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24B1 - 목운동의자 - Google Patents

목운동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24B1
KR101672124B1 KR1020150029587A KR20150029587A KR101672124B1 KR 101672124 B1 KR101672124 B1 KR 101672124B1 KR 1020150029587 A KR1020150029587 A KR 1020150029587A KR 20150029587 A KR20150029587 A KR 20150029587A KR 101672124 B1 KR101672124 B1 KR 10167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headrest
backward
nec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902A (ko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KR102015002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1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60N2/48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자의 상부에 형성된 목운동을 위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전후로 휘어지는 탄성체로 구성하여 목을 힘주어 뒤로 밀면 헤드레스트가 뒤로 휘어지면서 목운동을할 수가 있고,
목을 뒤로 젖힐때 경추가 곡선으로 휘면서 젖혀지는 경추의 구조상 헤드레스트를 내외부의 2중으로 구성하여 내외부의 접촉판이 상호 유동되도록 한 것과,
목을 뒤로 젖힐때 흉추까지 같이 젖혀지는 현상으로 헤드레스트가 하방과 후진 방향으로 유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등판스프링 과 후진 스프링을 두어 원할한 목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의자.

Description

목운동 의자{ CHAIR FOR EXERCISE NECK}
본 발명은 사무용의자나 차량용 의자등에 부착되어 있는 목받침(헤드레스트)에 대한 것으로 목받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뒷머리로 힘을 주어 밀면 지지대가 뒤로 휘어지면서 목운동이 가능한 목운동을 하기위한 의자다.
목운동이 됨과 동시에 뒤에서 살펴보는바와 같이 경추의 견인효과도 있게 되어 목운동을 함으로서 목의 근육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부수적으로 경추의 견인효과를 가져오도록 한 목운동 의자다.
본 발명은 목근육을 강화 시키는 분야, 목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분야,나아가 좁아진 추간판을 넓혀 주는 기술 분야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첫째는 목의 근육을 강화시켜야 목질환의 근본적인 치료가 되므로 목의 근육량을 늘려 주어야 하고,
둘째는 이렇게 함으로서 좁혀진 경추의 간격을 늘려 주어야 하며,
셋째는 사용의 편리성이 있어야 하며,
끝으로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여 누구나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자의 상부에 형성된 목운동을 위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머리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판(도3);
상기 접촉판의 후면 상단에 지지대 삽입관(110);
상기 접촉판과 결합되는 내부접촉판(116,도4);
내부접촉판과 접촉판을 지지대(107)를 통하여 연결하되 지지대에 장착된 접촉판스프링(117)에 의하여 접촉판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것;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107)는 중간에 탄성이 있는 링스프링(101)을 두어 헤드레스트가 전후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것;
머리를 뒤로 젖힐때 원할한 작동을 위하여 헤드레스트 자체가 하방으로 하강 될수 있도록 지지대의 등판부분에 등판스프링(106)을 둔것;
머리를 뒤로 젖힐때 지지대 자체가 전후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 된 것등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질환은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에게 숙명적인 것이다.
현대인의 업무 환경은 앉아서 일을 해야 하는 탓에 하루종일 척추와 경추의 디스크가 눌릴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근육과 달리 특히 경추근육은 단련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흔히 하는 목의 운동은 고개를 좌우로 회전시키거나, 전후좌우로 머리를 움직이는 것이다.
목운동을 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오른손바닥으로 귀상단의 우측두부를 왼쪽으로 세게 밀면서 동시에 머리는 오른쪽 방향으로 오른손의 힘과 대응되게 상호 미는 힘으로 근육을 단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조차 별도로 시간을 내어 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목의 근육이 약해지고 계속적으로 목이 눌리어 마침내는 추간판이 눌리게 된다.
목근육 단련을 위한 운동은 앞에 예시한 맨손체조 외에는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상이다.
팔다리의 근육 단련시는 아령이나 역기등 무거운 기구를 사용하여 근육량을 늘리고 있으나 목의 경우는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은 맨손운동이 전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목으로 목받침을 힘있게 누르는 동작을 반복 하게 됨으로 마치 목으로 아령을 드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맨손체조시보다 근육량이 획기적으로 늘게되며 이는 근본적인 목질환의 해결책이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을 뒤로 밀때는 훌륭한 견인의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상 접하는 의자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누구나 쉽게 편리하게 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사무중 또는 운전중에 어느 때나 할 수 있으며 방법으로는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이면 충분하다.
도1은 본발명의 사시도
도2는 등판의 내부구조도
도3은 접촉판 사시도(좌측이 전면.우측이 후면)
도4는 내부접촉판의 사시도
도5는 접촉판과 내부접촉판의 결합도
도6은 지지대의 사시도(좌측이 링스프링,우측이 결합과정도)
도7은 경추의 굴곡도
도8은 척추와 경추의 운동 과정 설명도
도9는 후진스프링 사시도
도10은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도1은 본 발명의 전면도이고,
도2는 등판의 내부 구조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서 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개요는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107)의 중간에 전후좌우로 휘어지는 탄성체인 링스프링(101)을 두어 헤드레스트가 뒤로 휘어지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힐때 경추의 구조상 경추의 하단부(도7의 나)를 중심으로 단순하게 회전되는 운동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보조적으로 둔장치가 도2에서 보는 등판스프링(106)과 후진스프링(105)이다.
이는 후술한다.
그럼 헤드레스트의 구조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헤드레스트의 전체모습은 도5에서 보는바와 같은바
머리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판'과 이 접촉판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내부접촉판'의 2부분으로 이루어 진다.
접촉판의 모습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3의 좌측그림은 전면부인데 머리 뒤꼭지 양측에 움푹파인 풍지혈부근을 받혀줄 수 있도록 접촉판 하단부 양측이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부위는 목덜미가 닿는 부분으로 내부가 오목하게 파여 있다.
풍지혈부근과 머리뼈가 끝나는 부분이 머리를 뒤로 젖힐때 접촉판 하단부의 이 돌출부(111)가 머리를 받혀주어 후술하는 견인효과를 얻을수가 있는 것이다.
동도 우측그림은 후면부인데 상단부분에 지지대(107)가 삽입될 지지대 삽입관(110)이 있으며 이관에 지지대(107)를 삽입하여 내부접촉판과 결합을 한다.
이 접촉판과 결합될 내부접촉판의 모습은 도4에 도시되어 있는바 도4를 살펴보면,
하단평면부에 있는 지지대 통과구(120)를 관통하여 지지대(107)를 삽입한뒤 넛트(118)를 사용하여 지지대(107)와 단단히 결합시킨다.
지지대(107)에는 접촉판(100,도3)을 위로 상승시켜둘 접촉판스프링(117)을 끼워 둔다.
머리를 뒤로 젖힐때 경추가 곡선으로 휘어지면서 젖혀지기 때문에 접촉판이 하강되게 되는데(도5의 a방향)이 스프링(117)이 압축되면서 목의 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주는 것이다.
그 외 하단 평면부 전단에는 2개의 롤러(119)가 있는데 이는 접촉판이 내부접촉판과 접촉하면서 생기는 소음과 마찰력을 감소시켜 원할히 승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내부접촉판에 접촉판(100)을 삽입한뒤 도4의 상부그림인 고정캡(104)을 피스(114)를 사용하여 고정하면 헤드레스가 완성되며 그 모습이 도5의 모습인 것이다.
도5의 완성된 헤드레스트를 의자에 장착시키는 것인데 그 장착도가 도2에 작도 되어 있다.
도2를 놓고 장착과정을 살펴본다.
지지대(107)에 등판스프링(106)을 삽입한뒤 등판에 붙어 있는 고정바(108)에 지지대(107) 하단을 삽입하고 지지대(107)의 상측부분의 고정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후진스프링(105)을 피스(103)를 사용하여 고정 하면 장착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 후진스프링의 구조는 도9에 작도 되어 있다.
중앙의 2개 구멍(121)은 피스구 이며 지지대가 접촉하는 양측면은 마찰력이 거의 없는 합성수지 테프론(122)이라는 자재를 붙여 소음과 마찰력을 줄인 것이다.
이상이 구성의 개요인바 기존의 헤드레스트와 다른점은 접촉판스프링(117), 등판스프링(106),후진스프링(105)의 총3군데에 스프링이 사용 되었다.
그럼 이하에서 이들 스프링이 사용된 이유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할때는 경추의 구조가 도7에서 보는바와 같이 동도의 '나'점을 중심으로 직선으로 회전운동을 하는것이 아니고 경추의 각마디가 마디마디 휘어지면서 젖혀지게 되므로 그 결과 직선을 유지한 채 운동을 할 때 보다 도7의 e선만큼 회전하였을때 a만큼의 회전반경이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커버 하기 위하여 둔 장치가 헤드레스트를 접촉판과 내부접촉판으로 2중 구성을 한 것과 접촉판스프링(117,도4)이다.
이들 장치를 두지 않으면 머리와 접촉판의 접촉상태가 좋지 못하며 이러한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뒤로 젖히게 되면 머리와 접촉판간에 불쾌한 마찰이 발생하면서 머리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머리가 뒤로 젖혀질수록 뒤통수 하단의 움푹파인 풍지혈부근과 접촉판 하단부의 돌출부(111)위가 강하게 밀착되게 되므로 이 스프링(117)이 압축되면서 접촉판(100)이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경추가 직선을 유지한채 젖혀질때보다 곡선을 그리면서 하강하게 되면 헤드레스트의 하강폭도 직선일때보다 더 많이 하강하게 되는바,
이를 도7에서 살펴보면 직선으로 회전 하였을때 보다 동도의 d만큼의 추가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게 된다.
그런데 머리를 뒤로 젖힐때 경추만 뒤로 휘어지는것이 아니고 척추 특히 흉추까지 같이 뒤로 휘어지는바 그 설명도가 도8이다.
도8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하단부가 척추이며 상부가 목부위인 경추다.
도8의 맨좌측은 척추와 경추 모두가 직선으로 움직일때를 도시한 것으로 단지 경추7번만 휘어지는 것인데 이렇게는 목을 거의 젖힐 수가 없게 된다.
이런 상태로는 단 몇도도 젖힐수 없는 가상의 그림일 뿐이다.
동도의 중간 그림은 경추만 휘어지는 경우인데 이때도 운동 폭이 커지지 않으며 힘있게 젖히지도 못하게 되면서 목운동이 제대로 되지도 못하게 된다.
동도의 맨 우측은 목운동을 할 때에 실제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척추 특히 흉추가 같이 뒤로 휘어지고 있다.
이렇게 할때 원할한 목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추7번을 위시한 하단부 경추근육과 흉추가 같이 움직이면서 힘있게 운동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는 경추와 흉추가 도7의 '나'점을 기준으로 양단된 별개의 구조로 된 것이 아니고 같이 연결된 하나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인 것이다.
목뒤의 크게 튀어나온 부분이 경추7번 위치인바 목뒤에 손을 대고 뒤로 젖혀보면 도7의 동작으로 경추가 움직여지는 것을 확연히 알 수 있다.
그리고 머리를 힘있게 뒤로 많이 젖혀보면 도8의 설명도처럼 가슴까지 움직여 져야 제대로 된 목운동이 이루어짐도 확인할 수 있다.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탄성체(101)가 있는 지지대(107)를 뒤로 밀어야 하기 때문에 힘이 들어가게 되면서 동작도 커지게 되기 때문에 도8의 맨우측그림과 같이 뒤로 많이 밀리는 동작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도7과 8에서 도면으로 살펴보면
도7의 e 선만큼 목을 젖힐 때 도7의 d만큼의 추가하강이 있으며 척추까지 뒤로 휘어지게 때문에 도8의 β 만큼의 추가 하강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흡수하여 주지 못하면 원할한 목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여 두게 된 것이 등판스프링(106)과 후진스프링(105)인 것이다.
특히 접촉판(100)의 하단부 돌출부위(111)가 뒤꼭지를 받히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 유동폭을 흡수 해 주어야 하는 것이다.
보통인 신체의 경우를 예로 들면 실제 10여cm 전후로 추가 하강 현상이 있게 된다.
전술한바와 같이 흉추가 같이 움직이면서 후방으로 추가 이동이 발생하는데(도8의 a와b 참조)
이에 맞추어 둔것이 도2의 후진스프링(105)이다.
이 스프링(105)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었으며 지지대(107)가 뒤로 젖혀지면 이 스프링(105)이 뒤로 밀리면서 지지대(107) 자체가 뒤로 밀려나 목의 원할한 젖힘을 도와 주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대(107)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의자의 상부에 지지대가 전후로 유동할 공간인 지지대 유동홈(102,도1)을 두었다.
이상이 3곳에 스프링을 둔 이유이다.
그 다음 이 스프링중 접촉판스프링(117)과 등판스프링(106)은 경추를 견인하는 역할도 하는바 이하에서 견인의 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목을 뒤로 젖히게 되면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들이 눌리면서 목을 젖히는 운동이 원할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 스프링은 눌릴때 반작용 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이 힘이 바로 경추를 견인하는 효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목을 뒤로 젖힐때 사용되는 근육은 목덜미라 불리는 목의 뒷부분의 근육인데 이 근육이 처음에는 측면을 미는 힘으로 작동되면서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게 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뒤로 젖혀질수록 경추가 곡선으로 휘어지면서 젖혀지게 되므로 각 경추마디간의 근육들이 수축작용을 하면서 뒤로 젖혀지게 되는 것이다.
모든 근육은 근섬유가 수축되면서 힘이 발생되므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때도 경추마디간의 각 근섬유들이 수축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할때 경추를 둘러싼 각 마디간의 근육들은 수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이 힘으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게 되는데,
이때 근육이 받는 반작용의 힘은 등판스프링(106)과 접촉판스프링(117)이 상방으로 미는 힘과, 지지대에 있는 링스프링(101)과 후진스프링(105)의 전방으로 미는 반작용의 힘을 동시에 받으면서 근육운동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 힘들이 바로 경추를 견인하는 힘이 되는 것이다.
즉 근육에 힘이 가해지되 위로 들리는 힘(근육을 늘리는 즉 추간판의 견인효과)을 받으면서 근육이 단련 된다는 의미이다.
특히 뒤로 젖힌상태에서 그 자세를 한동안 유지 하고 있으면 등판스프링(106)과 접촉판스프링(117)이 상부로 미는 힘에 의하여 경추의 하단부인 경추6,7번의 부위 근육이 서서히 늘어나는 힘을 받으면서 더 견인되게 되는 것이다.
즉, 경추의 구조상 경추6,7번의 부위는 뒤로 덜 젖혀지게 되므로 경추상단부의 근육보다 힘이 덜 들어가 있게 되므로 스프링의 반작용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견인의 효과를 더 받게 된다는 의미이다.
경추질환의 대부분은 하단부인 6,7번의 부위에서 발생하게 되므로 이는 좋은 현상이 되는 것이다.
근육은 반복되는 일정한 상태를 기억하는바 이처럼 근육이 늘어나는 힘을 받으면서 강화가 되면 이는 훌륭한 견인의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이 목운동을 할 때 견인이 동시에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결국 목근육을 강화시키게 되면 저절로 견인의 효과를 볼 수가 있게 된다는 의미가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견인은 차치하고라도 근육의 강화만으로도 커다란 의미가 있는 발명이 될 것이다.
목관련 질환의 근본적인 치유는 목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 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 목의 근육이 뒷덜미에 있기 때문에 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이야말로 경추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최적의 조건이 될 것이다.
자부심을 느낄때 목에 힘을 준다고 하고 관상학에서는 목이 굵은 사람은 운세가 강하다고 하는데 이는
머리와 신체의 각 부위를 연결하는 부위가 목이므로 목이 건강하게 가교역할을 잘할 때 건강이 찾아오게 된다는 의미를 시사하는 것이다.
목에 과부하가 걸릴 때 어깨가 결리는 것이며 이는 목이 약하므로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오늘날의 근무환경은 목을 혹사하는 환경이며, 대부분 가슴과 목이 앞으로 휜 이른바 거북목환자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앞에서 살펴본바처럼 목을 뒤로 젖힐때 가슴까지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이들의 교정에 아주 탁월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 인 것이다.
사용방법도 아무런 조작 없이 그냥 목만 뒤로 젖혀주면 되고,
접근성 또한 눈만 뜨면 하루 종일 접하는 의자이기 때문에 저절로 접하게 되는 것이다.
끝으로 도 10은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인데 설명의 편의상 도2와 별개로 작도 한 것이다.
의자가 개인용도로 사용되게 되므로 잦은 조작이 필요 없어 조절손잡이(126)를 의자등판의 하단에 두었다.
손잡이(126)를 돌려 높이조절판(123)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으로 높이조절핀(125)과 높이조절판(123)이 한몸체로 되어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지지대(107)는 높이조절판(123)에 있는 통과구 사이로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제작된 것이다.
동 도면은 지지대(107)가 하강하여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머리를 바로 세우면 지지대(107) 끝의 고정넛트(124)가 조절판(123)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접촉판
101.링스프링
102.지지대유동홈
103.고정피스
104.접촉판 고정캡
105.후진스프링
106.등판스프링
107.지지대
108.지지대 고정바
109.피스
110.지지대삽입관
111.돌출부
112.굴곡부
113.지지대삽입구
114.고정피스
115.피스구
116.내부접촉판
117.접촉판스프링
118.고정넛트
119.롤러
120.지지대삽입구
121.피스구
122.테프론
123.높이조절판
124.고정넛트
125.높이조절핀
126.조절손잡이
127.등판하부고정바
128.고정링
129.스프링고정핀

Claims (4)

  1. 의자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머리와 접촉하는 접촉판(100);
    상기 접촉판의 후면 상단부 좌우에 형성된 지지대삽입관(110);
    상기 접촉판의 전면 하단부 양측의 돌출부(111);
    상기 접촉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부접촉판(116);
    상기 내부접촉판 하부평면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헤드레스트를 지지하고 있는 한쌍의 지지대(107);
    상기 내부접촉판(116) 부분의 지지대(107)에 장착된 접촉판스프링(117);
    으로 구성된 헤드레스트.
    상기 헤드레스트와 의자등판상단 중간부위의 지지대(107)에 장착된 링스프링(101);
    의자등판 부위를 지나는 상기 지지대(107)에 장착된 등판스프링(106);
    상기 헤드레스트를 고정함과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전후진을 위한 후진스프링(105);
    이상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목을 뒤로 젖히면서 목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운동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29587A 2015-03-03 2015-03-03 목운동의자 KR101672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87A KR101672124B1 (ko) 2015-03-03 2015-03-03 목운동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587A KR101672124B1 (ko) 2015-03-03 2015-03-03 목운동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02A KR20160106902A (ko) 2016-09-13
KR101672124B1 true KR101672124B1 (ko) 2016-11-02

Family

ID=5694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587A KR101672124B1 (ko) 2015-03-03 2015-03-03 목운동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1806A (zh) * 2017-06-06 2018-12-14 王景发 一种健身椅
KR102268623B1 (ko) * 2018-06-19 2021-06-23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69B1 (ko) 2014-12-15 2016-07-01 이규주 목 운동기능을 갖는 목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925B1 (ko) * 2014-02-14 2017-05-08 성태수 목운동 기능이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869B1 (ko) 2014-12-15 2016-07-01 이규주 목 운동기능을 갖는 목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02A (ko)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2425A (en) Pivotable abdominal exercise device
JP3763840B1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8092354B2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retching device
JP2017511738A (ja) 首運動のための首運動支持体を備えた椅子
KR20200001546U (ko) 안마 롤러 구조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AU2008336270B2 (en) Antigravity muscle exerciser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672124B1 (ko) 목운동의자
JP3829257B2 (ja) 腹部腰部諸筋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US6432029B1 (en) Exercise assembly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KR20180086658A (ko) 경추견인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JP6345365B1 (ja) 運動具
TWI417086B (zh) With a massage function of the inverted machine
KR200380528Y1 (ko) 체력단련수단이 형성된 의자
RU2237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тягива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и мышц плечевого сустава
CN217961193U (zh) 一种骨科用手部护理锻炼装置
CN213964274U (zh) 一种按摩器
US11596243B2 (en) Rocking and bouncing chair
TW201117856A (en) Fitness equipment with functions of exercising abdomen and back
KR20180002584U (ko) 신장 이완용 복합 운동기구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JP3123719U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RU330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