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952A - 자세교정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952A
KR20090013952A KR1020070078125A KR20070078125A KR20090013952A KR 20090013952 A KR20090013952 A KR 20090013952A KR 1020070078125 A KR1020070078125 A KR 1020070078125A KR 20070078125 A KR20070078125 A KR 20070078125A KR 20090013952 A KR20090013952 A KR 2009001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osed
posture correction
support bod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3027B1 (ko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피
Priority to KR102007007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0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는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좌판의 기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경사진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것과 아울러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세교정을 위한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된 사용자를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의자{Chair for correcting posture}
본 발명은 자세보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의자로 사용됨과 아울러 자세를 보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세보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평생을 살아가면서 적어도 20년 이상은 의자에 앉아서 생활을 하게 되고, 직종에 따라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일이나 공부를 해야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경우 앉는 자세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할 것이다.
특히 나쁜 자세로 의자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 쉽게 피로해질 뿐만 아니라 척추 및 근육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앉은 사람의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의자들이 생산되고 있고, 최근의 자세교정용 의자는 대부분 등받이를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함으로서 사용자의 등부분에 안정적으로 밀착됨과 아울러 밀착된 사용자의 척추를 상/하 방향으로 곧게 형성시키게 한다.
그러나 등받이 부분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에 몸을 기대 지지하지 않으면 자세의 교정효과가 발생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엉덩이를 좌판의 안쪽에 깊숙이 넣지 않고, 전단에 엉덩이가 위치된 상태에서 등받이 부분에 몸을 기대는 경우,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눕는 형태가 되어 자세교정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의자로 사용됨과 아울러 자세를 보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자세보정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판과, 상기 받침몸체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시키는 자세교정유닛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를 제공한다.
자세교정유닛은 상기 받침몸체에 고정된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게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모듈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되게 힌지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좌판에 고정되는 어퍼플 레이트와, 상기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각각 힌지연결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상대 회전시키는 앵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슬라이드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다른 한쪽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모듈은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직선이동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고정된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앵글암과 힌지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글암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각도조절된 상기 좌판은 상기 픽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5° 내지 45°의 기울기를 형성시키게 배치되고, 상기 자세교정유닛은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몸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받침몸체에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는 암과, 상기 암에 배치된 무릎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릎쿠션은 상기 암에 대하여 상대회전되게 배치되고, 상기 받침몸체 는 중심축을 형성시키는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레그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몸체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의 레그부와, 상기 각 레그부의 단측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2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레그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좌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좌판에 수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는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좌판의 기울기가 조절되기 때문에, 경사진 좌판에 앉은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좌판을 수평하게 유지시켜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교정유닛의 동력모듈인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기 좌판이 자동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작동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세교정을 위한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된 사용자를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릅받이가 받침몸체 또는 좌판에 접혀져 수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때 사용자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일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자세교정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세교정유닛의 개략적인 연결상태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8은 상기 자세교정유닛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100)는 좌판(10)과, 상기 좌판(1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20)와,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10)을 지지하는 받침몸체(30)와, 상기 받침몸체(30)와 상기 좌판(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10)의 기울기를 조절시키는 자세교정유닛(50)과, 상기 받침몸체(30)에 배치되는 무릎받이(40)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10)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쿠션이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은 상기 쿠션(12)과, 상기 쿠션(12)의 하측에 배치되는 좌판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20)는 상기 좌판(10)과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판(1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특히 상기 좌판플레이트(15)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플레이트(15)에는 상기 등받이(20)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등받이 완 충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몸체(30)는 바퀴(32)가 배치되는 레그부(34)와, 상기 레그부(34)와 상기 좌판(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35)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기 레그부(34)와 상기 좌판(10)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 기구가 사용되고,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은 상기 레그부(34)의 축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10)에서 가해진 외력을 상기 레그부(34)의 각 부분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 레그부(34)는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이 배치된 축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레그(34b)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그부(34)는 중심축(C)에 대하여 120°간격으로 배치된 레그암(34a)과, 상기 각 레그암(34a)에 대하여 소정각도의 사이각을 형성하며 방사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퀴(32)가 배치되는 레그(34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레그암(34a)의 사이각은 120°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상기 바퀴(32)는 60°간격으로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각 레그암(34a)에 배치된 각 바퀴(32)의 사이 각은 120°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레그암(34a)은 상기 높이조절유닛(35)에 대하여 3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 레그암(34a)에 대하여 2개의 레그(34b)는 서로 120°의 사이 각을 형성하게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릎받이(40)는 상기 레그부(34)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무릎받이(40)는 상기 레그암(34a)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암(34a)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제 1 암(42)과,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된 제 2 암(44)과, 상기 제 2 암(4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다 배치된 무릎쿠션(4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암(42)은 상기 제 1 힌지(42a)를 통해 상기 레그부(34)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하다 배치되고, 상기 제 1 암(42)의 외측단에 배치된 상기 제 2 암(44)은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하다 배치되며, 상기 무릎쿠션(46)은 상기 제 2 암(44)의 외측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암(44)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다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암(42)은 폴딩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그부(34) 측으로 회전되어 접혀지고, 언폴딩되었을 때에는 상기 레그부(34)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펼쳐진다. 특히 상기 제 1 암(42)은 펼쳐졌을 때, 상기 레그부(34)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제 1 암(42)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 암(44)이 펼쳐졌을 때에도 상기 제 1, 2 암(42)(44)이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암(44)이 상기 제 1 암(42)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상 상대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더불어 상기 무릎쿠션(46)도 상기 제 2 암(44)과 상호 간섭되게 형성되어, 소정각도 이상 상대 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그래서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언폴딩된 제 1, 2 암(42)(44) 및 무릎쿠션(46)은 상기 상호간섭들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무릎쿠션(46)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중심축(C) 측으로 접혀져 수납된다.
그리고 무릎받이(40)는 상기 사용자의 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레그암(34a)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레그암(34a)은 상기 중심축(C)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바, 상기 제 1, 2 암(42)(44) 역시 상기 레그암(34a)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무릎쿠션(46)은 상기 레그암(34a)에서 연장된 레그(34b) 사이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무릎쿠션(46)에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레그암(34a)과 상기 무릎받이(40)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축 선상에 배치되는 바, 상기 각 레그(34b)에 배치된 바퀴(32)에 동일하게 하중을 분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무릎받이(40)가 상기 레그암(34a)과 교차되어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무릎받이(4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과 상기 무릎받이(40)를 지지하는 레그암(34a)의 힘의 지지방향이 상이하여 모멘트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자세교정 의자(100)의 안정성이 저해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은 착석 시 상기 레그암(34a)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이 상기 받침몸체(30)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자세교정유닛(50)은 상기 좌판(1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자세교정유닛(50)은 상기 받침몸체(30)에 고정된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좌판(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몸체(30)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게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54)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무빙플레이트(5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모듈과,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하다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좌판(10)에 고정되는 어퍼플레이트(55)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상대 회전하다 앵글암(58)을 포함한다.
상기 픽스플레이트(52)는 상기 높이조절유닛(35)의 상단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동력모듈은 본 실시예에서 유압실린더(56)가 사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상측면에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일단이 고정되는 브래킷(52a)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피스톤(56a)이 상기 브래킷(52a)에 고정되고, 실린더(56b)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힘을 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관통하게 배치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55)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58b)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앵글암(58)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연결된 타 단(58b)을 중심으로 상기 일단(58a)이 소정각도 각회전 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플레이트(55)에 힌지 연결된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좌판(10)의 무게중심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단(58b)은 상기 좌판(10)의 후방 측, 즉 사용자의 무게중심 뒷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자세조정유닛(50)의 작동과정에서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앉았을 때,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일단(58a)에 집중되게 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하면에 형성된 브래킷(미도시)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과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힌지(55a) 연결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의 상대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홀(54a)과, 상기 앵글암(58)이 관통되게 배치되는 앵글홀(54b)과, 상기 유압실린더(56)가 고정되는 브래킷(미도시)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의 상대 이동을 위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픽스플레이트(52)를 감싸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드홀(54a)은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앵글홀(54b)은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대하여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측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홀(54a)을 관통하게 슬라이드바(6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바(60)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고정되어 상기 슬 라이드홀(54a)을 관통하게 배치되었지만, 이와 달리,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슬라이드바(60)가 고정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슬라이드바(60)가 삽입되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좌판(10)의 좌판플레이트(15)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무빙플레이트(5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픽스바(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픽스바는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끼움 결합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배치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에 끼움 결합됨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픽스바는 상기 유압실린더(56)의 동력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상대 이동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서, 상기 앵글암(58)이 회전되는 것을 제한시킨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의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될 경우, 좌판(10)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바, 상기 어퍼플레이트(55), 상기 무빙플레이트(54)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52)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연결시키는 앵글암(58)은 최대한 수평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될 때에는 상기 픽스바가 상기 유압실 린더(56)의 힘보다 크게 작용되어 상기 픽스플레이트(52)와 상기 어퍼플레이트(55)를 결속시킨다.
한편, 상기 좌판(10)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사용자의 전방 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즉, 상기 앵글암(58)이 수평과 유사한 각도로 눕혀지게 되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이 소정각도 전방 측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무빙플레이트(54)도 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무릎받이(40)는 일반의자로 사용될 때 상기 중심축(C) 측으로 접혀져 사용자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자세교정을 위한 작동과정을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사용자가 상기 픽스바를 해제시켜, 상기 무빙플레이트(54)와 상기 픽스플레이트(52)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56)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실린더(56)는 상기 픽스바를 해제시켰을 때, 상기 피스톤(56a)을 인입시키면서 상기 길이를 축소시키고,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무빙플레이트(54)는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무빙플레이트(54)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힌지 연결된 상기 어퍼플레이트(55)의 전방측 부분도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20) 측으로 당겨지는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앵글암(58)에 후방측 단이 구속된 상태로 상대 이동되는 바, 상기 어퍼플레이트(55)의 전방측단이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상대이동을 통해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은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상대 회전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앵글암(58)의 일단(58a)에 의해 상승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어퍼플레이트(55)는 상기 무빙플레이트(54)에 힌지 연결된 부분은 같은 높이를 유지하게 되지만, 후방 부분은 상승되는 바, 좌판(10)의 뒷부분을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좌판(10)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 상기 좌판(10)에 앉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상기 중심축(C)부분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접혀져 있던 상기 무릎받이(40)의 제 1, 2 암(42)(44)을 전개시킴과 아울러 상기 무릎쿠션(46)을 회전시키면, 상기 무릎쿠션(46)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측을 향하게 되고, 사용자는 무릎을 상기 무릎쿠션(46)에 지지함으로서 전방으로 이동된 사용자의 무게중심을 지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0)이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릎받이(40)에 무릎을 지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척추를 비롯한 몸은 경사진 좌판(10)에서 넘어지지 않기 위해 곧게 세워짐으로서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은 상기 픽스플레이트(52)를 기준으로 5° 내지 45°의 기울기 를 형성시키는 것이 자세교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14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제 1, 2 암(142)(144) 및 무릎쿠션(146)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무릎받이(14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좌판(10)에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개되어 상기 좌판(10)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10)에는 상기 제 1, 2 암(142)(1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암(142)은 상기 수납홈을 슬라이드 이동되게 배치되고, 상기 좌판(10) 내부의 수납홈에서 걸림이 발생되게 하여, 소정 거리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암(144)은 상기 제 1 암(1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무릎이 지지될 때,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소정 각도영역에서 상기 제 1 암(142)과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힌지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암(144)도 상기 수납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2 암(144)이 수납될 때, 상기 제 2 암(144)은 상기 제 1 암(142)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수납홈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삽입된다.
상기 무릎쿠션(146)은 상기 제 2 암(144)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 2 암(144)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하다 배치되고, 상기 제 2 암(144)에서 소정각도 영역 내에서만 회전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각도를 형성시킨다. 그래서 상기 무릎쿠션(146)은 상기 제 2 암(144)과 소정각도 영역 이상에서는 상호 걸림을 형성시키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10) 측으로 수납될 때, 상기 무릎쿠션(146)도 상기 제 1, 2암(142)(144)과 나란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10) 측으로 이동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 의자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세교정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일반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세교정 의자의 자세교정 사용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그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자세교정유닛의 개략적인 연결상태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8은 상기 자세교정유닛의 작동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무릎받이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좌판 15 : 좌판플레이트
20 : 등받이 30 : 받침몸체
32 : 바퀴 34 : 레그부
35 : 높이조절부 40 : 무릎받이
42 : 제 1 암 44 : 제 2 암
46 : 무릎쿠션 50 : 자세교정유닛
52 : 픽스플레이트 54 : 무빙플레이트
55 : 어퍼플레이트 56 : 유압실린더
58 : 앵글암 60 : 슬라이드바

Claims (16)

  1. 받침몸체와,
    상기 받침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좌판과,
    상기 받침몸체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시키는 자세교정유닛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자세교정유닛은
    상기 받침몸체에 고정된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좌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 운동되게 배치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동력모듈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 회전하다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좌판에 고정되는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각각 힌지 연결되어 상기 어퍼플레이트를 상대 회전하다 앵글암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슬라이드바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상기 무빙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다른 한쪽과 상호 간섭을 발생시킴으로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자세교정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모듈은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 중 어느 한쪽에 고정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직선 이동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다른 한쪽에 고정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암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에서 상기 앵글암과 힌지 연결된 부분은 상기 받침몸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유닛에 의해 각도 조절된 상기 좌판은 상기 픽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5° 내지 45°의 기울기를 형성시키게 배치된 자세교정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교정유닛은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시키는 자세교정의자.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된 자세교 정의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받침몸체에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받침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는 암과, 상기 암에 배치된 무릎쿠션을 포함하는 자세교정의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쿠션은 상기 암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다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는 중심축을 형성시키는 높이조절유닛과,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릅받이는 상기 레그부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3개의 레그부와, 상기 각 레그부의 단측에서 분기되어 형성된 2개의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레그의 사이에 배치되는 자세교정의자.
  15.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이가 더 배치된 자세교정의자.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받이는 상기 좌판에 수납되게 배치된 자세교정의자.
KR1020070078125A 2007-08-03 2007-08-03 자세교정의자 KR10103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ko) 2007-08-03 2007-08-03 자세교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ko) 2007-08-03 2007-08-03 자세교정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952A true KR20090013952A (ko) 2009-02-06
KR101033027B1 KR101033027B1 (ko) 2011-05-09

Family

ID=4068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125A KR101033027B1 (ko) 2007-08-03 2007-08-03 자세교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0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38Y1 (ko) * 2010-10-20 2013-03-25 정상욱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WO2014137204A1 (ko) * 2013-03-08 2014-09-12 Jung Daehoon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447650B1 (ko) * 2013-04-24 2014-10-13 정대훈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FR3069765A1 (fr) * 2017-08-03 2019-02-08 Eddy Vercampt Siege ergonomique reglable
KR102273575B1 (ko) 2020-03-19 2021-07-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용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675B1 (ko) 2012-11-01 2013-07-03 정대훈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514386B1 (ko) 2013-01-04 2015-04-22 정대훈 허리운동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999544B1 (ko) 2017-08-03 2019-07-12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교정의자
KR20190024417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컴포트 기립 보조 의자
KR102050584B1 (ko) * 2017-10-26 2019-12-02 오승윤 의자
KR20190081416A (ko) 2017-12-29 2019-07-09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유도용 의자
KR102168555B1 (ko) 2018-03-14 2020-10-21 (주)에프에스알엔티 공압을 이용한 자세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2778B1 (ko) 2018-12-19 2021-03-04 (주)에프에스알엔티 수압을 이용한 자세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32400B1 (ko) 2021-05-11 2023-05-12 조형진 자세 교정용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265Y1 (ko) * 2000-06-14 2000-12-15 이길남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430972B1 (ko) * 2001-11-28 2004-05-12 김선집 포괄고정 미생물이 충전된 질산화 및 탈질 분리공정을 이용한 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및 침출수 등의 처리용 생물학적 처리시스템
KR20040001895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텅스텐/폴리실리콘 게이트 전극 제조 방법
KR200298253Y1 (ko) * 2002-09-18 2002-12-16 노주석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KR200401895Y1 (ko) * 2005-09-02 2005-11-22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딜러용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38Y1 (ko) * 2010-10-20 2013-03-25 정상욱 앉은 자세에 따라 형상 변경이 가능한 의자
WO2014137204A1 (ko) * 2013-03-08 2014-09-12 Jung Daehoon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KR101447650B1 (ko) * 2013-04-24 2014-10-13 정대훈 의자 좌판에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FR3069765A1 (fr) * 2017-08-03 2019-02-08 Eddy Vercampt Siege ergonomique reglable
KR102273575B1 (ko) 2020-03-19 2021-07-0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세 교정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027B1 (ko) 2011-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027B1 (ko) 자세교정의자
US6752459B2 (en) Adjustable chair
US6923503B2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US5971485A (en) Adjustable, folding chair for massage
JP5116039B2 (ja) 着座式パーソナルレストサポート器具
US8317267B2 (en) Ergonomic saddle chair
JP2009520543A5 (ko)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CA2383399A1 (en) Torso and forearm supporting device for chairs, workstands and the like
KR101850963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JP7411628B2 (ja) 押し上げ機構と椅子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20170020190A (ko) 발판 유닛을 지닌 레저용 의자
KR101213877B1 (ko) 의자용 발 받침대
JP2019024626A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101058333B1 (ko) 접이식 의자
KR101069192B1 (ko) 가슴받이와 팔받이 및 발받침으로 사용가능한 상하 회동형 신체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US20100263125A1 (en) Embedded headrest assembly for a massage table
US10123624B2 (en) Chair with variable positioning and support
JP2019025282A (ja) 立ち仕事用補助机
CN213664236U (zh) 一种可方便调节安装的新型课桌椅
CN110558760B (zh) 座椅组成结构
RU2683972C1 (ru) Механизм поднятия подставки для ног в раскладном кресле
NO342753B1 (en) Motorized adjustable back support for recl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