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963B1 - 의자 일체형 책상 - Google Patents

의자 일체형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963B1
KR101850963B1 KR1020170103189A KR20170103189A KR101850963B1 KR 101850963 B1 KR101850963 B1 KR 101850963B1 KR 1020170103189 A KR1020170103189 A KR 1020170103189A KR 20170103189 A KR20170103189 A KR 20170103189A KR 101850963 B1 KR101850963 B1 KR 10185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seat
footres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희
Original Assignee
유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희 filed Critical 유선희
Priority to KR102017010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963B1/ko
Priority to PCT/KR2018/009363 priority patent/WO20190356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2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 A47C16/025Footstools; Foot-rests; Leg-rests adjustable, swivelling, roc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부, 의자부, 및 상기 책상부와 의자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으로서, 상기 의자부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는 착좌, 기립 또는 스트레칭 자세로의 변경이 자유롭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책상부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책상다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상부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연장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의자부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의 하부프레임과 바닥에 수평인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시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등받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이들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등받이를 옮겨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의자 일체형 책상{DESK INTEGRATED WITH CHAIR}
본 발명은 의자 일체형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책상에서 착좌, 기립자세, 스트레칭 그리고 걷기운동으로 자세 변경이 가능한 의자 일체형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실 등에서 사용되는 책상과 의자는 종과 횡열의 줄을 맞추기가 번거롭고 또한 전체 사용공간이 커지게 될 뿐 아니라, 책상을 사용을 한 후에 책상 및 의자를 별도로 정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간 효율성과 함께 별도로 배열상태 점검이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한 의자 일체형 책상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 일체형 책상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메인프레임(10)의 선단에 책상용 테이블(14)이 고정설치되고, 선단보다 낮은 위치의 후단에는 좌석받이(12)가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등받이이고, 15는 좌석받이 및 등받이를 고정시키는 의자프레임으로서, 이러한 구성의 책상의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지만, 테이블(14)과 등받이(13)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제작된다면 신체조건이 다른 이용자들이 동일한 의자가 일체로 된 책상을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면, 신체조건이 큰 이용자 특히, 복부가 뚱뚱한 이용자가 이용할 경우에는 테이블(14)이 몸쪽으로 밀착된 위치에 있게 되고, 신체조건이 마른 이용자가 이용할 시에는 좌석받이(12) 및 등받이(13)를 테이블(14)측으로 이동시켜야 하지만 고정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강의실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책상과 의자는 사용자의 몸에 의자의 크기를 맞추기가 번거롭고, 특히 장시간 사용시 복부비만 및 하체 피로도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사용자 신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아울러, 도 1과 같은 책상의 경우 장시간 착석에 따른 자세 변경, 예를 들면 일어선 자세로 학습한다거나 업무를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착좌 또는 기립 자세로의 자유로운 변경과 스트레칭 및 걷기 운동 기능을 통해 복부 비만을 예방하고 하체 근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간 효율성도 높은 의자 일체형 책상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착좌, 기립자세, 스트레칭, 걷기운동으로 자세 변경이 가능한 의자 일체형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책상부, 의자부, 및 상기 책상부와 의자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부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트와 등받이는 착좌, 기립 또는 스트레칭 자세로의 변경이 자유롭도록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책상부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책상다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상부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연장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의자부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의 하부프레임과 바닥에 수평인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시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등받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이들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등받이를 옮겨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의자부는 책상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자받침에 의해 상기 바닥부 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자받침과 지지프레임은 의자부의 높이 조절과 소정의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신축 실린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지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의 하부가 바닥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각도의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의 대응 표면은 각각 다수의 나사 체결부를 갖추어 의자부 높이 조절에 따른 체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부는 책상다리의 양단 사이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발 받침대는 착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 발 받침대와 기립상태에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하부 발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발 받침대와 하부 발 받침대는 의자부를 향하여 각각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부는 사용자의 착좌 또는 기립 상태에서 걷기 운동 또는 다리 운동이 가능한 스탭퍼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탭퍼 장치는 2개의 발판과 이 발판들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가스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책상다리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바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스실린더는 하단이 바닥부의 앞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발판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특징들로부터 본 발명은 신체조건이 상이한 이용자들의 특징에 맞게 의자부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아울러 장시간 착석에 따른 자세 변경이 가능하도 록 착좌, 기립자세, 스트레칭 또는 걷기 운동으로 자세 변경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 일체형 책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상부 전방 사시도, 도 2b는 상부 후방 사시도, 도 2c는 하부 전방 사시도, 도2d는 하부 후방 사시도, 도 2e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일체형 책상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착석 사용시의 의자 상태도, 도 3b는 기립 사용시의 의자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한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다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책상 측면도, 도 5b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c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측방향 사시도, 도 6b는 제1 측면 상태도, 도 6c는 제2 측면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 사항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걸쳐 동일 유사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상부 전방 사시도, 도 2b는 상부 후방 사시도, 도 2c는 하부 전방 사시도, 도2d는 하부 후방 사시도, 도 2e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은 책상부(10), 의자부(20), 및 상기 책상부와 의자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바닥부(30)를 포함하고, 책상부(10)는 상판(11)과 이를 지지하는 책상다리(12)로 이루어져 상기 책상다리(12)의 하단이 바닥부(30)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의자부(20)는 시트(22)와 등받이(23),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상부(10)는 책상다리(12)의 높이 조절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책상다리(12)는 상판(11)에 연결된 상부(12b)가 바닥부(30)에 연결된 하부(12a)로부터 인출되어 연장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인출 후에는 일정한 높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 표면들에 서로 대응하는 나사공들(12c)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볼트 등(12d)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의자부(20)는 책상부(10)로부터 적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의자받침(25)에 의해 상기 바닥부(30) 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는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하는 의자받침(25)과 볼트공(31) 및 체결볼트(32)의 나사 체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의자받침(25)과 지지프레임(21)은 의자부(20)의 높이 조절 기능과 함께 소정의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신축 실린더(24)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의자부(20)의 시트(22)와 등받이(23)는 사용자 자세, 특히 사용자의 엉덩이 및 등의 각도에 따라 착좌, 기립 또는 스트레칭 자세로의 변경이 자유롭도록 지지프레임(21)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21)은 소정의 절곡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바닥으로부터 수직인 하부프레임(21a)과 바닥에 수평인 상부프레임(21b)으로 구성되고, 하부프레임(21a) 상에는 시트(22)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부프레임(21b) 상에는 등받이(23)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21a)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21d)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걸림홈들 중 어느 한 곳에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게 등받이(23)를 옮겨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것은 도 2a 내지 도 2e에서 등받이(23)의 측면상에 보여지는 걸림돌기(21e)의 상기 걸림홈(21d)에 대한 위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책상부(10)에서는 책상다리(12)의 양단 사이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13,14)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착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 발 받침대(14)와 기립상태에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하부 발 받침대(13)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부 발 받침대(14)와 하부 발 받침대(13)는 의자부(20)를 향하여 각각 일정한 기울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립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기 위한 하부 발 받침대(13)의 기울기가 착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 발 받침대(14)보다 가파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 일체형 책상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착석 사용시의 의자 상태도이고, 도 3b는 기립 사용시의 의자 상태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 상태에서는 지지프레임(21)의 하부프레임(21a)에 힌지된 시트(22)가 책상 상판(11) 거의 수평을 이루고 상부프레임(21b)에 힌지된 등받이가 책상 상판(11)과 거의 수직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은 상부 발 받침대(14)에 올려진 상태로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몸을 의자부(20)에 기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지지프레임(21)의 하부프레임(21a)에 힌지된 의자의 시트(22)는 사용자의 다리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은 하부 발 받침대(14)에 올려진 상태로 몸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한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이는 하나의 책상부(10)를 중심으로 그 대응하는 방향의 양쪽에 2개의 의자부(20)(2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책상에 두 사람이 마주앉아서 학습(study)하거나 교습(teaching)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 배치에서 책상부(10)는 바닥부(30')의 중앙에 고정되고, 각각의 의자부(20)(20')는 책상부(10)를 중심으로 바닥부(30')의 양쪽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배치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책상부(10)와 각 의자부(20)(2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다른 변형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책상 측면도, 도 5b는 부분 확대 평면도, 도 5c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책상부(10')는 사용자의 착좌 또는 기립 상태에서 걷기 운동 또는 다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스탭퍼 장치(stepper;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탭퍼 장치(40)는 2개의 발판(42a,42b)과 이 발판들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가스실린더(41)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발판(42a,42b)은 책상다리(12)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바(43) 상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또한 각각의 가스실린더(41)는 그 하단들이 바닥부의 앞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들이 발판의 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판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가스실린더가 수축할 경우와 가스실린더가 신장할 때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일체형 책상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측방향 사시도, 도 6b는 제1 측면 상태도, 도 6c는 제2 측면 상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의자 일체형 책상은 도 1과 마찬가지로 책상부(10), 의자부(20), 및 상기 책상부와 의자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바닥부(30)를 포함하고, 책상부(10)는 상판(11)과 이를 지지하는 책상다리(12)로 이루어져 상기 책상다리(12)의 하단이 바닥부(30) 상에 고정되어 있으며, 의자부(20)는 시트(22)와 등받이(23),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소정의 절곡된 형태의 지지프레임(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책상부(10)는 책상다리(12)의 높이 조절에 의해 상판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그에 대응하여 의자부(20)의 높이도 지지프레임(21)의 높이 조절을 통해 시트(22)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은 책상부(10)로부터 의자부(2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바닥부(30) 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인 하부프레임(21a)과 바닥에 수평인 상부프레임(21b)을 포함하고, 하부프레임(21a) 상에는 시트(22)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부프레임(21b) 상에는 등받이(23)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부프레임(21a)의 하부는 바닥부(30)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30)로부터 일정 각도의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형태를 갖출 수 있다. 따라서, 시트(22)의 결합점 아래로 연장된 하부프레임(21a)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나사공(21a1)이 형성되고 이들이 삽입되는 지지프레임 본체에도 그에 대응하는 다수의 나사공(21a2)이 형성되어 하부프레임(21a)의 하부를 인출한 후에는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의자부(20)의 일정한 높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며,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동일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물의 많은 변화, 수정 및 대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책상부
11 : 상판
12 : 책상다리
12a : 하부
12b : 상부
12c : 나사공
12d : 볼트
13 : 하부 발 받침대
14 : 상부 발 받침대
20 : 의자부
21 : 지지프레임
21a : 하부프레임
21a1,21a2 : 나사공
21b : 상부프레임
22 : 시트
23 : 등받이
24 : 신축 실린더
25 : 의자받침
30 : 바닥부
31 : 볼트공
32 : 체결볼트
40 : 스탭퍼 장치
41 : 가스실린더
42, 42a,42b : 발판

Claims (7)

  1. 책상부, 의자부, 및 상기 책상부와 의자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부는 시트와 등받이, 그리고 상기 시트 및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의 하부프레임과 바닥에 수평인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와 등받이가 사용자 자세에 따라 착좌, 기립 또는 스트레칭 상태로의 변경이 자유롭도록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상기 시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상기 등받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는 책상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자받침에 의해 상기 바닥부 상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의자받침과 지지프레임은 의자부의 높이 조절과 소정의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신축 실린더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는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책상다리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상부가 상기 바닥부에 연결된 책상다리의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연장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측면에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다수의 걸림홈들 중 어느 한 곳에 걸림돌기를 옮겨 상기 등받이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는 책상다리의 양단 사이에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발 받침대는 착좌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기 위한 상부 발 받침대와 기립상태에서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하부 발 받침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발 받침대와 하부 발 받침대는 의자부를 향하여 각각 상이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부는 사용자의 착좌 또는 기립 상태에서 걷기 운동 또는 다리 운동이 가능한 스탭퍼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탭퍼 장치는 2개의 발판과 이 발판들의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2개의 가스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책상다리의 양단을 연결하는 고정바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스실린더는 하단이 바닥부의 앞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발판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부프레임의 하부가 바닥부에 대하여 일정 각도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각도의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본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본체의 대응 표면은 각각 다수의 나사 체결부를 갖추어 의자부 높이 조절에 따른 체결 고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일체형 책상.
KR1020170103189A 2017-08-14 2017-08-14 의자 일체형 책상 KR10185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89A KR101850963B1 (ko) 2017-08-14 2017-08-14 의자 일체형 책상
PCT/KR2018/009363 WO2019035650A1 (ko) 2017-08-14 2018-08-14 의자 일체형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189A KR101850963B1 (ko) 2017-08-14 2017-08-14 의자 일체형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963B1 true KR101850963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189A KR101850963B1 (ko) 2017-08-14 2017-08-14 의자 일체형 책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0963B1 (ko)
WO (1) WO201903565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25B1 (ko) 2019-06-19 2019-11-08 (주)캠퍼스라인 이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의자
KR20190137570A (ko) 2018-06-02 2019-12-11 정재민 의자 부착식 받침대
KR102055574B1 (ko) 2019-06-19 2019-12-13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승하강 장치
KR102093712B1 (ko) 2019-12-03 2020-05-15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자동 승강 장치
KR20200054822A (ko) 2018-11-12 2020-05-20 백지엽 위치 조절가능 일체형 책상의자
WO2021156847A1 (en) * 2020-02-07 2021-08-12 Mekapotula Durga Reddy Automatic sit-stand chair and standing desk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06Y1 (ko) * 2001-02-23 2001-07-19 김강수 입좌식 의자
KR200314499Y1 (ko) *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N2756081Y (zh) * 2004-10-14 2006-02-08 张春安 双斜凳联体桌
KR101204172B1 (ko) * 2011-08-17 2012-11-22 남연옥 운동기구를 장치한 회전의자용 의자다리
CN204541306U (zh) * 2015-04-10 2015-08-12 赵辰宇 修身学习一体课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406Y1 (ko) * 2001-02-23 2001-07-19 김강수 입좌식 의자
KR200314499Y1 (ko) *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N2756081Y (zh) * 2004-10-14 2006-02-08 张春安 双斜凳联体桌
KR101204172B1 (ko) * 2011-08-17 2012-11-22 남연옥 운동기구를 장치한 회전의자용 의자다리
CN204541306U (zh) * 2015-04-10 2015-08-12 赵辰宇 修身学习一体课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570A (ko) 2018-06-02 2019-12-11 정재민 의자 부착식 받침대
KR20200054822A (ko) 2018-11-12 2020-05-20 백지엽 위치 조절가능 일체형 책상의자
KR102042425B1 (ko) 2019-06-19 2019-11-08 (주)캠퍼스라인 이동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의자
KR102055574B1 (ko) 2019-06-19 2019-12-13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승하강 장치
KR102055578B1 (ko) 2019-06-19 2019-12-13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자동 승강 장치
KR20200145630A (ko) 2019-06-19 2020-12-30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승하강 장치
KR20200145629A (ko) 2019-06-19 2020-12-30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자동 승강 장치
KR102093712B1 (ko) 2019-12-03 2020-05-15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자동 승강 장치
WO2021156847A1 (en) * 2020-02-07 2021-08-12 Mekapotula Durga Reddy Automatic sit-stand chair and standing des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650A1 (ko)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963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US9968195B2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6616238B1 (en) Ergonomic seating unit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FI81247B (fi) Stol.
KR20090013952A (ko) 자세교정의자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US20240164531A1 (en) Two-stage foot support device
WO2015108357A1 (ko) 요가 의자
KR20120066748A (ko) 의자용 발 받침대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US20220279931A1 (en) Intercourse facilitating adjustable bench furniture
JP2019025282A (ja) 立ち仕事用補助机
KR200489676Y1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N207532169U (zh) 人体工程坐姿椅
JP2020074874A (ja) 椅子
JP2010057853A (ja) オットマン
JP3126599U (ja) 正座椅子
JP2005095556A (ja) 膝受止板付事務用椅子
AU2022377327A1 (en) Plank stand
KR200283593Y1 (ko) 의자
KR20180082900A (ko) 자세 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