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76Y1 -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76Y1
KR200489676Y1 KR2020180002664U KR20180002664U KR200489676Y1 KR 200489676 Y1 KR200489676 Y1 KR 200489676Y1 KR 2020180002664 U KR2020180002664 U KR 2020180002664U KR 20180002664 U KR20180002664 U KR 20180002664U KR 200489676 Y1 KR200489676 Y1 KR 200489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ootrest
scaffold
insertion hol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유지열
Original Assignee
유지열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열, 조성민 filed Critical 유지열
Priority to KR202018000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ㄷ자형 발판본체상부;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일단 측면에 구성한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타단 측면에 구성한 상기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보다 짧은 두개의 발판본체제2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성한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하부에 삽입홈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Easy-to-use footrest for toilet sea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변시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 배변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배경이 되는 기술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체중계(14)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은 좌변기의 전방 즉 체중계를 이격시켜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발판 몸체(11) 및 쾌변 받침대(19) 포함한다. 이때, 발판 몸체(11)는 널판부(12) 및 받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몸체(11)의 널판부(12)는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배치되는데, 이는 널판부(12)와 화장실 바닥 사이에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간격을 두어 널판부(12)에 물때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널판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 하부가 받침부(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널판부(12)는 받침부(13)에 의해 공중에 떠받혀 있는 상태로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널판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 상호 간의 결속은 널판부(12)를 지지하는 받침부(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받침부(13)는 널판부(12)를 지지하는 동시에 널판부(12)를 구성하는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을 상호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 상호 간의 결속은 받침부(13) 대신에 다른 별도의 결속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널판부(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배치된 발판용 널판(12-1)의 중앙 부위를 일부 제거하여 삽입구(12-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삽입구(12-3)는 널판부(12)가 좌변기의 전방에 끼워져서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발판 몸체(11)의 받침부(13)는 화장실 바닥에 대해 널판부(12)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널판부(12)가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널판부(1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2)에 관통 형성된 개구(12-5)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널판부(12)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13-1) 및 제2 받침대(13-2)와, 널판부(12)의 좌우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널판부(12)를 지지하는 제3 받침대(13-3) 및 제4 받침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받침대(13-1~13-4)는 널판부(12)를 구성하는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과 교차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널판부(12)의 하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받침대(13-1)와 제2 받침대(13-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널판부(12)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받침대(13-3)와 제4 받침대(13-4)도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널판부(12)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한편, 제1 내지 제4 받침대(13-1~13-4)의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패드 등의 미끄럼 방지패드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쾌변 받침대(19)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몸체(11)에 마련되어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이다. 여기서 '쾌변 자세'란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 위치를 높게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의 쾌변을 유도하는 자세를 말한다.
쾌변 받침대(19)는 도 4에서 쾌변 받침대(19)의 위치인 사용 위치와 쾌변 받침대(19)의 위치인 수납 위치 사이에서 발판 몸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위치를 말하고, '수납 위치'는 좌변기에 인접한 위치로 쾌변 받침대(19)를 사용하지 않을 때 쾌변 받침대(19)를 좌변기 쪽으로 밀어넣은 위치를 말하는데, 수납 위치에서 쾌변 받침대(19)는 좌변기의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가 좌변기와 중첩된다.
이를 위해, 쾌변 받침대(1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2)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191)와, 발판 몸체(11)에 결합되고 받침대 몸체(19-1)가 발판 몸체(1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받침대 몸체(19-1)를 지지하는 받침대 브라켓(19-3,1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 브라켓(19-3,19-4)는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1 받침대 브라켓(19-3)과 제2 받침대 브라켓(19-4)로 마련될 수있는데, 제1 받침대 브라켓(19-3)는 받침대 몸체(19-1)의 좌측면에서 연장되고, 제2 받침대 브라켓(19-4)는 받침대 몸체(19-1)의 우측면에서 연장된다.
받침대 몸체(19-1)는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쾌변 자세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 블록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 몸체(19-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면에 다수의 지압 돌기(19-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변을 보는 동안 받침대 몸체(19-1)에 얹혀진 발이 다수의 지압 돌기(19-2)에 의해 자극되는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지압 돌기(19-2)가 변비와 관련 있는 발바닥의 혈자리를 눌러주도록 받침대 몸체(19-1)에 다수의 지압 돌기(192)를 형성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변기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받침대 몸체(19-1)의 후방을 향하는 면(19-1a), 즉 좌변기를 향하는 면은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 좌변기의 하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수납위치에서 쾌변 받침대(19)가 좌변기에 최대한 밀착 또는 인접하도록 하여, 쾌변 받침대(19)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가 발판 몸체(11)의 널판부(12)를 발로 디디는데 쾌변 받침대 (19)가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는 너무나도 복잡하고 단차를 조절할 수없어 키가 큰 사람으로부터 키가 작은 사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에 적응성이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28198(2013.03.19) 대한민국특허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49220(2018.04.10)
첫째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있도록 적응성을 개선시킨 것이다.
둘째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원터치 조작으로 인하여 신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둔다.
ㄷ자형 발판본체상부;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일단 측면에 구성한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타단 측면에 구성한 상기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보다 짧은 두개의 발판본체제2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성한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하부에 삽입홈을 구성하여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은 두개씩 구성하되 상기 삽입홀에 삽입하는 보조발판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보조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삽입제1돌기;
상기 삽입홈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제1돌기와 병행하여 삽입제2돌기;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첫째 효과로는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장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있도록 적응성을 개선시킨 것이다.
둘째 효과로는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원터치 조작으로 인하여 신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사출하여 견고함과 단순함으로 원하는 크기의 쾌변발받침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세째 효과로는 면적이 작은 화장실에 신장의 크기에 따라 각각 발판을 복수개 둘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1a도는 발받침대의 사시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b도는 보조발판을 발판본체로부터 이격시켜 놓은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2도는 발판본체를 보이는 도이다.
제3a도는 보조발판의 상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보조발판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3c도는 보조발판의 삽입제1돌기 및 삽입제2돌기를 보이는 상세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제1a 내지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ㄷ자형 발판본체상부(170)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170)의 하부의 일단 측면에 구성한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150,160),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타단 측면에 구성한 상기 발판본체제1다리(150,160)보다 짧은 두개의 발판본체제2다리(180,190)를 구성하여 ㄷ자형 발판본체상부(170)가 경사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ㄷ형 발판본체상부(170)의 양측면 즉 발을 올려놓는 부분에 각각 구성한 삽입홀(110,120,130,140)을 구성하여 보조발판을 부착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를 위하여 두는 것이다.
삽입홀을 단차를 두어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두개의 단차를 두어 삽입홀을 구성하였으나 단차를 하나를 두거나 즉 삽입홀을 각각 1개씩을 구성하든지 아니면 2개 또는 3개이상을 구성하여도 좋다.
신장이 작은 경우라도 발뒷굼치를 두는 부분인 발판본체제1다리(150,160)의 상부에 둘 수 있는 경우에는 보조발판(200)을 조립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균형을 잡기 어려운 노약자 및 어린이의 경우를 위하여 보조발판(200)을 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홀의 각각의 하부에 삽입홈(115,116,117,118,125,126,127,128)로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을 구성한다.
삽입홀의 각각의 하부에 삽입홈을 두개씩 구성하여 보조발판이 균형을 가지고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홀은 발을 두는 발판 하나에 두개씩 구성하는 것이 좋다.
단차를 두개정도를 두어 신장의 유무에 따라 또는 개인적인 편차 및 취향에 따라 구성한다.
도3a 내지 도3c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보조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홀(110,120,130,14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삽입제1돌기(210,220)를 구성한다. 돌기로 접촉력을 높이고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돌기의 크기를 크고 길게 구성한다.
상기 삽입홈(115,116,117,118,125,126,127,128)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제1돌기와 병행하여 삽입제2돌기(215,216,225,226)를 구성한다.
삽입제2돌기는 원형형상으로 두개로 구성하였다.
돌기와 홀의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삽입홈은 하부가 관통하지 않고 막힌 상태의 것으로 하여 더 이상 삽입제2돌기가 내려가지 않도록 구성한다.
삽입홀과 삽입홈은 경사진 경사면 구성되어있어서 삽입제1돌기를 삽입홀에 삽입한 상태는 삽입제1돌기 끝까지 삽입되고 삽입제2돌기는 막힌 상태의 삽입홈에 삽입되어야 견고하게 보조발판이 평면을 유지할 수있는 것이다.
사용자의 원함에 따라서 보조발판의 삽입제1돌기를 삽입홀의 도면부호 110, 130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1은 상기 설명에 의하여 보조발판을 부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신장이 작은 사람에게 적합하며 또한 무릅과 상체를 더 움추리기를 원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삽입홀의 120,140의 위치에 삽입제1돌기를 삽입하는 경우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발판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보조발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에 약간의 평평한 공간부에 발을 올려놓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발의 앞부분은 하부로 발의 뒷굼치 부분은 보조발판의 상부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발판본체
110,120,130,140:삽입홀 115,116,117,118,125,126,127,128: 삽입홈
150,160:발판본체제1다리 170:발판본체상부 180,190:발판본체제2다리
200:보조발판 210,220:삽입제1돌기 215,216,225,226:삽입제2돌기

Claims (3)

  1. ㄷ자형 발판본체상부;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일단 측면에 구성한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하부의 타단 측면에 구성한 상기 두개의 발판본체제1다리보다 짧은 두개의 발판본체제2다리;
    상기 ㄷ자형 발판본체상부의 양측면에 각각 구성한 일자형 구성의 삽입홀;
    상기 삽입홀의 각각의 하부에 구성한 원형형상의 두개의 삽입홈;
    상기 삽입홀은 일측면에 두개씩 구성하되 상기 삽입홀에 삽입하는 보조발판을 구성하고,
    상기 보조발판의 하부에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홀의 구성에 대응되는 하나의 삽입제1돌기;
    상기 삽입홈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제1돌기와 병행하여 상기 삽입홈의 구성에 대응되는 두개로 구성한 삽입제2돌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2. 삭제
  3. 삭제
KR2020180002664U 2018-06-15 2018-06-15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0489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64U KR200489676Y1 (ko) 2018-06-15 2018-06-15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664U KR200489676Y1 (ko) 2018-06-15 2018-06-15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76Y1 true KR200489676Y1 (ko) 2019-07-23

Family

ID=6743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664U KR200489676Y1 (ko) 2018-06-15 2018-06-15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7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198A (ko) 2011-09-09 2013-03-19 권지성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101849220B1 (ko) 2017-08-25 2018-04-17 고묘정 좌변기의 배변장치
US10136777B2 (en) * 2015-06-09 2018-11-27 NadiaLabs, Inc. Stool for use with a toil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8198A (ko) 2011-09-09 2013-03-19 권지성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US10136777B2 (en) * 2015-06-09 2018-11-27 NadiaLabs, Inc. Stool for use with a toilet
KR101849220B1 (ko) 2017-08-25 2018-04-17 고묘정 좌변기의 배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195B2 (en) Adjustable seat and leaning apparatus
KR101850963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US3485527A (en) Chair
KR101843279B1 (ko) 변기용 발판
KR200489676Y1 (ko)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US20190029436A1 (en) Chair With A Footrest Device
KR101213877B1 (ko) 의자용 발 받침대
JP2007510500A (ja) 健康的に着座するための椅子
KR20170009174A (ko) 조립식 발받침대
KR101069902B1 (ko) 분리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1187011B1 (ko) 다기능 낚시의자
KR200243683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CN213216206U (zh) 一种双层儿童座椅的多功能扶手
KR100341728B1 (ko) 명상 및 기도용 의자
KR200494548Y1 (ko)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KR200490345Y1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20019986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CN209610460U (zh) 具有坐垫锁紧功能的礼堂椅
KR100755502B1 (ko) 계단식 좌식방석
KR200165004Y1 (ko) 쿠션기능이 구비된 책걸상의 다리 받침구
KR200361362Y1 (ko) 의자용 발받침 기구
KR200260626Y1 (ko) 의자용 발받침장치
KR200373451Y1 (ko) 독서실용 책상의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