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15B1 - 척추 교정 운동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 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15B1
KR101062115B1 KR1020080112357A KR20080112357A KR101062115B1 KR 101062115 B1 KR101062115 B1 KR 101062115B1 KR 1020080112357 A KR1020080112357 A KR 1020080112357A KR 20080112357 A KR20080112357 A KR 20080112357A KR 101062115 B1 KR101062115 B1 KR 101062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d unit
user
bed
st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3303A (ko
Inventor
성동진
허유순
Original Assignee
허유순
성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784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21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허유순, 성동진 filed Critical 허유순
Priority to KR102008011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2Lying down 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척추 교정 운동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발 이용 운동 유닛; 사용자가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울 수 있는 베드 유닛; 및 상기 베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편리하게 누울 수 있고,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가 편리하게 허리 벨트를 자신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아니하고도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 자체로도 척추 교정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척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에서 스테퍼를 이용하거나 베드 유닛의 자세 조절을 이용하여 요추와 경추에 대한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누운 상태에서 손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경추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에서 요추 뿐만 아니라 경추, 무릎 관절 등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복합적인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 운동 장치{Backbone correction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가 보다 편한 자세에서 운동할 수 있고, 척추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교정 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척추는 경추(頸椎) 7개, 흉추(胸椎) 12개, 요추(腰椎) 5개, 천추(薦椎) 5개, 미추(尾椎) 4∼5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추골군은 각기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중 경추는 목등뼈를 의미하고, 요추는 허리등뼈를 의미하는데, 현대인의 잘못된 생활 습관 등에 기인하여, 경추, 요추를 포함한 척추에 통증이 유발되거나, 심한 경우 디스크가 유발되기도 한다.
디스크는 척추의 각 추체 사이가 눌려 간격이 좁아지거나, 디스크 륜의 변형으로 수액이 빠져나와 척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디스크를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주변의 근육을 보강시켜, 빠져나간 수액을 원위치시키는 것이다. 위와 같이 수액이 원위치되면, 통증이 사라지고 디스크가 치료될 수 있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좁아진 추체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고 그 주변의 근육을 보강시키기 위하여, 물리 치료기 또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이용하였다. 척추 교정 운동 장치는 베드에 사용자가 누운 후, 허리 벨트로 허리를 고정하고, 발을 이용하여 싸이클링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베드가 수평 상태로 지지대에 고정된 방식이어서,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로 싸이클링 머신에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요추의 인장 회복을 통한 요추 운동 효과가 거의 발생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다리가 불편한 환자 등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싸이클링 머신에 힘을 가하기 힘든 사용자는 종래의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통해 요추 운동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드가 수평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베드에 누우면 사용자의 몸이 베드와 함께 수평 상태가 된다. 따라서,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 벨트를 묶기가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단점들을 제거하면서, 요추 뿐만 아니라 경추, 무릎 관절 등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복합적인 운동이 가능한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아니하고도 베드에 누운 상태 자체로도 척추 교정 운동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베드에 누워 편리하게 허리 벨트를 묶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베드에 누운 상태에서 요추 뿐만 아니라 경추 등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복합적인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발 이용 운동 유닛; 사용자가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울 수 있는 베드 유닛; 및 상기 베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에 연결되는 회동력 제공 유닛이 배치되 며,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밀어 올리면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은 함께 그 머리 부분이 하향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기면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은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상기 지지 유닛에 닿을 때까지 함께 그 머리 부분이 상향되도록 회동되고,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기는 중,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상기 지지 유닛에 닿으면,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의 회동은 정지되고, 상기 상측 베드 유닛만 그 머리 부분이 상향되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자세로 손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손 이용 운동 유닛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상측 베드 유닛이 그 상부가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되면, 상측 베드 유닛이 경사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편리하게 누울 수 있다. 그리고,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가 편리하게 허리 벨트를 자신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상측 베드 유닛이 그 상부가 하향되고 그 하부가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되면,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허리가 허리 벨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중력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가 하방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는 물론 경추도 견인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아니하고도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 자체로도 척추 교정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척추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손 이용 운동 유닛이 베드 유닛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를 이완 회복시키고, 경추 주변 지지근을 강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 경추에 대한 운동 효과는 물론 치료 효과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에서 스테퍼를 이용하거나 베드 유닛의 자세 조절을 이용하여 요추와 경추에 대한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누운 상태에서 손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경추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에서 요추 뿐만 아니라 경추, 무릎 관절 등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복합적인 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서 베드 유닛이 하향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서 베드 유닛이 상향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는 상측 베드 유닛(110)과, 하측 베드 유닛(120)과, 지지 유닛(130)과, 스테퍼(150)와, 유압 실린더 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은 베드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는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이 상기 지지 유닛(13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이에 대하여 상술한다.
상기 베드 유닛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은 상측 베드 프레임(111)와, 상측 베드(112)와, 스테퍼 연결체(113)와, 유압 실린더 연결부(11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은 하측 베드 프레임(121), 하측 베드 설치 프레임(122)과, 하측 베드(123)과, 파지 봉(124)과, 지지체 연결부(12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태의 부분으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골격을 이룬다.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편하게 누울 수 있도록 쿠션 기능을 가진 상기 상측 베드(112)가 놓인다.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기 위하여, 상기 상측 베드(112)는 에어 쿠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는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의 하측 말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테퍼(15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는 스테퍼 상체 연결 홀(114) 및 스테퍼 하체 연결 홀(115)이 형성된다. 상기 스테퍼 상체 연결 홀(114) 및 상기 스테퍼 하체 연결 홀(115)에는 각각 스테퍼 상체 연결 축(118) 및 스테퍼 하체 연결 축(119)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 상기 스테퍼(15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 연결부(116)는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축, 베어링 구조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 연결부(116)에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에 의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상기 지지 유닛(13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에는 그를 관통하여 상하 베드 연결 홀(117)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 베드 연결 홀(117)에 하기되는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을 중심으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는 허리 벨트(18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허리 벨트(180)는 내측 벨트와 외측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말단이 각각 벨트 고정체에 의해 상기 베드 몸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타단은 자유단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서로 맞물린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벨트의 말단 외측과 상기 외측 벨트의 말단 내측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벨크로 접착포(velcro fastener), 지퍼, 똑딱이 단추 등의 연결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허리 벨트(180)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누운 사용자의 허리를 감아 잡아준다. 그러면, 상기 허리 벨트(180)에 의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 상의 사용자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겹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많게 하면, 상기 허리 벨트(180)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누운 사용자의 허리를 상대적으로 더 조여 압박하게 된다. 그러면, 부수적으로 사용자의 요추를 인장시키게 된다.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는 제어 유닛(190)이 연결된다.
상기 제어 유닛(190)은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여러 부분에 대한 조작 버튼이 배치된 부분으로, 특히 상기 제어 유닛(190)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 베드 유닛을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어 유닛(190)에 해당 값을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 유닛(19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값에 대응되는 명령을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에 송신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 유닛(190)에는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각종 상태, 작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은 소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막대 형태의 부분으 로,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의 골격을 이룬다.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에는 소정 면적으로 넓게 형서된 상기 하측 베드 설치 프레임(1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드 베드 설치 프레임(12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편하게 누울 수 있도록 쿠션 기능을 가진 상기 하측 베드(123)가 놓인다.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기 위하여, 상기 하측 베드(123)는 에어 쿠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 유닛에 사용자가 누우면, 상기 하측 베드(123)에 사용자의 둔부(臀部)가 놓이고, 상기 상측 베드(112)에 사용자의 상체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파지 봉(124)은 고리 형태로 상기 하측 베드 설치 프레임(1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의 내측에는 상측 베드 프레임 홀(125)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 홀(125)에는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이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 홀(125)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 상에는 그 측방으로 관통되는 상하 베드 연결 홀(126)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 베드 연결 홀(126)에는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이 관통된다.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은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의 상기 상하 베드 연결 홀(117)과,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의 상기 상하 베드 연결 홀(126)을 함께 관통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과 상기 상측 베드 프레 임(111)이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을 기준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이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 상에 얹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을 밀어 올릴 경우,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은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 상에 얹힌 상태로,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과 함께 회동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을 끌어 내릴 경우,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은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 상에 얹힌 상태로 회동되다가, 상기 지지 유닛(130)에 걸려 정지되고,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만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 홀(125)을 통해 계속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체 연결부(127)는 상기 하측 베드 프레임(121)의 상측 하단에 형성된 것으로, 지지체 연결 홀(128)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체 연결 홀(128)에 하기되는 하측 베드 연결 축(141)이 관통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130)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지지 유닛(130)은 지지체(131)와, 지지봉(132)과, 지지체 플랜지(134)와, 하측 베드 지지부(135)와, 하측 베드 연결부(13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31)는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다른 부분들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체(131)는 소정 면적의 플레이트가 서로 이격되고 그 하부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지지체(131)의 중앙부는 상방으로 개방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지지체(131)의 상방으로 개방된 중앙부 를 통해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 및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이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개방된 부분은 유압 실린더 홀(133)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32)은 상기 지지체(131)의 측방으로 연장된 봉 형상의 부분으로, 상기 지지체(131)가 전복되지 않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체 플랜지(134)는 상기 지지체(131)의 상단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 홀(133) 쪽으로 연장된 부분으로, 이러한 지지체 플랜지(134) 상에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는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에 의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얹힌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함께 당겨지는 과정에서,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놓이는 부분이다.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놓이면,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의 이동은 정지되고,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만 계속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을 중심으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회동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는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에 의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당겨지는 도중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닿는 부분으로, 그 접촉 시의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 베드 연결부(136)는 상기 지지체(131)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된 것으로, 하측 베드 연결 홀(137)이 관통된다. 상기 하측 베드 연결 홀(137)에 하측 베드 연결 축(141)이 관통되고, 그 말단이 연결 축 고정체(14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130)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연결된 부분인 상기 상하 베드 연결 홀(117, 126) 및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 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 측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과 상기 지지 유닛(130)의 연결 부분인 상기 하측 베드 연결부(136), 상기 지지체 연결부(127) 및 상기 하측 베드 연결 축(141) 부분이 형성되고, 그 타 측에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연결 부분인 상기 유압 실린더 연결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은 유압을 이용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을 상향 또는 하향시키는 부분으로, 유압 실린더 몸체(171)와, 유압 실린더 지지체(172)와, 연장 피스톤(174)과, 메인 피스톤(17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 유닛(170)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 당기는 회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측면에서 회동력 제공 유닛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는 상기 제어 유닛(190)에서 전달되는 명령에 따른 유압을 형성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에서 형성된 유압에 의해 상기 메 인 피스톤(175)이 1차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 피스톤(174)이 2차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 피스톤(174)의 말단부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상기 유압 실린더 연결부(11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밀어 올려지거나,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피스톤(175)와 상기 연장 피스톤(174)이 2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메인 피스톤(175)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더 많은 개수의 연장 피스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 지지체(172)는 상기 지지체(131)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가 상기 유압 실린더 지지체(17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밀어 올려지거나 끌어 당겨질 때, 상기 유압 실린더 지지체(172)와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 사이의 각도가 그에 맞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동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테퍼(150)는 발 이용 운동 유닛으로, 이에 대하여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는 손 이용 운동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 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습의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베드 유닛에 사용자가 척추 운동을 위해 눕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190)에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상향될 수 있는 값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 유닛(190)은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명령을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으로 송신한다.
상기 명령을 수신한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는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유압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피스톤(175)과 상기 연장 피스톤(174)이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 내부로 인입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은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에 얹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은 상기 상하 베드 연결 축(129)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그 상부가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모습과 같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00)이 그 상부가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되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경사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베드 유닛에 편리하게 누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가 편리하게 상기 허리 벨트(180)를 자신의 허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모습과 같은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가 상기 허리 벨트(180) 고정까지 마친 후, 상기 제어 유닛(190)에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머리 부분이 하향될 수 있는 값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 값을 입력받은 상기 제어 유닛(190)은 상기 입력 값에 대응되는 명령을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으로 송신한다.
상기 명령을 수신한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는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유압을 형성하고, 그에 따라 상기 메인 피스톤(175)과 상기 연장 피스톤(174)이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피스톤(174) 말단부에 연결된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하부가 밀어 올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 및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얹힌 상태의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함께 상기 하측 베드 연결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가 하향되고 그 하부가 상향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모습과 같이, 상기 베드 유닛이 그 상부가 하향되고 그 하부가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되면,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허리가 상기 허리 벨트(18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중력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가 하방으로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는 물론 경추도 견인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다른 운동을 하지 아니하고도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 자체로도 척추 교정 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척추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모습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 유닛(190) 을 통해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가 다시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되어 도 2에 도시된 모습과 같은 평평한 상태를 이루고자 할 때,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이 작동하여 상기 메인 피스톤(175)과 상기 연장 피스톤(174)이 상기 유압 실린더 몸체(171) 내로 인입된다. 그에 따라,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가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되도록,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 및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얹힌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상기 하측 베드 연결 축(141)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러한 회동 중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이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에 닿으면, 상기 유압 실린더 유닛(170)의 작동이 정지되고, 상기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베드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상태가 된다.
만약, 사용자의 상기 제어 유닛(190)을 통한 명령에 따라,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가 상향되고 그 하부가 하향되는 동작이 지속되면, 상기 하측 베드 유닛(120)은 상기 하측 베드 지지부(135)에 접한 상태로 정지되고,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만이 동작을 지속하게 되어, 도 4와 같은 모습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손 이용 운동 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의 상측 베드 유닛(110)에는 손 이용 운동 유닛(500)이 설치된다.
상기 손 이용 운동 유닛(500)은 사용자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누운 자세로 손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부분으로, 연결봉(510)과, 제 1 지지봉(520)과, 제 2 지지봉(530)과, 견인대(55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봉(520, 530)은 두 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510)은 사용자가 운동을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봉(510)의 대략 중앙부에서는 줄(541)이 연장되고, 상기 줄(541)의 타단은 경추 견인바(542)의 줄 걸림부(545)에 연결된다. 상기 경추 견인바(542)의 양 말단부에는 걸림 후크(543, 54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543, 544)에는 각각 걸림 고리(546, 547)가 걸린다. 상기 걸림 고리(546, 547)는 상기 견인대(550)와 연결되므로, 상기 견인대(550)는 상기 연결봉(5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견인대(550)는 상기와 같이 연결봉(51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봉(51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다. 상기 견인대(550)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편리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접착포(551) 등의 결속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520, 530)은 상기 연결봉(510)의 양 측부와 연결되는 지지봉 상부(521, 531)와, 상기 지지봉 상부(521, 531) 하측의 탄성부(522, 532)와, 상기 탄성부(522, 532) 하측의 지지부 하부(523, 533)와, 상기 지지부 하부(523, 533)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연결되는 연결부(524, 5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22, 532)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서, 상기 연결봉(510)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연결봉(510)에 가하는 힘이 감소되면 상기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회복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지봉(520, 530)은 각각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양 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510)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두 개의 지지봉(520, 530)을 연결한다.
상기 베드 유닛에 누워, 허리 벨트(180)에 의해 허리가 고정된 사용자가 상기 견인대(550)를 머리에 착용한 다음, 상기 연결봉(510)을 잡고 밀면, 상기 연결봉(510)이 밀리면서, 상기 견인대(550)가 함께 밀린다. 그러면, 상기 견인대(550)가 착용된 사용자의 머리도 함께 이동되는데, 사용자의 허리는 상기 허리 벨트(18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의 경추가 견인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522, 532)도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연결봉(510)을 미는 힘을 감소시키면, 상기 탄성부(522, 5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522, 532)가 원 상태로 회복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봉(510)도 원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상기 견인대(550)도 함께 원 위치로 복귀되므로, 사용자의 경추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손 이용 운동 유닛(50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스테퍼(150)를 이용하거나 상기 베드 유닛의 자세 조절을 이용하여 요추와 경추에 대한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누운 상태에서 상기 손 이용 운동 유닛(500)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경추에 대한 집중적인 운동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발 이용 운동 유닛을 보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발 이용 운동 유닛이 밀린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100)에는 스테퍼(1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퍼(150)는 발 이용 운동 유닛으로서, 스테퍼 상체(151)와, 스프링 연결체(154)와, 스테퍼 하체(155)와, 제 1 스프링(160)과, 제 2 스프링(161)과, 발판(163)과, 발판 연결체(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163)은 사용자가 발로 밀 수 있는 것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 연결체(162)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발판(163)과, 상기 발판 연결체(162)는 발판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스테퍼 상체(151)는 상기 발판부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발판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을 연결한다.
상세히, 상기 발판부의 발판 연결체(162)에는 스테퍼 상체 연결 홀(164)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퍼 상체(151)의 그 대응되는 부분에는 발판 연결 상측 홀(152)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퍼 상체 연결 홀(164) 및 상기 발판 연결 상측 홀(152)을 스테퍼 상체 연결 축(158)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테퍼 상체(151)와 상기 발판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는 스테퍼 상체 연결 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퍼 상체(151)의 그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측 베드 연결 상측 홀(153)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퍼 상체 연결 홀(114) 및 상기 상측 베드 연결 상측 홀(153)을 스테퍼 상체 연결 축(118)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테퍼 상체(151)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스테퍼 하체(155)는 상기 발판부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의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발판과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을 연결한다.
상세히, 상기 발판부의 발판 연결체(162)에는 스테퍼 하체 연결 홀(165)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퍼 하체(155)의 그 대응되는 부분에는 발판 연결 하측 홀(156)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퍼 하체 연결 홀(165) 및 상기 발판 연결 하측 홀(156)을 스테퍼 하체 연결 축(159)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발판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테퍼 연결체(113)에는 스테퍼 하체 연결 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퍼 하체(155)의 그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측 베드 연결 하측 홀(157)이 형성되어, 상기 스테퍼 하체 연결 홀(115) 및 상기 상측 베드 연결 하측 홀(157)을 스테퍼 하체 연결 축(119)이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발판부에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스프링(160)은 상기 발판부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를 연결하여, 상기 발판부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감소되면 상기 스테퍼 상체(15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그 축 적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스프링(160)의 일 측은 상기 스테퍼 하체 연결 축(159)에 연결되고, 그 타 측은 상기 스테퍼 상체(151)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연결체(154)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스프링(161)은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과 상기 스테퍼 상체(151)를 연결하여, 상기 발판부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감소되면 상기 스테퍼 상체(151)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그 축적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스프링(161)의 일 측은 상기 상측 베드 프레임(111)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 고리(145)에 연결되고, 그 타 측은 상기 스프링 연결체(154)에 연결된다.
이하에서 상기 스테퍼(1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스테퍼(150)에 외력을 인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퍼 상체(151)와 상기 스테퍼 하체(155) 사이에 틈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발판(163)에 발을 대고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가 밀리면서 각각 상기 스테퍼 상체 연결 축(118) 및 상기 스테퍼 하체 연결 축(119)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 사이의 틈이 좁아지게 된다.
그러한 밀리는 동작이 지속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 사이의 틈이 사라지고 서로 닿게 되면, 상기 스테퍼 하체(155)와 상기 스테퍼 상체(151)의 회동은 정지된다.
이러한 밀리는 동작 중에 상기 제 1 스프링(160) 및 상기 제 2 스프링(161)은 복원력을 축적하게 되고,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감소되면, 상기 제 1 스프링(160) 및 상기 제 2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테퍼(15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스테퍼(150)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퍼(150)를 이용한 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허리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에 상기 허리 벨트(18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발판(163)을 밀면 그 미는 힘의 반작용 힘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110) 상에서 상기 스테퍼(1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나, 상기 허리 벨트(18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국 사용자의 척추, 특히 요추가 견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 이용 운동 유닛으로 상기 스테퍼(150)가 적용되었는데, 이러한 스테퍼(150)는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기구이므로, 사용자가 밟는 동작만 할 수 있으면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운동 유닛에 비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발 이용 운동 유닛으로 싸이클링 머신 등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 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장치 이용이 편리해지고, 누운 상태에서 인체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복합적인 운동이 가능하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를 보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서 베드 유닛이 하향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서 베드 유닛이 상향된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손 이용 운동 유닛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발 이용 운동 유닛을 보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 운동 장치에 적용되는 발 이용 운동 유닛이 밀린 모습을 보이는 측면도.

Claims (10)

  1.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발 이용 운동 유닛;
    사용자가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울 수 있는 베드 유닛; 및
    상기 베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상측 베드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의 머리 부분이 함께 하향되도록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밀어 올릴 수 있으며,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상기 지지 유닛에 닿아 정지될 때까지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의 머리 부분이 함께 상향되도록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길 수 있는 회동력 제공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기는 중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상기 지지 유닛에 닿아 정지되면, 상기 상측 베드 유닛만 그 머리 부분이 상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기면,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은 상기 상측 베드 유닛에 얹힌 상태로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함께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그 일 측에 상기 하측 베드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의 연결 부분이 형성되고, 그 타 측에 상기 상측 베드 유닛과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의 연결 부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는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상측 베드 유닛을 끌어 당기는 중 상기 하측 베드 유닛이 닿을 때 충격을 완화하는 하측 베드 지지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6.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발 이용 운동 유닛;
    사용자가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울 수 있는 베드 유닛; 및
    상기 베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은
    사용자가 발로 밀 수 있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와 상기 베드 유닛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발판부와 상기 베드 유닛을 연결하는 스테퍼 상체와,
    상기 발판부와 상기 스테퍼 상체를 연결하여, 상기 발판부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감소되면 상기 스테퍼 상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그 축적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과,
    상기 베드 유닛과 상기 스테퍼 상체를 연결하여, 상기 발판부에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외력이 감소되면 상기 스테퍼 상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그 축적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은
    상기 발판부와 상기 베드 유닛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발판부에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테퍼 상체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스테퍼 상체와 함께 밀리면 상기 스테퍼 상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좁아지고,
    상기 스테퍼 상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사라지고 서로 닿게 되면 상기 스테퍼 상체와 함께 정지되는 스테퍼 하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8.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발 이용 운동 유닛;
    사용자가 상기 발 이용 운동 유닛을 이용할 수 있도록 누울 수 있는 베드 유닛; 및
    상기 베드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사용자의 자세가 변하도록, 상기 베드 유닛은 상기 지지 유닛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고,
    상기 베드 유닛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베드 유닛에 누운 자세로 손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는 손 이용 운동 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손 이용 운동 유닛은
    사용자가 운동을 위해 잡도록 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과 상기 베드 유닛을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봉에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회복되는 탄성부가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연결봉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상기 연결봉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견인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적어도 두 개가 상기 베드 유닛의 양 측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봉은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봉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운동 장치.
KR1020080112357A 2008-11-12 2008-11-12 척추 교정 운동 장치 KR101062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57A KR101062115B1 (ko) 2008-11-12 2008-11-12 척추 교정 운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57A KR101062115B1 (ko) 2008-11-12 2008-11-12 척추 교정 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03A KR20100053303A (ko) 2010-05-20
KR101062115B1 true KR101062115B1 (ko) 2011-09-02

Family

ID=4227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57A KR101062115B1 (ko) 2008-11-12 2008-11-12 척추 교정 운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66Y1 (ko) * 2011-12-05 2013-12-06 공동준 척추 교정 운동 장치
KR101272196B1 (ko) * 2012-05-10 2013-06-12 윤창로 척추 교정용 재활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42Y1 (ko) * 2003-10-23 2004-01-31 김경래 발운동구를 구비한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142Y1 (ko) * 2003-10-23 2004-01-31 김경래 발운동구를 구비한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03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JP2004508891A (ja) 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椅子およびこの椅子で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
US20170027800A1 (en) Spinal Therapy Apparatus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US20080161169A1 (en) Computer-controlled training device for spine-stabilizing musculature
US9155674B2 (en) Chair utilizing self-weight traction
KR101062115B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US9949884B2 (en)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WO2003092821A2 (en) Isometric exercise device
WO1994008545A1 (en) Traction apparatus
KR200470266Y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JP2007044389A (ja) 運動補助具
JP2004530483A (ja) 拘束及び運動装置
KR20110000618U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KR20100084225A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CN216418205U (zh) 一种用于康复训练的装置
CN114343945B (zh) 一种基于脊柱畸形的矫正设备
KR101282206B1 (ko) 척추교정기
KR102329863B1 (ko) 침대형 스트레칭 장치
CN209916551U (zh) 一种摇摆式理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018

Effective date: 201112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