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164B1 -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164B1
KR100941164B1 KR1020070114099A KR20070114099A KR100941164B1 KR 100941164 B1 KR100941164 B1 KR 100941164B1 KR 1020070114099 A KR1020070114099 A KR 1020070114099A KR 20070114099 A KR20070114099 A KR 20070114099A KR 100941164 B1 KR100941164 B1 KR 100941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plate
pelvic
variable structure
corr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955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휴먼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팩토리 filed Critical (주)휴먼팩토리
Priority to KR102007011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1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hip dislocation; Abduction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좌판 및 제2좌판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는 골반 지지대와, 및 상기 제1좌판 및 제2좌판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1탄성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의 크기도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남녀 노소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골반 교정 장치에 앉는 것만으로도 골반 교정이 가능하며, 제1탄성 결합부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한 제1좌판과 제2좌판의 벌림과 오므림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A pelvis correction apparatus of the variable structure}
본 발명은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힙(엉덩이) 크기에 따라 힙을 받치는 좌판도 좌우로 가변적으로 움직여 사용자의 힙 크기에 맞출 수 있어, 힙을 받쳐줌과 동시에 골반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반은 허리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깔때기 모양의 골격을 가리키며, 성기, 분비기관, 소화기관의 하부를 수용하고 보호하고 있으며, 양쪽 다리와 연결되어 몸을 지탱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골반은 임신과 출산 등에 의해 그 근육이 점차 약해지며, 이에 의해 골반이 벌어지고 틀어지기 쉽다. 골반이 벌어지고 틀어지게 되면, 몸의 균형을 잃게 되고, 골반이 틀어지면, 척추도 틀어져서 척추 신경들을 압박하게 되어 각종 척추 질환도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골반을 교정하고자 하기 위해 다양한 골반 교정 장치들이 등장하였다.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등록 실용신안 20-335930호 및 20-336048호와 같이 골반 쿠션의 좌우 폭을 달리하여 골반의 벌어짐을 교정하고 이를 통한 힙업 제품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 있으나, 이러한 쿠션들은 사실상, 보정 중심의 기능 제품으로 실질적인 체형변화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신체 사이즈는 44부터 88까지 다양하지만, 그 쿠션의 크기는 고정되어 있어서, 하나의 고정된 사이즈로 모든 여성들의 골반을 맞추어 교정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 실용신안 20-0318214호에 조임볼트가 풀려진 상태에서 좌판에 앉으면, 체중에 의해 분할된 좌우의 좌판이 눌려지고, 그 후 좌판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임볼트를 조이는 골반 교정용 장치가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골반 교정용 장치는, 사용시 볼트의 풀림과 조임을 반복적으로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골반의 압박만이 가능할 뿐, 골반 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골반의 좌우 운동, 즉 골반을 벌리고 오므리는 반복 운동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골반의 하부는 교정이 가능할지라도, 골반의 상부는 어떠한 보조 장치가 없으므로, 골반의 상부는 거의 무방비 상태에 있었다.
아름다운 몸매, 즉 S라인의 몸매를 가꾸기 위해서는 골반의 하부뿐만 아니라 골반의 상부도 지속적으로 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의해 골반이 바르게 교정됨은 물론 힙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쿠션, 즉 엉덩이가 맞닿는 좌판의 크기 및 폭이 탄성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골반의 좌우 움직임, 즉 벌림과 오므림 운동이 가능하여 골반의 교정 및 운동이 가능한 골반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반의 좌우 운동뿐만 아니라, 허리를 뒤로 젖힐 때마다 골반의 상부도 운동이 가능하여 골반 운동 및 힙업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골반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이 변형되는 가변 구조로서,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좌판 및 제2좌판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는 골반 지지대와, 및 상기 제1좌판 및 제2좌판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1탄성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의 사이를 중첩하여 덮고 있는 중앙 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상기 골반 지지대에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골반 지지대가 상기 제1좌판 및 제2좌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골반 지지대를 상기 제1좌판 및 제2좌판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2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반 지지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상기 골반 지지대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3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이 변형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있어서,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좌판 및 제2좌판과,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측면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골반의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고 받쳐주는 상부 골반 지지대와, 및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의 사이를 중첩하여 덮고 있는 중앙 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골반 지지대와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2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골반 지지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상기 골반 지지대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3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상기 제1탄성 결합부, 상기 제2탄성 결합부, 상기 제3탄성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두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열선 기능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진동 기능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의 크기 및 폭도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남녀 노소에 상관없이 본 발명의 골반 교정 장치에 앉는 것만으로도 골반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골반 운동 및 교정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공부나 사무를 보면서, 착석 및 간단한 움직임만으 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골반의 좌우 운동과, 허리 및 척추의 상하 운동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으므로, 골반의 하부뿐만 아니라, 골반의 상부에도 운동 효과가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힙업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수직 압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사용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이 변형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로서, 제1좌판(10), 제2좌판(20), 골반 지지대(30) 및 제1탄성 결합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은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엉덩이의 모양에 맞추어 각각의 중앙부가 움푹 패여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중앙 부분이 비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의자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 중앙 부분이 공중에 떠 있는 형태이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상태의 엉덩이 눌림 등이 최소화된 상태이므로 엉덩이의 쳐짐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골반 지지대(30)는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 골반의 상부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골반 지지대(30)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좌판에 착석시 척추 및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척추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좌판의 크기도 사용자의 체격 및 체중에 따라 가변 구조이듯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골반 지지대(30)도 제3탄성 결합부(300)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체격 및 체중에 따라 분할된 지지대(30)들이 제3탄성 결합부(30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서로로부터 멀어져(늘어나) 사용자의 신체 규격에 맞춰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탄성 결합부(300)는 밴드, 벨트, 용수철 등 탄성 소재가 될 수 있다.
제1탄성 결합부(100)는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을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에 착석할 경우, 다리를 좌우로 벌렸다가 오므릴 때마다 힙업 강화 운동이 제1탄성 결합부(100)의 장력에 의해서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 결합부(100)는 밴드의 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 결합부(100)는 밴드, 벨트, 용수철 등 탄성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따른 골반 교정 장치에 제2탄성 결합부(200)가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제2탄성 결합부(200)는 골반 지지대(30)에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골반 지지대(30)가 상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골반 지지대(30)를 제2탄성 결합부(200)에 의해 상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 결합부(200)는 밴드의 장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탄성 결합부(200)는 밴드, 벨트, 용수철 등 탄성 소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열선 기능, 진동 기능 및 원적외선 기능의 패드를 추가로 설치 및 연결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용자의 골반 및 엉덩이를 마사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냉증 및 생리통 등 부인과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 그 질환을 완화할 수도 있어서, 치료 및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변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1탄성 결합부(100)를 제1밴드(100)로, 제2탄성 결합부(200)를 제2밴드(200)로, 제3탄성 결합부(300)를 제3밴드(300)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형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이 서로 맞대고 있으며, 사용자가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양쪽 엉덩이를 대고 앉게 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따라 각각의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은 탄성의 제1밴드(100)에 의해 좌우로 벌려지면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맞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이 벌어지면서, 엉덩이의 크기에 맞게 고정되고,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이 제1밴드(10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엉덩이의 크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골반을 바깥 방향으로 벌리고, 양쪽 허벅지를 맞닿도록 오므림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운동 및 가해지는 하중은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체중이 가벼운 사람일수록, 벌어지는 각도가 작고, 체중이 무거운 사람일수록, 벌어지는 각도가 크며, 그에 의해 밴드가 당겨지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 및 운동 한계에 맞게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골반 교정 장치에 앉은 상태에서 양쪽 허벅지를 좌우로 벌렸다가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할 때마다, 허벅지의 근육 운동 및 하부 골반 운동은 물론, 힙업 운동이 가능하며,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을 연결하는 제1밴드(100)를 적어도 두 개 이상 연결하면, 제1밴드(100)의 장력이 더욱 강해지므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라도 적당한 하중으로 반복 운동이 가능하다.
골반 지지대(30)는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후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제2밴드(200)에 의해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에 탄성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골반 지지대(30)는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골반 지지대(30)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골반 및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이를 보호하므로,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용자들에게 발생하는 척추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골반 지지대(30)는 제3밴드(300)로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체격에 따라 골반 지지대(30)도 좌판과 마찬가지로 가변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5a는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골반 지지대(30)가 제2밴드(200)에 의해 좌판(10, 2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 후, 도 5b와 같이 척추 및 등을 골반 지지대(30)에 기댄 후, 몸을 천천히 젖히면, 제2밴드(200)가 늘어나면서 골반 지지대(30)가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하중을 더 가하여, 몸을 완전히 눕히면 골반 지지대(30)가 후 방향으로 약 90°로 이동된다. 이때 몸은 완전히 젖혀진 상태, 즉 편안히 누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별도의 운동을 하지 않아도, 앉거나 누운 동작만으로도 골반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하중이 엉덩이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기 때문에, 엉덩이의 퍼짐 및 처짐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엉덩이의 중심 부분은 움푹 패여 있기 때문에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닿지 않고 붕 뜬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엉덩이의 아랫부분에 닿는 좌판 부분이 힙을 받쳐주는 상태가 되어 엉덩이를 자연스럽게 받쳐주게 되고, 그에 의해 받쳐주는 힘이 엉덩이의 윗부분으로 가해지므로 계속적으로 힙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구조의 골반 교정장치를 척추 운동 등에 활용할 경우에는 더 큰 힙업 및 운동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골반 지지대(30)에 기댄 후, 전후 방향, 즉 앞뒤로 젖히는 운동을 반복하면, 상부 골반, 척추 및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다. 골반의 상부 및 하부를 함께 운동할 수 있으므로, 골반의 교정이 가능하고, 골반의 반복 운동에 의해 탄력 있는 엉덩이를 만들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후 방향으로 약 90°정도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좌판(10), 제2좌판(20), 상부 골반 지지대(30), 힌지(31), 제1탄성 결합부(100), 제2탄성 결합부(200) 및 제3탄성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탄성 결합부(100), 제2탄성 결합부(200), 제3탄성 결합부(300)는 밴드, 벨트, 용수철 등 탄성 소재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탄성 결합부(100)를, 제1밴드(100)로, 제2탄성 결합부(200)를 제2밴드(200)로, 제3탄성 결합부(300)를 제3밴드(300)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은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엉덩이의 모양에 맞추어 각각의 중앙부가 움푹 패여 있다.
상부 골반 지지대(30)는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제1좌판(10) 및 상기 제2좌판(20)의 측면으로부터 힌지(31)에 의해 결합 되어 있어서, 힌지(31) 축을 중심으로 상기 골반의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고 받쳐준다. 또한, 상부 골반 지지대(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할된 상부 골반 지지대(30)는 제3밴드(300)로 탄성적으로 결합하여, 하중을 분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규격에 맞춰질 수 있다.
제1밴드(100)는 상기 제1좌판(10) 및 상기 제2좌판(20)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10) 및 상기 제2좌판(20)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10) 및 상기 제2좌판(20)을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골반 지지대(30)로부터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탄성의 제2밴드(200)를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제2밴드(200)에 의한 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2밴드(200)는 상기 상부 골반 지지대(30)와 상기 제1좌판(10) 및 상기 제2좌판(20)을 탄성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힌지(31) 축의 전후 이동뿐만 아니라, 제2밴드(200)에 의한 장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어서 상부 골반 및 허리의 전 후 운동에 의한 힙업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에 다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좌판(10), 제2좌판(20)이 제1밴드(100)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것과, 골반 지지대(30)가 분할되어 제3밴드(30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골반 지지대(30)가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의 측면으로부터 힌지(31)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31) 축을 중심으로 골반의 상부를 전 후 방향으로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가 힌지(31) 축을 중심으로 후 방향으로 약 90°정도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의자 위에 올려놓고 앉아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부 골반을 지지하고 받쳐주는 상부 골반 지지대(30)가 힌지(31) 축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편안하게 누운 상태(도 7 참조)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누운 상태에서도 양쪽 허벅지와 골반을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할 수도 있으며, 상부 골반 지지대(30)에 상부 골반과, 척추 및 허리를 받친 후, 몸을 세우거나 눕히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와, 수직 압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각 각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사용 단계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의 크기에 따라 좌판이 변형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로서, 제1좌판(10), 제2좌판(20), 중앙 좌판(50), 중앙 좌판 지지대(51), 측면 골반 지지대(30a), 후면 골반 지지대(30b), 슬라이드 레일(32), 제1탄성 결합부(100) 및 제3탄성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은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제1탄성 결합부(1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탄성 결합부(100)는 밴드, 벨트, 용수철 등의 탄성 소재가 될 수 있다. 제1탄성 결합부(100)에 의해 연결된 제1좌판(10)과 제2좌판의(20)의 사이 및 그 사이를 기준으로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좌우 일 단면을, 중앙 부분이 볼록한 쿠션 형태의 중앙 좌판(50)이 중첩하여 덮고 있다.
중앙 좌판(50)은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좌판 지지대(51)에 의해 제1좌판(10)과 제2좌판(2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형태이다. 사용자가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좌판에 착석할 경우,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의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좌판(50)은 체중에 따라 눌려지면서 중앙 좌판 지지대(51)가 바닥에 맞닿게 되고, 이에 의해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이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은 중앙 좌 판(50)과 제1좌판(10), 제2좌판(20)이 중첩되어 있던 부분만큼 양쪽으로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중앙 좌판(50)에 의해 늘어난 공간만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및 양쪽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 골반 지지대(30a)는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 골반의 상부를 지지한다. 여기에서 측면 골반 지지대(30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각각에 슬라이드 레일(32)로 연결 결합 되어있어서, 측면 골반 지지대(30a)가 제1좌판 및 제2좌판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골반 지지대(30)가 밴드 또는 힌지에 의해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에 결합되어 있어서,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측면 골반 지지대(30a)가 제1좌판(10) 및 제2좌판(20)과 슬라이드 레일(32)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제1좌판(10)과 제2좌판(20)의 라인을 따라 측면 골반 지지대(30a)가 슬라이드 되어 전후 방향으로 부드럽게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측면 골반 지지대(30a)는 제3탄성 결합부(300)에 의해 골반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후면 골반 지지대(30b)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3탄성 결합부(300)는 밴드, 벨트, 용수 철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측면 골반 지지대(30a)와 후면 골반 지지대(30b)가 서로로부터 멀어져 사용자의 신체 규격에 맞춰질 수 있다.
한편, 중앙 좌판(50)은 메모리 폼, 폴리 우레탄, 스폰지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열선 기능, 진동 기능, 원 적외선 기능의 패드를 내장설치 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 및 엉덩이를 마사지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냉증 및 생리통 등의 부인과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 그 질환을 완화할 수도 있어서 치료 및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따른 골반 교정 장치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골반 교정 및 운동 효과와 힙업 효과 등이 기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수직 압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사용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후 방향으로 약 90°정도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수직 압 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의 사용 단계를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좌판
20: 제2좌판
30: (상부) 골반 지지대
30a: 측면 골반 지지대
30b: 후면 골반 지지대
31: 힌지
32: 슬라이드 레일
50: 중앙 좌판
51: 중앙 좌판 지지대
100: 제1탄성 결합부(제1밴드)
200: 제2탄성 결합부(제2밴드)
300: 제3탄성 결합부(제3밴드)

Claims (13)

  1.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있어서,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좌판 및 제2좌판;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는 골반 지지대; 및
    상기 제1좌판 및 제2좌판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1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의 사이를 중첩하여 덮고 있는 중앙 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지지대에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골반 지지대가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골반 지지대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에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2탄성 결합부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 지지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상기 골반 지지대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3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6.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에 있어서,
    엉덩이가 나누어진 방향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제1좌판 및 제2좌판;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의 측면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골반의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골반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골반 지지대; 및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에 위쪽으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1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좌판과 상기 제2좌판의 사이를 중첩하여 덮고 있는 중앙 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골반 지지대와 상기 제1좌판 및 상기 제2좌판을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2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골반 지지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상기 골반 지지대를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제3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열선 기능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진동 기능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는 제1 좌판과 제2 좌판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KR1020070114099A 2007-11-09 2007-11-09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KR10094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99A KR100941164B1 (ko) 2007-11-09 2007-11-09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99A KR100941164B1 (ko) 2007-11-09 2007-11-09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55A KR20090047955A (ko) 2009-05-13
KR100941164B1 true KR100941164B1 (ko) 2010-02-10

Family

ID=40857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99A KR100941164B1 (ko) 2007-11-09 2007-11-09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18A1 (ko) * 2011-10-14 2013-04-18 Hong Seung-Ho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9410B2 (ja) * 2009-08-10 2013-01-30 ソー キム,ハク 骨盤矯正用座板
KR101237513B1 (ko) * 2009-09-03 2013-03-06 (주)제롬코리아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TWM486334U (zh) * 2014-03-04 2014-09-21 Wei-Ting Lin 塑形支撐結構
KR102013063B1 (ko) * 2018-02-28 2019-08-21 이하나 넓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CN111166547B (zh) * 2018-11-09 2023-10-31 刘伟 一种臀部悬空且臀垫高度可调的康复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07Y1 (ko) 2003-06-23 2003-10-17 김경민 다목적 운동기구
KR100654918B1 (ko) 2005-10-14 2006-12-06 김선환 골반 보호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607Y1 (ko) 2003-06-23 2003-10-17 김경민 다목적 운동기구
KR100654918B1 (ko) 2005-10-14 2006-12-06 김선환 골반 보호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5118A1 (ko) * 2011-10-14 2013-04-18 Hong Seung-Ho 좌석용 균형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955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64B1 (ko) 가변 구조의 골반 교정 장치
US7285102B1 (en) Dual use massage chair
JP2008272449A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と方法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CA2818576A1 (en) Backrest apparatus comprising a concave support pad with convex end portions
JP2022518824A (ja) チェアー、押圧デバイス
US20060116262A1 (en) Biodynamic apparatus for performing correct SIT-UP and LEGS-UP exercises and methods
CN201906170U (zh) 一种多功能电动按摩垫
KR101585221B1 (ko) 지압대 겸용 지압 베개
CN211068928U (zh) 下半身运动器械
CN207101479U (zh) 一种使用及收纳便捷的按摩装置
KR102064499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아치형 좌석시트
JP2006095262A (ja) クッション
US8905952B2 (en) Simple portable lumbar spine distraction device and method
JP2006141694A (ja) ストレッチ台
JP2006068025A (ja) 椅子用の腰痛軽減補助装置
KR101237513B1 (ko) 골반 및 힙업 교정장치
CN108471881A (zh) 用于椅子或座椅的运动靠背
CN218737998U (zh) 一种人体工程学装置
KR101910086B1 (ko) 인체구조를 고려한 좌석시트
JP2008073276A (ja) 骨盤クッション
CN201684051U (zh) 多功能脊椎平衡坐卧养生垫
KR102554976B1 (ko) 신체 균형을 위한 온열벨트
JP2020130198A (ja) 腰痛対策用のクッション及び携帯クッション
KR20180089181A (ko) 허리받침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