 스토퍼(332)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연결바(345)의 중앙부에는 좌판(10)의 전후 시소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7)가 설치된다.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에는 회전축(35)이 결합되는 결합공(343)과 아래에서 설명할 틸팅방지수단(40)이 결합되는 관통공(344)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공(343)은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의 중심보다 전방으로 치우쳐서 형성된다.
즉, 회전축(35)은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의 선단으로부터 약 1/4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는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판을 후방으로 시소운동하게 하고, 사용자가 닐링 체어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만 좌판을 전방으로 시소운동하게 한다.
그리고 제 1지지바(341)에 형성된 관통공(344)은 틸팅방지수단(40)의 제 1 및 제 2바(41,42)가 각각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의 높이가 중앙부의 높이보다 높도록 약간 굴곡지게 형성되고, 플레이트(36)의 하면에는 회전축(35)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부재(361)가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부재(36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 외측에 나란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지지부재(361)에는 결합공(343)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축(35)의 양단이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35)의 양단은 각각 수평 프레임(34)의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를 관통한 후 플레이트(36)의 하면에 장착된 한 쌍의 지지부재(361)의 축공에 결합된다.
탄성부(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플레이트(36)의 상면에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홈에 걸리는 걸이(372)가 형성되고 하단에 원형판(373)이 결합되는 봉(371), 상하방이 개구되어 연결바(345)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원통(374), 상방이 개구되어 제 1원통(374)에 내접하게 결합되고 봉(371)과 원형판(373)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제 2원통(375) 및 제 1원통(374)과 제 2원통(375) 내부에 설치되어 원형판(373)과 연결바(34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376)을 포함한다.
걸이(372)는 용접 등에 의해 봉(371)의 상단에 접합되고, 원형판(373)은 상면에 설치된 너트를 통해서 봉(371)과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 봉(37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부(37)는 좌판(10) 및 플레이트(36)의 시소운동시 탄성스프링(376)의 신장 또는 수축 동작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좌판(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의 전후 방향 시소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틸팅방지수단(40)을 더 포함한다.
틸팅방지수단(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의 관통공(344)에 결합되는 제 1바(41), 제 1바(4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제 1지지바(341)의 다른 관통공(344)에 결합되는 제 2바(42), 제 1바(41)와 제 2바(42)의 좌측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판(43), 제 1지지바(341)와 제 1바(41)의 걸림판(46) 사이에 설치되어 걸림판(4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44) 및 플레이트(36)의 하면에 설치되고 제 2바(42)의 일측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공(45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45)를 포함한다.
제 1바(41)의 중앙에는 복원스프링(44)과 접하도록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판(46)이 설치되고, 제 1바(41)의 우측 선단에는 복원스프링(44)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 1바(41)를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바(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잡이부재(47)가 결합된다.
고정부재(45)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지지바(341)의 내측에 제 1지지바(34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45)의 중앙부에는 제 2바(342)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 1지지바(341)의 관통공(3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4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틸팅방지수단(40)에서 사용자가 잡이부재(47)를 잡고 제 1바(41)를 좌측으로 밀면 연결판(43)을 통해 연결된 제 2바(342)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부재(45)의 삽입공(451)에 삽입된 제 2바(342)의 선단이 삽입공(451)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제 2바(342)와 고정부재(47) 사이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해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좌판의 고정부재와 지지바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좌판을 선택적으로 전후 방향 시소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의자의 다리부(20)에 내장된 실린더(21)에 연결하여 높이 조절부(31)의 실린더(311), 레버(312) 및 록킹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31) 상에 각도 조절부(32)의 경사 프레임(33), 수평 프레임(34) 및 플레이트(36)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수평 프레임(34)의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에 형성된 결합공(343)에 회전축(35)을 관통시켜 결합한 후 플레이트(36)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회전축(35)의 양단을 플레이트(36)의 지지부재(361)에 결합한다.
이어서, 플레이트(36)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시켜 탄성부(37)의 봉(371)을 결합하여 걸이(372)를 플레이트(36) 상에 위치시킨 후 플레이트(36)의 상부에 좌판(10)을 결합한다.
그리고 봉(371)의 하부로부터 제 1 및 제 2원통(374,375)과 탄성스프링(376)을 결합한 후 봉(371)의 하단부에 원형판(373)을 결합하여 탄성부(37)의 조립을 완료한다.
또 경사 프레임(33)의 굴곡부(331)에 스토퍼(332)의 나사부(333)를 나사 결합시킨 후 나사부(333)의 하단 및 상단에 각각 손잡이(334)와 완충부재(335)를 결합한다.
이어서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의 관통공(344)을 관통시켜 제 1바(41)를 결합하고, 제 1지지바(341)의 다른 관통공(344)을 관통시켜 제 2바(42)를 결합한 후 제 1바(41) 및 제 2바(42)의 좌측 선단에 연결판(43)을 결합하여 틸팅방지수단(4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각도 조절부(32) 및 틸팅방지수단(40)의 조립이 완료되면, 플레이트(36)의 후측 하면에 등받이(11)를 조립하여 의자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5는 좌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은 좌판에 앉은 사용자가 닐링 체어 자체를 취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틸팅방지수단을 조작하여 좌판의 시소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좌판(10)에 착석하면, 회전축(35)이 제 1 및 제 2지지바(341,342)의 중심보다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 및 플레이트(36)는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후방을 향해 약간 시소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37)의 탄성스프링(376)은 길이가 늘어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플레이트(36)의 전측부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탄성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을 이용하여 좌판의 후측 방향 시소운동시 좌판과 수평 프레임의 후측부가 서로 접촉하는 순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어서,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닐링 체어 자세를 취하기 위해 다리를 다리부의 회전용 다리에 올린 후 상체를 전방으로 숙이면, 플레이트(36) 및 좌판(10)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해 시소운동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37)의 탄성스프링(376)은 플레이트(36)의 시소운동에 의해 길이가 줄어들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플레이트(36)의 전측부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스토퍼(332)의 완충부재(335)는 플레이트(36)의 전단부와 접촉하여 플레이트(36)의 전방 틸팅각도를 제한한다. 이때, 완충부재(335)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플레이트(36)의 전단부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탄성부에 구비된 탄성스프링 및 완충부재를 이용하여 좌판과 수평 프레임의 전측부가 서로 접촉하는 순간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한다.
이와 같이, 닐링 체어 자세를 취하면서 사용자는 상방을 향해 척추를 곧게 펴고, 양손이나 팔꿈치를 책상에 살짝 얹어서 상체가 전방으로 쏠리지 않도록 중심을 잡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척추와 허벅지를 약 130°정도의 각도로 유지시켜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해서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무릎받침대 없이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여 닐링 체어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의자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닐링 체어 기능의 사용을 원치 않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틸팅방지수단(40)의 잡이부재(47)를 이용해 복원스프링(44)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 1바(41) 및 제 2바(42)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플레이트(36)의 하면에 설치된 고정부재(45)의 삽입공(451)에 제 2바(42)의 우측 선단이 위치하도록 플레이트(36)의 전후 방향 틸팅각도를 조절한 후 제 1바(41)를 좌측으로 밀기 위해 잡이부재(47)에 가하던 힘을 제거한다.
그러면, 복원스프링(44)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 2바(42)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2바(42)의 우측 선단이 삽입공(451)에 삽입 고정됨에 따라 플레이트(36)와 고정부재(45)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틸팅방지수단을 이용해 좌판의 전후 방향 시소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의자에 좌판을 시소운동시키도록 좌판 틸팅장치를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닐링 체어 자세로 의자에 착석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각도 조절부(32)가 길이 조절부(31)와 좌판(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길이 조절부(31)를 제거하고 다리부(20)와 좌판(10) 사이에 각도 조절부(32)를 설치하거나, 길이 조절부(31) 상부에 등받이(11)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틸팅각도 조절부를 설치한 후 상기 틸팅각도 조절부와 좌판(10) 사이에 각도 조절부(32)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의 측면도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플레이트(36)에 등받이(11)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2)를 각도 조절부(32)의 수평 프레임(34)에 연결시키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판(10)이 전방을 향해 시소운동하더라도, 등받이(12)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11)를 제거하거나, 팔걸이를 플레이트(36)나 수평 프레임(34)에 연결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10: 좌판 11: 등받이부
20: 다리부 30: 조절부
31: 높이 조절부 311: 실린더
312: 레버 32: 각도 조절부
33: 경사 프레임 331: 굴곡부
332: 스토퍼 333: 나사부
334: 손잡이 335: 완충부재
34: 수평 프레임 341,342: 제 1,제 2지지바
343: 결합공 344: 관통공
345: 연결바 35: 회전축
36: 플레이트 361: 지지부재
37: 탄성부 371: 봉
372: 걸이 373: 원형판
374: 제 1원통 375: 제 2원통
376: 탄성스프링 40: 틸팅방지수단
41,42: 제 1,제 2바 43: 연결판
44: 복원스프링 45: 고정부재
451: 삽입공 46: 걸림판
47: 잡이부재

Claims (11)

  1. 좌판과 다리부를 구비한 의자에 적용되는 좌판 틸팅장치에 있어서,
    좌판과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좌판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좌판의 시소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플레이트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틸팅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 프레임 및
    상기 경사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은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 1 및 제 2지지바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지지바에는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바에는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틸팅방지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제 1바,
    상기 제 1바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바의 다른 하나의 관통공에 결합되는 제 2바,
    상기 제 1바와 제 2바의 일측 선단을 연결하는 연결판 및
    상기 제 2바의 선단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중심보다 전방으로 치우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프레임은 하방을 항해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굴곡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전방 틸팅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굴곡부의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손잡이 및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나사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바 중에서 제 1 및 제 2지지바의 전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연결바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의 전후 방향 시소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단에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걸리는 걸이가 형성되고 하단에 원형판이 결합되는 봉,
    상하방이 개구되어 상기 연결바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원통,
    상방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원통에 내접하게 결합되고 상기 봉과 원형판의 승강 동작에 의해 승강 동작하는 제 2원통 및
    상기 제 1원통과 제 2원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판과 연결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에는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바와 나란하게 한 쌍의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원판 형상으로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바와 걸림판 사이에는 상기 걸림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7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좌판 틸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틸팅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20110078428A 2011-08-08 2011-08-08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14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8A KR101143619B1 (ko) 2011-08-08 2011-08-08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428A KR101143619B1 (ko) 2011-08-08 2011-08-08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619B1 true KR101143619B1 (ko) 2012-05-09

Family

ID=4627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428A KR101143619B1 (ko) 2011-08-08 2011-08-08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61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385B1 (ko) 2019-05-16 2019-10-31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좌판의 밀착형 틸팅구조
KR20200000188A (ko) * 2018-06-22 2020-01-02 권광희 복합운동이 가능한 테이블
KR102141782B1 (ko) * 2020-04-21 2020-08-05 김광일 전자 모듈용 폴더형 검사 장치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KR102275327B1 (ko) 2020-10-30 2021-07-09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55428B1 (ko) 2021-10-13 2022-02-08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61944B1 (ko) 2021-10-13 2022-02-14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슬라이딩 틸팅 및 리어 트위스트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64063B1 (ko) 2021-10-13 2022-02-18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461625B1 (ko) 2022-02-25 2022-11-03 유한회사 애니체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689A (en) * 1995-02-15 1998-01-06 Kim; Moung Sook Chair having separable back
US5810439A (en) * 1996-05-09 1998-09-22 Haworth, Inc. Forward-rearward tilt control for 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689A (en) * 1995-02-15 1998-01-06 Kim; Moung Sook Chair having separable back
US5810439A (en) * 1996-05-09 1998-09-22 Haworth, Inc. Forward-rearward tilt control for chai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88A (ko) * 2018-06-22 2020-01-02 권광희 복합운동이 가능한 테이블
KR102127727B1 (ko) 2018-06-22 2020-06-29 권광희 복합운동이 가능한 테이블
KR102038385B1 (ko) 2019-05-16 2019-10-31 유한회사 애니체 의자 좌판의 밀착형 틸팅구조
KR102141782B1 (ko) * 2020-04-21 2020-08-05 김광일 전자 모듈용 폴더형 검사 장치
KR102273422B1 (ko) 2020-10-30 2021-07-07 유한회사 애니체 탄성 틸팅구조의 좌판이 적용된 등받이 의자
KR102275327B1 (ko) 2020-10-30 2021-07-09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55428B1 (ko) 2021-10-13 2022-02-08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61944B1 (ko) 2021-10-13 2022-02-14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슬라이딩 틸팅 및 리어 트위스트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364063B1 (ko) 2021-10-13 2022-02-18 유한회사 애니체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2461625B1 (ko) 2022-02-25 2022-11-03 유한회사 애니체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20190044580A (ko) 의자 구조 및 의자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JPH0146127B2 (ko)
US9585485B2 (en) Seating device having a tilt mechanism
JP2013528101A (ja) 椅子
KR101095572B1 (ko) 의자용 좌판 회전장치
KR101232825B1 (ko) 의자
US6942295B1 (en) Reclining chair system
KR101135969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140142073A (ko) 허리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102355428B1 (ko)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CN212878495U (zh) 一种用于椅具的背座联动装置
KR101705046B1 (ko)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KR100760756B1 (ko) 의자의 틸팅장치
KR101514386B1 (ko)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636296B2 (ja) 姿勢保持具及び家具セット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JP5898794B1 (ja) 立ち座り補助器具及び椅子
JP2012143357A (ja) リクライニング式着座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