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780A -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Google Patents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6780A KR20230096780A KR1020220009977A KR20220009977A KR20230096780A KR 20230096780 A KR20230096780 A KR 20230096780A KR 1020220009977 A KR1020220009977 A KR 1020220009977A KR 20220009977 A KR20220009977 A KR 20220009977A KR 20230096780 A KR20230096780 A KR 202300967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ootrest
- plank
- pressing
- scaffo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64 rectu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255 anal cana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49555 Anal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1244 Dyschez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52 breakfas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17 hemorrhoi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70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8—Foot- or knee-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 방향으로 상부 널판부와 하부 널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부 널판부는 상부 널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제1 가압부의 일 지점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발판부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솟아 올라 몸통과 허벅지 사이의 각도가 35°에 가까운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도록 하여, 치골직장근의 이완을 통한 대변 배출의 용이로 쾌변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쾌변 유도 발판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 방향으로 상부 널판부와 하부 널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부 널판부는 상부 널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제1 가압부의 일 지점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발판부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솟아 올라 몸통과 허벅지 사이의 각도가 35°에 가까운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도록 하여, 치골직장근의 이완을 통한 대변 배출의 용이로 쾌변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쾌변 유도 발판에 대한 발명이다.
흔히들 쾌변(快便)은 건강의 주춧돌이라 한다. 심지어, 장수의 비결이라 하기도 한다. 반면, 장(腸) 굴곡의 자연스러움에 중력의 힘이 가해져 생기는 변비(便秘, constipation)는 인간이 직립생활을 하는 탓에 흔히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변비를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전신질환, 약물복용 등 매우 다양하고, 인종, 성,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아침결식, 식사횟수, 증가된 외식빈도, 물이나 식이섬유 섭취량의 부족과 같은 식습관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잘못된 배변습관에 의한 직장(直腸, rectum) 기능저하에 따른 배변장애(dyschezia) 역시 변비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바, 예컨대 변기에서 허리를 숙이고 앉은 자세는 직장을 눌러 변이 나올 통로를 막아 배변활동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상체를 90°로 곧추세워 변기에 앉아 용변(用便)을 보는 자세는 치골직장근의 부분적인 이완만 되고 대장은 그대로 온전한 뒤틀림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배설을 방해한다.
여기서, 직장과 항문관(肛門管)이 이루는 각도를 항문-직장각(anorectal angle)이라 하는데, 평소 직장을 당겨 주어 대변이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는 치골직장근(恥骨直腸筋, puborectal muscle)을 배변 시에는 느슨하게 늘려주는 이완을 통해 항문관과 직장의 각도(약 130°)가 커지도록 해야만 대변의 배출이 용이하다.
이를 위해서는, 양변기에 걸터앉을 때 무릎을 올려 엉덩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체와 허벅지 사이 각도가 35도°를 이루도록 하고 복부가 허벅지 앞면에 닿도록 몸을 앞으로 기울인 쪼그려 앉은 자세는, 인체생리학적으로 배변뿐만 아니라 잔변의 배출이 원활하고 체내 독소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건강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복부압력이 형성되기 쉬운 자세로써 배변을 위한 힘을 내는데 효율적인 자세이고, 그러한 작용으로 항문압력을 감소시켜서 치질이나 항문 출혈 등의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양변기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발을 일정높이 이상으로 지지하는 형태의 받침대가 시중에서 판매 되고는 있으나, 변기발판과 별개로 사용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공간확보 등이 문제시되어 왔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28198호에서는, 사용자가 좌변기에 앉은 상태에서 쾌변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이 개시된바 있다.
종래의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은, 욕실이나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발판에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는 쾌변 받침대를 슬라이드 지지부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쾌변 받침대가 사용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변기에 걸터앉은 사용자가 쾌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더해 외적 미관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쾌변 받침대가 발판 몸체의 일부 위로부터 항시 상향 돌출된 단순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양변기에 걸터앉아 용변을 볼 때 이외의 욕실(또는 화장실) 활동 전반을 방해하는 등 이용환경을 불편하게 만드는 폐단으로 지적되어 있다.
결국, 용변시 치골직장근의 완전한 이완으로 자연스러운 배설(쾌변)을 유도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배변장애를 유발하는 장애적 요소를 분석한 인체공학적 설계로 쾌변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도 욕실(또는 화장실) 이용환경에 아무런 방해를 주지 않는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 방향으로 상부 널판부와 하부 널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부 널판부는 상부 널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제1 가압부의 일 지점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발판부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솟아 올라 몸통과 허벅지 사이의 각도가 35°에 가까운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도록 하여, 치골직장근의 이완을 통한 대변 배출의 용이로 쾌변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쾌변 유도 발판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앞에 두어 상기 양변기에 걸터앉을 때 상부면에 양 발이 맞닿게 위치하는 쾌변 유도 발판에 있어서, 상기 쾌변 유도 발판은, 상부 널판부; 상기 상부 널판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측면 널판부; 상기 측면 널판부의 타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하부 널판부; 폭 방향으로 상기 상부 널판부와 상기 하부 널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널판부는, 상기 상부 널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 지점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발판부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쾌변 유도 발판은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발판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측을 하부를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상부 널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회전공간; 상기 제1 가압부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압부 스프링;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힌지부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가압부를 하부를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 스프링이 수축하고, 상기 가압부 스프링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 스프링이 이완하므로 상기 제1 가압부가 상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널판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 홈; 상기 하부 널판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지지 홈;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대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대의 타측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지지대의 일측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의 타단에 하부 발판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지지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대 스프링은 수축하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대 스프링은 이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대 스프링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 스프링 홈의 내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변기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제1 가압부를 사용자의 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양변기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양 발이 들어올려지고 그로써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솟아 올라 몸통과 허벅지 사이의 각도가 35°에 가까운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도록 하여, 치골직장근의 이완을 통한 대변 배출의 용이로 쾌변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제1 가압부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행위는 발판부의 상방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발판부의 상방 이동은 사용자의 양발을 들어올려주게 되는 것이며, 결국 사용자의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이 솟아오르는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널판부와 발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와 돌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지지대의 타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발판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절바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이 길이 방향으로 접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한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널판부와 발판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와 돌출부가 분리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지지대의 타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발판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조절바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이 길이 방향으로 접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일측'이라 함은 상부 널판부(10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측'이라 함은 하부 널판부(300)가 형성된 부분이다. '일단'이라 함은 측면 널판부(200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단'이라 함은 제1 가압부(120)가 형성된 부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은 양변기 앞에 두어 욕실화가 없이도 양변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욕실 바닥의 일부 면적을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양변기에 걸터앉을 때 양 발을 본 발명의 상부면에 맞닿아 위치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발판부(400)는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상호 대향되도록 대칭되어 형성되며, 이하, 본 발명의 일측면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부 널판부(100), 측면 널판부(200), 하부 널판부(300), 발판부(400) 및 지지부(500)로 구성되고, 측면 널판부(200)의 일측에는 상부 널판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측변 널판부의 타측에는 하부 널판부(300)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부 널판부(100), 측면 널판부(200) 및 하부 널판부(300)는 화장실 내부에서 물 사용으로 욕실 바닥에 남은 잔량의 물이 하수구로 흘러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 널판부(100), 측면 널판부(200) 및 하부 널판부(300)의 하부면에는 욕실 바닥의 물에 본 발명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부(미도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널판부(100)는 양변기 홈(110), 제1 가압부(120), 제2 가압부(130), 회전공간(140) 및 삽입부(150)를 포함하고, 상부 널판부(100)의 일측에는 양변기 홈(110)이 상부 널판부(100)의 내부를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양변기의 하부의 일부가 양변기 홈(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양변기 측으로 사용자의 발을 최대한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부 널판부(100)의 타단에는 제1 가압부(120)와 제2 가압부(130)가 형성되고, 제1 가압부(120)와 제2 가압부(13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발판부(400)는 폭 방향으로 상부 널판부(100)와 하부 널판부(300)의 사이에 맞닿아 위치되고,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발판부(400)의 형상이 초기 형상이며, 후술하겠지만 발판부(400)는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한 형상을 설명하도록 한다.
발판부(400)의 하부에는 지지부(500)가 구성되며, 지지부(500)는 제1 지지대(510), 제2 지지대(520), 제3 지지대(530), 제1 지지홈(540) 및 제3 지지홈(550)을 포함한다.
제1 지지홈(540)은 상부 널판부(100)의 일단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3 지지홈(550)은 하부 널판부(300)의 일단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지지대(510)의 하부는 제1 지지홈(5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1 지지대(510)의 상부는 발판부(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대(520)의 하부는 측면 널판부(200)의 일 지점에 결합되며, 제2 지지대(520)의 상부는 발판부(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대(510)와 제2 지지대(520)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지지대(510)와 제2 지지대(520)는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발판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3 지지대(530)의 하부는 제3 지지홈(5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제3 지지대(530)의 상부는 발판부(4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다.
제3 지지대(530) 또한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지면으로부터 발판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지지대(510)의 하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지지대(520)의 하부와 제3 지지대(530)의 하부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 제2 지지대(520)의 상부 및 제3 지지대(530)의 상부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지지대(510), 제2 지지대(520) 및 제3 지지대(530)의 상부는 발판부(40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힌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변 시 발을 올려 놓도록 양변기 앞에 놓여지는 발판부(400)의 형상이 발뒷꿈치를 들어올려 주게 되어 있어 종아리와 허벅지를 밀어 올려 상체가 앞쪽으로 쏠리도록 하여 쪼그려 앉는 효과를 주게 되어 양변기에 편안하게 앉아 있는 상태에서 항문의 괄약근과 직장에 강한 자극을 주어 쪼그려 앉아 배변 하는 재래식 변기처럼 배변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널판부(100)와 발판부(40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 널판부(100)의 타측에는 삽입부(150)가 형성되고, 삽입부(150)의 내부에는 걸림부(123)가 삽입되어 있으며 걸림부(123)의 일부는 삽입부(15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발판부(400)의 일측의 하부에는 돌출부(410)가 형성되며, 돌출부(410)는 발판부(400)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410)는 전술한 걸림부(123)와 결합되므로, 돌출부(410)의 중앙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4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하겠지만 걸림부(123)는 상부로 회전할 수 있어 걸림부(123)와 돌출부(410)가 분리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123)와 돌출부(410)가 분리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는 걸림부(123)와 돌출부(410)의 결합 및 분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지지대(510), 제2 지지대(520), 제3 지지대(53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부 널판부(100)의 내부에는 회전공간(140)이 형성되고, 회전공간(140)의 일단의 내부 깊이는 회전공간(140)의 타단의 내부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회전공간(140)의 내부가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1 가압부(120)는 가압부 스프링(121), 힌지부(122) 및 걸림부(123)를 포함하고, 가압부 스프링(121)은 제1 가압부(120)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122)는 제1 가압부(120)의 하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힌지부(122)의 타단에는 걸림부(123)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걸림부(123)에는 전술한 발판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410)가 결합되어 있으며, 돌출부(410)는 걸림부(123)와 분리 가능하므로 상부 널판부(100)와 발판부(400) 또한 분리 가능하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제1 가압부(120)의 일단을 가압하여 제1 가압부(12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힌지부(122)가 회전하여 제1 가압부(120)의 일단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가압부 스프링(121)이 수축한다.
또한, 이때 제1 가압부(120)의 일단의 하부는 상부 널판부(100)의 일단과 맞닿게 되고 걸림부(123)가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돌출부(410)와 걸림부(123)가 분리된다.
돌출부(410)와 걸림부(123)가 분리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510), 제2 지지대(520) 및 제3 지지대(53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발판부(400)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가압부 스프링(121)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가압부 스프링(121)이 이완되고, 제1 가압부(1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양변기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제1 가압부(120)를 사용자의 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양변기에 걸터앉은 사용자의 양 발이 들어올려지고 그로써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게 솟아 올라 몸통과 허벅지 사이의 각도가 35°에 가까운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도록 하여, 치골직장근의 이완을 통한 대변 배출의 용이로 쾌변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제1 가압부(120)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행위는 발판부(400)의 상방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발판부(400)의 상방 이동은 사용자의 양발을 들어올려주게 되는 것이며, 결국 사용자의 무릎이 엉덩이보다 높이 솟아오르는 쪼그려 앉은 자세를 사용자가 취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지지대(530)의 타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3 지지대(530)는 지지대 스프링(531), 가이드부(532), 고정부(533) 및 지지대 스프링 홈(534)을 포함하고, 제3 지지대(530)의 타단에는 지지대 스프링(531)이 결합된다.
지지대 스프링(531)의 일단은 지지대 스프링 홈(534)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지지대 스프링(531)의 내부에는 가이드부(532)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 스프링(531)이 외부로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발판부(40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53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53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고정부(533)는 발판부(400)의 일측에 형성되되, 측면 널판부(200)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3 지지대(530)의 일단은 고정부(533)에 결합되고, 제3 지지대(530)의 타단에는 가이드부(532)가 하부 널판부(30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가이드부(532)의 외주면에는 지지대 스프링(531)이 결합되어 있다.
발판부(400)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즉, 발판부(400)가 폭 방향으로 상부 널판부(100)와 하부 널판부(300)의 사이에 맞닿아 있을 때 가이드부(532)가 측면 널판부(200)를 향하여 연장된다.
즉, 가이드부(532)가 측면 널판부(200)를 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 가이드부(532)에 결합된 지지대 스프링(531)이 이완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고하여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3 지지대(53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 가압부(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림부(123)가 상방으로 회전하고, 걸림부(123)와 돌출부(410)가 분리되어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지지대(530)의 타단이 하부 널판부(3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제3 지지대(530)의 타단에 형성된 가이드부(532)의 일부가 하부 널판부(3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대 스프링(531)이 수축된다.
즉, 발판부(400)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가이드부(532)가 하부 널판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대 스프링(531)이 수축하고, 발판부(400)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경우에는 지지대 스프링(531)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지지대 스프링(531)이 이완하여 제3 지지대(530)의 타단이 측면 널판부(200)를 향해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 스프링(531)의 구성은 발판부(400)가 하방과 상방을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될 때, 발판부(400)가 하부 널판부(300) 및 측면 널판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판부(400)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부(400)가 지속적으로 하방 및 상방으로 회전하여도 측면 널판부(200)와 하부 널판부(300)에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측면 널판부(200)와 하부 널판부(300)에 손상이나 피해가 입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대(51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지지대(510)는 제1 지지홈(54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 지지대(510)의 하부에는 이동부(511)가 결합되어 있다.
제1 지지홈의 내부에는 레일부(541)가 형성되고, 레일부(541)는 제1 홈(5411), 제2 홈(5412), 제3 홈(5413), 제1 단턱부(5414) 및 제2 단턱부(5415)로 구성된다.
레일부(541)의 일단에는 제1 홈(5411)이 형성되고, 제1 홈(5411)은 이동부(5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홈(5411)의 타측에는 제1 단턱부(5414)가 형성되고, 제1 단턱부(5414)의 타측에는 제2 홈(5412)이 형성되며, 후술하겠지만 이동부(511)는 폭 방향으로 제1 단턱부(5414)를 넘어 제2 홈(54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홈(5412)의 타측에는 제2 단턱부(5415)가 형성되고, 제2 단턱부(5415)의 타측에는 제3 홈(5413)이 형성되며, 이동부(511)는 폭 방향으로 제2 단턱부(5415)를 넘어 제3 홈(54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널판부(100)의 내부에는 제1 조절바(160), 제2 조절바(161), 제2 링크부(162) 및 조절바 지지부(163)가 삽입되어 있다.
이동부(511)는 제1 지지대(510)의 하부에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부(511)의 일단에는 제1 조절바(160)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조절바(160)의 일 지점에서 제2 조절바(16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10을 참고하여 제2 조절바(161)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조절바(161)의 일 지점의 하부에는 제2 링크부(162)가 맞닿아 결합되고, 제2 링크부(162)와 맞닿는 제2 조절바(161)의 하부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조절바(161)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한 쌍의 조절바 지지부(163)가 맞닿아 결합되고, 한 쌍의 조절바 지지부(163)는 제2 조절바(161)의 일측이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할 때 제2 조절바(161)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덧붙여, 제2 링크부(162)의 구성으로 제2 조절바(161)의 일측 또는 제2 조절바(161)의 타측이 상방 및 하방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링크부(162)가 제2 조절바(161)의 하부를 받치고 있으므로, 제2 조절바(161)가 상방 및 하방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2 조절바(161)의 타측은 제2 가압부(130)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제2 조절바(161)의 타측에는 제1 링크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링크부(131)는 제2 가압부(130)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제2 가압부(130)를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제2 조절바(161)의 타측이 하부로 이동하고 조절바 지지부(163)의 제2 조절바(161)의 일측이 상부로 이동한다.
제2 조절바(161)의 일측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 조절바(160) 또한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511)가 레일부(541)를 따라 제2 홈(5412) 및 제3 홈(5413)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동부(511)를 제2 홈(5412) 및 제3 홈(5413)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발판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도 9에는 제2 홈(5412)과 제3 홈(5413)의 구성으로 2단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도시하였지만 레일부(541) 홈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체형이나 키에 따라 다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용변 또는 쾌변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며, 제2 가압부(130)를 양 발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발판부(4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이 길이 방향으로 접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길이 방향으로 상호 대향 되도록 접힐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새로운 형태로 보관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접어서 쾌변을 봐야할 경우에만 양변기의 일측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평소에는 본 발명을 접어서 보관하여 본 발명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접은 후 화장실의 일부 공간에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본 발명의 하부면에 물이 튀거나 묻지 않아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상부 널판부,
110 : 양변기 홈,
120 : 제1 가압부,
121 : 가압부 스프링,
122 : 힌지부,
123 : 걸림부,
130 : 제2 가압부,
131 : 제1 링크부,
140 : 회전공간,
150 : 삽입부,
160 : 제1 조절바,
161 : 제2 조절바,
162 : 제2 링크부,
163 : 조절바 지지부,
200 : 측면 널판부,
300 : 하부 널판부,
400 : 발판부,
410 : 돌출부,
500 : 지지부,
510 : 제1 지지대,
511 : 이동부,
520 : 제2 지지대,
530 : 제3 지지대,
531 : 지지대 스프링,
532 : 가이드부,
533 : 고정부,
534 : 지지대 스프링 홈,
540 : 제1 지지홈,
541 : 레일부,
5411 : 제1 홈,
5412 : 제2 홈,
5413 : 제3 홈,
5414 : 제1 단턱부,
5415 : 제2 단턱부,
550 : 제3 지지홈.
110 : 양변기 홈,
120 : 제1 가압부,
121 : 가압부 스프링,
122 : 힌지부,
123 : 걸림부,
130 : 제2 가압부,
131 : 제1 링크부,
140 : 회전공간,
150 : 삽입부,
160 : 제1 조절바,
161 : 제2 조절바,
162 : 제2 링크부,
163 : 조절바 지지부,
200 : 측면 널판부,
300 : 하부 널판부,
400 : 발판부,
410 : 돌출부,
500 : 지지부,
510 : 제1 지지대,
511 : 이동부,
520 : 제2 지지대,
530 : 제3 지지대,
531 : 지지대 스프링,
532 : 가이드부,
533 : 고정부,
534 : 지지대 스프링 홈,
540 : 제1 지지홈,
541 : 레일부,
5411 : 제1 홈,
5412 : 제2 홈,
5413 : 제3 홈,
5414 : 제1 단턱부,
5415 : 제2 단턱부,
550 : 제3 지지홈.
Claims (7)
- 양변기 앞에 두어 상기 양변기에 걸터앉을 때 상부면에 양 발이 맞닿게 위치하는 쾌변 유도 발판에 있어서,
상기 쾌변 유도 발판은,
상부 널판부;
상기 상부 널판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측면 널판부;
상기 측면 널판부의 타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하부 널판부;
폭 방향으로 상기 상부 널판부와 상기 하부 널판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널판부는,
상기 상부 널판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 지점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발판부가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쾌변 유도 발판은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발판부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일측을 하부를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이 상부를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상부 널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되,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회전공간;
상기 제1 가압부의 일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가압부 스프링; 및
상기 제1 가압부의 타측의 하부에 형성되는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힌지부를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1 가압부를 하부를 향하여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 스프링이 수축하고,
상기 가압부 스프링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 스프링이 이완하므로 상기 제1 가압부가 상부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널판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지지 홈;
상기 하부 널판부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지지 홈;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대;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대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발판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상기 제1 지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지지대의 타측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 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3 지지대의 일측은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의 타단에 하부 발판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지지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대 스프링은 수축하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면서 상기 발판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지지대 스프링은 이완하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대는,
상기 제3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대 스프링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 스프링 홈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인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5771 | 2021-12-23 | ||
KR20210185771 | 2021-1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6780A true KR20230096780A (ko) | 2023-06-30 |
Family
ID=8695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9977A KR20230096780A (ko) | 2021-12-23 | 2022-01-24 |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9678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8198A (ko) | 2011-09-09 | 2013-03-19 | 권지성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
-
2022
- 2022-01-24 KR KR1020220009977A patent/KR2023009678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28198A (ko) | 2011-09-09 | 2013-03-19 | 권지성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123376A1 (en) | Footstool | |
KR200460173Y1 (ko) | 쾌변을 위한 좌변기용 발판 | |
US20100257663A1 (en) | Device for a person to reduce straining during expulsion of fecal matter into a toilet | |
US8317268B2 (en) |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 |
KR20170103606A (ko) | 변기용 발판 | |
US3496579A (en) | Bathtub construction with foot well | |
US5374109A (en) | Three point cross-legged support seat | |
KR200487119Y1 (ko) | 양변기용 발받침대 | |
KR20230096780A (ko) | 앉은 자세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쾌변 유도 발판 | |
KR102147041B1 (ko) |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 |
KR101931238B1 (ko) | 쾌변 유도 변기발판 | |
CN217611768U (zh) | 一种能够预防老年人摔倒的轮椅 | |
KR102400153B1 (ko) | 쾌변 유도형 변기 | |
KR200454354Y1 (ko) | 족욕기로 사용가능한 좌변기용 발판 | |
CN210493934U (zh) | 一种多用途马桶脚凳 | |
KR200494548Y1 (ko) | 양변기용 좌변기 겸용 발받침대 | |
KR101348743B1 (ko)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장치 | |
KR102564886B1 (ko) | 쾌변 유도용 발판 | |
CN214208214U (zh) | 一种卫生间用脚凳 | |
KR200490345Y1 (ko) | 화장실 좌변기용 발판 | |
JP4392648B2 (ja) | シャワー用車椅子 | |
JP3166738U (ja) | 排便を補助する装置 | |
TWM567038U (zh) | Foot block group | |
WO2003016642A1 (en) | Foot elevation system for toilet | |
KR102692214B1 (ko) | 스툴 사용이 가능한 샤워 핸들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