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925B1 -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925B1
KR101732925B1 KR1020150023027A KR20150023027A KR101732925B1 KR 101732925 B1 KR101732925 B1 KR 101732925B1 KR 1020150023027 A KR1020150023027 A KR 1020150023027A KR 20150023027 A KR20150023027 A KR 20150023027A KR 101732925 B1 KR101732925 B1 KR 101732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upport
chair
neck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6345A (ko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PCT/KR2015/00155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22735A1/ko
Priority to JP2016569539A priority patent/JP2017511738A/ja
Priority to US15/118,650 priority patent/US20170049655A1/en
Publication of KR20150096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By limiting the applied torque 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6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2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의자의 등판에서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인체의 뒷머리 및 뒷목이 접촉되는 머리접촉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머리접촉부의 회전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머리접촉부 중에서 뒷머리가 접촉되는 부분 보다는 뒷목이 접촉되는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머리접촉부에 머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상기 머리접촉부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머리접촉부 및 상기 지지판이 하강되도록 구성되어, 목 근육을 강화시키고, 목의 통증을 치료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Chair having function of cervical exercise}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나 차량용 의자 등에 부착되어 있는 목받침(헤드레스트)과 팔걸이 등에 대한 것으로, 의자에 부착된 목받침을 뒷머리로 힘을 주어 미는 동작으로 목운동을 할 수 있는 의자와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목을 뒤로 젖힐 때 하강되는 목받침을 팔걸이 등을 작동하여 상승시킴으로써 목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의자와 관련된다.
삭제
그러나 이상의 목적을 위한 기본구조에 간단한 부가장치를 함으로서 어깨의 지압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지압도 관련된 분야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목 근육을 강화시키고, 목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분야로서 좁아진 추간판을 넓혀 주는 기술분야이다.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로는 물리치료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수단으로,
누운 자세에서 턱과 뒷 꼭지를 같이 감싸 머리를 정수리 쪽으로 견인하는 복잡한 기구 사용하고 있고, 일부 사무용 의자에서 헤드레스트를 이용하고 있긴 하나 그 방법들이 모두 턱과 뒷 꼭지를 감싸 견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하기한 바와 같다.
도13의 첫번째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 턱과 뒷머리를 천으로 감싸 위로 잡아당기는 것이다.
도13의 두 번째에 도시한 것은 튜브식으로 목을 감싸 에어를 이용하여 목을 늘려 준다는 것이다.
도13의 세 번째 네 번째의 도는 의자의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것으로 턱을 받쳐 유압을 이용해 위로 견인한다는 것인데 도13의 세번째 도는 헤드레스트를 좌우로 조작하는 것이고 도13의 네번째 도는 상하로 조작하여 헤드레스트를 겸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첫째는 목의 근육을 강화시켜야 근본적인 치료가 되므로 목의 근육량을 늘려 주어야 하고,
둘째는 좁혀진 경추의 간격을 늘려 주어야 하며,
셋째는 목의 통증을 느끼는 사람은 목주위의 근육에 통증을 수반하기 때문에 어깨주위를 지압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이 있으며
넷째는 사용의 편리성이 있어야 하고,
다섯째로는 접근성을 높여 누구나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용을 높여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자의 상부에 형성된 목운동을 위한 목운동지지체에 있어서,
머리와 접촉하는 접촉판;
상기 접촉판의 중간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중앙구;
상기 접촉판의 횡방향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1삽입구;
상기 접촉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촉판지지대;
상기 접촉판지지대의 중앙부에 상기 접촉판의 제1삽입구에 해당하는 횡방향으로 구성된 제2삽입구;
상기 제1삽입구와 제2삽입구를 관통하는 결합부;
상기 제2삽입구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3삽입구;
상기 접촉판지지대 관통구와 결합하는 한쌍으로 구성된 제1결합봉;
상기 접촉판을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접촉판지지대와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한 상기 접촉판지지대는 상기 제1결합봉을 통해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판의 하부에는 목지압봉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결합부는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본발명에서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판과 상기 목운동지지체의 전면부에는 목이 안착할 수 있도록 목에 상응하는 굴곡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결합봉에는 접촉판 스프링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운동지지체는 후면부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프링은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봉과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제1회전축을 추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목운동지지체의 바닥판을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을 삽입할 수 있도록 목운동지지체 홈을 둔 지지판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보조지지판을 더 두되 상기 보조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과 연결구성하기 위하여 제2결합봉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결합봉과 연결하기 위하여 대응되는 결합봉 삽입구를 두며,
상기 제2결합봉에는 지지판스프링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판에는 의자의 본체와 결합하기 위하여 지지봉을 추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에 등판스프링을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운동지지체 홈 내부에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수단은 포켓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판 하부에는 지압봉고정판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지압봉고정판에는 어깨지압봉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노리쇠와 상기 노리쇠의 일단에는 상기 노리쇠를 전후진 할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노리쇠의 타단에는 상기 노리쇠를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두되 상기 노리쇠와 상기 손잡이 어깨지압봉을 구비한 것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상기 지압봉고정판과 결합하기 위하여 레일박스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상승봉을 통하여 연결구성하여 의자 팔걸이를 통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되, 상기 상승봉을 승하강시키는 상승레버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잠금부는 제2노리쇠와 상기 제2노리쇠를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하는 슬라이딩 당김쇠를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딩 당김쇠를 전후진 시킬 수 있는 케이블을 구성하며 상기 케이블이 당겨질 때 상기 상승레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3회전축을 상기 상승레버에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는, 상기 의자의 등판에서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인체의 뒷머리 및 뒷목이 접촉되는 머리접촉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머리접촉부의 회전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머리접촉부 중에서 뒷머리가 접촉되는 부분 보다는 뒷목이 접촉되는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머리접촉부에 머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상기 머리접촉부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머리접촉부 및 상기 지지판이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에는 어깨지압봉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하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하강력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강력 제공수단은 상기 의자의 팔걸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하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강력 제공수단은 T바, 바이터, 바이터스프링 및 바이터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T바는 상기 지지봉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T바는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면에 톱니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터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바이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의자의 팔걸이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터는 상기 바이터케이블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톱니를 물고 상기 T바와 함께 하강하며, 상기 바이터케이블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바이터스프링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T바의 톱니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을 포함하는 어깨지압봉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압봉고정판이 상기 지지판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어깨지압봉, 제1노리쇠, 손잡이 및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압봉고정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손잡이가 눌려지면 상기 제1노리쇠가 후진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지압봉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레일돌기가 구비된 레일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지압봉은 상기 레일박스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박스는 상기 지압봉고정판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접촉부에 상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견인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의자의 팔걸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방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수단은 상승봉, 상승레버 및 상승레버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상승봉의 측면에는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의자의 팔걸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승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상승레버는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톱니에 접촉되어 제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승봉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없어지면 원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승레버는 제2노리쇠 및 슬라이딩 당김쇠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당김쇠는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인가받고, 상기 슬라이딩 당김쇠가 하강하면 상기 제2노리쇠가 전진하면서 상기 상승봉의 톱니에 접촉될 수 있다.
디스크질환은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에게 숙명적인 것이다. 현대인의 업무 환경은 앉아서 일을 해야 하는 탓에 하루종일 척추와 경추의 디스크가 눌릴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근육과 달리 특히 경추근육은 단련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흔히 하는 목의 운동은 고개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전후좌우로 머리를 움직이는 것이다.
목운동을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오른손 바닥으로 귀상단의 우측두부를 왼쪽으로 세게 밀면서 동시에 머리는 오른쪽 방향으로 오른손의 힘과 대응되게 상호 미는 힘으로 근육을 단련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반대로 미는 힘으로 목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호 미는 힘에 의하여 목에 힘이 주어지면서 경추의 근육이 단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운동은 여전히 목의 경추디스크가 눌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조차 별도로 시간을 내어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목의 근육이 약해지고 계속적으로 목이 눌리어 마침내는 추간판이 눌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구들의 공통점은 머리를 위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방법의 문제는 견인된 상태에서 머리를 고정하고 있게 되므로 근육을 단련할 수 없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목근육 단련을 위한 운동은 앞에 예시한 맨손체조 외에는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상이다. 팔다리의 근육단련시는 아령이나 역기등 무거운 기구를 사용하여 근육량을 늘리고 있으나 목의 경우는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목을 전후좌우로 회전시키기나 꺽는 정도의 맨손운동이 전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목으로 힘있게 누르는 동작을 반복 하므로 마치 목으로 아령을 드는 효과에 해당한다. 맨손 체조시보다 근육량이 획기적으로 늘게 되며 이는 근본적인 목 질환의 해결책이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을 뒤로 밀 때는 훌륭한 견인의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효과로 본 발명의 효용은 누구나 쉽게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리치료실의 기구들은 효과도 없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운동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상 접하는 의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용이하게 운동을 할 수 있다. 사무중 또는 운전중에 어느 때나 할 수 있으며 방법으로는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간단한 부가장치로 어깨의 지압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등판의 내부구조도
도3a은 접촉판의 사시도
도3b는 접촉판지지대의 사시도
도4는 접촉판과 접촉판지지대의 결합 사시도
도5a는 제1지지체의 전면 사시도
도5b는 제1지지체의 후면 사시도
도6은 접촉판과 접촉판지지대와 제1지지체의 결합 사시도
도7은 지지판의 분해 사시도
도8은 지지판의 결합 사시도
도9는 접촉판과 접촉판지지대와 제1지지체 및 지지판의 결합 사시도
도10은 경추의 운동현상 설명도
도11은 척추와 경추의 유기적인 동작 설명도
도12는 운동과정과 견인과정의 전체설명도
도13은 기존방법들의 개요도
도14는 받침봉의 접촉설명도
도15는 어깨지압봉부의 사시도(좌측이 분해도,우측이 결합도)
도16은 지지판의 결합 사시도
도17은 도5a의 제1지지체와 상승봉의 결합 사시도
도18은 도9에 예시된 구조와 상승봉의 결합 사시도
도19a는 상승레버의 분해 사시도,
도19b는 상승레버의 결합 사시도
도20a는 도18에 예시된 구조를 의자에 결합한 전체도
도20b는 의자 팔걸이, 상승레버케이블 및 바이터케이블의 연결을 보이는 상태도
도20c는 바이터가 바이터케이블에 의하여 동작하는 동작도
도20d는 상승레버케이블에 의하여 상승봉을 상승시키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2는 등판의 내부구조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로 접촉판과 접촉판지지대와 제1지지체 및 지지판의 결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서 목운동을 하고 동시에 목이 길이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할 수 있다.
도3a,3b는 머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접촉판 및 머리와 접촉판이 잘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촉판지지대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3b는 접촉판지지대(39)의 내부에 제3삽입구(38)가 양측면에 구비된 예를 예시하는데, 이를 활용하여 도5a에 예시된 제1지지체와 접촉판지지대(39)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판과 접촉판지지대는 결합핀(36)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결합체의 상태도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4에 예시된 결합체는 머리의 뒷부분에 힘을 주면 접촉판이 자유로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5는 도4에 예시된 결합체와 결합될 제1지지체를 예시하는데
도5a는 제1지지체의 전면 부분을 예시하고,
도5b는 제1지지체의 후면 부분을 예시한다.
후면 하단부 양측 단부에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 지렛대의 역할을 하면서 하단부를 상승시켜주는 지렛목(56)이 있으며 헤드레스트가 뒤로 이동할 때 반대방향으로 밀고 있는 제1토션스프링(57)이 삽입된 상태도이다.
이 제1토션스프링(57)은 본 발명에서는 판스프링을 이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작은 규모의 토션스프링은 제2토션스프링(59)으로 목의 근육이 강화 되었을 때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5b도 좌측단부는 토션스프링이 분해된 도면이고 사용시에는 5b도 우측 단부와 같이 삽입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보조스프링을 넣을 수도 있고 선택할 수 있다. 본 5b도에서는 메인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시 되어 있다.
도6은 도4와 도5a에 각각 예시된 구조물을 결합한 도면이다.
도7은 도6에 예시된 구조물을 의자와 결합시켜주는 지지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에 예시된 지지판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판에는 도6에 예시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도6의 제1회전축(54)과 링의 부위를 삽입할 수 있는 지지대(73)가 구성되어있으며, 상판하부에는 하판과의 연결을 삽입하기 위한 결합봉 삽입구(79)가 구성되어있다.
도7에 예시된 하판에는 하판 양측에 지지판스프링(74)을 삽입할 수 있는 제2결합봉(78)을 둔다.
도8은 도7의 상판과 하판이 결합된 것으로 전후로 상판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9는 도8과 도6에 각각 예시된 구조물들의 결합도이다.
도9에서 한가지 특징적인 것은 지지대(73) 상단에 포켓스프링이 있다는 점이다.
도9의 고정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우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스프링이 없다면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있는 제1토션스프링(57)이 아래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도5b참조) 제1회전축(54)이 지지대홈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어 원하는 소정의 견인효과를 낼 수 없는 것이다.
소정의 원하는 견인 효과를 내기 위하여 제1회전축(54)이 지지대(73) 중앙에 파여진 홈을 따라 상승하면서 견인 작용이 발생하게 되므로 평소에는 회전축이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시에 홈을 타고 위쪽으로 상승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의자와 결합시킨 모습이 도2가 되는데 이때도 견인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지지봉(77)에 압축스프링을 사용하여 사용시 헤드레스트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이 본 발명의 개요인바 스프링이 3군데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도11의 우측 도면처럼 통상의 헤드레스트에 토션작용을 하는 스프링 하나만 두고 하단부인 A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인체의 구조상 그렇게 되지 않는다. 문제는 목을 뒤로 젖힐 때는 경추만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운동시 목의 견인을 위하여 접촉판에 받침봉(31)을 두었기 때문에 목의 일정한 부분을 접촉한 접촉력에 의하여 견인을 최대한 이루워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상기 이유를 도10과 11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목을 뒤로 젖힐 때 경추는 직선을 유지한 채 젖혀지는 것이 아니고 7개의 경추가 각각 휘어지며 그 모습은 활처럼 곡선을 그리며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도10의 ‘나’점이 경추7번인데 이 부분만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각 마디가 활처럼 협조하면서 휘어지는 것이다.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는 경추가 직선을 유지한 채 회전하는 것이 아니며, 나아가 경추만 움직이는 것만이 아니라 척추 특히 흉추까지 같이 움직여지게 된다. 그 결과 직선을 유지한 채 운동을 할 때보다 도10의 e선만큼 회전하였을 때 a만큼의 회전반경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하강폭도 차이가 있는바 직선운동을 하였을 때보다 도10의 d만큼의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게 된다.
도11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단부가 척추이며 상부가 목부위인 경추다.
도11의 첫 번째 도시한 것은 척추와 경추 모두가 직선으로 움직인다는 전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지 경추7번만 휘어지는 것인데 이렇게는 거의 목을 움직일 수가 없게 된다
도11의 두 번째 도시한 그림은 경추만 휘어지는 경우인데 이때도 운동 폭이 커지지 않으며 힘있게 밀지도 못하게 된다.그러나 실제로는 이렇게 목을 움직일 수 없는 것이다.
도11의 세 번째 도시한 그림은 운동할 때에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척추 특히 흉추가 같이 뒤로 휘어지고 있다.
이렇게 할 때 원활한 목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힘있게 운동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목 뒤의 크게 튀어나온 부분이 경추 7번 위치인바 뒤로 젖히면서 목뒤에 손을 대고 도11의 세 번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움직여지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다. 흉추는 적게 경추는 많이 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 때문에 크게는 회전축이 흉추부분과 경추 부분에 2개로 볼 수 있으나, 보다 면밀히 분석하면 흉추와 경추 각 마디가 각자 조금씩 휘어지므로 회전축이 무수히 많으며 회전축의 위치도 목을 뒤로 젖히는 각도에 따라서 수시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도11의 첫 번째 두 번째 도면과 같이 단순제작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고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촉판 하단에 받침봉(31)을 두었을 때는 거의 움직일 수도 없게 되는 것이다.
이에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각의 운동에 상응한 스프링을 3군데에 두었다.
도10의 e 선만큼 목을 젖힐 때 도10의 d만큼의 추가하강이 있으며 척추까지 뒤로 휘어지게 때문에 도11c의 β 만큼의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고 힘을 주어 밀게 되면 자연히 척추가 활처럼 휘어져 앞으로 튀어나오면서 휘어지기 때문에 또다시 추가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통인 신체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실제 10여㎝ 이상의 추가 하강 현상이 있게 된다.
첫 번째 스프링은 이를 흡수해주기 위하여 둔 것으로 등판스프링(123,도2)이다.
두 번째로 하강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뒤로 후진을 하여야 원할한 운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설명한 그림이 도11에 도시하였다. 이는 굳이 설명을 아니하여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 운동 역시 실제 보통인의 경우 7-10㎝정도 추가 후진이 있어야 하는바 이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 도7에서 보는 지지판스프링(74)이다.
세 번째로는 접촉판스프링(52,도5참조)의 구성이다. 도10에서 보는바와 같이 동도의 e선만큼의 회전이 있을때 a 만큼의 회전반경이 작아졌다.
따라서 이 스프링이 없게 되면 회전시 머리가 접촉판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첫 번째 구성인 하강 스프링(등판)과 두 번째 구성인 지지판 스프링(도7)이 있다 하여도 경추가 급격한 곡선을 그리며 휘어지기 때문에 접촉판(도4)이 경추7번의 위치로 끌려 내려오지 아니하면 미끄러지는 현상을 피할 수 가 없는 것이다.
도12는 운동과정과 견인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12 등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인체의 뒷머리 및 뒷목이 접촉되는 기능적 요소를 머리접촉부라 칭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목운동지지체(60)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 및 뒷목 부분이 접촉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인체의 뒷머리 및 뒷목이 접촉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적 요소를 머리접촉부라고 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머리접촉부는 제1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판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를 참조하면, 제1회전축(54)에서 뒷목까지의 거리는 제1회전축(54)에서 뒷머리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머리접촉부에 머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머리접촉부가 제1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머리접촉부가 회동되기 전의 위치 또는 상태로 복귀시키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적 요소를 제1탄성수단이라고 칭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머리접촉부가 회동되면서 머리접촉부 및 지지판이 하강될 수 있는데, 이렇게 지지판이 하강됨에 따라 지지판을 하강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려는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기능적 요소를 제2탄성수단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탄성수단은 지지판에 직접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도2 및 도12 등에 예시된 등판스프링(123)처럼 지지봉(77)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14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14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길게(도14의 L) 제작하고 접촉판 스프링만 두어도 원할한 회전이 있을 것으로 추정을 한다.(여러군데 두는 스프링의 장착을 피하기 위하여) 그러나 이 역시 경추가 척추와 별도로 급격히 휘어지기 때문에 머리가 접촉판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받침봉(도3a의 31)이 풍지혈의 자리를 이탈하게 되므로 머리와 접촉판의 미끌림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14의 오른쪽을 참조하면, 경추가 급격히 휘어지기 때문에 많이 젖히게 되면 결국 머리가 접촉판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 머리 상단부만 접촉판에 접촉하게 된다.
이는 견인의 효과를 가져올 수 없을뿐더러 미끄러지는 불쾌한 마찰이 발생하여 운동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아울러 구성한 장치가 도5의 접촉판스프링(52)을 누르도록 하는 도4에서 보는 것처럼 접촉판(30)의 회전 구성인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항상 머리와 접촉판이 밀착되어 견인이 가능하게 되고 머리와 닿는 감각도 안정적이 되는 것이다.
이상이 3곳에 스프링을 둔 이유이다.
그런데 이 스프링들은 반대로 훌륭한 견인의 역할을 하는바 이하에서 견인의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첫 번째로 견인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도12에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의 지렛목(56)이다. 지렛목은 헤드레스트가 회전할 때 지렛대 역할을 하여 헤드레스트의 하단부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강력한 하중을 받는 부분이므로 마찰음을 피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위하여 하단부에 지렛목롤러(55)를 두었다.
두번째로는 지렛목 끝에 달린 토션스프링도 뒤로 휘어질 때 토션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승작용을 돕게 된다.
세 번째로는 도12에서 등판스프링(123)의 견인작용을 보면 목을 약 45도 정도만 뒤로 기울여도 받침봉이 만나는 풍지혈 지점은 수직으로 힘을 받게 된다. 목부위의 머리뼈가 끝나는 지점으로 움푹 파여 있고 머리가 젖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받침봉이 수직으로 목 부위를 밀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등판스프링(123)이 밀어 올리는 힘을 직접 받게 되는 것으로 이때 견인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경추가 휘어져 직각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경추의 하단부인 6,7번 부위가 큰 힘을 받게 된다. 즉, 목이 뒤로 활처럼 휘면서 뒤로 힘을 주어 밀 때 사용되는 근육의 주된 부위는 경추의 중간 상부인 2,3,4,5 번의 부위가 되며(이 부분이 많이 휘어지게 되므로), 하단부인 경추 6,7번 부위의 근육은 구조상 덜 휘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힘이 덜 가해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근육이 덜 단단해진 하단부의 근육이 더 늘어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목질환은 거의 경추 6,7번 부분에서 발생하므로 이는 목질환의 치료에 좋은 현상인 것이다.
다음으로는 스프링의 반작용 때문에 스프링이 눌리는 힘만큼 이는 견인의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방법들은 목을 일자로 유지한 채 견인을 하게 되므로 전체 경추가 고루 견인의 힘을 받게 되는 것에 비해 일정한 경추에 집중적인 힘이 가해지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목을 뒤로 젖히는 순간부터 경추는 서서히 등판스프링의 반작용의 힘을 받으면서 각도가 더해질수록 이 힘은 증가되어 가는 것이다. 이 힘이 바로 목 부위를 견인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즉, 근육에 힘이 가해지되 (뒤로 미는 동작 때문에) 위로 들리는 힘(근육을 당기는)을 받으면서 근육이 단련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목을 뒤로 젖히는 순간부터 등판스프링의 상승하려는 반작용의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물론 목에 힘이 들어가 근육이 단단해져 있기 때문에 아무런 힘이 안 들어간 기존의 방법들보다 견인의 길이 정도는 작을 수가 있다. 그러나 언급한 바처럼 근육이 강화되어 가면서 늘어나는 것과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의 견인은 차원이 다른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근육은 반복되는 일정한 상태를 기억하는바 강화가 되어 가면서 견인되는 것과 아무런 힘이 없이 그냥 올려졌다가 내려오는 것과는 목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강화 정도가 다른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접촉판스프링(52,도5)의 경우도 동일한 원리로 일어나게 되며 이때는 젖혀지는 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수직 방향으로의 힘을 받게 된다.
접촉판 결합핀(36)에 의하여 접촉판과 머리가 항상 평행상태로 붙어다니기 때문이다.
이상이 목운동을 할 때 견인이 동시에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는 목운동과 동시에 지압을 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8의 지지판 밑면에 어깨지압봉을 두게 되면 헤드레스트(목운동지지체;60)가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어깨를 지압할 수 있는바 이를 설명한 것이 도15와 16이다. 여기서, 헤드레스트가 하강하는 힘을 제공하는 기능적 요소를 하강력 제공수단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하강력 제공수단은 지지판에 하강력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머리접촉부나 헤드레스트(목운동지지체:6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T바, 바이터, 바이터스프링 및 바이터케이블을 포함하는 하강력 제공수단의 일 예가 뒤에서 세부적으로 설명된다.
도16의 지지판 밑에 있는 그림이 지압봉고정판(163)으로 여기에 도15의 어깨지압봉을 장착한 후 지지판과 결합을 하면 완성이 되는 것이다. 어깨지압봉은 전후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도15와 같이 제작한다.
도15는 좌측은 분해도이며 도15의 우측은 결합도이다.
어깨지압봉(156)이 구비된 구조물에 제1노리쇠(153)를 장착한 후 고정핀 스프링(151)을 피스로 고정하고 덮개판(160)을 덮으면 완성이 되는 것이다.
평소에는 고정핀(152)이 튀어나와 있어 지압봉고정판(163)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채 고정되어 있으나, 손잡이(154)를 누르면 제1노리쇠(153)의 끝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슬라이드부분에 의하여 고정핀(152)이 위로 들려 어깨지압봉(156)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15의 우측아래 부분에 도시한 것은 레일박스(158)이다.
이 속에 전술한 어깨지압봉(156) 등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들어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지압봉고정판(163)의 앞부분에 레일처럼 파여진 레일홈(162)이 있는바 레일박스의 하단에 있는 레일돌기(157)가 여기에 삽입된 채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된다. 손잡이(154)를 원터치 하는 것으로 전후좌우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손잡이를 놓으면 그 자리에서 바로 고정되게 된다. 평소에 어깨지압봉(156)이 튀어나와 있으면 의자 사용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 어깨지압봉(156)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의 하부에 숨겨져 있게 하고 필요시에만 사용하도록 한다.
조작 시 오른쪽은 왼손으로 왼쪽은 오른손으로 조작을 하므로 손잡이의 위치를 그에 맞게 배치하였다.
레일홈(162)을 둔 이유는 어깨의 혈자리 구조가 평면이 아니고 힘이 가해지면서 원하던 위치에서 이탈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레일돌기(157)가 좌우로 길이가 있기 때문에 밀리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서 어깨지압봉(156)이 접하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 목질환 환자는 어깨의 통증이 동반되는바 피로한 어깨가 시원하게 자극이 될 때 헤드레스트를 자주 사용할 수 있다. 지압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판 상단 양쪽을 낮추어 이 부분에 어깨를 걸칠 수 있도록 하였는바 목 운동 시 가슴을 펴고 여기에 양 어깨를 올려놓고 하게 되면 지압의 효과가 배가 되는 것이다. 어깨를 하단부가 받쳐주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지압의 효과가 다르게 되는 것이다. 이 부위는 평소에 쉴 때도 양 어깨를 올려놓고 쉬면 가슴이 펴지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로는 팔걸이를 뒤로 당김으로써 견인의 힘을 추가로 높일 수 있게 하였는바 도17 내지 20이 그것이다.
전체 작동도가 도 20a인바 그 개요는 팔걸이를 뒤로 당길 때 제2회전축(223)의 하단에 전진레버(222)를 두고 동력전달선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추가로 견인을 한다는 원리이다.
도17에서 보는 것처럼 헤드레스트의 제1지지체(50)의 하단에 상승봉(173)이 결합될 홈(170)을 두어 여기에 상승봉(173)을 결합하며 그 모양이 도18이다. 상승봉은 헤드레스트가 전후로 이동이 있으므로 여기에 맞추어 중간에 조인트(172)를 두었다. 물론 지지판은 도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봉통과구(164,166)를 전후로 길게 둔다.
헤드레스트의 지지봉(77)은 도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게 제작하여 등판 상하에 부착된 고정바(210)를 통과시켜 장착하고 인장스프링(211)을 사용하여 위로 들리게 하여 놓는다. 여기서, 도20에 예시된 인장스프링(211) 역시 전술한 제2탄성수단의 일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77)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봉(77)의 직선운동 과정에서 인장스프링(211) 등 제2탄성수단에 의하여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지지봉(77)에 결합되는 지지판 역시 직선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제2탄성수단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압의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추가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봉(77)의 중간부위에 양면에 톱니가 새겨진 T바(212)를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봉과 단단히 고정시킨다. 하부의 고정대(230)에는 의자의 왼쪽 팔걸이를 당길 때 T바(212)를 물고 내려올 바이터(234)를 삽입하여 놓고, 평소에는 하부의 바이터스프링(233)이 바이터를 위로 밀고 있어 T바와 바이터가 상호 이격되게 하여 바이터가 T바(212)의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 둔다. 그러나 팔걸이를 당기게 되면 바이터가 좁혀지면서 T바(212)를 물고 하강하면서 추가적인 지압과 지지봉과 연결되어 있어 지지봉도 함께 하강한다. 팔걸이를 놓으면 의자 밑판의 리턴스프링(220)과 바이터 하단의 바이터스프링(233)의 작용으로 원상회복되면서 바이터는 간격이 넓혀져 T바(212)를 놓게 되는 것이다.
바이터는 물론 이빨이 벌어지도록 탄성체로 제작한다.
그 다음 헤드레스트를 상승시키는 견인의 과정을 살펴본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의 상승은 머리접촉부의 상승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렇게 머리접촉부를 상승시키는 기능적 요소를 견인수단이라 칭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견인수단은 상승봉, 상승레버 및 상승레버케이블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견인은 지압과 달리 위로 상승하여야 하므로 도19와 같은 상승레버(190)를 사용하여 상승봉을 상승시키며 팔걸이를 당길 때 이와 연결된 케이블의 작용으로 상승 작용을 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목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도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당김쇠(196)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는 오른쪽 팔걸이에 케이블(194)을 연결하는바 도면상 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도면의 왼쪽 팔걸이의 경우에는 상기 바이터를 하강시켜 지압봉과 헤드레스트의 추가하강을 돕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한다.
도19a는 상승레버(190)의 분해도이고, 상승봉(173)을 물게 될 제2노리쇠(191)는 도19b에 도시하였다.
제2노리쇠(191)는 제3토션스프링(193)에 의하여 뒤로 밀려 있어 평소에는 상승봉(173)과 접촉이 없으나 팔걸이를 뒤로 밀게되면 와이어(195)가 당겨짐에 따라서 슬라이딩 당김쇠(196)가 하강을 하면서 제2노리쇠(191)를 전진시켜 상승봉(173)을 물게 되는 구조다. 그렇게 되면 제3회전축(192)에 의하여 제2노리쇠(191)가 회전축에 의하여 약간씩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운동의 효과를 올린다.
상승봉(173)은 조인트(172)의 하단부만 고정하고 상부는 전후로 움직여야 하므로 하단부만 고정하되 도2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바(210)를 통하여 지지한다.
팔걸이를 사용하는 단계는 이미 목이 뒤로 많이 젖혀진 상태로 상승봉(173)이 이미 하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승봉이 상승 시 필요한 상승구간은 얼마되지 아니하여도 견인이 되며 상승레버(190)를 레버리지의 비율이 높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적은 힘을 가지고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얼마든지 강력한 힘을 얻을 수가 있으며 상승하는 힘이 강력하면 강력할수록 그만큼 목은 힘을 주어 버티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저절로 목 근육이 강화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뒤로 많이 젖힌 상태에서 운동 폭을 적게 즉, 목을 살짝 살짝 끄덕여주는 동작이 접촉판(30)의 유동작용이 있어서 가능하게 된다. 거의 목을 움직일 수 없는 기존의 방법과 크게 다른 유용성이다.
이는 좁아진 추간판의 간격을 늘리는데 획기적인 방법으로 팔걸이를 추가로 사용할 때 하게 되면 더더욱 효과가 있어서 단기간에 좁아진 추간판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강력하게 견인하고 있는 상태에서 목을 끄덕끄덕 해주는 동작은 마치 커다란 바위를 움직일때 지렛대를 이용하여 살짝살짝 움직여주면 바위가 움직이는 원리에 비유되는 것으로 이 동작에 의하여 좁혀진 추간판이 획기적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그 다음 팔걸이 고정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다.
도20b와 도20c 및20d는 팔걸이부에 설치된 바이터와 상승레버의 이동에 관하여 설명하는 상세도이다.
팔걸이는 평소에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리턴스프링(220)이 있어 팔걸이가 자동으로 회복되도록 한다. 왼쪽 팔걸이를 뒤로 이동하여 바이터에 의하여도 추가로 하강시킬 수 있다 오른쪽 팔걸이를 통하여는 상승레버를 상승시키고, 운동을 마친 후에는 리턴스프링의 작용으로 원상회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팔걸이의 사용은 목이 어느 정도 젖혀진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목을 젖히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상 동력전달 케이블은 자전거나 차량에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잘 휘어지지만 수축성이 없는 강관 내부에 와이어를 넣은 것으로 이를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다 보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므로 목이 앞으로 쳐진 거북목의 교정에 딱 좋으며 가슴까지 펴져야 목이 원활히 움직이게 되므로 가슴까지 넓게 펴지게 되는 것이다.
모든 관절은 근육이 둘러싸고 있으며 목 근육 또한 같은 것이다.
무릎관절이 닳은 경우 싸이클과 수영을 권장하는데 이때 관절을 둘러싼 근육이 강화되기 때문에 치료가 되는 것이다.
싸이클이나 수영에 무릎을 견인하는 과정이 없는데도 근육이 강화되면서 관절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는 근섬유가 수축성이 있는 근막에 둘러싸여 근육이 옆으로만 굵어지는 것이 아니고 길이까지 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목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면 저절로 견인의 효과를 볼 수가 있게 된다는 의미가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견인은 차치하고라도 근육의 강화만으로도 커다란 의미가 있는 발명이 될 것이다. 머리와 신체의 각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가 목이므로 목이 건강하여 가교역할을 잘할 때 건강이 찾아오게 된다는 의미를 시사하는 것이다. 목에 과부하가 걸릴 때 어깨가 결리는 것이며 이는 목이 약하므로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근본적인 치유는 목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목의 근육이 뒷덜미에 있기 때문에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이야말로 경추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최적의 조건이 될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장치가 등판과 의자 밑에 숨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기존의 의자와 동일하여 외관에 대한 거부감도 없다.
사용방법도 아무런 조작 없이 그냥 목만 뒤로 젖혀주면 되고,
접근성 또한 눈만 뜨면 하루 종일 접하는 의자이기 때문에 저절로 접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접촉판 31:받침봉
32:목 지압봉 33:경사면
34:굴곡부 35:중앙구
36:결합핀 37:제1삽입구
38:제3삽입구 39:접촉판지지대
40:접촉판본체 41:제2삽입구
50:제1지지체 51:제1결합봉
52:접촉판스프링 53:링
54:제1회전축 55:지렛목롤러
56:지렛목 57:제1토션스프링
58:토션스프링롤러 59:제2토션스프링
60:목운동지지체 61:피스
62:덮판 71:상판
72:포캣스프링 삽입구 73:지지대
74:지지판스프링 75:하판
76:걸림돌기 77:지지봉
78:제2결합봉 79:결합봉 삽입구
80:지지대캡 81:목운동지지체 홈
121:고정바 122:고정 넛트
123:등판스프링 151:핀스프링
152:고정핀 153:제1노리쇠
154:손잡이 155:손잡이고정핀
156:어깨지압봉 157:레일돌기
158:레일박스 159:이탈방지턱
160:덮개판
162:레일홈 163:지압봉고정판
164:제1상승봉 통과구 165:고정구
166:제2상승봉 통과구 170:상승봉삽입구
171:톱니 172:조인트
173:상승봉 174:상승봉관통구
190:상승레버 191:제2노리쇠
192:제3회전축 193:제3토션스프링
194:상승레버케이블 195:와이어
196:슬라이딩 당김쇠 197:스프링
198:핀고정홈 199:고정돌기
210:고정바 211:인장스프링
212:T바 220:리턴스프링
221:상승레버와이어 222:전진레버
223:제2회전축 224:바이터케이블
230:고정대 231:롤러
232:손잡이고정케이블 233:바이터스프링
234:바이터 240:상승레버회전나사
241:상승레버고정대

Claims (25)

  1.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등판에서 상하 방향의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상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인체의 뒷머리 및 뒷목이 접촉되는 머리접촉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머리접촉부의 회전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수단; 및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봉의 직선운동에 대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머리접촉부 중에서 뒷머리가 접촉되는 부분 보다는 뒷목이 접촉되는 부분에 더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머리접촉부에 머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상기 머리접촉부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머리접촉부 및 상기 지지판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어깨지압봉이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하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하강력 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강력 제공수단은 상기 의자의 팔걸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하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력 제공수단은 T바, 바이터, 바이터스프링 및 바이터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T바는 상기 지지봉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T바는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일면에 톱니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터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바이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의자의 팔걸이에 연결되며,
    상기 바이터는 상기 바이터케이블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톱니를 물고 상기 T바와 함께 하강하며, 상기 바이터케이블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바이터스프링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상기 T바의 톱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압봉을 포함하는 어깨지압봉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압봉고정판이 상기 지지판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어깨지압봉, 제1노리쇠, 손잡이 및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압봉고정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손잡이가 눌려지면 상기 제1노리쇠가 후진하면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지압봉고정판으로부터 분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지압봉부는 레일돌기가 구비된 레일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깨지압봉은 상기 레일박스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레일박스는 상기 지압봉고정판 상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접촉부에 상방향의 힘을 제공하는 견인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의자의 팔걸이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상방향의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은 상승봉, 상승레버 및 상승레버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상승봉의 측면에는 톱니가 구비되고,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은 일단이 상기 의자의 팔걸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승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상승레버는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 톱니에 접촉되어 제3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상승봉을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며,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이 없어지면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레버는 제2노리쇠 및 슬라이딩 당김쇠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당김쇠는 상기 상승레버케이블에 연결되어 하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을 인가받고, 상기 슬라이딩 당김쇠가 하강하면 상기 제2노리쇠가 전진하면서 상기 상승봉의 톱니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50023027A 2014-02-14 2015-02-16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101732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1556 WO2015122735A1 (ko) 2014-02-14 2015-02-16 목운동을 위한 목운동지지체를 구비한 의자
JP2016569539A JP2017511738A (ja) 2014-02-14 2015-02-16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US15/118,650 US20170049655A1 (en) 2014-02-14 2015-02-16 Chair having neck exercise support for neck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94 2014-02-14
KR20140017294 2014-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345A KR20150096345A (ko) 2015-08-24
KR101732925B1 true KR101732925B1 (ko) 2017-05-08

Family

ID=5405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027A KR101732925B1 (ko) 2014-02-14 2015-02-16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49655A1 (ko)
JP (1) JP2017511738A (ko)
KR (1) KR101732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27A (ko) 2019-04-05 2020-10-14 안무업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124B1 (ko) * 2015-03-03 2016-11-02 성태수 목운동의자
KR102462616B1 (ko) * 2015-12-28 2022-11-03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KR101854545B1 (ko) * 2016-12-16 2018-06-08 신복영 척추 견인 및 족욕 기능을 갖는 의자
CN108991806A (zh) * 2017-06-06 2018-12-14 王景发 一种健身椅
WO2019116148A1 (en) * 2017-12-11 2019-06-20 17B Ehf Foldable support and related methods
CN109009616B (zh) * 2018-08-01 2021-05-11 四川大学 一种颈椎主动矫正锻炼治疗器
US10709248B2 (en) 2018-09-11 2020-07-14 Maria Racanelli Posture improvement assembly
USD924043S1 (en) * 2019-08-22 2021-07-06 Molon Labe, Llc Aircraft wheelchair accommodating seat assembly
CN112603096A (zh) * 2020-12-25 2021-04-06 曾涛 一种学生用防跌落宿舍床
CN112842855B (zh) * 2021-02-19 2022-08-02 哈尔滨市全科医疗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颈椎治疗仪升降调节机构
CN113288548A (zh) * 2021-06-02 2021-08-24 周碧秀 一种颈椎康复用的垂直牵引理疗设备
CN114404884A (zh) * 2022-02-14 2022-04-29 黄河科技学院 一种重症颈部脊髓损伤用具有休息功能的康复锻炼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180A (ja) * 2003-07-15 2009-04-02 シュクラ ゲレーテバ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ヘッド・レス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180A (ja) * 2003-07-15 2009-04-02 シュクラ ゲレーテバォ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ヘッド・レストの上下位置調整装置
KR101321978B1 (ko) *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27A (ko) 2019-04-05 2020-10-14 안무업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49655A1 (en) 2017-02-23
JP2017511738A (ja) 2017-04-27
KR20150096345A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25B1 (ko)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US6203471B1 (en) Oral lip and chin muscle rehabilitating device
KR20160107133A (ko) 어깨운동기구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KR20170135276A (ko)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20180086658A (ko) 경추견인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1760179B1 (ko) 경추견인 의자
CN204766074U (zh) 一种广泛适用于颈椎病患者康复的医疗器械
CN201260865Y (zh) 健身椅
KR200470266Y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CN112827129B (zh) 一种舞蹈学习后腿部拉伸放松设备
KR101672124B1 (ko) 목운동의자
CN204581898U (zh) 肩颈按摩器
KR102253084B1 (ko) 등받이 장착형 거북목 교정기
JP2012170672A (ja) 胸及び肩周囲マッサージ器具
CN111840035A (zh) 锤击揉捏医用按摩装置
KR200487636Y1 (ko) 플랭크 겸용 푸쉬업 운동기구
JP3194412U (ja) 胸及び肩周囲マッサージ器具
JP3132216U (ja) 運動補助器具
KR20150089137A (ko) 목운동시 경추가 견인되는 베게
CN214633693U (zh) 一种骨科护理用下肢训练康复装置
KR101352324B1 (ko) 이동 등받이 의자
JP3167950U (ja) リハビリ装置
CN216319787U (zh) 一种康复医学科用下肢拉伸锻炼设备
JP2002035161A (ja) 筋力の鍛練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