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53Y1 -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53Y1
KR200298253Y1 KR2020020028115U KR20020028115U KR200298253Y1 KR 200298253 Y1 KR200298253 Y1 KR 200298253Y1 KR 2020020028115 U KR2020020028115 U KR 2020020028115U KR 20020028115 U KR20020028115 U KR 20020028115U KR 200298253 Y1 KR200298253 Y1 KR 200298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ixed
knee support
kne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2020020028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53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하중을 좌골과 무릎으로 분산시켜 체위를 교정하는 동시에 허리의 피로를 덜어줘 정신집중을 강화할 수 있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착석한 사용자의 몸이 기울어지도록 시트 하부와 의자다리의 상단 사이에 시트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장치를 설치하고, 의자다리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사각도와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및 무릎받침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어 척추교정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는 무릎지지장치를 시트 내측으로 접어 일반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Chair for the spine reform}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하중을 좌골과 무릎으로 분산시켜 체위를 교정하는 동시에 허리의 피로를 덜어주어 정신집중을 강화할 수 있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이나 수험생, 회사원의 경우 하루의 대부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의자는 하중이 사용자의 좌골에 거의 전달되도록 설계되어 하중의 집중으로 사용자는 좌골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머리를 앞쪽으로 과도하게 숙여 목과 등의 근육에 쉽게 피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체의 하중을 좌골 이외의 부위에서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하중이 어깨와 등 및 경추근육에 직접 전달되어 요추부의 하중을 더욱 증대시켜 척추의 무리를 가중하는 문제도 있었으며, 착석시 하중에 의하여 척추와 요추에 무리가 발생되어 척추와 요추가 변형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현대인의 80%가 요통을 경험하고 있으며, 청소년의 40%가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어 신체의 성장발달이 저해되는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그래서, 척추의 변형을 방지하고 변형된 척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척추교정 의자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제 2000-16919호(명칭: 척추교정용 의자) 및 제2001-16464호(바른자세유지용 의자), 제 2001-18497호(자세교정용 의자)는 이러한 척추교정 의자에 관한것으로서, 도시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3에 잘 나타나 있다.
먼저, 도시된 도면에 의거하여 도 1을 설명하면,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사용자의 몸을 안착하는 착석부(1)와, 착석부(1)의 하부에 설치된 X형의 의자다리(2)와, 의자다리(2)의 전방에 경사지게 설치된 쿠션을 구비한 무릎지지부(3) 및, 의자다리(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턴버클(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부(1)에 착석한 후, 다리를 굽혀 무릎지지부(3)에 무릎을 올려놓은 다음 의자다리(2) 사이에 설치된 턴버클(4)을 조작하여 의자다리(2)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여 착석부(1)와 무릎지지부(3)의 경사를 동시에 조절한다.
따라서, 경사진 착석부(1)와 무릎지지부(3)에 의하여 상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허리와 요추, 좌골 등에 하중이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척추교정 의자는 착석부(1)와 무릎지지부(3)의 경사가 동시에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척추상태에 따라서 착석부(1)와 무릎지지부(3)의 경사를 별개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 도 2를 설명하면,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사용자의 몸을 안착하는 경사진 착석부(1a)와, 착석부(1a)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의자다리(2a)와, 의자다리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무릎지지부(3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의 하부에 설치되어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기(5, 5')와, 의자다리(2a) 및 무릎지지부(3a)의 하부에 설치되어 의자다리(2a)와 무릎지지부(3a)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기(6, 6')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높이조절기(6, 6')를 조작하여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한 다음 착석부(1a)에 착석한 후, 다리를 구부려 무릎지지대(3a)에 무릎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경사조절기(5, 5')를 조작하여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경사진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에 의하여 상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무릎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허리와 요추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착석부(1a)와 무릎지지부(3a)가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각도조절이 실제로 불가능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무릎지지부(3a)가 항상 'ㄱ'자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일반적인 의자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계속해서, 도 3을 설명하면,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고정설치된 착석부(1b)와, 착석부(1b)의 하부에 설치된 의자다리(2b)와, 의자다리(2b)의 전면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수평가이드(7)와, 수평가이드(7)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평가이드(7)를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레크가 형성된 경사가이드(8) 및, 경사가이드(8)의 상단에 설치되는 무릎지지부(3b)로 이루어지며, 의자다리(2b)의 상단에는 의자다리(2b)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레버(9)가 설치된다.
한편, 경사가이드(8)의 상단에는 무릎지지부(3b)를 경사가이드(8)에 고정시키는 경사이동레버(8a)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경사가이드(8)를 수평가이드(7)에 고정시키는 수평이동레버(8a)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수평이동레버(7a)와 경사이동레버(8a)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무릎지지부(3b)의 간격과 경사를 조절한 후 착석부(1b)에 착석한다.
그리고, 다리를 구부려 무릎지지부(3b)에 무릎을 지지한 다음 높이조절레버(9)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착석부(1b)의 높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경사진 착석부(1b)와 무릎지지부(3b)에 의하여 상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무릎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 허리와 요추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는 착석부(3b)가 정해진 각도로 고정설치되므로 사용자에 따른 체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하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척추를 원하는 자세로 교정하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가 까다롭고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986-5422호(명칭: 의자) 및 제 1997-27653호(명칭: 척추교정용 보조좌대), 제 1991-16407호(명칭: 체위 교정용 의자), 제 2000-4852호(자세 교정용 의자)도 척추교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미도시된 척추교정 의자 역시 도시된 척추교정 의자와 동일하게 착석부와, 의자다리 및 무릎지지부로 구성되며,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착석부와 무릎지지부로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척추교정 의자 역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척추교정 의자와 동일하게 착석부와 무릎지지부가 경사지게 고정설치되거나, 착석부와 무릎지지부의 경사를 별개로 조절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사용자의 척추교정이 사실상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착석부와 무릎지지부가 경사 고정되거나 돌출형성된 구조로 설계되어외관상 보기가 좋지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없어 휴식을 원할 경우 사용자는 반듯이 의자에서 이탈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수험생의 경우 이렇게 착석부와 무릎지지부가 경사 고정된 의자에 장시간 착석할 경우 집중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세가 변형되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체를 안착하는 시트와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받침대의 경사각도를 각각 별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릎받침대가 의자다리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무릎받침대를 접어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척추교정시에는 시트와 무릎받침대를 경사지게 하여 척추교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의자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의자의 자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와 무릎받침대의 경사각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척추교정 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경사조절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경사조절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의 A-A'선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의 선단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무릎받침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4: 시트 30: 경사조절장치
32: 회동판 34: 고정판
40: 조작레버 50: 지지플레이트
52: 슬롯 70: 무릎지지장치
72: 고정아암 75: 신장아암
76: 무릎받침대 80: 각도조절부
83: 렛칫 84: 원형플레이트
88: 브래킷 89: 렛칫포크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는, 시트와, 시트를 지지하는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부와 의자다리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몸이 기울어지도록 시트의 경사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경사조절장치;
상기 의자다리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사각도와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은 사용자의 몸을 안착하는 시트(24)와, 시트(24)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의자다리(60)와, 시트(24)의 하부와 의자다리(6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경사조절장치(30) 및, 의자다리(60)의 하단에 설치된 무릎지지장치(70)로 대별 된다.
여기서, 시트(24)와 의자다리(60)는 일반적인 의자의 시트(24)와 의자다리(60)를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시트(24)의 경우 곡선진 등받이(22)가 시트(24)와 일체로 구비된 하이팩의자시트(20)로 할 수 있으며, 의자다리(60)의 경우 로드(62a)와 실린더(62b)로 구성되어 시트(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장치(62)가 설치된 의자다리(60)로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이러한 일반적인 의자에 시트(24)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장치(30)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사각도와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장치(70)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경사조절장치(30)는 시트(24)의 하부면에 상단이 밀착 고정되고, 하부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체꼴 형상의 회동판(32)과, 회동판(32)의 상단 일측과힌지(36)결합되고, 회동판(32)과 반대로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고정판(34)으로 구성된다.
이때, 회동판(32)의 라운드진 하부면에는 등간격으로 단속가공된 복수개의 절개홈(32a)이 관통 형성되고, 고정판(34)의 하부면 일측에는 노치(34a)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34)의 하부면에는 고정판(34)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고정판(34)의 노치(34a)와 대응되는 슬롯(52)이 상부면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50)와, 회동판(32)의 절개홈(32a)과 고정판(34)의 노치(34a)에 관통 설치되는 스틱형상의 조작레버(40)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50)의 상부면에 형성된 슬롯(52)은 일측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측벽(54)을 구비하며, 이 측벽(54)에는 절개홈(32a)과 노치(34a)에 관통설치된 조작레버(40)의 단부측 일부분이 놓여지게 된다.
한편, 조작레버(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지그재그로 벤딩가공하여 단부에 그립(42)을 설치할 수 있고, 그립(42)과 인접한 하부면에 인장스프링(44)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인장스프링(44)은 지지플레이트(50)의 일측면에 돌출된 지지판(56)을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무릎지지장치(70)는 의자다리(60)에 후단이 고정되고,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후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상·하로 회전되는 고정아암(72)과, 고정아암(72)의 중공에 일측이 삽입되어 텔레스코픽 작용을 하는 신장아암(75) 및 신장아암(75)의 선단에 요크죠인트되는 쿠션을 구비한 무릎받침대(76)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전술된 경사조절장치(30)의 작동에 대하여 6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경사조절장치를 확대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경사조절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장치(30)는 사용자가 시트(24)에 앉은 후 조작레버(40)의 그립(42)을 잡고 위로 당기면 조작레버(40)는 지지플레이트(50)의 측벽(54)을 기점으로 슬롯(52)의 내부에서 시소오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그립(42)과 인접한 측의 조작레버(40)는 상승하게 되고, 반대 측은 슬롯(52) 내부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때, 경사조절장치(30)의 회동판(32)은 시트(24)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힌지(36)을 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복수개의 절개홈(32a) 역시 회전하게 되며, 시트(24)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를 이루게 되면 사용자는 당김 상태의 조작레버(40)를 조작하여조작레버(40)가 회동판(32)의 절개홈(32a)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절개홈(32a)이 조작레버(40)에 걸려 회동판(32)은 회동을 멈추게 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착석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회동판(32)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홈(32a)의 순서를 바꿔가며 절개홈(32a)에 조작레버(40)를 삽입하여 시트(24)의 경사각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시소오 운동하는 조작레버(40)는 하부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4)의 신장과 수축에 의하여 원위치인 수평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번엔, 전술된 무릎지지장치(70)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좀더자세히 설명하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면, 무릎지지장치(70)의 고정아암(72)은 후단에 고정아암(72)을 의자다리(60)에 고정시키면서, 고정아암(72)을 상·하로 회동시키는 각도조절부(80)가 설치되며, 고정아암(72)의 일측면에는 고정아암(72)의 내부에서 텔레스코픽 작용을 하는 신장아암(75)을 고정시키는 조작버튼(72a)이 관통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버튼(72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외주면에 제1플랜지(72d)와 제2플랜지(72e)가 서로 이격 형성된 돌출핀(72c)을 갖는 손잡이(72b)와, 제1플랜지(72d)와 제2플랜지(72e) 사이에 노출된 돌출핀(72c)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72f)로 이루어 진다.
이때, 제1플랜지(72d)는 손잡이(72b)와 근접한 거리에 형성되고, 제2플랜지(72e)는 손잡이(72b)와 좀더 멀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핀(72c)의 단부와 제2플랜지(72e) 및 압축코일스프링(72f)은 고정아암(72)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72')을 관통하여 고정아암(72)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플랜지(72d)는 고정아암(72)의 외측에 위치한다.
물론, 고정아암(72)의 내측에 압축코일스프링(72f)이 위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돌출핀(72c)을 고정아암(72)에 관통시켜야 하며, 관통과 동시에 압축코일스프링(72f)을 고정아암(72)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돌출핀(72c)의 외주면에 끼워야 한다.
그리고, 제2플랜지(72e) 역시 고정아암(72)의 내측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C'자형 와셔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돌출핀(72c)이 고정아암(72)의 내측에 먼저 관통설치된 후 돌출핀(72c)의 외주면에 끼워져야 한다.
한편, 신장아암(75)의 일측면에는 고정아암(75)을 관통한 조작버튼(72a)의 돌출핀(72c)이 삽입되도록 고정아암(72)의 관통구멍(72')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관통홀(75a)을 등간격 형성하여 조작버튼(72a)에 의하여 신장아암(75)이 고정아암(72)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복수개의 관통홀(75a)과 조작버튼(72a)에 의하여 신장아암(75)은 고정아암(72) 내부에서 단계적으로 텔레스코픽 작용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달리 조작버튼(72a)의 돌출핀(72c)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고정아암(72)의 관통구멍(72')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작용에 의하여 돌출핀(72c)이 신장아암(75)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신장아암(75)의 일측면에 관통홀(75c)를 형성하지 않는다.
물론, 조작버튼(72a)에도 제1플랜지(72d)와 제2플랜지(72e) 및 압축코일스프링(72f)을 형성하거나 설치하지 않는다.
한편, 전술된 조작버튼(72a)의 경우 신장아암(75)의 텔레스코픽 작용을 원할 경우, 조작버튼(72a)의 손잡이(72b)를 당겨야 하며, 이로 인하여 돌출핀(72c)은 신장아암(75)의 관통홀(75a)에서 이탈되면서 제2플랜지(72e)를 후진시켜 압축코일스프링(72f)을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신장아암(75)이 위치하면 사용자는 당겼던 손잡이(72b)를 놓아 압축된 압축코일스프링(72f)의 탄성력으로 돌출핀(72c)이 신장아암(75)의 관통홀(75a)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돌출핀(72c)에 의하여 신장아암(75)은 다시 고정아암(75)의 내부에 고정되며, 이로서 텔레스코픽 작용은 종료한다.
여기서, 이러한 고정아암(72)에 설치된 각도조절부(80)를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각도조절부(80)는 의자다리(60)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브래킷(88)과, 한쌍의 브래킷(88) 사이로 삽입설치되고 고정아암(72)의 후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미늘톱니(83a)를 갖는 원판형의 렛칫(83)과, 렛칫(83)과 브래킷(88) 사이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원형플레이트(84)로 이루어 진다.
즉, 한쌍의 브래킷(88) 사이에는 렛칫(83)과 원형플레이트(84)가 순차적으로 수직 설치된다.
이때, 원형플레이트(84)는 상부와 하부에 돌출된 스토퍼(84b, 84b')가 형성되고, 하부스토퍼(84b')에는 고정홈(84a)이 인접하여 형성되며, 렛칫(83)과 원형플레이트(84)는 브래킷(88)의 측면을 관통하는 회전축(88a)에 의하여 브래킷(88)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된다.
물론, 원형플레이트(84)에 형성된 고정홈(84a)은 하부스토퍼(84b')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측면에 설치된 렛칫(83)의 미늘톱니(83a)가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브래킷(88) 내부에는 렛칫(83)의 미늘톱니(83a)와 마주보도록 렛칫포크(89)가 고정핀(88b)에 의하여 설치되며, 렛칫포크(8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렛칫(83)의 미늘톱니(83a)와 원형플레이트(84)의 고정홈(84a)에 교합된다.
이때, 렛칫포크(89)의 일측에는 렛칫포크(89)가 렛칫(83)의 미늘톱니(83a)와 원형플레이트(84)의 고정홈(84a)으로 부터 이탈될 경우, 렛칫포크(89)를 다시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토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89a)가 설치되며, 탄성부재(89a)는 렛칫포크(89)가 설치된 고정핀(88b)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물론, 탄성부재(89a)의 일측 단부는 렛칫포크(89)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의자다리(60)에 고정되어, 렛칫포크(89)가 회전되면 토션이 발생하여 렛칫포크(89)를 리턴시킨다.
이러한 각도조절부(80)는 고정아암(72)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경우, 도 11과 같이 렛칫(83)의 최 하단에 형성된 미늘톱니(83a)의 피치사이 및, 원형플레이트(84)의 고정홈(84a)에 렛칫포크(89)가 걸려있게 된다.
하지만, 고정아암(72)을 경사지게 할 경우 렛칫(83)의 회전에 의하여 렛칫포크(89)는 다른 미늘톱니(83a)의 피치사이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도 렛칫포크(89)는 원형플레이트(84)의 고정홈(84a)에 걸려있게 되며, 고정아암(72)은 복수개의 미늘톱니(83a)에 의하여 다단계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아암(72)이 완전히 수직상태로 접힐 경우 렛칫포크(89)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에 형성된 미늘톱니(83a)의 피치사이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정아암(72)은 수직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아암(72)을 다시 수평상태로 복원하려면, 고정아암(72)을 의자다리(60) 방향으로 더 접으면 고정아암(72)의 상단면이 원형플레이트(84)의 상부스토퍼(84b)를 가압하여 원형플레이트(84)를 회전시키게되고, 렛칫포크(89)는 원형플레이트(84)의 고정홈(84a)로 부터 이탈되어 원형플레이트(84)의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고정아암(72)을 다시 수평상태로 회전시키면 렛칫포크(89)는 원형플레이트(84)의 외주면에서 미늘톱니(83a)의 피치사이로 삽입되지 않게 되므로 단계별이 아닌 한번에 고정아암(72)을 수평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물론, 고정아암(72)이 수평상태로 복원되면 고정아암(72)의 하부단면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플레이트(84)의 하부스토퍼(84b')를 밀게되며, 이로 인하여 하부스토퍼(84b') 역시 원위치로 복원되게 되고, 하부스토퍼(84b)의 복원과 탄성부재(89a)의 탄성력에 의하여 렛칫포크(89)는 다시 렛칫(83)의 최 하단에 형성된 미늘톱니(83a)의 피치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신장아암(75)에 설치된 무릎받침대에 대하여 도 13과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의 선단을 확대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무릎지지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받침대(76)는 신장아암(75)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신장아암(75)은 선단에 요크(75b)를 가지며, 무릎받침대(76)는 하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요크(75b)와 죠인트되는 회동부재(77)를 갖는다.
이때, 요크(75b)의 측면에는 원주모양으로 등간격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멍(75c)이 형성되고, 회동부재(77)의 측면에는 요크(75b)에 형성된 고정구멍(75c)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관통구(77a)가 형성되며, 요크(75b)와 회동부재(77)는 힌지축(75e)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어 힌지축(75e)을 중심으로 회동부재(77)와 무릎받침대(76)는 회전한다.
물론, 요크(75b)의 고정구멍(75c)과 회동부재(77)의 관통구(77a)에는 회동부재(77)가 단계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동부재(77)를 구속하는 핀형상의 삽입핀(75d)가 삽입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삽입핀(75d) 역시 전술된 고정아암(72)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버튼(72a)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신장아암(75)의 선단에서 회동되는 무릎받침대(76)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이 가능하며, 무릎받침대(76)가 아래로 회전하였을 경우에는 무릎받침대(76)의 저면(76a)이 상향되므로 무릎받침대(76)의 저면(76a)을 발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저면(76a)을 발받침대로 사용을 할 경우에는 발을 올려놓아 휴식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키가 작은 사람도 본 고안에 의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는 시트(24)와 무릎지지장치(70) 및 무릎받침대(76)의 각도를 별개로 제각각 조절할 수 있어 척추교정을 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의자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체형에 맞게 의자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장시간 책상에 앉아서 공부하는 수험생이나 학생, 또는 일반 사용자들은 원하는 형태의 체위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트(24)와 무릎지지장치(70) 및 무릎받침대(76)를 제각각 경사지게 하여 사용자의 상체 하중이 시트(24)와 무릎받침대(76)로 골고루 분산되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집중력이 저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중 분산으로 인하여 허리나 좌골 및 어깨 등에 무리를 감소시켜 요통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게다가, 무릎지지장치(70)를 시트(24)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어 평상시에는 일반의자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항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는 시트와 무릎받침대의 경사각도를 별개로 조절할 수 있어 척추교정시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와 무릎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무릎지지장치를 시트 내측으로 접고 무릎받침대는 시트 외측으로 접어서 일반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척추교정 의자와 달리 구성이 간단하여 의자의 자중을 줄일수 있어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시트와, 시트를 지지하는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부와 의자다리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몸이 기울어지도록 시트의 경사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경사조절장치;
    상기 의자다리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경사각도와 돌출길이를 조절하여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장치는, 상기 시트의 하부면에 고정설치되고, 복수개의 단속된 절개홈이 형성된 라운드진 하부면을 갖는 회동판;
    회동판의 상단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상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노치를 갖는 고정판;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상부면에 상기 고정판의 노치에 대응하는 측벽이 형성된 슬롯을 구비한 지지플레이트와;
    고정판과 회동판의 노치 및 절개홈을 관통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측벽에 의해 슬롯 내부에서 시소오 운동을 하면서 회동판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지지장치는, 상기 의자다리에 부착되어 경사각도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각도조절부에 연장형성되고, 지름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아암이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결합되어 돌출길이를 조절하는 돌출길이조절부;
    돌출길이조절부의 선단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무릎을 안착하는 무릎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의자다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브래킷;
    한쌍의 브래킷 사이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고정아암의 후단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톱니를 갖는 원판형의 렛칫;
    렛칫과 브래킷 사이에 수직으로 삽입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돌출된 스토퍼를 가지며, 하부스토퍼와 인접하여 형성된 고정홈을 갖는 원형플레이트;
    상기 브래킷과 렛칫과 원형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렛칫의 톱니와 원형플레이트의 고정홈에 교합되거나 이탈되어 레칫이 단계별로 회전되도록 하는 렛칫포크;
    상기 브래킷의 일측면과 렛칫포크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
    고정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양단부는 렛칫포크와 상기 의자다리고정되어, 회동되는 랫칫포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길이조절부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고정아암;
    고정아암의 중공에 일측이 삽입되어 텔레스코픽 작용을 하며, 타측에 요크가 형성된 신장아암;
    신장아암이 고정아암 내부에 고정되도록 고정아암에 관통설치되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지지부는, 상기 신장아암의 요크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회동부재가 하부에 형성되고, 무릎을 보호하는 쿠션재가 상부에 설치되며, 회동부재에 의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무릎받침대;
    회전되는 무릎받침대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회동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부는, 상기 신장아암의 요크 측면에 원주모양으로 등간격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구멍;
    상기 무릎받침대의 회동부재 측면에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관통홀;
    고정구멍과 관통홀에 관통삽입되어 회동부재를 요크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삽입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서로 이격 형성된 돌출핀을 갖는 손잡이;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돌출핀은 고정아암과 고정아암 내부에 삽입된 신장아암에 관통설치되고, 제1플랜지는 고정아암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2플랜지와 압축코일스프링은 상기 신장아암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아암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KR2020020028115U 2002-09-18 2002-09-18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KR200298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115U KR200298253Y1 (ko) 2002-09-18 2002-09-18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115U KR200298253Y1 (ko) 2002-09-18 2002-09-18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53Y1 true KR200298253Y1 (ko) 2002-12-16

Family

ID=7312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115U KR200298253Y1 (ko) 2002-09-18 2002-09-18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27B1 (ko) * 2007-08-03 2011-05-09 주식회사 카스피 자세교정의자
CN111109912A (zh) * 2018-10-31 2020-05-08 周学蒙 一种带音乐播放功能的座椅
KR20200056219A (ko)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27B1 (ko) * 2007-08-03 2011-05-09 주식회사 카스피 자세교정의자
CN111109912A (zh) * 2018-10-31 2020-05-08 周学蒙 一种带音乐播放功能的座椅
KR20200056219A (ko) 2018-11-14 2020-05-22 박성하 교정 의자 및 그의 체형 교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118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US4366985A (en) Adjustable headrest for treatment chair
US20020180248A1 (en) Chair
US6672669B2 (en) Swingable chair back with top pivot
JPH0822250B2 (ja) 椅 子
JPS5810010A (ja) いす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200298253Y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의자
JP5598855B2 (ja) 背もたれの傾動可能な椅子
KR200172039Y1 (ko) 자세교정용 의자
US6676581B1 (en) Stretching device for furniture
KR101198578B1 (ko) 자세 교정의 용도 전환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JP4183679B2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KR200399954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676208B1 (ko) 척추교정용 의자
JPH0646556U (ja) 胸あて付椅子
KR200336016Y1 (ko) 의자
JP2003164354A (ja) 椅子及びその背インナー板
KR20020083786A (ko) 의자
WO1992019132A1 (en) A chair
KR19990016071A (ko) 다기능 건강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