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276A -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276A
KR20170135276A KR1020160066973A KR20160066973A KR20170135276A KR 20170135276 A KR20170135276 A KR 20170135276A KR 1020160066973 A KR1020160066973 A KR 1020160066973A KR 20160066973 A KR20160066973 A KR 20160066973A KR 20170135276 A KR20170135276 A KR 20170135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r
spring
neck
acu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KR102016006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276A/ko
Publication of KR2017013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의 근육을 기르면서 목과 후두부의 지압의 효과를 누리고 나아가 팔걸이를 뒤로 또는 앞으로 밀면 이와 연결된 동력케이블의 작용으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이를 위하여 헤드레스트를 상부체와 하부체로 나눈뒤 반달홈이 있는 하부체에는 목을 눌러주는 지압체를 내장하고 목을 뒤로 젖히면 상부체가 뒤로 밀리면서 하부체에 있는 지압체가 목을 조여주면서 지압의 효과가 있도록 하고,
지압체가 목을 조여줌으로서 견인이 이루어질때 효과적으로 머리를 감싸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양팔걸이를 서로 연결해주는 연결봉에 견인레버를 두고 이 견인레버와 목을 뒤로 젖힐때 하강된 헤드레스트지지대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팔걸이를 뒤나 앞으로 젖히게 되면 하강되었던 헤드레스트가 상승하면서 경추가 견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Chair with headrest for neck exercise}
본 발명은 일상에 사용되는 의자에 부착된 목받침(헤드레스트)에 대한 것으로 이 목받침을 뒷머리로 힘을 주어 미는 목운동을 할때 목받침이 뒤로 젖혀지고 의자의 양 팔걸이를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면 헤드레스트가 위로 상승하면서 경추가 견인 되도록 하여 목의 근육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경추의 견인효과를 가져 오도록 한 목받침이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목을 뒤로 젖힐때는 헤드레스트에 장착된 지압바가 목과 후두부를 지압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지압이나 안마도 관련 분야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목 근육을 강화시키고,목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분야로서 좁아진 추간판을 넓혀 주는 기술분야이다.
이 분야의 종래의 기술로는 물리치료실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수단으로,
누운 자세에서 턱과 뒷 꼭지를 같이 감싸 머리를 정수리 쪽으로 견인하는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고,
일부 사무용 의자를 이용하고 있는 방법들이 도46의 3,4번째 그림들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 방법에는 목근육을 단련시키는 목운동의 개념이 없다는 점과 견인의 방법등에서 본 발명과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경추관련의 종래의 기술을 대별 하여보면 도46과 같다.
도46의 첫번째 도시한 것은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 턱과 뒷머리를 천으로 감싸고 반대편에는 무게있는 추(통상 물주머니)를 도르레를 이용하여 매달고 목을 위로 잡아 당기는 것이다.
도46의 두 번째에 도시한 것은 튜브식으로 목을 감싸 에어를 이용하여 목을 늘려 준다는 것이고.
동도 세 번째와 네 번째의 도는 의자의 헤드레스트 장착부근에 턱을 감싸는 받침체를 두고 이 받침체를 좌우(동도3번)로 또는 상하(동도4번)로 조작하면서 턱을 감싸게 한 다음 유압을 이용하여 머리를 위로 들어 올리면서 경추를 견인 한다는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첫째는 목의 근육을 강화시켜야 근본적인 치료가 되므로 목의 근육량을 늘려 주어야 하고,
둘째는 좁혀진 경추의 간격을 늘려 주어야 하며,
셋째는 목의 통증을 느끼는 사람은 목주위의 근육에 통증을 수반하기 때문에 후두부와 목주위를 지압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끝으로 접근성을 높여 아무 때나 사용가능하도록 하고, 조작의 편리성을 높여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용을 높여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자의 상부에 있는 헤드레스트를 목을 뒤로 젖히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양 팔걸이를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면 하강되었던 헤드레스트가 상승되면서 경추가 견인되도록 한 것이다.
헤드레스트의 구조가 도1,2에서 보는바와 같이 후두부 상단이 접촉하는 상부체와,
목부근에 닿는 하부체로 구성되어 하부체 전단에는 반달형의 홈이 파여져 그 안에 목이 들어갈수 있으며, 상부체는 목을 뒤로 젖힐때 후두부 의하여 밀리면서 뒤로 젖혀질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상부체가 뒤로 밀릴때 상부체를 지지하고 있는 후판(122)에 결합된 견인스트링이 하판내부에 있는 지압바를 당기면서 지압바가 목과 후두부하단등을 조여주며 지압의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힐때는 헤드레스트가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되는바 하강되었던 헤드레스트를 팔걸이와 동력전달선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시 상승시키면서 목을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것 이 본 발명의 해결수단 요지이다.
디스크질환은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에게 숙명적인 것이다.
현대의 업무 환경이 앉아서 일을 해야 하는 탓에 하루종일 척추와 경추의 디스크가 눌릴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근육과 달리 특히 경추근육은 단련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목을 회전 또는 전후좌우로 움직여주는 것이 통상의 스트레칭 방법이며 근육을 강화시키는 동작으로는 오른손 바닥으로 귀상단의 우측두부를 왼쪽으로 세게 밀면서 동시에 머리는 오른쪽 방향으로 버티는 동작 으로 왼쪽의 경우는 이와 반대되는 동작을 취하며 근육을 단련하는 방법이 통상의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운동조차 별도로 시간을 내어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목의 근육이 약해지고 계속적으로 목이 눌리어 마침내는 추간판이 눌리면서 통증이 시작되면 전술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목과 어깨의 통증을 완화 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구들의 공통점은 머리를 위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견인된 상태에서 머리를 고정하고 있게 되므로 근육을 단련할 수 없다는 것에 문제점이 있다.
모든 관절은 관절을 둘러싼 근육이 있으며 이 근육이 약해지면 부작용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팔다리나 기타의 근육은 이를 단련시키는 아령이나 역기등의 기구가 많이 있으나 목의 경우는 위에서 살펴본 정도의 맨손운동이 전부다.
여기에 착안한 것이 본 발명이며 본 발명의 사용방법은 의자에서 업무를 보다가 아무 때라도 후두부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취하기만 하면 맨손 체조시보다 근육량이 획기적으로 늘게 되며 이렇게 목의 근육량을 늘려줌으로써 근본적인 목 질환의 해결책이 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힐 때는 경추의 구조상 헤드레스트가 지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에 맞추어 헤드레스트지지대(102)에 등판스프링을 장착하였는바 이 스프링의 반작용으로 운동시에 경추의 견인 효과가 발생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다 강한 견인을 원할때는 팔걸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견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는 구성부분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일상 접하는 의자를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활용성이 높으며 사용방법도 뒷통수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젖히는 동작이면 충분하며 평소에는 헤드레스트로 사용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목을 뒤로 젖힐때 헤드레스트의 하부체내부에 지압바를 두어 목과 후두부를 지압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발명의자 전체사시도
도2는 헤드레스트 사시도
도3은 헤드레스하부체 골격도
상면도(좌측), 하면도(우측)
도4는 제1지압바 사시도
도5는 도3과4의 결합도
도6은 덮판
도7은 도5와6의 결합도
도8은 도7의 결합도에 스펀지를 붙인사시도
도9는 후판 사시도
도10은 헤드레스트하부체와 후판의 결합도
도11은 헤드레스트 상부체스펀지
상면도(윗그림),하면도(아랫그림)
도12는 유체튜브 사시도
도13은 유체튜브를 뺀 헤드레스트 골격도
도14는 유체튜브를 결합한 헤드레스트 골격도
도15는 도14에 하부체덮판을 결합한 사시도
도16은 등판의 내부도
도17은 헤드레스트견인부 상세도
도18은 바닥판의 사시도
도19는 롤러체의 사시도
도20은 헤드레스트지지대하단에 고정되는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의 상세도
도21은 팔걸이 사시도
도22는 록킹체의 사시도
도23은 의자밑판의 록킹체 장착도
도24는 록킹체의 위치를 보여주는 전체도
도25는 제2헤드레스트 하부체의 골격도
도26은 제2지압바의 사시도
도27은 지압바추진체의 사시도
도28은 도25-27의 결합도
도29는 도28에 덮판을 결합한 사시도
도30(a)는 반달스펀지를 결합시킨 사시도
(b)는 등판스프링의 장착도
도31은 톱니바 지탱판의 사시도
도32는 톱니바 좌우판의 사시도
도33은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의 분해도
도34는 톱니바를 결합시킨 등판부의 일부도
도35는 톱니바와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의 결합상세도
도36은 양측면에 고정홈이 파여진 지압바추진체
도37은 고정버튼을 보여주는 헤드레스트하부체의 사시도
도38은 록킹해제체의 사시도
도39는 록킹해제체의 배치도
도40은 케이블의 양단도
도41 (a)는 헤드레스트높낮이 조절나사
(b)는 지압바의 단부 상세도
도42는 팔걸이 고정체의 사시도
도43은 경추의 굴곡도
도44는 경추의 운동궤적분석도
도45는 경추와 흉추의 굴곡분석도
도46은 기존의 경추견인장치 대강도
도47은 목을 세울당시의 헤드레스트 상태도
도48은 목을 젖혔을때의 헤드레스트 상태도
도49는 목을 젖힐때의 헤드레스트의 작동도
도1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모습을 보여주는 전체도이고,
도2는 상하부로 나뉜 헤드레스트의 사시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후두부로 밀면서 목운동을 하여 경추의 근육을 강화시키도록 한 것이 그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런데 머리를 뒤로 젖힐때 경추의 구조상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밀리는 현상외에 상하로 승강(昇降)되는 현상이 발생 하는바 이 승강현상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지지대(102)에 등판스프링(209)을 두었다.(도30b참조)
그런데 이처럼 하강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경추의 견인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는 뒤에 살펴보기로 하고 먼저 헤드레스트의 구조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헤드레스트는 도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체는 후두부상단이 접촉하는 부분으로 목을 뒤로 젖히면 뒤로 밀리도록 되어 있고,
하부체에는 전단 중앙에 목이 들어갈수 있는 반달형의 반달홈(134)이 파여져 있다.
도1과 2는 마감재인 스판천이 입혀져 있는 모습이기 때문에 반달홈이 깊지 않아 보이지만 골격인 내부체는 이 홈이 깊이 파여 목을 뒤로 붙이면 스판천이 늘어나면서 목의 절반이상이 잠길수 있도록 깊이 파인 것이다.
이토록 깊이 판것은 목의 양측면을 지압할 수 있고 나아가 경추를 견인 할시에 머리를 효과적으로 받혀주기 위한 것이다.
목을 뒤로 젖힐때는 헤드레스트 상부체(104)가 뒤로 밀리면서 이 상부체를 지지하고 있는 후판(122)에 연결된 견인스트링(116)이 기역자 형태의 제1지압바(114)의 일단을 당겨서 도5에서 보는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지압바가 좁혀지면서 목을 눌러주게 된다.(도5및 도48참조)
지압바가 도5의 화살표방향으로 좁혀지기 위하여서 제1지압바(114)를 기역자형태로 만들었으며 지압바의 장착은 하판에 고정봉(107)을 두어 지압바를 이에 삽입하여 회전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동 지압바(114)의 목에 접촉하는 부위는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거나 도41(b)에서 보는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우레탄소재의 캡(133)을 씌워서 접촉감을 높이고 견인시 미끄러지는 현상을 줄이도록 한다.
목의 힘은 상당히 강하여서 목이 뒤로 많이 젖혀지게 되면 과도한 지압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4에서 보는 탄성부(115)를 얇게 처리하여 탄성이 있도록 하였다.
목이 많이 젖혀지게 되면 이 탄성부의 홈(115)부분이 휘어지면서 일정한 힘 이상은 가해지지 않게 되어 목을 계속 젖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평소는 복귀스프링(117,도5))이 지압바를 양측면으로 당겨서 반달홈(134)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도7은 도6에 작도된 덮판을 덮은 것이며 도8은 터치감의 향상과 최종외피를 입힐때 편의를 위하여서 스펀지(120)를 덧댄 모습이다.
마감처리외피는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소재를 사용하여 반달홈(134)의 형태를 유지하도록한다.
요즘은 가죽 대신 고감도의 신축성과 내구성을 겸비한 스판소재 및 에어매쉬등의 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까다로운 형태의 마감에도 큰 불편이 없게 된 것이다.
이렇게 마무리된 하부체에 상부체를 결합하는 과정이 도9-11에 작도 되어 있다.
도9는 하부체와 상부체를 결합시키는 후판(122)이다.
이 후판은 양쪽에 헤드레스트지지대 통과구(124)가 있고 바로 뒤에 홈이 파여 있는바 후판 탄성홈(123)이다.
목이 젖혀질때 이 탄성홈(123)이 휘어지게 되는데 이 탄성홈부분만 휘어지면서 후판이 뒤로 ?떠? 만든것은 상부체의 회전축을 가능한 목부근에 두기 위함이고 견인스트링(116)의 견인구간을 많이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이 꺽어지는 도9의 a부분을 휘어지게 한다든지 후판 전체가 같은 곡률로 둥그렇게 휘어지도록 한다면 견인스트링(116)의 견인구간 확보가 어려우며 무었보다도 목의 회전축과 후판의 회전축의 간격이 상호 멀어져서 목을 뒤로 젖힐때 상부체와 후두부가 서로 미끌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3의 우측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판본체의 하부에 튀어나온 돌출부인 레버리지턱(110)을 두었는바 이는 헤드레스트지지대를 삽입할 높이를 확보하고 동시에 견인스트링의 견인구간을 확보 하기 위한 것이다.
도8의 하부체와 도9의 후판(122) 및 헤드레스트지지대(102)를 결합시킨 모습이 도10이고 도11은 잘 눌리지 않는 탄성도가 강한 스펀지로 이루어진 상부체인데 하부면에 길게 파여진 후판삽입홈(127)에 접착제를 바른후 후판을 삽입하면 내부 골격이 마무리 되며 여기에 최종마감처리인 스판천을 입히면 헤드레스트는 완성이 되는 것으로 그 모습이 도2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마감한 헤드레스트의 작동개요가 도47-49에 작도 되어 있다.
같은 기능이지만 구조가 약간 다른 실시예2를 도25-29를 놓고 살펴본다.
도25와 같은 제2지압바(404)를 고정시킬 제2지압바고정돌기(403)가 있는 제2헤드레스트 하판(402);
중앙에 가로로 천공되고 한쪽면이 사선의 슬라이딩면을 가진 직선형의 제2지압바(404);
내부양측면에 끝이 오무려진 판스프링이 부착된 디귿자형태의 지압바추진체(408);
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결합한 모습이 도28이고 덮판을 덮은 모습이 도29다.
제2지압바는 중앙에 장착된 압축스프링(411)이 있어서 평소에는 좌우로 밀려 있어 반달홈을 유지하게 한다.
이 스프링(411)과 지압바추진체의 판스프링인 지압바추진스프링(410)의 복원력으로 목을 바로 세우면 지압바추진체(408)가 원상으로 복귀한다.
후판이 뒤로 밀리면 동추진체가 뒤로 당겨지면서 판스프링인 지압바추진스프링(410)이 접혀짐과 동시에 지압바의 슬라이딩면(406)을 스치며 지압바를 밀게 되는 것이다.
판스프링인 지압바추진스프링(410)의 강도에 따라서 지압의 세기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고 이 추진스프링(410)이 완충역할을 한다.
상부체의 구조와 하부체의 나머지 마감과정은 전술한 실시예1의 경우와 동일 하므로 생략한다.
실시예3으로
에어 또는 부동액을 채운 유체튜브(129)를 이용한 것인데 도12-15에 작도되어 있다.
동력의 전달이 견인스트링 대신 유체일뿐 헤드레스트의 다른 구조는 전술의 경우와 비슷하다.
도12는 후판에 장착될 유체튜브(129)의 모습으로 동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유체튜브가 접히면서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 압력이 동도의 신축주름(128)을 신장시키며 이 힘은 제3지압바(131)를 작동시킨다는 것이다.
도13은 유체튜브를 뺀 골격도로 동도의 a부분이 접히면서 유체튜브(129)를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후판과 하판등은 전술한 경우와 다름이 없다.
a부분은 밀폐용기 뚜껑의 날개처럼 쉽게 휘어지는 것이다.
유체를 이용한 경우도 실시예1에서 본것과 같이 후판 밑면부분에 탄성홈이 주어지며 머리를 뒤로 젖힐때 후판이 뒤로 젖혀지게 된다. 왜냐하면 목이 6-70도 이상 젖혀지게 되는데 유체튜브의 눌림 만으로는 이를 다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단, 이때의 탄성홈은 먼저 유체튜브가 눌리도록 좀더 강하게 하여야 한다.
결국 후판의 탄성과 유체튜브의 신축성이 지압바의 눌리는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12와 도13의 결합 모습이 도14이며 하판을 덮판으로 덮은 모습이 도15로 여기에 최종마감은 전술한 견인스트링을 이용한 경우와 같이 처리하면 되므로 여기서도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체를 이용한 경우는 유체튜브(129)와 신축이 이루어지는 신축주름(128)의 용적비의 조합으로 압력의 강도와 신축구간의 조작을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지압바의 유동구간이 적기 때문에(사람의 목의 굵기 차이가 미미하며 반달홈이 목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 유체튜브는 규모가 크지 않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규모도 통상의 헤드레스트 규모로도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3경우의 헤드레스트의 구조를 살펴보았는데 동력을 얻기 위하여서는 목을 뒤로 젖혀야 한다.
그런데 목을 뒤로 젖히기 위하여서는 헤드레스트의 하강현상이 반드시 필요한바 이는 경추의 구조가 도45의 a그림처럼 어느 한점을 중심으로 하여 일직선으로 휘어지는 것이 아니고 도43-45에서 보는 것처럼 경추의 각마디가 조금씩 휘어지며 경추전체는 활처럼 휘어지면서 젖혀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도43에서 보는바와 같이 약 90도 이상으로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45의 a도처럼 어느한점을 중심으로만 휘어지게 된다면 90도로 휘어짐이 물리적으로 힘들며 가능하다 하여도 관절이 버텨내지를 못하게 되는 것이다.
아뭏튼 목을 뒤로 젖힐때 머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오히려 지면방향으로 하강하는 현상이 더 많이 발생하며 특히 본발명처럼 지압바가 목을 감싸 후두골 밑에 걸리는 경우는 헤드레스트의 하강을 흡수해주지 않으면 단 10도 정도도 젖힐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보통성인의 경우 도43처럼 90도로 젖힐때는 10여 쎈티미터 이상의 하강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경추의 휘어지는 과정을 도44 및 45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목을 뒤로 젖힐때 경추가 직선을 유지한채 운동을 할 때보다 각마디가 휘어지는 곡선운동을 할때 도44의 e선만큼 회전하였을 때 a만큼의 회전반경이 작아지며 하강폭은 직선운동을 하였을 때보다 도44의 d만큼의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게 된다.
더욱이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 때는 경추만 움직이는 것만이 아니라 척추 특히 흉추까지 같이 움직여지게 되는바 이 현상을 도45를 놓고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동도의 '가'선 하단부가 척추이며 상부가 목부위인 경추다.
도45의 첫 번째 도시한 것은 척추와 경추 모두가 직선으로 움직인다고 전제하여 도시한 것으로 단지 경추7번만 휘어지는 것인데 이렇게는 거의 목을 움직일 수가 없게 된다
동도 두 번째 도시한 그림은 경추만 휘어지는 경우인데 이때도 운동 폭이 커지지 않으며 힘 있게 밀지도 못하게 된다.
동도의 세 번째 도시한 그림은 운동할 때에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척추 특히 흉추가 같이 뒤로 휘어지고 있다.
이렇게 할 때 가슴까지 펴지면서 원활한 목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힘있게 운동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45에서 보면 흉추까지 휘어질때 후방으로도 더밀리고(L) 하방으로도 더 내려온다(β).
도44의 b+d가 하강폭이 되며 도45를 보면 β의 폭이 더 있는 것이다.
헤드레스트의 이러한 하강현상을 흡수해주지 아니하면 목을 뒤로 젖힐수가 없으므로 이 현상에 대응하여 헤드레스트지지대(102)의 길이를 길게 하여 의자의 등판에 내려주고 헤드레스트지지대(102)의 양끝 부분에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도30b참조)를 고정한 다음 여기에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 등판스프링(209)을 매두어 머리를 젖힐때는 동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헤드레스트가 하강을 하고 머리를 바로 세우면 다시 원상복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 내용이 도30 (b)에 작도 되어 있는바 동도에서 헤드레스트지지대(102)와 등판스프링(209)이 설치된 바닥판(202)의 모습은 도18과 같으며 이 바닥판은 의자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높이조절나사(103)에 의하여 바닥판 전체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다시 후술함.
동도의 우측 원안그림은 헤드레스트지지대(102)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의 결합과정을 보인 것으로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에 헤드레스트지지대(102)를 접착제를 바른후 끼운 다음 다시 결합볼트(232)를 조여서 헤드레스트지지대(102)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가 단단히 결합된 일체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이 헤드레스트를 뒤로 젖히면서 목운동을 하고 이때 목과 후두부 하단부근이 지압이 되도록 한 최소한의 구성으로 후술하는 견인장치 없이 상기의 내용만으로 제작하여도 유용한 완제품이 되는 것이다.
팔걸이가 없는 간이식의 의자에서도 가능한 구성이다.
목을 젖히고 정지한 상태로 가만히 있으면 등판스프링(209)의 반작용이 머리를 상부로 밀어 주기 때문에 이때 목을 의식적으로 위로 빼주는 동작을 취하면 목근육의 단련과 견인에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상기 등판스프링의 상단에 동력전달선인 케이블을 매고 동 케이블의 타단은 팔걸이와 연결된 의자밑의 견인레버에 연결하여 팔걸이를 뒤로 당기면 하강되었던 헤드레스트가 상승하면서 목을 강제로 견인하여 주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 내용이 도 16-24에 작도 되어 있다.
도16은
길게 내려진 헤드레스트지지대(102);
이를 지탱하는 바닥판(202);
헤드레스트지지대를 올려 받히고 있는 인장스프링(209);
견인을 위한 2개의 케이블선(201,203);
이들이 주요 구성요소인바 상세는 도17을 놓고 설명 한다.
도17은
헤드레스트지지대(102)가 장착되는 도18에 그려진 바닥판(202);
도19의 롤러체(213);
상기 2요소를 결합후 이를 다시 의자의 등판에 부착시킨 모습이다.
바닥판(202)은 이를 지지하는 좌우 총4개의 바닥판 고정체(207)에 의하여 등판에 부착되며, 이 바닥판은 의자의 등판상부프레임(204)에 있는 높낮이 조절나사(103)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경우와 같다.
헤드레스트지지대(102)는 거의 등판길이에 육박할 정도로 길게 되어 있다.
이렇게 길게 제작한 이유는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인 감각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부드러운 작동을 위하여 헤드레스트지지대가 접촉하는 모든 부위는 마찰력이 거의 없는 테프론소재등의 미끄러운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헤드레스트지지대(102)는 등판의 상부프레임(204),
바닥판의 상단에 부착된 헤드레스트지지대상단바(214),
헤드레스트지지대하단블럭(217)을 연이어 통과한 다음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와 결합된다.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는 도20과 같으며 양측면에 있는 고정볼트(223)를 조여 헤드레스트지지대와 단단히 결합 시킨다.
이렇게 되면 헤드레스트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는 한몸으로 일체가 되어 바닥판(202)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도20의 중앙에 그려진 봉(210)은 등판스프링(209)의 늘어남을 한정시키는 것으로 후술하기로 하며, 그 옆의 노끈(220)은 등판스프링(209) 걸이로 등판스프링이 늘어날 때 나는 소리가 의자등판의 공간에서 기타와 같이 울리는 현상을 막기 위하여 특별히 둔 노끈이다.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와 결합된 헤드레스트는 그냥두면 중력에 의하여 지면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하여 둔 것이 등판스프링(209)으로 이 스프링은 헤드레스트를 위로 올려 받히고 있는 주된 스프링으로 일단이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의 노끈(2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롤러(213)에서 내려온 견인케이블선의 와이어(219)에 매여 헤드레스트를 위로 받히고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잠시 동력전달선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40에서 보는바와 같이 이륜차나 자동차등에서 많이 쓰이는 일명 케이블이라 통칭되는 것으로 특별히 구분하여 설명이 필요할 시에는 외부관을 케이블외피(201)라고 부르고 내부의 강선을 와이어(219)라 부르기로 한다.
케이블외피(201)는 부드럽게 휘어지면서도 길이가 수축되지 않아서 내부의 와이어(219)가 동력을 전달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17의 좌측케이블(201)은 견인케이블로 의자밑판에 장착된 견인레버(226)와 연결되고 우측케이블(203)은 팔걸이의 회전을 풀고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록킹케이블이라 칭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견인케이블(201)에 대하여 먼저 살펴본다.
전술한바와 같이 본발명은 팔걸이를 뒤로 당길때 헤드레스트가 상승이 되도록한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연결봉(227)에 의햐여 연결된 양팔걸이가 연결봉(227)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되도록 하고, 동 연결봉(227)에 견인레버(226)가 부착되어 있는바 팔걸이의 모습이 도21에 작도 되어 있다.
좌우팔걸이는 연결봉(227)으로 연결된 단일체이며 도42에 그려진 연결봉고정체(310)에 의하여 의자에 고정되어 팔걸이를 전후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도23참조)
그런데 팔걸이가 임의로 회전하게 되면 아니되므로 이를 고정하고 필요시 풀어주는 장치가 필요한바 도22에 그려진 록킹체(301)가 그것이다.
이 록킹체는 도23에서 보는바와 같이 견인레버(226)를 풀어주고 잡아줄수 있도록 견인레버에 근접 시켜서 의자 밑판에 고정시킨다.
도23에서 살펴보면 타단이 등판스프링과 연결된 와이어(219)가 견인레버(226)와 연결되어 있다.
등판스프링(209)은 헤드레스트를 위로 밀고 있을 수 있도록 팽팽히 당겨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견인레버(226)를 뒤로 당겨서 록킹체에 있는 견인레버고정부(303)에 밀착시키게 되며 이로서 팔걸이가 직립되게 되는 것이다.
등판스프링(209)의 당겨진 상태는 상당히 강하여서 헤드레스트를 위로 떠받히고 있는 힘외에 목의 근육을 단련시킬수 있을 정도로 강하게 당겨져 있게 설치 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히자마자 헤드레스트지지대(102)는 하강을 시작하기 때문에 평소의 등판스프링(209)의 상태가 팽팽한 강도로 당겨져 있어야 하는 것이다.
당겨진 이 상태는 자연히 견인레버(226)를 강한힘으로 잡아당기고 이는 다시 팔걸이를 수직으로 지탱하고 있는 힘이 되는 것이다.
도23에서 보면 견인레버(226)앞에 네모난 형태의 돌출된 부분인 록킹블럭(305)이 있는데 이것이 견인레버(226)를 앞으로 전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면서 팔걸이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23에서 살펴보면 팔걸이를 앞으로 밀수는 없다.
왜냐하면 돌출된 견인레버고정부(303)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뒤로는 비록 등판스프링(209)이 당기고 있다 하여도 힘을 주면 당겨지게 된다.
비록 등판스프링(209)이 견인레버(226)를 당기고 있다 하여도 레버리지의 효과에 의하여 팔걸이는 작은 힘으로도 쉽게 젖혀지기 때문이다.
의자를 뒤로 밀거나 이동을 시킬때 팔걸이가 쉽게 젖혀지게 되면 편리성이 반감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하여 둔 장치가 바로 록킹블럭(305)이다.
록킹블럭(305)은 판스프링으로 제작된 록킹블럭스프링(306)에 얹혀 있으며 평소에는 위로 치켜져 있으나 장착을 하게 되면 수평상태에서 견인레버(226)를 위로 밀고 있는 상태가 된다.(도23참조)
이렇게 되면 팔걸이가 전후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도17의 우측케이블(203)은 바로 이 록킹블럭스프링(306)을 아래로 잡아당겨서 견인레버의 고정상태를 풀기 위한 것이다.
이 록킹케이블(203)은 일단이 록킹블럭스프링(306)에 매여 있고 타단은 헤드레스트지지대 고정바(212)에 매여져 있어서 목을 젖히게 되면 바로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하강하면서 견인레버(226)가 앞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된다.
즉, 별도의 조작없이 목을 젖힘으로서 자동으로 견인레버(226)의 고정상태가 풀리고 헤드레스트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다시 잠기게 된다는 의미다.
작은조작에도 추가조작이 필요시에는 외면하게 되는 것이 사람들의 습성이다.
이 록킹블럭스프링(306)은 적은힘으로도 아래로 하강한다. 록킹블럭(305)을 견인레버(226)에 붙여주고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강할 필요가 없고 또 측면에서 당기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케이블은 굵을 필요도 없고 당겨지는 구간도 클 필요가 없다.
록킹블럭(305)의 높이가 고작 5밀리미터 정도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의 하강구간은 목의 젖힘각도에 따라서 적어도 6-7쎈티미터 내지 10여센티미터 이상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여 줄 필요성이 있어서 설치한 것이 도17의 록킹케이블스프링(228)이다.
머리를 젖히면 곧바로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하강되면서 견인레버(226)가 풀리게되지만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는 머리를 더 젖힘에 따라서 계속하강을 하는바 이때 작동되는것이 바로 록킹케이블스프링(228)이다.
즉 머리를 젖히게 되면 곧바로 록킹블럭스프링(306)은 바로 하단에 있는 케이블거치대에 접하여 더 이상 아래로 당겨질수 없게 되며 이때 부터는 록킹케이블스프링(228)늘어나면서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게속 하강할 수 게 되는 것이다.
록킹케이블스프링(228)의 강도는 강하지는 않지만 목을 젖히게 되면 이 록킹케이블스프링(228)이 늘어나기전에 먼저 록킹블럭스프링(306)을 하강시킬 정도의 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도17에서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적어도 '가'선에 도착하기 전에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풀려줘야 한다는 의미다.
그래야만이 목을 견인을 할수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어려운 것이 아니다.왜냐하면 록킹블럭스프링(306)의 강도는 상대적으로 아주 미약하고 또 약간만 하강 하여도 록킹상태가 풀리기 때문이다.
이상 살펴본바를 다시 정리하면
머리를 뒤로 젖히면 헤드레스트가 하강을 하면서 헤드레스트지지대(102)와 일체인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등판스프링(209)을 늘리면서 하강을 하게되고, 이와 동시에 견인레버(226)를 잠그고 있던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하강을 하면서 팔걸이를 뒤로 당길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를 도17에서 보면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가'선에 도달하기전에 팔걸이를 당길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때 머리는 대략 45도 정도 젖혀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머리를 뒤로 더 젖힐수록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는 '나'선에 근접하게 되며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나'선에 도달하면 이때는 신장한정봉(210)의 끝에 있는 나사머리(224)때문에 더 이상 등판스프링(209)이 늘어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헤드레스트의 지압바가 목을 꽉 조여주면서 후두부의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즉 견인을 할수 있는 상태가 된다는 의미가 된다.
물론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봉(212)이 '나'선에 도달하기 전에도 팔걸이는 이미 작동할수 있는 상태 이므로 팔걸이를 뒤로 당기게 되면 등판스프링(209)이 더 신장되면서 헤드레스트를 위로 밀게 될것이고 이는 경추를 견인하는 힘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가'와 '나'선 사이나 '가'선 이전이라도 젖히던 목을 정지한 상태에서 팔걸이를 당기면 목이 견인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효과적인 견인을 하기에는 역부족인 감이 있는바 등판스프링(209)의 강도가 그리 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등판스프링(209)의 강도를 아주 강하게 한다면 목을 젖히기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등판스프링의 강도는 목을 견인하기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이다.
경추를 견인할때는 보다 강한 힘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추가로 둔장치가 등판스프링(209)의 상단에 연결된 견인스프링(208)과 도20에 작도된 신장한정봉(210)인 것이다.
이 신장한정봉(210)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의 중앙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상하로 자유로 움직이며 하단은 나사머리(224)로 생겨서 여기에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걸리도록 한 것이고 타단은 동도의 원안에서 보는 것처럼 중앙에 구멍(229)이 있어서 여기에 견인스프링(208)의 한쪽끝을 끼우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견인스프링(208)의 일단은 상부의 롤러(213)를 거쳐 내려온 견인케이블의 와이어(219)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17의 우측원안에서 보는 것처럼 등판스프링과 신장한정봉이 같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신장한정봉은 도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판스프링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어 있다.
이 신장한정봉은 가느다란 와이어나 로프로 대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목을 젖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가 '나'선에 도달하면 이때부터는 신장한정봉(210)에 의하여 등판스프링(209)이 더 이상 늘어나지 못하고 목을 더 젖히거나 팔걸이를 뒤로 당기면 이때부터는 견인스프링(208)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견인스프링(208)은 강도가 강하여서 목을 젖히는힘 정도로는 별로 늘어나지 않고 팔걸이를 당길때에 비로소 늘어나면서 목을 견인게 되는 것이다.
이 견인스프링(208)을 두지 아니 하고 견인케이블(201)과 등판스프링(209)을 직접 연결 하여도 견인의 작용은 불러 올수 있으나 이를 둔 이유는 팔걸이를 당길수록 천천히 조금씩 늘어나면서 은근한 힘으로 견인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견인이 이루어질수 있는 상태에서 팔걸이의 당김과 목을 멈추고 있으면 이 견인스프링(208)이 은근한 힘으로 계속하여 견인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견인스프링(208)은 갑자기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현상을 막는 완충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팔걸이의 당기는 힘은 견인레버(226)와 팔걸이 기둥의 길이가 달라 레버리지의 효과가 있고,
당기는 양팔의 근육이 큰근육이기 때문에 갑자기 가해지는 힘으로 무리한 견인이 이루어질 수가 있는데 이때 완충역할을 하게 되는 기능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은 목을 뒤로 젖히고 목에 힘을 준 상태에서 견인을 하는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이하에서는 간단한 추가장치로 기존의 견인장치들과 같이 목에 힘을주어 버티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의 방법과 병행할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본다.
이때의 헤드레스트는 실시예2에서 본것과 같은 경우를 이용하는바 도28과 같은 상태에서 지압바추진체의 양측면에 걸림홈을 파두고 이에 맞추어 하판 양측면에 걸림핀이 있는 버튼식스위치인 누름버튼을 둔다.
이렇게 제작한 지압바추진체의 모습이 도36이며 하판의 누름버튼의 장착모습이 도37에 도시되어 있다.
목을 뒤로 젖힌상태에서 고정버튼(413)의 앞쪽을 누르면 고정핀(414)이 튀어나와 지압바추진체의 고정홈(415)에 핀이 걸리게 되므로 목을 바로 세워도 지압바가 목을 조여주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버튼(413)의 뒤쪽을 누르면 이 상태가 해제 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도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지지대하단블럭(217) 바로 밑에 수축스프링(526)을 둔다.
상기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이기 때문에 목을 뒤로 젖히지 않은 상태서도 지압바가 턱에 걸려 있으므로 견인이 가능하며 이때는 팔걸이를 당길때 수축스프링(526,도35)이 수축 되면서 헤드레스트가 위로 올려진다는 요지다.
팔걸이를 당기면 동도의 중앙에 있는 톱니바가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도35)를 물고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즉, 목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가 하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간격이 끌어올려지면서 견인이 되고, 목을 뒤로 젖히지 않은 상태 즉, 상기 고정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수축스프링(526)이 수축되면서 견인이 가능한 것이다.
전술한 견인장치와 다른 점은 등판스프링이 좌우로 2개가 배치되며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 중앙에 톱니바가 통과되고 이 톱니바가 견인케이블(201)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다.
톱니바는 견인케이블에 의하여 위로 당겨질때 중앙분리대(504,도31참조)에 의하여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를 물게되고 원상복귀되면 톱니바압착판스프링(514)에 의하여 좁혀지면서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이격되게 된다.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는 도33에 그려져 있는바 하면에 얇은 톱니록킹강판(523)을 두어 마모도 줄이고 민감하게 톱니와 체결되도록 한다.
톱니바의 모습은 도32와 같으며 양측면에 톱니(513)가 새겨져 있고 좌우 톱니바(515,516)는 결합핀(511)과 톱니바압착판스프링(514)에 의하여 결합되며 중앙분리대(504)와 톱니바에 있는 슬라이드면(517)의 접착조건에 따라 양바가 넓혀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이합을 하게 된다.
이 톱니바의 장착은 도31에 작도된 톱니바지지체에 있는 중앙분리대(504)에 삽입한 다음 머리가큰 고정핀(501)으로 고정한다.
철사와 같은 동도의 우측핀(505)이 고정핀(501)의 끝에 있는 핀구(502)에 삽입되며 삽입후에는 구부려 빠지지 않게 한다.
이렇게 하여 최종 장착된 모습이 도34 다.
동도를 놓고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스프링의 강도를 살펴보면 양측면에 있는 등판스프링(525)은 평소에 헤드레스트를 위로 받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압축스프링으로 제작된 수축스프링(526)을 누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수축스프링(526)의 강도는 등판스프링(525)보다 훨씬 강하여서 2개의 등판스프링(525)이 당기고 있는 힘으로는 별로 수축이 되지 않고 팔걸이를 당길때에 비로서 압축되게끔 강도가 조절되어 있는 것이다.
즉 평소에는 등판스프링의 완충역할을 한다고 보면 되며 다른 역할이 없는 것이다.
전술한 도17의 경우 수축스프링(526)의 자리에 완충제인 실리콘고무(211)를 두었는데 이 자리에 이 수축스프링(526)이 배치된 셈이다.
견인장치로 톱니바를 둔 이 경우도 헤드레스트의 고정버튼(413)을 누르지 않으면 전술한 도17의 신장한정봉이 있는 경우와 동일한 사용이 된다.
즉, 머리를 젖히는 목운동만 할수도 있고, 목을 젖힌상태에서 팔걸이를 당기면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의 하강된 위치에 상관없이(즉,목의 젖힘각도에 무관하게) 톱니바가 즉석에서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를 물게 되므로 즉석에서 견인이 되며, 헤드레스트의 고정버튼(413)을 누른상태에서는 목을 바로 세운상태에서도(즉,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헤드레스트지지대 하단블럭(217)이 붙어 있는상태) 수축스프링(526)이 압축되면서 견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경우도 견인스프링(208)을 톱니바상단에 설치할수도있다.
그 다음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로 목을 바로 세운경우에는 견인레버(226)를 수동으로 해제시키는 장치를 추가 하였는바 도38및 39에서 살펴본다.
일단에 원형의손잡이(601),
타단에 얇은판재모양의 록킹해제판(605),
중앙에 회전과 고정을 위한 함몰된 원주(圓柱)(603)가 형성된 정사각기둥으로 구성된 손잡이부;
상기 정사각기둥부분의 상호 평행되는 양면을 압착하는 디귿자 형태의 압착판스프링(602);
상기 손잡이부와 압착판스프링을 고정하고 이를 의자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착부(609);
상기 내용으로 구성되어 상기 견인레버 상부에 근접 설치한후 손잡이를 돌리면 90도 단위로 록킹해제판이 회전되면서 견인레버를 정지와 유동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록킹해제체가 그 내용이다.
앞에서 살펴본것처럼 목을 뒤로 젖힐때 견인레버(226)가 풀리는데 목을 바로 세우고 견인을 하는 경우에는 록킹블럭(305)에 의하여 잠겨 있는 견인레버(226)를 또다른 장치로 해제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방법은 도38과 같이 구성된 수동해제장치를 록킹블럭스프링(306)위에 록킹해제판(605)이 근접하도록 설치하여 손잡이(601)를 돌림에 따라서 해제되도록 한 것이다.
도38의 록킹해제체는 동도의 원안그림처럼 생긴 압착판스프링(602)의 작용으로 90도를 단위로 하여 회전되도록 된 것이며 록킹블럭스프링(306)과 접하는 록킹해제판(605)이 세로로 세워지면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하강되면서 견인레버(226)가 풀리고 가로로 놓여지면 견인레버(226)가 록킹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수동해제장치가 없어도 큰불편은 없다.
왜냐하면 고정버튼(413)이 눌린상태에서도 고개를 뒤로 밀수가 있으며 조금만 밀어주어도 견인레버(226)가 풀리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상기 수동해제장치는 선택사항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그 다음 반달홈이 너무 깊으면 평소 헤드레스트로 사용시 불편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는 구성이 도30a에 그려져 있다.
방법은 동도 에서 보는바와 같이 깊이 파여진 반달홈을 메워주어 목이 먼저 거치될 수 있도록 전후 유동이 되는 반달스펀지(412)를 설치 하였다.
이 반달스펀지(412)는 평소에는 목을 받혀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하도록 하지만 뒷면이 지압바추진체(408)와 접착되어 있어서 추진체가 뒤로 당겨질때 같이 뒤로 밀리면서 반달의 모양을 깊게 하여 목이 깊이 잠길수 있도록 하였다.
이 스펀지의 탄성도는 목이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이면서 목에 힘을주어 뒤로 밀어 넣으면 수축이 될 정도로 강약을 조절하여 만든다.
그리고 반달홈의 끝선과 반달스펀지(412)간에 유격이 있다 하여도 최종외피가 고도의 신축성이 있는 스판소재이기 때문에 최종외관이 도2에서 보는것처럼 부드러운 곡선이 유지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반달스펀지(412)를 두지 않는 도5나 도15의 경우는 헤드레스트 상부체를 약간뒤에 위치하게 설치하여 평소에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지 않고 약간 뒤로 ?떫돈? 하여서 헤드레스트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한다.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은 도17과 도41(a)를 참조하면 된다.
도41(a)에 그려진 높낮이조절볼트(103)를 의자의 상부프레임을 통과시킨 다음 바닥판의 상단에 있는 볼트구(216)에 체결하고 상승방지핀(416)을 끼워 고정시키면 동 블트를 돌림에 따라서 바닥판 전체가 상하로 이동을 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도23등 본 명세서 에서는 록킹체(301)의 방향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팔걸이를 뒤로 당길때 견인이 되도록 하였으나 동 록킹체(301)를 180도 반대로 설치하면 이때는 팔걸이를 앞으로 밀때 견인이 가능한 것이 된다.
동력전달케이블이 자유자재로 휘어지기 때문에 이 케이블들만 약간 길게하여 U턴배치하면 가능한 것이다.
팔걸이를 뒤로 당기면서 견인을 할때는 가슴이 같이 펴지는 장점이 있으며 팔걸이를 앞으로 밀면서 견인을 할때는 등을 의자등판에 붙일 수 있어서 미는 동작이 쉽다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선택사양으로 제작하면 되는 것이다.
끝으로 외피가 접촉되는 모든 모서리는 외피의 신축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고 모서리에 외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매끄럽게 라운딩 처리를 하여 사용시 외피가 잘 신축이 되어 반달홈의 기능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후판이 전후로 유동되기 때문에 목을 뒤로 젖힌 상태에서 목을 살짝 살짝 끄덕여주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좁아진 추간판의 간격을 늘리는데 획기적인 방법으로 팔걸이를 추가로 사용할 때 하게 되면 더더욱 효과가 있어서 단기간에 좁아진 추간판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강력하게 견인되고 있는 상태에서 목을 위로 올려주면서 끄덕끄덕 해주는 동작은 마치 커다란 바위를 움직일때 지렛대를 이용하여 살짝살짝 움직여주면 큰바위가 움직이는 원리에 비유되는 것으로 이 동작에 의하여 좁혀진 추간판이 획기적으로 늘어나며 근육도 단련되는 것이다.
이점은 거의 목을 움직일 수 없는 기존의 방법들과 크게 다른 유용성이다.
본 발명을 사용하다 보면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므로 목이 앞으로 쳐진 거북목과 일자목의 교정에 딱 좋으며 가슴까지 펴져야 목이 원활히 움직이게 되므로 가슴까지 넓게 펴지게 되어 앞으로 굽혀진 척추의 교정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다.
모든 관절은 근육에 둘러싸고 있으며 목 근육 또한 같은 것이다.
무릎관절이 닳은 경우 싸이클과 수영을 권장하는데 이때 관절을 둘러싼 근육이 강화되기 때문에 치료가 되는 것이다.
싸이클이나 수영에 무릎을 견인하는 과정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근육이 강화되면서 관절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는데, 이는 근섬유가 수축성이 있는 근막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근육이 옆으로만 굵어지는 것이 아니고 길이까지 길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목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면 저절로 견인의 효과를 볼 수가 있게 된다는 의미가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견인은 차치하고라도 근육의 강화만으로도 커다란 의미가 있는 발명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목의 근육이 뒷덜미에 있기 때문에 목을 뒤로 젖히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운동이야말로 경추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최적의 조건이 될 것이다.
머리와 신체의 각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가 목이므로 목이 가교역할을 잘할 때 건강이 찾아 오게 되는 것이다.
목에 힘준다는 말과 목이 굵으면 운세가 강한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헤드레스트의 지압효과는 힙을 등판에 붙이고 허리를 똑바로 세워 사용시는 목의 하단부근이 지압되고 자세를 좀 낮추면 후두부의 끝부분의 혈자리들이 지압이 되는 것이다.
끝으로 본 발명은 대부분의 장치가 등판과 의자 밑에 숨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기존의 의자와 동일하며 헤드레스트를 어느정도 힘을주어 밀어야 젖혀지게 되므로 평소에는 헤드레스트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방법도 아무런 조작 없이 그냥 목만 뒤로 젖혀주면 되고,
접근성 또한 눈만 뜨면 하루 종일 접하는 의자이기 때문에 언제나 접하게 되어 활용성이 무한히 높은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1헤드레스트
102.헤드레스트지지대
103.높낮이조절볼트
104.상부체
105.하부체
106.견인스트링통과구
107.지압바고정봉
108.후판고정피스구
109.헤드레스트지지대삽입구
110.레버리지턱
111.하판본체
112.고정구
113.견인스트링삽입구(지압바쪽)
114.제1지압바
115.탄성부
116.견인스트링
117.복원스프링
118.덮판피스구
119.덮판
120.스펀지
121.스트링삽입구(후판)
122.후판
123.후판탄성홈
124.헤드레스트지지대통과구
125.후판고정피스
126.상부체스펀지
127.후판삽입홈
128.신축주름
129.유체튜브
130.신축주름통과구
131.제3지압바
132.제2상부체스펀지
133.우레탄캡
134.반달홈
201.견인케이블
202.바닥판
203.록킹케이블
204.등판상부프레임
206.헤드레스트지지대프레임부고정판
207.바닥판고정체
208.견인스프링
209.등판스프링
210.신장한정봉
211.완충실리콘
21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
212(a).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신장한정봉이 없는 경우)
213.롤러
214.헤드레스트지지대상단바
215.헤드레스트지지대통과구
216.높낮이조절볼트구
217.헤드레스트지지대하단블럭
218.롤러체고정피스구
219.견인와이어
220.등판스프링고정끈
221.록킹케이블스프링고정구
222.헤드레스트지지대삽입구
223.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볼트
224.나사머리
225.견인와이어삽입구
226.견인레버
227.연결봉
228.록킹케이블스프링
229.견인스프링삽입구
230.등판스프링 걸이
231.노끈
232.지지대고정나사
301.록킹체
302.록킹체고정피스구
303.견인레버고정부
304.견인와이어통과구
305.록킹블럭
306.록킹블럭스프링
307.록킹와이어삽입구
308.록킹와이어통과구
309.의자밑판
310.연결봉고정체
311.스펀지
401.견인스트링통과구
402.제2지압바추진체
403.제2지압바고정돌기
404.제2지압바
405.고정돌기삽입구
406.슬라이드면
407.견인스트링고정구
408.지압바추진체
409.지압바추진스프링고정피스
410.지압바추진스프링
411.압축스프링
412.반달스펀지
413.고정버튼
414.고정핀
415.고정홈
416.상승방지고정핀
501.톱니바고정핀
502.고정철사삽입구
503.톱니바고정핀삽입구
504.중앙분리대
505.고정철사
506.톱니바고정체
507.톱니바고정체고정볼트구
508.공간유지턱
510.견인와이어고정구
511.톱니바결합핀
512.고정철사
513.톱니
514.톱니바압착판스프링
515.톱니바우판
516.톱니바좌판
517.슬라이딩면
518.헤드레스트지지대삽입구
519.톱니바통과구 Ⅰ
520.톱니바통과구 Ⅱ
521.록킹케이블스프링고정구
522.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
523.톱니록킹강판
524.등판스프링고정대
525.제2등판스프링
526.수축스프링
527.톱니바하강스프링
601.록킹해제손잡이
602.압착판스프링
603.회전부
604.회전부덮판
605.록킹해제판
606.밑판스펀지
607.연결봉통과구
608.고정볼트
609.부착부

Claims (6)

  1. 목운동을 할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후두부의 상단에 접촉되는 헤드레스트 상부체(104);
    전단중앙에 목이 삽입될수 있는 반달홈(134)을 가지고 내부에 기역자형태의 1쌍의 제1지압바(114)가 장착된 헤드레스트 하부체(105);
    중간부분에 탄성부(115)가 형성된 상기 제1지압바;
    하면에 후판탄성홈(123)이 형성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하는 후판(122);
    의자등판에 내려져 하단부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되도록 한 헤드레스트지지대(102);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연결되고 타단이 등판스프링고정돌기(230)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받치고 있는 등판스프링(209);
    상기내용으로 구성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제1지압바(114)일단과 후판(122)을 견인스트링(116)으로 연결한후
    후두부로 헤드레스트 상부체(104)를 밀면 등판스프링(209)이 늘어남과 동시에 후판(122)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제1지압바(114)가 지압바고정봉(107)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목을 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2. 목운동을 할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후두부의 상단에 접촉되는 헤드레스트 상부체(104);
    전단중앙에 목이 삽입될수 있는 반달홈(134)을 가지고 내부에 1쌍의 제2지압바(404)가 장착된 헤드레스트 하부체;
    상기제2지압바는 중앙에 가로로 천공된 고정구(405)를 가지고 일단이 목에 접촉하고 타단은 슬라이드면(406)으로 형성되며;
    양측내부에 상기 제2지압바의 슬라이드면을 압착하는 판스프링(410)이 부착된 디귿자형태의 지압바추진체(408); 상기 지압바추진체(408)에 부착된 반달 스펀지(412);
    하면에 후판탄성홈(123)을 가진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하는 후판(122);
    의자등판에 내려져 하단부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되도록 한 헤드레스트지지대(102);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연결되고 타단이 등판스프링고정돌기(230)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받치고 있는 등판스프링(209);
    상기내용으로 구성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지압바추진체와 후판(122)을 견인스트링(116)으로 연결한후
    후두부로 헤드레스트상부체(104)를 밀면 등판스프링(209)이 늘어남과 동시에 후판(122)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지압바추진체를 뒤로 당겨 제2지압바가 목을 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3. 목운동을 할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후두부의 상단에 접촉되는 헤드레스트상부체(104);
    전단중앙에 목이 삽입될수 있는 반달홈(134)을 가지고 내부에 1쌍의 제3지압바(131)가 장착된 하부체;
    하단에 신축주름(128)을 가진 유체튜브(129);
    상기 유체튜브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하는 하면에 후판탄성홈(123)을 가진 후판(122);
    의자등판에 내려져 하단부가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되도록 한 헤드레스트지지대(102);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a)와 연결되고 타단이 등판스프링고정돌기(230)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받치고 있는 등판스프링(209);
    상기내용으로 구성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후두부로 상부체를 밀면 유체튜브(129)의 압력으로 신축주름(128)이 신장되면서 제3지압바가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목을 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4. 제1,2,3항에 있어서
    양팔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봉(227)이 회전축이 되어 전후로 회전 되도록한 팔걸이;
    상기 연결봉에 형성된 견인레버(226);
    롤러(213)를 통과한 일단이 견인스프링(208)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견인레버와 연결된 견인케이블(201);
    일단이 상기 견인스프링(208)과 연결되고 타단이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와 연결된 등판스프링(209);
    일단이 나사머리(224)로 형성되고 타단은 견인케이블삽입구(229)를 가진 신장한정봉(210);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에 형성된 상기 신장한정봉의 통과구와 상기 등판스프링(209) 내부를 통과한후 견인스프링(208)과 연결된 상기 신장한정봉(210);
    상기 견인레버(226)를 정지 또는 동작상태로 두기 위한 록킹블럭(305)과 록킹블럭스프링(306)이 구비되어 견인레버에 근접설치된 록킹체;
    일단이 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212)에 타단이 상기 록킹블럭스프링(306)에 연결된 록킹케이블(203);
    상기 내용으로 구성되어 머리를 뒤로 젖혀 헤드레스트지지대(102)가 하강하면 록킹케이블의 견인으로 록킹블럭스프링(306)이 하강하여 견인레버(226)가 동작상태로 되며,
    양팔걸이를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면 견인레버(226)의 전진과 견인케이블(201)의 동력전달작용으로 헤드레스트가 상승하면서 경추를 견인 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5. 목운동을 할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후두부의 상단에 접촉되는 헤드레스트 상부체(104);
    전단중앙에 목이 삽입될수 있는 반달홈(134)을 가지고 내부에 1쌍의 제2지압바(404)가 장착된 헤드레스트 하부체;
    상기지압바는 중앙에 가로로 천공된 고정구(405)를 가지고 일단이 목에 접촉하고 타단은 슬라이드면(406)으로 형성되며;
    양측내부에 상기 지압바의 슬라이드면을 압착하는 판스프링(410)이 부착되고 외부양측면에 고정홈(415)이 형성된 디귿자형태의 상기 하부체에 장착된 제2지압바추진체(402);
    하면에 후판탄성홈(123)을 가진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를 연결하는후판(122);
    의자등판에 내려져 하단부가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되도록 한 헤드레스트지지대(102);
    일단이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연결되고 타단이 등판스프링고정대(524)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받치고 있는 좌우 한쌍의 등판스프링(525);
    헤드레스트하단블럭(217)과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사이에 둔 좌우의 수축스프링(526);
    양측면에 톱니(513)가 새겨지고 톱니바결합핀(511)과 톱니바압착판스프링(514)으로 결합된 좌우 1쌍으로 구성된 톱니바(515,516);
    상하 2개의 중앙분리대(504)가 있는 톱니바고정체(506);
    상기 중앙분리대에 장착된 상기톱니바;
    상기 톱니바는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의 중앙을 관통하며, 일단이 롤러(213)를 통과한 견인케이블(201)과 연결되고, 타단은 톱니바하강스프링(527)에 의하여 의자하단프레임에 연결 되도록 장착된 상기 톱니바;
    일단이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블럭스프링(306)과 연결된 록킹케이블(203)
    상기 톱니바와 연결된 견인케이블(201)은 팔걸이 연결봉에 부착된 견인레버(226)로 연결되어,
    목을 뒤로 젖히면 헤드레스트가 하강하면서 상기 견인레버가 동작상태로 전환되며,
    팔걸이를 뒤로 당기거나 앞으로 밀면 좌우의 톱니바(515,516)가 넓혀지면서 하강된 제2헤드레스트지지대고정바(522)를 상승시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6. 일단에 원형의손잡이(601),타단에 얇은판재모양의 록킹해제판(605),중앙에 회전과 고정을 위한 함몰된 원주(圓柱)(603)가 형성된 정사각기둥으로 구성된 손잡이부;
    상기 정사각기둥부분의 상호 평행되는 양면을 압착하는 디귿자 형태의 압착판스프링(602);
    상기 손잡이부와 압착판스프링을 고정하고 이를 의자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착부(609);
    상기 내용으로 구성된 록킹해제체를 상기 록킹블럭스프링(306) 상부에 근접설치하여 손잡이를 돌리면 90도 단위로 록킹해제판(605)이 회전되면서 견인레버(226)를 정지와 동작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록킹해제체가 설치된 목운동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20160066973A 2016-05-31 2016-05-31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20170135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73A KR20170135276A (ko) 2016-05-31 2016-05-31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973A KR20170135276A (ko) 2016-05-31 2016-05-31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76A true KR20170135276A (ko) 2017-12-08

Family

ID=6091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973A KR20170135276A (ko) 2016-05-31 2016-05-31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2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1109A (zh) * 2021-02-07 2021-06-29 陈桂蓉 一种青少年道德心理教育装置
CN113198140A (zh) * 2021-05-07 2021-08-03 翁爱双 一种颈椎康复训练器
KR20220016357A (ko) * 2020-07-30 2022-02-09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안마 의자
CN117653437A (zh) * 2024-01-04 2024-03-08 南京中医药大学 一种用于甲状腺癌的颈部过伸锻炼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357A (ko) * 2020-07-30 2022-02-09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안마 의자
CN113041109A (zh) * 2021-02-07 2021-06-29 陈桂蓉 一种青少年道德心理教育装置
CN113198140A (zh) * 2021-05-07 2021-08-03 翁爱双 一种颈椎康复训练器
CN117653437A (zh) * 2024-01-04 2024-03-08 南京中医药大学 一种用于甲状腺癌的颈部过伸锻炼装置
CN117653437B (zh) * 2024-01-04 2024-04-30 南京中医药大学 一种用于甲状腺癌的颈部过伸锻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995B1 (en) Exerciser
KR20170135276A (ko) 목운동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1732925B1 (ko)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US7357777B1 (en) Spin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US8287439B2 (en) Self-operating back stretching device
US4603689A (en) Patient operated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traction to the lower back vertebra of a patient in a seated position
US20070066464A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hamstrings
JP2010188171A (ja) 腰痛治療器
US11813223B2 (en) External structural brace apparatus
CN208838984U (zh) 一种中风偏瘫康复护理器
US6013014A (en) Couch exercise apparatus
US20160228320A1 (en) Inversion therapy spinal decompression accessory
US20150209213A1 (en) Wearable crutches
NO343956B1 (no) Ryggterapiapparat
US20070155602A1 (en) Sit-up exercise bench
KR100941164B1 (ko)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JP6080036B2 (ja) 腰痛改善器
KR101760179B1 (ko) 경추견인 의자
US11395755B2 (en) Method for applying spinal traction
US20220096306A1 (en) Decompression device and method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WO2007052875A1 (en) A massager
JP3147055U (ja) 健康器具
KR101062115B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JP6150160B2 (ja) 筋力トレーニング座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