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198A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 Google Patents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198A
KR20130028198A KR1020110091548A KR20110091548A KR20130028198A KR 20130028198 A KR20130028198 A KR 20130028198A KR 1020110091548 A KR1020110091548 A KR 1020110091548A KR 20110091548 A KR20110091548 A KR 20110091548A KR 20130028198 A KR20130028198 A KR 20130028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scale
slid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지성
Original Assignee
권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성 filed Critical 권지성
Priority to KR102011009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8198A/ko
Publication of KR2013002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으로, 상기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화장실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쾌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상기 좌변기에 인접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Foothold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일반적으로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할 때 발로 디디는 발판을 말한다.
한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과는 별도로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의 발을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하는 받침대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그런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과 쾌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받침대 제품을 모두 사용하려면, 좌변기 전방에 위치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위에 쾌변 자세 유지용 받침대 제품을 올려놓거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다른 곳으로 치워놓은 후 쾌변 자세 유지용 받침대 제품을 좌변기 전방에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에 않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판 몸체에 체중계를 결합하되 발판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체중계가 발판 몸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으로, 상기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화장실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쾌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상기 좌변기에 인접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널판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 몸체가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대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판 몸체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브라켓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몸체는,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면에 다수의 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 몸체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중앙 부분이 오목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널판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체중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체중계 브라켓이 수용되는 장착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계 브라켓은, 상기 체중계의 하면이 상기 널판부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상기 널판부의 하면과 같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체중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장착 홈 내에서 상기 체중계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브라켓 내에서 상기 체중계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중계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 몸체는, 상기 쾌변 받침대가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쾌변 받침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는, 상기 널판부의 중앙부위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널판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 및 상기 받침대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브라켓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는, 상기 쾌변 받침대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쾌변 받침대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이동구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으로, 상기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화장실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상기 발판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쾌변 받침대; 상기 널판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체중계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발판 구조에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쾌변 받침대를 결합함으로써, 종래에 사용자가 별도의 쾌변 받침대를 구매한 후 좌변기 전방에 위치한 발판 위에 올려놓거나 좌변기 전방에 위치한 발판을 다른 곳으로 치워놓고 쾌변 받침대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변기에 않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좌변기에 인접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쾌변 받침대가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쾌변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쾌변 받침대를 수납 위치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평상시 발판을 쾌변 자세 유지가 아닌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쾌변 받침대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발판 구조에 체중계를 결합하되, 체중계가 발판 몸체에 의해 직접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발판 몸체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된 체중계가 브라켓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발판 몸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체중계가 발판 몸체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사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수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쾌변 받침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들이다.
도 7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체중계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에서 위치고정수단과 탄성 수단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사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수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슬라이드 지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사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수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쾌변 받침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좌변기(10)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발판 몸체(110) 및 쾌변 받침대(190)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판 몸체(110)는 널판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는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배치되는데, 이는 널판부(120)와 화장실 바닥 사이에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간격을 두어 널판부(120)에 물때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널판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그 하부가 받침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널판부(120)는 받침부(130)에 의해 공중에 떠받혀 있는 상태로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널판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을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 상호 간의 결속은 널판부(120)를 지지하는 받침부(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받침부(130)는 널판부(120)를 지지하는 동시에 널판부(120)를 구성하는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을 상호 결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 상호 간의 결속은 받침부(130) 대신에 다른 별도의 결속 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널판부(12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널판부(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배치된 발판용 널판(121)의 중앙 부위를 일부 제거하여 삽입구(12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삽입구(123)는 널판부(120)가 좌변기(10)의 전방에 끼워져서 밀착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발판 몸체(110)의 받침부(130)는 화장실 바닥에 대해 널판부(120)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널판부(120)가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널판부(12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20)에 관통 형성된 개구(125)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널판부(120)를 지지하는 제1 받침대(131) 및 제2 받침대(132)와, 널판부(120)의 좌우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널판부(120)를 지지하는 제3 받침대(133) 및 제4 받침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받침대(131~134)는 널판부(120)를 구성하는 여러 장의 발판용 널판(121)과 교차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널판부(120)의 하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받침대(131)와 제2 받침대(132)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널판부(120)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받침대(133)와 제4 받침대(134)도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널판부(120)의 중심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받침부(130)를 구성하는 받침대의 개수, 형상 및 배치 형태 등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내지 제4 받침대(131~134)의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패드 등의 미끄럼 방지패드(136, 도 8 참조)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쾌변 받침대(19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몸체(110)에 마련되어 좌변기(10)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데 사용되는 수단이다. 여기서 '쾌변 자세'란 사용자가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 위치를 높게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의 쾌변을 유도하는 자세를 말한다.
쾌변 받침대(190)는 도 2 및 도 5에서 쾌변 받침대(190)의 위치인 사용 위치와 도 3 및 도 6에서 쾌변 받침대(190)의 위치인 수납 위치 사이에서 발판 몸체(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위치'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위치를 말하고, '수납 위치'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에 인접한 위치로 쾌변 받침대(19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쾌변 받침대(190)를 좌변기(10) 쪽으로 밀어넣은 위치를 말하는데, 수납 위치에서 쾌변 받침대(190)는 좌변기(10)의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일부가 좌변기(10)와 중첩된다.
이를 위해, 쾌변 받침대(19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20)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191)와, 발판 몸체(110)에 결합되고 받침대 몸체(191)가 발판 몸체(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받침대 몸체(191)를 지지하는 받침대 브라켓(193,19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 브라켓(193,194)는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 제1 받침대 브라켓(193)과 제2 받침대 브라켓(194)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1 받침대 브라켓(193)는 받침대 몸체(191)의 좌측면에서 연장되고, 제2 받침대 브라켓(194)는 받침대 몸체(191)의 우측면에서 연장된다.
받침대 몸체(191)는 사용자가 좌변기(10)에 앉은 상태에서 쾌변 자세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 블록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 몸체(19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면에 다수의 지압 돌기(19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변을 보는 동안 받침대 몸체(191)에 얹혀진 발이 다수의 지압 돌기(192)에 의해 자극되는 지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지압 돌기(192)가 변비와 관련 있는 발바닥의 혈자리를 눌러주도록 받침대 몸체(191)에 다수의 지압 돌기(192)를 형성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변기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받침대 몸체(191)의 후방을 향하는 면(191a), 즉 좌변기(10)를 향하는 면은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통상 좌변기(10)의 하부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수납 위치에서 쾌변 받침대(190)가 좌변기(10)에 최대한 밀착 또는 인접하도록 하여, 쾌변 받침대(19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용자가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를 발로 디디는데 쾌변 받침대(190)가 최대한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발판 몸체(110)에 대한 쾌변 받침대(190)의 이동은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쾌변 받침(190)는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판 몸체(110)의 양 측면(구체적으로 제3 받침대(133)의 측면과 제4 받침대(134)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155)이 형성되고, 받침대 브라켓(193,194)의 양 단부에는 발판 몸체(110)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55)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돌기(193a,194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발판 몸체(110)의 좌측면, 즉 제3 받침대(133)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판 몸체(11)의 우측면, 즉 제4 받침대(134)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55)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발판 몸체(110)에 대한 쾌변 받침대(190)의 이동은 슬라이드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발판 구조에 좌변기(10)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쾌변 받침대(190)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쾌변 받침대를 구매한 후 좌변기(10) 전방에 위치한 종래의 발판 위에 올려놓거나 좌변기(10) 전방에 위치한 종래의 발판을 다른 곳으로 치워놓고 쾌변 받침대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사용자가 좌변기(10)에 않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좌변기(10)에 인접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쾌변 받침대(190)가 발판 몸체(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쾌변 받침대(19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쾌변 받침대(190)를 수납 위치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평상시 발판을 쾌변 자세 유지가 아닌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쾌변 받침대(190)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체중계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체중계(140) 및 체중계 브라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중계(140)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에 관통 형성된 개구(12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중계(140)는 널판부(120)의 개구(125)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체중계 브라켓(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참고로, 체중계(140)는 디지털 방식이나 아날로그 방식의 체중계일 수 있으며, 상용화된 다양한 제품 중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다. 이때,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에 관통 형성된 개구(125)는 채택된 체중계(140)의 외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중계(140)는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상판(141)과, 상판(141)을 지지하는 베이스(143)와, 상판(141)과 베이스(143)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의 몸무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로드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판(141)은 통상 강화유리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43)는 상부 케이스(144)와 하부 케이스(145)의 조립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베이스(143)의 내부에는 몸무게 측정에 필요한 전기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44)의 측벽과 하부 케이스(145)의 측벽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패킹(미도시)이 수용되는 패킹홈(147, 도 1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셀(142)은 상판(141)의 4개의 코너 영역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140)의 상판(14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미끄럼 방지층(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체중계(140)의 상판(141)은 강화 유리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위에 물기가 묻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끄러져 안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큰데, 이러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체중계(140)의 상판(141) 위에 미끄럼 방지층(141a)을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미끄럼 방지층(141a)은 미끄럼 방지코팅제가 체중계(140)의 상판(141) 위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형성되거나, 미끄럼 방지시트가 체중계(140)의 상판(141) 위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 방지코팅제'와 '미끄럼 방지시트'는 상용화된 다양한 제품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체중계 브라켓(150)은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140)에 마련되어 개구(215) 내에 배치된 체중계(140)를 발판 몸체(110)에 대해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체중계 브라켓(150)은 체중계(140)의 베이스(143)에 플랜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중계 브라켓(1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140)의 베이스(143)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144)의 좌우 양단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체중계 브라켓(150)은 플랜지 구조로 별도로 제작된 후 체중계(140)의 베이스(143)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체중계 브라켓(150)은 플랜지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발판 몸체(110)의 개구(215) 내에 배치된 체중계(140)를 지지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구조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체중계(140)에 마련된 체중계 브라켓(150)은 발판 몸체(110)에 형성된 장착 홈(160)에 대응하도록 플랜지 구조로 마련되지만, 이와 다르게 발판 몸체(110)에 슬라이드 돌기(미도시)를 형성하고 체중계(140)에 '홈' 구조를 갖는 브라켓(미도시)을 마련할 수도 있다.
체중계 브라켓(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140)의 하면이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적어도 같은 위치에 있도록 체중계(140)를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다르게 체중계 브라켓(150)은 체중계(140)의 하면이 널판부(120)의 하면보다 약간 높게(대략 1 cm 이하) 위치하도록 체중계(140)를 지지해도 무방하다. 또한, 체중계 브라켓(150)은 체중계(140)의 상면과 널판부(120)의 상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체중계(14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중계 브라켓(150)은 체중계(140)의 상면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2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체중계(14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체중계 브라켓(150)은 체중계(140)뿐만 아니라 체중계(140) 위에 올라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지하는 것이므로, 이에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발판 몸체(110)에 단순히 안착 홈을 함몰 형성하고 그 위에 체중계(140)를 올려놓은 구조가 아니라, 발판 몸체(110)에 관통 형성된 개구(215) 내에 배치된 체중계(140)가 체중계 브라켓(15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특히 체중계(140)의 하면이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적어도 같은 위치에서 체중계 브라켓(15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발판 몸체(110)(특히, 널판부(12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체중계(140)의 상면이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은 통상 발판 몸체에 단순히 안착 홈을 함몰 형성하고 그 위에 체중계를 올려놓은 구조를 갖는데, 발판의 특성상 그 발판 몸체의 두께가 제한되는 점을 감안할 때(통상 화장실용 발판의 경우 3 cm 이하), 체중계의 상면이 발판 몸체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종래의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은 체중계의 상면과 발판 몸체의 상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실제 제품으로 제작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체중계와 발판 몸체 사이의 틈새로 들어간 물이 안착 홈 내부에 고이게 되고, 이로 인해 체중계가 고장 나거나 고인 물이 썩어 위생상 문제점에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발판 몸체(110)의 널판부(120)에 관통 형성된 개구(215)와 인접한 위치에서 발판 몸체(110)에 형성되고 체중계 브라켓(150)이 수용되는 장착 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체중계 브라켓(150)은 발판 몸체(110)에 형성된 장착 홈(16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중계(140)를 지지하게 되므로, 발판(100)을 들거나 뒤집을 때 체중계(140)가 발판(10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발판 몸체(110)에 대해 체중계(14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몸무게의 일부가 발판 몸체(110)로 분산되어 측정 오류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홈(160)은 개구(215)의 좌우 양측 각각에서 개구(215)와 반대 측 방향으로 인입되도록 발판 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홈(160)은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발판(10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발판 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착 홈(160)은 개구(215)와 인접한 널판부(120)의 하면과 개구(215)와 인접한 받침부(130)(즉, 제1 받침대(131) 또는 제2 받침대(132))의 상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장착 홈(160)은 발판 몸체(110)를 구성하는 널판부(120)와 받침부(130) 모두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장착 홈(160)을 널판부(120)에만 혹은 받침부(130)에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널판부(120) 혹은 받침부(130)의 두께 제한으로 인해 체중계 브라켓(150)을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개구(2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몸체(1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체중계 브라켓(150)이 발판 몸체(11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홈(160)에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발판 몸체(110)에 대한 체중계(140)의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에서 위치고정수단과 탄성 수단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8의 'A' 영역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은 위치고정수단(170) 및 탄성 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고정수단(170)은 장착 홈(160) 내에서 체중계 브라켓(150)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러한 위치고정수단(170)에 의해 체중계(140)는 발판 몸체(110)에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고정수단(17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홈(160) 내에서 고정되고 체중계 브라켓(150)과 결합하는 결합봉(17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결합봉(17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받침대(131)(또는 제2 받침대(132))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131a)에 하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받침대(131)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131b)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B) 등에 의해 장착 홈(16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결합봉(170)은 체중계 브라켓(150)에 형성된 결합구(151)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체중계 브라켓(150)과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봉(170)은 원통 형상으로 좌우 양측의 체중계 브라켓(150) 각각에 대해 2개씩 모두 4개가 제공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위치고정수단(170)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체중계 브라켓(150)은 별도의 위치고정수단이 없이도 장착 홈(160) 내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체중계 브라켓(150)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장착 홈(160)과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되어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 홈(160)에 수용됨으로써 장착 홈(160) 내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수단(180)은 장착 홈(160) 내에서 체중계 브라켓(150)을 탄성 지지하는 수단으로, 이러한 탄성 수단(180)에 의해 체중계 브라켓(150)과 장착 홈(16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더라도 체중계(140)는 급격히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수단(180)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중계 브라켓(150)과 제1 받침대(131)(또는 제2 받침대(132))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봉(170)을 에워싸는 코일 스프링(180)으로 구현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다양한 탄성체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사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을 쾌변 받침대가 수납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3의 B-B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지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슬라이드 지지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200)은 발판 몸체(210) 및 쾌변 받침대(2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발판 몸체(210)는 널판부(120), 받침부(130) 및 슬라이드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장실 좌변용 발판(200)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체중계(1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200)은 발판 몸체(210)의 슬라이드 지지부(240)와 쾌변 받침대(29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동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준용하기로 한다.
슬라이드 지지부(240)는 쾌변 받침대(29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쾌변 받침대(29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지지부(240)는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10)의 중앙부위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판부(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지지부(24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되 양 단부에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드 홈(243,24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쾌변 받침대(29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쾌변 받침대(190)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위치인 '사용 위치'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에 인접한 위치인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지지부(24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슬라이드 지지부(240)는 쾌변 받침대(290)가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쾌변 받침대(29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쾌변 받침대(290)는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240)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291)와, 받침대 몸체(291)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슬라이드 지지부(24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라켓(2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브라켓(295)은 슬라이드 지지부(240)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 홈(243,244)에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브라켓(293,294)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브라켓(293,294)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 받침대 몸체(291)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서 각각 연장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들에서 슬라이드 지지부(240)의 슬라이드 홈(243,244)과 쾌변 받침대(290)의 슬라이드 브라켓(293,294)은 서로 대응하는 'ㄴ'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받침대 몸체(291)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면(상면)에 다수의 지압 돌기(29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받침대 몸체(291)의 후방을 향하는 면(291a), 즉 좌변기를 향하는 면은 그 중앙 부분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지지부(240)는 쾌변 받침대(290)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 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쾌변 받침대(29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이동구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쾌변 받침대(290)를 보다 안정감 있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구속수단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지지부(240)의 슬라이드 홈(243,244) 내부에 형성된 이동구속용 돌기(245,246)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 쾌변 받침대(290)의 슬라이드 브라켓(293,294)는 이동구속용 돌기(245,246)에 의해 살짝 걸려지기 때문에, 이동구속용 돌기(245,246)의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이 쾌변 받침대(290)에 가해지지 않는 한, 사용 위치에서 쾌변 받침대(290)는 그 이동이 일정 부분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쾌변 받침대(290)를 사용 위치에서 수납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구속용 돌기(245,246)의 저항을 극복하는 힘 이상으로 쾌변 받침대(290)를 밀어주면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구속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이동구속용 돌기(245,246)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200)은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발판 구조에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쾌변 받침대(290)를 슬라이드 지지부(240)를 통해 결합하여 쾌변 받침대(290)가 사용 위치와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100)이 갖는 이점들을 그대로 포함하면서도, 슬라이드 브라켓(293,294)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받침대 브라켓(193,194)와 다르게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음은 물론, 외적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10 : 발판 몸체
120 : 널판부
130 : 받침부
240 : 슬라이드 지지부
243, 244 : 슬라이드 홈
245,246 : 이동구속용 돌기
190, 290 : 쾌변 받침대
191, 291 : 받침대 몸체
193, 194 : 받침대 브라켓
293, 294 : 슬라이드 브라켓
140 : 체중계
150 : 체중계 브라켓
160 : 장착 홈
170 : 위치고정수단
180 : 탄성 수단

Claims (18)

  1.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으로,
    상기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화장실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쾌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상기 좌변기에 인접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널판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 및
    상기 발판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 몸체가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대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몸체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브라켓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홈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돌기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몸체는,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면에 다수의 지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몸체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중앙 부분이 오목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7. 좌변기의 전방에서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으로,
    상기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널판부와, 상기 화장실 바닥에 대해 상기 널판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갖는 발판 몸체;
    상기 발판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쾌변 받침대;
    상기 널판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체중계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널판부에 관통 형성된 개구에 배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발판 몸체에 대해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체중계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개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발판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체중계 브라켓이 수용되는 장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 브라켓은,
    상기 체중계의 하면이 상기 널판부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거나 상기 널판부의 하면과 같은 위치에 있도록 상기 체중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장착 홈 내에서 상기 체중계 브라켓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상기 브라켓 내에서 상기 체중계 브라켓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계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미끄럼 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4.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몸체는,
    상기 쾌변 받침대가 상기 사용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쾌변 받침대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는,
    상기 널판부의 중앙부위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널판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쾌변 받침대는,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받침대 몸체; 및
    상기 받침대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슬라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브라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지지부는,
    상기 쾌변 받침대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쾌변 받침대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이동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1020110091548A 2011-09-09 2011-09-09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20130028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48A KR20130028198A (ko) 2011-09-09 2011-09-09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548A KR20130028198A (ko) 2011-09-09 2011-09-09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198A true KR20130028198A (ko) 2013-03-19

Family

ID=4817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548A KR20130028198A (ko) 2011-09-09 2011-09-09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81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8118A1 (zh) * 2013-11-28 2015-06-04 蔡俊辉 卫生设备的防污踏板
KR200489676Y1 (ko) 2018-06-15 2019-07-23 유지열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0490345Y1 (ko) * 2018-09-17 2019-10-31 (주)신영목재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102400153B1 (ko) 2021-07-02 2022-05-20 (주)코아이엔지 쾌변 유도형 변기
KR20230096780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오투랩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8118A1 (zh) * 2013-11-28 2015-06-04 蔡俊辉 卫生设备的防污踏板
KR200489676Y1 (ko) 2018-06-15 2019-07-23 유지열 좌변기용 쾌변 도움 발판
KR200490345Y1 (ko) * 2018-09-17 2019-10-31 (주)신영목재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KR102400153B1 (ko) 2021-07-02 2022-05-20 (주)코아이엔지 쾌변 유도형 변기
KR20230096780A (ko) 2021-12-23 2023-06-30 주식회사 오투랩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198A (ko)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JP2010516324A (ja) 幼児用トイレットトレーナ
JP649954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434792Y1 (ko) 양변기용 발 받침대
JP5682785B2 (ja) 床段差部を利用した背もたれ構造
US7739756B2 (en) Spa with integrated step
JP2006289035A (ja) 和、洋式便器
KR101468048B1 (ko) 다용도 목욕의자
KR101115655B1 (ko)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JP6041586B2 (ja) 椅子及びその座板
KR200384263Y1 (ko) 좌변기용 발판
JP2005330800A (ja) 便器の足載せ台
KR20120138260A (ko) 체중계가 구비된 발판
JP3123972U (ja) 洋式の腰掛便器の踏み台
JP4040523B2 (ja) 玄関台
JP6641162B2 (ja) 浴室
JP2019097900A (ja) 手すり装置
CN209499582U (zh) 一种复合儿童坐便器
KR20130090191A (ko) 유아용 디딤대가 구비된 욕실 발판
JP2010019014A (ja) 介護型トイレ
KR200252906Y1 (ko) 견고하면서도 안정성이 있고 편리한 침대 가구
JP4405228B2 (ja) 簡易便器
JP5979596B2 (ja) トイレ用手摺装置
JP2022033629A (ja) ス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