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324B1 - 이동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이동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324B1
KR101352324B1 KR1020120037031A KR20120037031A KR101352324B1 KR 101352324 B1 KR101352324 B1 KR 101352324B1 KR 1020120037031 A KR1020120037031 A KR 1020120037031A KR 20120037031 A KR20120037031 A KR 20120037031A KR 101352324 B1 KR101352324 B1 KR 101352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hair
backrest
mover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545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2003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324B1/ko
Priority to PCT/KR2013/002960 priority patent/WO2013154330A1/ko
Publication of KR2013011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bstract

좌판 또는 의자 프레임에 고정되며 좌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의자 좌판의 측면에 위치한 지지대에, 의자의 양측 앞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등받이 의자에 대한 것이다.
상기 등받이 의자는 이동자에 결합하여 이동자의 이동을 고정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좌우 양측의 브레이크 작용을 연동하는 브레이크 연동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등받이 의자{Chair With Moving Backrest}
본 발명은 등받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한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 가능한 등받이의 가이드가 좌판의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에 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특히 20-2006-0008977나 10-2001-0039299과 같이 좌판의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의 연장부에 결합하는 등받이를 포함한 형상을 가진 의자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다. 좌측 도면은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고 소45-20210(출원일 1966.7.23)을, 중간은 국내 10-2001-0039299을, 우측은 국내 20-2006-0008977을 나타낸다.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 중 작업대 등을 앞에 두고 작업을 하는 사용자의 경우에 특히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엉덩이를 의자의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럴 경우 앞으로 숙여지거나 전진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등쿠션을 사용하거나,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고 소45-20210(출원일 1966.7.23)에서 보듯이 등받이를 앞으로 전진시키거나, 10-2001-0039299와 같이 등받이를 전진하도록 하거나, 20-2006-0008977와 같이하여 등받이를 전후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소45-20210은 등받이 지지대를 수평으로 한 것 JPY_1956019773(1955년)에서부터 발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소45-20210를 거쳐 등받이가 좌판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후 출원들은 등받이의 좌판부분을 C자형으로 굽히는 것이 제시되었으며 근래 들어 등받이의 충분한 전진을 위하여 가이드레일을 좌판의 측면에 설치하는 방법이 제시 되었다.
소45-20210과 같이 등받이 지지대를 경사지게 한 아이디어는 국내출원 10-2001-0039299에서 지지대를 좌판의 측면 상방에 구성함으로써 발전시켰으며, 이 아이디어는 이후 기본 형상은 완전히 유지한 채 구체적 구성만 달리한 출원을 유발했다(10-2003-0014368).
이러한 아이디어는 20-2006-0008977에서 지지대의 상방을 팔걸이와 결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모습을 제시하였다.
등받이 지지대를 수평으로 한 것(JPY_1956019773)에서 경사지게 한 것(소45-20210)이나, 10-2001-0039299와 같이 한 것, 20-2006-0008977과 같이 한 것을 보면 자명한 생각인 것 같고 용이한 생각인 것 같지만 이와 같은 모든 과정은 결과를 알았기 때문이지, 그 과정 하나하나가 나타나기까지 수년 또는 수십 년의 시간이 걸릴 정도였으므로 쉽게 용이하다고 하는 것은 경솔한 생각일 것이다.
흔히 접하여 익숙해진 대상에 대해서는 사람들은 실제로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것 같이 인식하게 되고, 그러한 대상은 그에 대한 고정관념이 더 강하여 간단한 아이디어라도 발상의 전환을 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오히려 그러한 대상에 일단 새로운 아이디어가 제시되면 쉽게 용이하다고 격하하기 쉽다.
이러한 태도는 늘상 남과의 경쟁만을 강조해온 잘못된 교육이 기른 시기와 질투 탓이고, 늘상 해답을 아는 교육만을 누가누가 잘하느냐에 목 매달은 잘못된 교육이 낳은 병폐라 할 수 있다.
대개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드물어서 공부를 잘하는 것조차 선망의 대상이 되지만, 약간의 재능을 가진 사람에게 있어서 이미 해답이 다 알려진 남의 지식을 아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일 뿐이다.
그럼에도, 대개의 사람들은 그조차 어렵게 어렵게 억지로 공부하는 탓에 어렵거나 복잡하거나 익숙하지 않으면 고도한 것인 줄 알고 대단하게 생각하고, 쉽게 이해하면 당연하다 격하하는 잘못된 습성을 가지게 된다.
좌석에 앉을 때 깊숙이 앉아서 등받이에 짝 달라붙는 것이 바른 자세라고들 한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는 이루기 어려운 일이다. 사람은 목석이 아니어서 책상 등을 앞에 두고 작업을 할 때는 수시로 작업자의 자세를 앞뒤로 기울이게 된다. 그러면 신체는 등받이에서 이격하게 되어 작업에 집중할수록 등받이의 지지를 받는 시간이 더욱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고 그것이 누적되면 쉽게 피로해지고 척추에 무리가 가게 된다.
특히 남성의 경우 의자에 깊숙이 앉은 채 자세를 앞으로 기울이게 되면 고환이 압박되어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앞으로 기울인 자세는 내장기관이 눌리게 되어 소화에도 좋지 않음은 물론이고 압박을 받는 그 자세는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정신을 집중시켜 작업을 할 때는 무의식적으로 엉덩이를 최대한 의자의 앞으로 이동하여 의자의 끝에 살짝 걸친 채, 척추를 바로 세우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이런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근육의 긴장으로 곧 피로해지게 된다.
인용의 몇몇 도면과 본 발명의 도면에서 의자를 바퀴 있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작업대에서 자주 이탈하거나 자주 이동할 필요가 있는 작업을 하거나 하지 않는 한, 바퀴 없는 의자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정신의 집중에 더 나으며, 그러한 경우에 본 발명과 같은 발명은 그 효용성이 더욱 발휘될 것이다.
본인은 굴러다니는 의자를 몹시도 싫어하여 바퀴 없는 의자를 사용하며 늘 이놈의 등받이를 잡아당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왔다. 그러한 생각에 기어이 등받이를 당기겠다는 방법의 구상을 70년대부터 해왔다.
등받이의 이동은 그 이동의 방법이 도 1의 선행발명에서 보인 바와 같이 주사기의 실린더 안을 이동하는 피스톤과 같은 식이 많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길이의 중첩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이동의 길이가 전체 길이의 1/2를 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변동범위의 제한을 피하기 위하여 실린더 외주면을 따라가는 고리에 등받이를 결합시킨 간단한 언급도 있었다.
종래의 모든 시도들은 등받이의 이동에 대한 방법에 집중하여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그런데 필자는 이와 같은 사고를 해온 이래 가장 관심을 가진 것은 의자의 끝에 걸터앉을 때에도 등받이가 지지해 주는 것과 이의 고정방법과 이를 편리하게 하는 것에 대한 고민이었다.
뒤늦게 비로소 시간이 나고, 발달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 실험을 할 수 있게 된 시대가 되어 여러 방법을 모델링하고 출원에 의해 여러 번의 선행 기술을 거의 다 찾아본 결과, 종래의 모든 시도들의 고정방법으로는 이동하는 관을 관통하는 나사를 돌려서 내통에 압착하는 방법이나, 내외통을 관통하는 구멍에 핀을 끼워 고정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이러한 고정에 있어서 좌우의 비틀림을 막기 위해서 좌우 양쪽에 동등한 고정장치를 구성하도록 하거나 그러한 비틀림에 대한 고민은 포기하고 그냥 한쪽에만 고정장치를 구성하거나 하였다.
이러한 모든 시도는 고정의 효과를 확실히 줄 수 있는 것이기는 하나 사용에 있어서는 매우 불편한 방법이다. 핀 구멍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걸림 턱을 사용하여 걸림 턱의 함정에 빠지게 하는 등의 방법은 연속적이지도 않고 무엇보다 그것의 작동에서 걸리고 떨어지는 데에 필연적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연구와 학습을 위해 체력을 많이 소모하여 정신이 날카로워진 연구자, 학습자에게는 매우 신경을 건드리는 일이 된다.
본 발명은 등받이의 충분한 이동과 착석자의 지지에도 등받이가 비틀림 없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고정하는, 손쉽게 작용하는 고정장치에 대한 해결책이다.
좌판 또는 의자 프레임에 고정되며 좌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의자 좌판의 측면에 위치한 지지대에, 의자의 측면 앞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포함하는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이동자를 고정하는 브레이크장치는 이동자에 결합하여 같이 이동하며; 브레이크장치는 좌우 양측의 브레이크 작용을 연동할 수 있도록 유연선과 같은 것인 연동자를 포함하게 하여 한쪽 브레이크의 작동이 다른 쪽 브레이크도 같이 작동하게 함으로써, 작동이 편리하게 하고, 좌우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이때, 연동자는 한쪽 브레이크작용이 다른 쪽 브레이크작용과 연동하도록 등받이를 돌아서 좌우 연결편을 연결한다.
상기 이동자(21)는 하부에 천공구멍을 마련하고 이 구멍에 회동하도록 연결편(23)을 결합한다. 연결편의 일단인 하단에는 브레이크레버(8)가 결합하여 고정되며; 연결편의 타단인 상단에는 좌우 브레이크작용을 연동하는 연동자(9)의 일단을 파지하며;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이 이동자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작동함과 함께, 브레이크레버에 결합한 연결편(23)에 결합한 연동자(9)의 작용으로 타측 브레이크장치가 연동하게 한다.
가이드레일의 하면을 길게 천공하고 이동자(21)가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하게 하며; 이동자에 결합하고 하면으로 돌출한 연결편(23)이 이 천공 구멍을 이동하는 공간으로 쓰게 된다. 이때 이동자(21)에 결합한 등받이에 하방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가이드레일(10)과 결합한 이동자(21)가 가이드레일(10) 하면에 형성한 긴 천공구멍이 벌어져서 이탈하려는 힘을 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편(20)를 구성한다. 가이드편은 브레이크레버(8)의 작동을 받아 이동자(21)를 고정부위에 밀착, 압착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좌우 브레이크작동을 연동하는 연동자(9)는 신축하지 않는 유연선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선의 구조상 압축력보다 인장력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좌우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혼동이 없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 연동자(9)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삭제
상기한 브레이크장치는 이동자(21)에 결합하는 연결편(23)과; 브레이크레버(8)의 작동은 캠의 작용에 의해 연결편(23)에 결합하는 가동편(22) 또는 가이드편(20)을 고정부분에 밀착하도록 하여 고정력을 얻게 된다.
의자의 전후로 이동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좌우 비틀림 없도록 지지하면서도 손쉽게 작용하는 고정장치에 의하여 착석자는 등받이의 충분한 지지를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연구자나, 학습자, 작업자의 피로가 감소되거나 지연되고 학습과 연구, 작업에 정신을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아울러 지지를 받지 못하여 잘못된 자세를 가지게 되어 척추만곡이나 장애를 유발하게 되는 불행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기의 잘못된 자세로 인한 영구적 척추장애를 미연에 예방하게 된다.
도 1 : 종래 기술의 발전상을 나타낸 것.
도 2 : 가이드레일과 길이중첩 이동자의 예
도 3 : 가이드레일과 길이중첩 이동자의 분해도
도 6 : 가이드레일과 고정길이중첩 이동자의 예
도 7 : 가이드레일과 고정길이중첩 이동자의 분해도
도 2와 그 분해도인 도 3에서 이동 등받이(1)에 결합된 등받이대(24)가 좌우로 연장되어 이동자(21)에 결합하고, 상기 이동자(21)는 가이드레일(10)에 길이방향으로 중첩 결합하여 중첩의 길이변화에 의해 등받이가 전후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좌우의 이동자(21)는 연장되어 등받이대(24)에 직결되어 있으나 이는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 하기 위한 것으로 따로 분리할 수도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좌판(15) 또는 의자의 고정된 프레임에 고정되고 좌판의 상부로 연장된 지지대(26)에 좌판의 앞뒤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26)는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지지대의 상부는 좌판의 앞뒤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팔걸이의 용도로 쓸 수도 있다.
등받이(1)를 고정하는 브래킷(24)은 등받이와 탄성적으로 구성하는 일반적 방법을 채용할 수 있으며 또한 등받이대(24)를 축으로 회동가능하다. 등받이의 회동은 등받이의 회동에 저항하는 탄성체(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등)에 지지받게 하여 착석자의 기울임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등받이 이동에 관여하는 가이드레일(10)과 이동자(21)의 길이 중첩은 실린더와 피스톤과 같은 작동이어서 길이의 중첩은 전체 좌판 길이의 반을 넘기가 어렵다.
가이드레일(10)의 하단은 앞뒤로 길게 뚫려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중첩되어 이동한 등받이의 위치고정은 고정장치인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한다.
브레이크레버(8)에 연결편(23)이 결합하여 브레이크레버의 작동회전을 추종하게 한다. 연결편(23)의 축 상에 이동자 가이드편(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연결편(23)의 축은 이동자(21) 상에 뚫린 구멍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연결편(23)의 축 상에 이동자(21)의 내부에서 가동편(22)이 연결편(23)과 나사결합하여, 이동자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레버가 회전할 때 가동편(22)은 이동자를 고정부분인 고정된 가이드레일에 밀착, 압착하여 이동자(21)를 고정하게 한다. 여기서 고정부분이란 이동자와 결합되어 이동하는 부분들의 이동에 대해서 이동하지 않는 부분을 통칭한다.
연결편(23)의 축 상에 결합하는 이동자 가이드편(20)도 자연히 밀착하게 되지만 나사결합하게 하고 가동편(22)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나사의 방향을 구성하면 브레이크의 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가이드편(20)은 상면이 가이드레일(10) 하부에 뚫린 틈에 결합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레일에 따라 이동하며, 브레이크레버(8)의 작동에 의해 고정작용이 일어날 때 고정면과의 효과적인 접촉을 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가이드레일 하부에 뚫린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가이드레일(10)과 가이드편(20)에 골과 그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하여 그에 따라 이동하게 할 수도 있으며; 보다 간단하게는 가이드레일(10)이 벌어지지 않게 가이드레일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의 고정력은 가동편(22), 가이드편(20)이 접촉하는 접촉면의 거칠기를 조절하거나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조절할 수 있다.
접촉면의 상대적 저항을 크게 하면 접촉의 정도는 밀착하는 정도로도 이동자(2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접촉면의 저항을 작게 하면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시 압착강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연결편(23)의 상부는 넓은 디스크를 이루며, 이 디스크 상에 좌우 브레이크 연동자(9)를 고정한다. 이때 브레이크작동에 따른 안정된 작용을 위해 연동자는 고정단자(27)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고정단자(27)는 상기 디스크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브레이크를 연동하는 연동자(9)는 신축하지 않는 유연선(flexible line)으로 한다. 디스크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고정단자(27)에 고정된 브레이크 연동자(9)는 등받이(1)를 돌아서 반대편에 구성한 브레이크장치의 연동자(9)의 고정단자(27)에 연결되고 고정된다.
이때 연동자(9)를 연결하는 연결편(23) 고정단자(27)의 위치는 한쪽의 바깥쪽 단자와 다른 쪽 연동자(9)의 안쪽단자와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브레이크레버(8)의 동일한 회전방식으로 다른 쪽 브레이크레버(8)의 동작이 수행되므로 좌우 브레이크 작동방식의 혼동을 피할 수 있다.
브레이크 연동자(9)의 구성은 하나의 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유연선의 특성상 인장력만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구성상 바람직하므로 동일한 구성을, 같은 디스크 상의 반대쪽에도 또 하나 구성하여 다른 쪽 브레이크장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위상이 교차하는 이중의 연동자(9)로 구성한 방식이 도 3, 도 7에 나타나있다.
이와 같이하여 한쪽 브레이크레버(8)를 바깥쪽으로 회전하면 다른 쪽 브레이크레버(8)도 바깥쪽으로 회전하고, 안쪽으로 회전하면 다른 쪽 브레이크레버(8)도 안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연동된다.
좌우 브레이크의 작동을 연동하는 연동자(9)는 간단한 구성을 위하여 이동자(21)와 등받이대(24)를 파이프로 구성하고 그 안을 통하여 연결하도록 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브레이크 작동을 위하여 브레이크레버(8)을 작용하게 되면 브레이크레버에 고정된 연동자(9)가 회전하게 되고, 연동자(9)에 나사 결합한 연결편(23)은 안쪽으로 이동하며 가이드편(20)을 밀게 되고, 이어서 가이드편(20)은 고정된 부분인 가이드레일에 밀착, 압착하게 되어 브레이크 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연동자(9)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의 방향은 서로 반대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야 좌우 브레이크레버의 작동방식이 동일하게 되며 브레이크작용 시 서로 접근하여 밀착, 압착함으로써 고정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브레이크 작용의 또 다른 방법으로,
연결편(23)의 아래쪽은 브레이크 좌우를 연결하는 연동자(9)가 나사산이 없이 관통하여 결합하며;
브레이크레버(8) 회전축의 바깥에 캠을 형성한 것이다.
이제 브레이크레버(8)가 브레이크작용을 하도록 작동하면;
캠은 가이드편(20)을 밀고, 가동편(22)를 당기게 된다. 그러면 중간에 끼인 이동자(21)와 가이드레일(10)이 서로 밀착, 압착하게 되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 설계에서는 브레이크레버(8)을 앞으로 당길 때 브레이크작용이 나타나는 예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작용은 앞서의 방법과 같이 연결편(23)과 연동자(9)를 나사결합하여 동시에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설계에서는 브레이크레버(8)을 앞으로 당길 때 브레이크작용이 나타나는 예로 나타낸 것은 구조상 간단하기도 하고 힘의 작동상 도 2, 도 3과 같이 좌우로 작동하는 것보다 불편한 위치에도 불구하고 그래도 낫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연동자(9)는 강체여도 좋고, 신축하지 않으며 토크에 저항하는 재질이면 좋다.
브레이크의 고정력은 접촉하는 접촉면의 거칠기를 조절하거나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6과 그 분해도인 도 7은 도 2, 도 3과 같은 식에서 앞뒤로 충분히 등받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이동자(21)가 가이드레일(10)과 중첩되는 길이를 고정길이가 되도록 한 것으로 이동자의 연장부가 등받이대(24)와 결합되는 과정에서 아래로 굽혀서 등받이대가 등받이의 전후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가이드레일(10)의 하부에 앞뒤로 길게 뚫은 구멍은 등받이대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뚫는다. 이때 이 구멍의 폭은 가이드레일(10)을 통과하는 부분을 좀 더 좁게 찌그러뜨리면 좀 더 폭을 줄여서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이동자(21)의 전면과 이동자의 앞쪽 고정부분인 좌판이나 의자프레임에 탄성부재(스프링, 고무밴드 등)를 긴장되게 구성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었을 때 등받이가 자동으로 앞쪽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뒤로 미는 것은 등으로 하면 되므로 등받이를 뒤로 이동하는 것은 문제될 것이 없으며, 당기는 동작을 대신하는 편리함을 주게 된다.
도 2 ~ 도 7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에 형성한 길게 뚫은 구멍의 방향은 상기 도면들에 보인 예와 같이 아래쪽이 형성하는 것이 여러 장점을 가진다.
먼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아 구성이 미려하고, 둘째: 외부에서 오염물질이 들어가지 않아서 청결과 유지에 유리하며, 셋째: 이물질이 끼이는 일이 생기기 어렵고, 넷째: 상대적으로 안전에도 유리하다.
가이드편(20)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할 수 있으나 도 2, 도 3, 도 6,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이 가이드편(20) 형상의 중요한 이유는, 의자 사용자가 기지개를 켜는 순간과 같이 앞뒤로 작용하는 힘뿐만 아니라 상하로 작용하는 경우에, 가이드레일(10)의 구멍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도면의 브레이크장치의 예에서는 브레이크레버(8)의 작용이 가동편(22) 또는 가이드편(20)에 작동하여 고정된 부분인 가이드레일(10)에 밀착, 압착하고; 그에 따라 이동자(21)의 이동이 고정되는 방법을 보였다. 이는 이러한 방법이 가장 부드러운 작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확실한 고정을 위해서 요철의 형성을 깊게 할 수 있으며, 또는 그 깊이를 깊게 천공하여 핀을 끼우는 식과 같은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즉, 가동편(22)의 접촉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면에 돌기에 대응하는 깊은 홈이나 천공홈을 형성하며; 보통 때에는 이들을 스프링 등 탄성체를 결합하여 벌어져 있도록 하다가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으로 밀착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착, 압착의 뜻에는 이러한 접촉방법을 포함하는 의미로 한다.
또한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은 180도 이내에서 이루어지면 가동편(22) 또는 가이드편(20)를 이동시키는 나사의 작용은 캠의 작용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캠은 이를 포함한다.
본 도면의 브레이크장치의 예에서는 브레이크장치의 브레이크레버(8)를 양측에 구비하여서 좌우 어느 쪽에서도 편리하게 작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브레이크레버(8)는 필요에 따라 한쪽의 레버의 손잡이는 거의 생략할 수도 있다.
다만 구성한 좌우 브레이크가 연동되도록 하여, 착석자의 지지에 의해 비틀림 토크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 안정성과 의자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
구성한 가동편(22)은 있는 것이 유리하나, 가동편을 생략하고 연결편(23)과 이동자(21)를 나사결합하고 연결편(23)의 한쪽 단부를 브레이크레버(8)에 고정하여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이 이동자(21)를 직접 가이드레일(10)에 단속(斷續)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가동편(22)을 이동자(21)에 고정한 것과 같은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예의 브레이크장치들은 좌우에 같은 방식의 브레이크장치를 대칭되도록 구성하였으나 굳이 동일한 방식의 브레이크장치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한쪽은 본 예와 같은 브레이크장치를 구성하고 다른 쪽은 탄성 지지된 브레이크 가동편만을 갖추도록 하여 브레이크레버를 작동할 때, 연동자에 의해 양쪽 가동편(22)이 고정된 부분에 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하여 고정과 해제를 하게 할 수 있다.
즉, 가동편(22)을 시소식(seesaw type)으로 구성하여 시소의 한쪽에 탄성체에 의해 시소의 타단은 항상 브레이크 작용이 되도록 하며; 다른 쪽 브레이크장치가 가동되어 브레이크를 해제할 때, 이 동작이 시소식 탄성체에 결합된 연동자(9)에 의해 시소식 브레이크 작용단이 당겨지며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되는 식이다.
이러할 경우 시소식 브레이크는 접촉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보다 거칠게 하거나 깊은 홈을 형성하여 브레이크 작용성을 높이기 쉬우므로 작동의 부드러움은 덜하게 될 것이다.
도 2 ~ 도 7의 등받이가 이동하는 이동식 등받이의 후방에 이동식 등받이와 독립적인, 이동하지 않는 등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주로 요추와 흉추를 지지하는 이동식 등받이와 경추와 두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사용자가 의자의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휴식을 취할 때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등받이 8: 브레이크레버 9: 연동자
10: 가이드레일 15: 좌판 20: 가이드편
21: 이동자 22: 가동편 23: 연결편
24: 등받이대 25: 브래킷 26: 지지대
27: 고정단자 92: 의자 지지대

Claims (6)

  1. 좌판 또는 의자 프레임에 고정되며 좌판의 상부로 연장되어, 의자 좌판의 측면에 위치한 지지대(26)에, 의자의 측면 앞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앞뒤로 이동하는 이동자(21)를 포함하는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이동자(21)에 결합하여 이동자의 이동을 고정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좌우 양측의 브레이크 작용을 연동하는 브레이크 연동자(9)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자는 유연하며, 한쪽 브레이크작용이 다른 쪽 브레이크작용과 연동하도록 등받이를 돌아서 좌우 연결편(23)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2. 1항에 있어서, 이동자(21)에 회동하도록 결합한 연결편(23)과; 연결편의 일단에 브레이크레버(8)가 결합하여 고정되며; 연결편의 타단은 연동자(9)의 일단을 파지하며; 브레이크레버의 작동이 연결편(23)에 결합한 연동자(9)의 작용으로 타측 브레이크장치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3. 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에 결합하여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편(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4. 1항에 있어서, 좌우측 브레이크장치를 연동하는 연동자(9)는 이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5. 삭제
  6. 1 내지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는 이동자(21)에 결합하는 연결편(23)을 포함하며; 브레이크레버(8)의 작동은 캠의 작용에 의해 연결편에 결합하는 가동편(22) 또는 가이드편(20)을 고정부분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
KR1020120037031A 2012-04-09 2012-04-09 이동 등받이 의자 KR10135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31A KR101352324B1 (ko) 2012-04-09 2012-04-09 이동 등받이 의자
PCT/KR2013/002960 WO2013154330A1 (ko) 2012-04-09 2013-04-09 이동 등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031A KR101352324B1 (ko) 2012-04-09 2012-04-09 이동 등받이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037A Division KR20130119346A (ko) 2013-03-20 2013-03-20 이동 등받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45A KR20130114545A (ko) 2013-10-18
KR101352324B1 true KR101352324B1 (ko) 2014-01-16

Family

ID=4932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031A KR101352324B1 (ko) 2012-04-09 2012-04-09 이동 등받이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2324B1 (ko)
WO (1) WO20131543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39A (ko) 2014-12-22 2016-07-04 (주) 파트라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403Y1 (ko) 2006-04-05 2006-08-25 구기선 등받이 조절 및 볼바퀴가 달린 의자
KR101092785B1 (ko) 2011-06-17 2011-12-09 박영호 의자
KR101095279B1 (ko) 2010-07-09 2011-12-20 박영호 의자요추받이
KR20120005993A (ko) * 2011-07-25 2012-01-17 박영호 등받이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95Y1 (ko) * 2007-08-30 2010-03-30 주식회사 바우코리아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KR100954226B1 (ko) * 2009-09-14 2010-04-21 주식회사 우드메탈 등받이가 수평이동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403Y1 (ko) 2006-04-05 2006-08-25 구기선 등받이 조절 및 볼바퀴가 달린 의자
KR101095279B1 (ko) 2010-07-09 2011-12-20 박영호 의자요추받이
KR101092785B1 (ko) 2011-06-17 2011-12-09 박영호 의자
KR20120005993A (ko) * 2011-07-25 2012-01-17 박영호 등받이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39A (ko) 2014-12-22 2016-07-04 (주) 파트라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45A (ko) 2013-10-18
WO2013154330A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25B1 (ko)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6343118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4477011B2 (ja) 背受けを自動的に移動調節する椅子
JP2013528101A (ja) 椅子
TWM394748U (en) Rocking chair
CN201523866U (zh) 旋转式保健小靠背的座椅
KR101352324B1 (ko) 이동 등받이 의자
KR200448295Y1 (ko)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JP201113995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130119346A (ko) 이동 등받이 의자
KR101090536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KR101243018B1 (ko) 의자
CN107049722A (zh) 双头万能全身按摩器
CN209475117U (zh) 一种腿部按摩健身装置
KR101672124B1 (ko) 목운동의자
KR101465039B1 (ko)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KR101092785B1 (ko) 의자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CN205549365U (zh) 一种医疗康复用四肢训练器
JP3194412U (ja) 胸及び肩周囲マッサージ器具
JP5284532B1 (ja) 椅子
KR20150089137A (ko) 목운동시 경추가 견인되는 베게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JP3185010U6 (ja) 自重圧力器
JP3185010U (ja) 自重圧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20

Effective date: 201309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