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809B1 -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 Google Patents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809B1
KR101678809B1 KR1020140186286A KR20140186286A KR101678809B1 KR 101678809 B1 KR101678809 B1 KR 101678809B1 KR 1020140186286 A KR1020140186286 A KR 1020140186286A KR 20140186286 A KR20140186286 A KR 20140186286A KR 101678809 B1 KR101678809 B1 KR 101678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hole
lev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339A (ko
Inventor
정재규
신훈
Original Assignee
(주) 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트라 filed Critical (주) 파트라
Priority to KR102014018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0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의자 등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전후방향 좌판의 폭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성장기 아동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의자팔걸이 프레임과,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등판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가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가 끼움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레버에 의해 팔걸이 결합부의 위치가 상단부에 록킹 또는 록킹이 해제되어,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등판부에 의해 등판부의 높이 및 좌판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CHAIR WITH ABILITY OF BACK BOARD POSITION CONTROL}
본 발명은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볼트너트의 체결없이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고, 성장기 아동의 체형에 맞추어 등판부의 높이 및 좌판부의 깊이조절, 등판부의 높이와 좌판부의 깊이 및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취학 아동 및 초등학생 등의 의자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과 경량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좌판, 등판, 팔걸이 등의 각 부품은 장기간 견고성이 유지되도록 볼트너트 또는 스크류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의자는 좌판과 다리 및 등받이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가 많을 뿐 아니라, 이들 부품을 일일이 볼트너트 또는 스크류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시키므로 작업량이 증대되고, 조립에 따른 이음매와 연결부분이 많아 아동이 의자에 앉아 몸을 흔들거나 의자를 다루는 과정에서 그 하중에 의해 부품간 이음매가 벌어지어 유동이 발생되거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변형되어 부품돌출 또는 파손현상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의자 부품간에 유격이 발생되거나 부품이 돌출될 경우, 날카로운 이음새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아동의 신체접촉에 따른 부상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아동의 신체 일측이 유격사이로 끼어드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어린이용 의자는 아동의 체형에 알맞도록 소형의 크기로 좌판 및 등판이 제작되고, 상기 좌판과 등판이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성장기 어린이의 체형이 변하게 될 경우, 신체적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의자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물론, 좌판의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여 의자 좌판의 폭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어린이용 의자도 있으나, 이러한 어린이용 의자는 좌석부의 전후거리는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연소의 아동이 어린이용 의자에 착석하게 될 경우, 아동에게는 좌판의 전후거리가 길기 때문에 의자에 정상적인 자세 즉, 좌판과 등판에 힙과 등을 동시에 지지하며 앉지 못하게 되므로, 의자에 착석하는 것만으로 아동에게 피로감을 주게 될 뿐 아니라, 아동의 자세가 나빠지게 되어, 성장기 아동의 소중한 척추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52324(2014.01.09)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4403(2006.08.14)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109790(2011.10.06)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78063(2014.03.19)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 등판을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전후방향 좌판의 폭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성장기 아동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날카로운 이음매의 외부노출이 없이 또한 볼트너트의 조립에 의하지 않고 끼움방식에 의해 의자를 조립가능하도록 하여, 이음부로 인한 사용자(아동)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과,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의자팔걸이 프레임과,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등판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가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가 끼움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레버에 의해 팔걸이 결합부의 위치가 상단부에 록킹 또는 록킹이 해제되어,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등판부에 의해 등판부의 높이 및 좌판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고 볼트나 너트없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하중의 반복에 따른 부품의 느슨함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성장기 아동의 체형에 맞도록 등판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아동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올바른 자세를 통해 아동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타입의 의자팔걸이 프레임과 고정레버의 압박(압착)에 의해 등판부위 위치가 간단하게 고정되므로, 손쉽게 등판부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풀림방지턱에 의해 고정레버가 한번에 완전히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어, 아동에 의해 풀림현상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급격한 등판부의 이동으로 인한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격방지부가 설치되어 있어, 팔걸이 결합부의 결합홈내로 삽입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의 유격현상이 방지되어 소음발생 및 흔들거림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토퍼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어 있어, 등판부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이를 통해 의자팔걸이 프레임으로부터 등판부가 완전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끼움방식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별도의 공구없이도 또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어도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재비가 절감되고 부품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볼트너트 없이 조립이 이루어지고, 부품절단면 또는 부품 끝단 등과 같은 날카로운 부분이 모두 끼움방식에 의해 부품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므로, 운반 및 보관시 외부노출된 날카로운 부분 및 볼트 및 너트로 인한 스크래치의 발생이 없으며, 아동의 신체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모든 부품이 끼움조립되도록 되어 있어, 각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부품의 부분 파손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판과 연결된 4개의 지지프레임이 개별적으로 승하강되도록 다리부가 구성될 경우, 등판부의 깊이조절과 함께, 앞측 지지프레임의 길이보다 뒷측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더 길게 조절하게 되면, 좌판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위치하게 될 뿐 아니라, 등판부의 위치가 조절되어, 착석자의 허리부담이 줄고, 둔부 및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줄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글라이드홀더와 글라이드커버가 사다리꼴 형상의 나사산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뿐 아니라, 유격발생이 저감되어, 글라이드홀더를 중심으로 글라이드커버의 작동력이 향상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분해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내부구성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풀림방지기능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록킹 해제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등판부의 이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도 10 의 다리부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등판부와 다리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홀타입)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슬릿타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분해조립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관계를 보인 내부구성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풀림방지기능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록킹 해제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등판부의 이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도 10 의 다리부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등판부와 다리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좌판(100)과, 상기 좌판(100)을 지지하는 다리부(400)와, 상기 다리부(400)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의자팔걸이 프레임(200)과,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등판부(300)를 포함하는 의자(500)에 있어서;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가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250)에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340)가 끼움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부(34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레버(320)에 의해 팔걸이 결합부(340)의 위치가 상단부(250)에 록킹 또는 록킹이 해제되어, 상단부(2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등판부(300)에 의해 등판부의 높이 및 좌판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의 밀착홈(210)이 형성된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와, 상기 상단부(250)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프레임캡(220)과, 상기 프레임캡(22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유격방지부(230)와, 상기 프레임캡(220)이 설치된 상단부(250)가 양측 내부로 각각 삽입되고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310)이 형성된 등판부(300)와, 상기 상단부(250)가 삽입된 등판부(30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등판부(300)내로 삽입된 상단부(250)의 밀착홈(210)에 일측이 밀착접촉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에 등판부(300)의 위치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고정레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10) 또는 다리부(400)에 하단부(240)가 일체로 연결설치되고, 상단부(250)가 등판부(300)내로 삽입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250)는 후부방향(B)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하측에 복수의 밀착홈(210)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착홈(21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320)의 일측이 삽입밀착접촉되는 평면밀착부(211)와, 상기 평면밀착부(211)와 소정각도를 구비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밀착부(2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밀착홈(210)은 평면밀착부(211)와 경사밀착부(212)에 의해 사다리꼴 형상을 구비하며,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 하측에 요철형상으로 연속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끝단(251)에 프레임캡(220)이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가이드홈(252) 및 하단가이드홈(2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단 가이드홈(252,253)은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캡(220)은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에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을 따라 복수의 접촉돌기(221)가 형성된 몸체(222)와, 상기 몸체(222)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가이드홈(252)에 끼움결합되는 상단돌기(223)와, 상기 상단돌기(223)와 대칭되도록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하단가이드홈(253)에 끼움결합되는 하단돌기(2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222)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촉돌기(221)가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내로 삽입되는 삽입몸체(225)와, 상기 삽입몸체(225)와 단을 이루고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 끝단이 접촉되는 플랜지몸체(226)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플랜지몸체(226)는 상단돌기(223)와 하단돌기(224)의 끝단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삽입몸체(225)와 단을 이루며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222)에는 상단돌기(223)와 하단돌기(224)를 관통하여 유격방지부(230)가 삽입설치되는 설치홀(2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홀(227)은 상단돌기(223)에 연결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상단설치홀(228)과, 하단돌기에 연결형성된 하단설치홀(229)을 포함하되, 하단설치홀(229)의 직경이 상단설치홀(228) 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캡(220)은 접촉돌기(221)에 의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내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억지끼움된다.
상기 유격방지부(230)는 프레임캡(220)의 설치홀(227)내로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홀(227)의 상단설치홀(228)에 나사결합되는 무두볼트(231)와, 설치홀(227)의 상단설치홀(228) 및 하단설치홀(229)에 걸쳐 위치하도록 설치홀(227)내로 삽입되고 끝단이 프레임캡의 하단설치홀(229)을 관통하여 등판부의 지지홈(310)내로 삽입되는 록킹핀(232)과, 상기 록킹핀(232)과 무두볼트(2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홀(227)의 상단설치홀(228)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스프링(2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록킹핀(232)에는 록킹스프링(233)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스프링플랜지(234)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플랜지(234)에 의해 록킹핀(232)은 설치홀(277)의 하단설치홀(229)을 통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 플랜지(234)는 상단설치홀(228)내로 삽입가능한 직경을 구비하고, 하단설치홀(229)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록킹스프링(233)의 탄력을 록킹핀(232)에 전달하여 록킹핀(232)을 하향이동시키면서 상단설치홀(228)과 하단설치홀(229)의 단차에 접촉되어 하단설치홀(229)을 통한 록킹핀(232)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격방지부(230)는 무드볼트(231)와 록킹핀(2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록킹스프링(233)의 탄력에 의해 록킹핀(232)의 하단이 하단설치홀(229)을 통해, 프레임캡(220)으로부터 돌출되어, 등판부에 형성된 지지홈(310)내로 삽입되게 된다.
상기 등판부(3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330)과, 상기 등판(330)의 양측에 등판(33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가 삽입되는 팔걸이결합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등판(330)은 착석자의 등이 접촉지지되는 부분으로, 직물 또는 쿠션재질의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팔걸이결합부(340)는 도 3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33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캡(220)이 설치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팔걸이결합부에 형성된 결합홀(350)내로 삽입설치된다.
즉, 상기 팔걸이 결합부(340)에는 프레임캡(220)이 설치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삽입되는 결합홀(350)과, 상기 결합홀(350)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레버결합부(360)와, 상기 결합홀(350)과 레버결합부(360)가 연통되도록 관통홀(3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350)은 팔걸이 결합부(340)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삽입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350)에는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유격현상을 방지하는 지지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310)은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이탈이 자유로운 홀타입 지지홀(311) 또는,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접촉되며 이동되는 슬릿타입 지지홀(31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8 은 작동관계에 대한 이해가 용이하도록 지지홈(310)의 형상이 홀타입 지지홀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타입 지지홀(311)은 유격방지부의 록킹핀 하단(235)이 적은 힘에 의해서도 지지홈(310)내로 자유롭게 삽입/이탈이 이루어지도록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350)내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타입 지지홀(312)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방지부의 록킹핀(232)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지홀(3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홀내로 삽입된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협곡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타입 지지홀(312)은 전체적으로 록킹핀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슬릿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록킹핀의 측면(스프링 플랜지와 록킹핀 하단 사이부분)이 접촉되도록 양측 및 중간부분에 파형으로 협곡부(314)가 홈내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정지지홀(313)내로 삽입된 록킹핀(232)이 협곡부(314)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릿타입 지지홀(312)은 등판부를 이동시킬 시, 록킹핀(232)이 록킹스프링(233)을 압축하며 상하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록킹스프링(233)에 의해 록킹핀(232)이 슬릿타입 지지홀(312)내로 삽입된 상태를 구비하면서, 등판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록킹핀(232)이 슬릿타입 지지홀(312)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350)내에는 의자팔걸이 프레임 상단부(250)의 삽입시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돌기(35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결합부(360)는 결합홀 하측 즉, 팔걸이 결합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된 제1돌출결합부(361)와, 상기 제1돌출결합부(361)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홀 하측 즉, 팔걸이 결합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된 제2돌출결합부(362)와, 상기 제1,2돌출결합부(361,362)의 후측방향(B)에 위치하도록 결합홀(350) 하측에 형성되는 레버삽입홈(363)을 포함한다.
상기 제1,2돌출결합부(361,362)는 힌지(380)에 의해 고정레버(320) 일측이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제1돌출결합부(361)에는 힌지(380)의 삽입을 위한 삽입관통홀(3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돌출결합부(362)에는 회전지지홈(365)이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결합부(360)는 제1,2돌출결합부(361,362)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고정레버(32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턱(367)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턱(367)은 아동의 힘에 의해 고정레버(320)가 한번에 풀림되어 등판부가 급격하게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2돌출결합부(361,362)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풀림방지턱(367)은 고정레버(320)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는 경사걸림턱(368)을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버삽입홈(363)은 고정레버에 의한 등판부의 고정시, 고정레버(320)가 삽입되는 곳으로, 고정레버(320)가 삽입되어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구비하며, 팔걸이 결합부(340)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레버(320)는 레버몸체(321)와, 상기 레버몸체(321)의 선단방향(F)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힌지(380)가 삽입결합되는 힌지홀(322)이 형성된 힌지블록(323)과, 상기 힌지블록(323) 일측에 돌출되고 끝단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밀착홈(210)내로 밀착접촉되는 밀착블록(324)과, 상기 힌지블록(323) 또는 밀착블록(324) 일측에서 선단방향(F)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325)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몸체(321)는 힌지(38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레버결합부(360)의 레버삽입홈(363)내로 삽입된다. 즉, 상기 레버삽입홈(363)내로 삽입된 레버몸체(321)는 팔걸이 결합부의 하측면과 평탄하게 유지되도록 삽입설치된다.
상기 힌지블록(323)은 레버몸체(321)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버결합부의 제1,2돌출결합부(361,362) 사이로 삽입설치되어, 힌지(380)에 의해 연결설치된다.
상기 밀착블록(324)은 힌지블록(323)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팔걸이 결합부(340)에 형성된 관통홀(370)을 통해 결합홀(350)내로 삽입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밀착홈(210)에 밀착면(326)이 밀착접촉된다. 이때, 상기 밀착면(326)은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레버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레버(320)는 내부로 삽입된 힌지(3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치형 푸시너트(327)가 더 삽입설치되며, 상기 푸시너트(327)는 고정레버 밀착블록의 밀착면(326)에서 힌지홀(322)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푸시너트홀(328)을 통해 고정레버(320)내로 삽입설치되어, 힌지홀(322)내로 삽입되는 힌지(380)와 고정레버(320)내에서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힌지(38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결합부의 제1돌출결합부(361)에 형성된 삽입관통홀(361a), 고정레버 힌지블록의 일측 힌지홀(322a), 너트홀내로 삽입되는 푸시너트(327), 힌지결합부의 타측 힌지홀(322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돌출결합부에 형성된 회전지지홀(365)내로 끝단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레버(320)를 팔걸이 결합부(340)에 연결설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 결합부(340)의 결합홈(350)에 형성된 지지홈(310)이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의 삽입/이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홀타입으로 이루어질 경우, 팔걸이 결합부(340)에는 등판부(3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플레이트(39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390)는 팔걸이 결합부(340)의 하측 즉, 레버결합부(360)의 후측방향(B)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스토퍼홀(341)내로 끼움설치되는 것으로, 스토퍼홀(341)내로 삽입되는 스토퍼지지판(391)과, 상기 스토퍼지지판(391)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결합홀내로 삽입되는 선단끼움스토퍼(392)와, 상기 선단끼움스토퍼(39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스토퍼플레이트(391)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후단끼움스토퍼(393)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홀(341)은 지지홈(3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390)는 스토퍼홀내에 형성된 선단끼움홀(342) 및 후단끼움홀(343)내로 선단끼움스토퍼(392)와 후단끼움스토퍼(393)가 각각 끼움결합되어 팔걸이 결합부(340)에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조립된 스토퍼 플레이트(390)는 결합홀(350)내로 선단끼움스토퍼(392) 및 후단끼움스토퍼(393)가 돌출되어 등판부(3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즉,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끼움결합된 등판부(300)는 록킹핀(232)의 일측이 결합홀(350)내로 돌출되도록 끼움설치된 스토퍼 플레이트(390)의 선단끼움스토퍼(392)와 후단끼움스토퍼(393)에 접촉되게 되므로, 상단부(250)를 중심으로 등판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될 시, 등판부(300)는 스토퍼 플레이트(390)의 선단끼움스토퍼(392)와 후단끼움스토퍼(393) 사이에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를 따라 이동되게 된다.
상기 다리부(400)는 좌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좌판을 지지하도록 일체로 형성 및 조립되거나, 좌판의 중앙하부에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중앙승하강부가 설치되어 좌판을 승하강시키도록 설치되거나, 좌판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4개의 지지프레임이 개별승하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리부(400)는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을 승하강시키는 중앙작동부(411)와, 상기 중앙작동부(411)의 하측에 연결설치되고 복수의 캐스터(413)가 연결설치된 지지다리(4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작동부(411)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압실린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400)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는 4개의 지지프레임(421)과,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 하단이 끼움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422)이 형성된 글라이드홀더(423)와, 상기 글라이드홀더(423)의 나사산(422)이 결합되는 내측나사산(424)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이 삽입관통되는 글라이드 커버(425)와, 상기 글라이드 커버(425)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글라이드(42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글라이드홀더(423)는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지지프레임의 하단이 억지끼움되는 끼움홈(4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나사산(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글라이드 커버(425)는 상단으로 지지프레임(421)이 삽입되고, 하단으로 글라이드(426)가 삽입설치되며, 내부면에 글라이드홀더의 사다리꼴 형상 나사산(422)이 결합되는 내측나사산(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리부(400)는 지지프레임(421)을 중심으로 글라이드 커버(425)가 회전하게 되면, 지지프레임(421)에 설치된 글라이드홀더(423)를 중심으로 글라이드 커버(425)가 회전되어 지지프레임(421)을 중심으로 그라이드 커버(425) 및 글라이드(426)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버부의 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500)는, 프레임캡(220) 및 유격방지부(230)가 설치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등판부 팔걸이 결합부의 결합홈(350)내로 삽입되고, 힌지(380)를 중심으로 고정레버(320)를 팔걸이 결합부(34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레버 밀착블록의 밀착면(326)이 의자팔걸이 프레임 밀착홈의 평면밀착부(211)를 압박하면서 밀착접촉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에 등판부(300)의 위치가 고정되게 조립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캡(220)에 설치된 유격방지부(230)는 록킹스프링(233)의 탄력에 의해 록킹핀(232)이 하단설치홀(229)을 관통하여 복수의 지지홈 중, 일측 지지홈내로 삽입되어 결합홈(350)내에서 의자팔걸이 프레임 상단부의 흔들림 즉, 유격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500)의 등판부(300)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80)를 중심으로 고정레버(320)를 다리부(40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밀착홈(210)으로부터 고정레버의 밀착블록(324)이 이격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므로 등판부(300)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며, 이와 같이 등판부(300)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등판부(300)를 선단방향(F) 또는 후단방향(B)으로 이동시키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를 따라 등판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등판의 깊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지지홈(310)이 홀타입 지지홀(311)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유격방지부(230)는 등판부(300)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록킹핀(232)이 록킹스프링(233)을 압축하며 설치홀(227)내로 삽입되게 되므로, 지지홈(310)으로부터 록킹핀(232)이 분리(이탈)되어 등판부(30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즉, 상기 유격방지부(230)는 등판부(300)의 이동에 따라 록킹스프링의 탄력 및 압축에 의해 홀타입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홈내로 삽입 또는 이탈(분리)되어, 등판부(300)가 단계별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340)에 스토퍼 플레이트(390)가 더 설치될 경우,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390)는 프레임캡(220) 및 유격방지부(230)가 설치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등판부의 결합홀(350)내로 삽입된 후, 스토퍼홀(341)을 통해 스토퍼 플레이트(390)를 끼움설치하게 되면, 스토퍼 플레이트의 선단끼움스토퍼(392)와 후단끼움스토퍼(393)가 결합홀(350)내로 소정높이를 구비하며 돌출되게 된다. 즉, 상기 선/후단끼움스토퍼(392,393)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350)내로 삽입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와 결합홀(350) 내면 사이공간(G)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340)에 스토퍼 플레이트(390)가 더 설치되어 있을 경우, 결합홀(350)내로 스토퍼 플레이트의 선단끼움스토퍼(392)와 후단끼움스토퍼(393)가 돌출되게 되므로, 록킹스프링(233)을 압축하며 이동되는 록킹핀(232)이 선단끼움스토퍼(392) 또는 후단끼움스토퍼(393)에 접촉 및 걸리게 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로부터 등판부(30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록킹핀(232)은 록킹스프링(233)을 압축하며 설치홀(227)내로 이동되더라도, 록킹핀의 하단(235)은 프레임캡(22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즉,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와 결합홀(350) 내면 사이공간(G)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록킹스프링(233)을 압축하며 설입홀(227)내로 록킹핀(232)이 최대 상승하더라도 록킹핀 하단(235)은 지지홈(310)을 벗어나지만 결합홈(350)내에 돌출되도록 조립된 선단끼움스토퍼(392) 및 후단끼움스토퍼(393)에 접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310)이 슬릿타입 지지홀(312)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등판부(300)를 이동시키는 힘에 의해 록킹핀(232)이 슬릿타입 지지홀(310)의 협곡부에 접촉되면서 협곡부를 통과하여 이동되고, 또다른 협곡부를 통해 고정지지홀내로 삽입되어, 고정지지홀내에 록킹핀이 안착되게 되므로, 등판부(300)가 단계별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등판부(300)를 필요로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힌지(380)를 중심으로 고정레버(320)를 다시 팔걸이 결합부(340)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레버의 밀착블록(324)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밀착홈(210)내로 삽입되어, 밀착블록의 밀착면(326)이 밀착홈의 평면밀착부(211)에 밀착접촉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에 등판부(300)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결합부(360)에 풀림방지턱(367)이 더 형성되어 있어, 힌지(380)를 중심으로 고정레버(320)를 다리부(400)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의 걸림돌기(325)가 풀림방지턱의 경사걸림턱(368)에 접촉되어, 고정레버(320)의 회전이 1차적으로 정지되게 되므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로부터 등판부(300)의 완전한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고정레버의 밀착블록(324)이 밀착홈(210)에 접촉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레버의 걸림돌기(325)가 경사걸림턱(368)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레버(320)에 소정의 힘을 더 가하게 되면, 고정레버의 걸림돌기(325)가 풀림방지턱의 경사걸림턱(368)을 타고 넘어가 밀착블록(324)과 밀착홈(210)의 접촉이 완전히 해제되어 등판부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아동의 힘으로 고정레버(320)가 완전히 회전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으로부터 등판부의 급격한 이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를 따라 등판부(30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등판부(300)의 높이 및 등판부의 이동에 따른 좌판부의 깊이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과 연결된 지지프레임이 개별적으로 승하강되도록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좌판의 뒷부분에 위치한 2개의 지지프레임(이하 '뒷측 지지프레임'이라 칭함)에 연결된 글라이드 커버를 각각 회전시키게 되면, 뒷측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글라이드홀더를 중심으로 글라이드 커버가 회전되어 지지프레임을 중심으로 글라이드커버가 승하강하게 되어, 뒷측 지지프레임의 다리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즉,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측 지지프레임의 다리길이를 앞측 지지프레임의 다리길이 보다 더 길게 조절할 경우, 좌판의 앞부분보다 뒷부분이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부담이 줄고, 둔부 및 허벅지에 가해지는 압박감이 줄어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좌판의 경사각 조절은 사용자의 학습집중력을 높이는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0) : 좌판 (110) : 좌판프레임
(200) : 의자팔걸이 프레임 (210) : 밀착홈
(211) : 평면밀착부 (212) : 경사밀착부
(220) : 프레임캡 (221) : 접촉돌기
(222) : 몸체 (223) : 상단돌기
(224) : 하단돌기 (225) : 삽입몸체
(226) : 플랜지몸체 (227) : 설치홀
(228): 상단설치홀 (229): 하단설치홀
(230) : 유격방지부 (231) : 무두볼트
(232) : 록킹핀 (233) : 록킹스프링
(234) : 스프링 플랜지 (235) : 록킹핀 하단
(240) : 하단부 (250) : 상단부
(251) : 상단부 끝단 (252) : 상단가이드홈
(253) : 하단가이드홈 (300) : 등판부
(310) : 지지홈 (311) : 홀타입 지지홈
(312) : 슬릿타입 지지홀 (313) : 고정지지홀
(314) : 협곡부 (320) : 고정레버
(321) : 레버몸체 (322) : 힌지홀
(323) : 힌지블록 (324) : 밀착블록
(325) : 걸림돌기 (326) : 밀착면
(327) : 내치형 푸시너트 (328) : 푸시너트홀
(330) : 등판 (340) : 팔걸이 결합부
(341) : 스토퍼홀 (342) : 선단끼움홀
(343) : 후단끼움홀 (350) : 결합홈
(351) : 가이드돌기 (360) : 레버결합부
(361) : 제1돌출결합부 (361a): 삽입관통홀
(362) : 제2돌출결합부 (362a): 회전지지홀
(363) : 레버삽입홈 (364) : 삽입관통홀
(365) : 회전지지홈 (366) : 내측면
(367) : 풀림방지턱 (368) : 풀림방지 경사턱
(370) : 관통홀 (380) : 힌지
(390) : 스토퍼 플레이트 (391) : 스토퍼지지핀
(392) : 선단끼움 스토퍼 (393) : 후단끼움 스토퍼
(400) : 다리부 (500) : 의자

Claims (16)

  1. 좌판(100)과, 상기 좌판(100)을 지지하는 다리부(400)와, 상기 다리부(400)에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의자팔걸이 프레임(200)과, 상기 의자팔걸이 프레임에 연결설치되는 등판부(300)를 포함하는 의자(500)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300)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330)과, 상기 등판(330)의 양측에 등판(33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이 삽입되는 팔걸이 결합부(340)를 포함하되,
    상기 팔걸이 결합부(340)에는, 프레임캡이 설치된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가 삽입되는 결합홀(350)과, 상기 결합홀(350)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레버결합부(360)와, 상기 결합홀(350)과 레버결합부(360)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관통홀(370)과, 등판부(30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플레이트(390)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390)는, 팔걸이 결합부(340)의 하측에 형성된 스토퍼홀(341)내로 삽입되는 스토퍼지지판(391)과, 상기 스토퍼지지판(39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결합홀내로 돌출되도록 끼움설치되는 선단끼움스토퍼(392)와, 상기 선단끼움스토퍼(39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스토퍼플레이트(391)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결합홀내로 돌출되도록 끼움설치되는 후단끼움스토퍼(39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가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250)에 등판부의 팔걸이 결합부(340)가 끼움결합되며, 팔걸이 결합부(34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레버(320)에 의해 팔걸이 결합부(340)의 위치가 상단부(250)에 록킹 또는 록킹이 해제되어, 상단부(2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등판부(300)에 의해 등판부의 높이 및 좌판의 깊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후측방향(B)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의 밀착홈(210)이 형성된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의 상단부(250)와, 상기 상단부(250)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프레임캡(220)과, 상기 프레임캡(22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유격방지부(230)와, 상기 프레임캡(220)이 설치된 상단부(250)가 양측 내부로 각각 삽입되고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310)이 형성된 등판부(300)와, 상기 상단부(250)가 삽입된 등판부(300)의 양측에 힌지결합되고 등판부(300)내로 삽입된 상단부(250)의 밀착홈(210)에 일측이 밀착접촉되어 의자팔걸이 프레임(200)에 등판부(300)의 위치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고정레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3. 청구항 2 에 있어서;
    프레임캡(220)은, 복수의 접촉돌기(221)가 형성된 몸체(222)와, 상기 몸체(222)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가이드홈(252)에 끼움결합되는 상단돌기(223)와, 상기 상단돌기(223)와 대칭되도록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하단가이드홈(253)에 끼움결합되는 하단돌기(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4. 청구항 3 에 있어서;
    몸체(222)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접촉돌기(221)가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내로 삽입되는 삽입몸체(225)와, 상기 삽입몸체(225)와 단을 이루고 형성되고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상단부(250) 끝단이 접촉되는 플랜지몸체(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5. 청구항 2 에 있어서;
    밀착홈(210)은, 고정레버(320)의 일측이 삽입밀착접촉되는 평면밀착부(211)와, 상기 평면밀착부(211)와 소정각도를 구비하며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밀착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유격방지부(230)는, 프레임캡에 형성된 설치홀(227)의 상단설치홀(228)에 나사결합되는 무두볼트(231)와, 설치홀(227)내로 삽입되어 끝단이 프레임캡의 하단설치홀(229)을 관통하여 등판부의 지지홈(310)내로 삽입되는 록킹핀(232)과, 상기 록킹핀(232)과 무두볼트(2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홀(227)내로 삽입설치되는 록킹스프링(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지지홈(310)은,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이탈이 자유로운 홀타입 지지홀(311) 또는, 유격방지부(230)의 일측이 삽입되어 접촉되며 이동되는 슬릿타입 지지홀(312)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슬릿타입 지지홀(312)은 유격방지부의 록킹핀(232)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지지홀(3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지지홀내로 삽입된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협곡부(3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9. 삭제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레버결합부(360)는, 팔걸이 결합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된 제1돌출결합부(361)와, 상기 제1돌출결합부(361)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팔걸이 결합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된 제2돌출결합부(362)와, 상기 제1,2돌출결합부(361,362)의 후측방향(B)에 위치하도록 결합홀(350) 하측에 형성되는 레버삽입홈(3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레버결합부(360)는, 제1,2돌출결합부(361,362)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고정레버(32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턱(367)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12. 삭제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고정레버(320)는 레버몸체(321)와, 상기 레버몸체(321)의 선단방향(F)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힌지(380)가 삽입결합되는 힌지홀(322)이 형성된 힌지블록(323)과, 상기 힌지블록(323) 일측에 돌출되고 끝단이 의자팔걸이 프레임의 밀착홈(210)내로 밀착접촉되는 밀착블록(324)과, 상기 힌지블록(323) 또는 밀착블록(324) 일측에서 선단방향(F)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고정레버(320)에는 내부로 삽입된 힌지(380)의 이탈방지를 위한 내치형 푸시너트(327)가 더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다리부(400)는, 좌판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는 4개의 지지프레임(421)과, 상기 각각의 지지프레임 하단이 끼움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422)이 형성된 글라이드홀더(423)와, 상기 글라이드홀더(423)의 나사산(422)이 결합되는 내측나사산(424)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이 삽입관통되는 글라이드 커버(425)와, 상기 글라이드 커버(425)의 하단에 끼움결합되어 바닥면에 접촉지지되는 글라이드(4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16. 청구항 15 에 있어서;
    글라이드홀더(423)는,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지지프레임의 하단이 억지끼움되는 끼움홈(427)이 형성되고, 외부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나사산(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글라이드 커버(425)는 상단으로 지지프레임(421)이 삽입되고, 하단으로 글라이드(426)가 삽입설치되며, 내부면에 글라이드홀더의 나사산(422)이 결합되는 내측나사산(4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20140186286A 2014-12-22 2014-12-22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67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86A KR101678809B1 (ko) 2014-12-22 2014-12-22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286A KR101678809B1 (ko) 2014-12-22 2014-12-22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39A KR20160077339A (ko) 2016-07-04
KR101678809B1 true KR101678809B1 (ko) 2016-11-24

Family

ID=5650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286A KR101678809B1 (ko) 2014-12-22 2014-12-22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99B1 (ko) 2021-02-05 2021-07-27 (주) 파트라 등판과 팔걸이가 동시에 경사 이동되는 의자
KR102366832B1 (ko)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등판 높이 조절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0882A (zh) * 2018-09-26 2018-12-28 唐哲敏 一种便携式椅子扶手
KR102283655B1 (ko) * 2018-11-25 2021-07-30 박승규 조립식 가구
KR102161678B1 (ko) * 2018-12-24 2020-10-06 주식회사 시디즈 유아용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5390A1 (en) * 2000-03-01 2002-01-17 Derocher Jeffrey Alan Dive equipment washing, drying, and storage rack
KR200314499Y1 (ko) *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403Y1 (ko) 2006-04-05 2006-08-25 구기선 등받이 조절 및 볼바퀴가 달린 의자
KR20110109790A (ko) 2010-03-27 2011-10-06 쉰지애 루 등받이가 앞뒤로 이동하는 의자 및 상기 의자에 사용되는 회전장치
KR101352324B1 (ko) 2012-04-09 2014-01-16 박영호 이동 등받이 의자
KR101378063B1 (ko) 2013-03-07 2014-03-27 (주) 파트라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05390A1 (en) * 2000-03-01 2002-01-17 Derocher Jeffrey Alan Dive equipment washing, drying, and storage rack
KR200314499Y1 (ko) * 2003-03-07 2003-05-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99B1 (ko) 2021-02-05 2021-07-27 (주) 파트라 등판과 팔걸이가 동시에 경사 이동되는 의자
KR102366832B1 (ko)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등판 높이 조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39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809B1 (ko)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86265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8960788B2 (en) Groove system for adjustable chair
US9763520B1 (en) Reclinable office chair
JPH10272031A (ja) 椅子の座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座を備えた椅子
US7416251B2 (en) Chair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US2973031A (en) Cast base for chair seats
KR100977928B1 (ko) 체결 브래킷
JPS626441B2 (ko)
JP2010194083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170086976A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476621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2282299B1 (ko) 등판과 팔걸이가 동시에 경사 이동되는 의자
KR102276564B1 (ko) 착석 유동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자
US967665A (en) Reclining-chair.
JP2008132297A (ja) 椅子
US8220871B2 (en) Reclining group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111580B1 (ko) 의자등받이용 체결장치
JP6748429B2 (ja) 椅子
JP3219007U (ja) 椅子
JP7383763B2 (ja) 椅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