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623B1 -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 Google Patents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623B1
KR102268623B1 KR1020180070327A KR20180070327A KR102268623B1 KR 102268623 B1 KR102268623 B1 KR 102268623B1 KR 1020180070327 A KR1020180070327 A KR 1020180070327A KR 20180070327 A KR20180070327 A KR 20180070327A KR 102268623 B1 KR102268623 B1 KR 10226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d
guide groove
movement
he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2969A (ko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김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102018007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6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부와, 시트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등이 등받이부와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부와,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두부 지지부의 전측에 위치되며 접하는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슬라이딩 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두부를 움직일 시 사용자의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거북목 또한 교정할 수 있는,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Forward head posture correcting chair}
본 발명은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두부를 움직여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 또한 교정되도록 할 수 있는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는 척추의 가장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인체의 두부와 연결되는 목뼈에 해당된다.
이때, 목은 머리와 몸통을 연결시켜주는 연결 다리 역할을 하는 부위이며, “I”자형 다리보다 “C”자형 다리가 튼튼하듯이 건강한 목은 C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의 목은 “1”자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1”자형 목은, 두부의 무게에 의해 쉽게 부하가 발생되어, 목 주위의 근육에 쉽게 피로가 쌓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근육이 딱딱하게 뭉치거나, 두통을 유발하여, 뒷목의 당김 및 어깨 걸림 등의 증상을 초래하며, 증상이 심각할 경우에는 목 디스크까지 발생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C”자형의 건강한 목에서 “1”자형이나 역“C”자형의 기형적인 목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전자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장시간 동안 사용자가 자라목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이며, 이러한 기형적인 형상의 목은 경추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경추 피로를 덜어주거나 경추의 “1”자형 목이나 거북목 형상을 “C”자형 목으로 교정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 10-1690957호에는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 교정베게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특정 공간에서만 활용 가능한 단점이 있어, 사용자가 일하는 도중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형태의 거북목 교정 의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출원특허 제10-2016-0070074호(명칭: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게, 공개일: 2016.12.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두부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는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누운 자세에만 사용 가능한 종래의 거북목 교정 장치가 가지는 공간적 제한 문제를 해소하여, 사용자가 짧은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거북목 자세를 교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두부를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종래의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가 사용자의 근육을 1축 방향으로만 운동 가능하게 하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0); 등이 상기 등받이부(200)와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부(300); 및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전측에 위치되며, 접하는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는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420)를 포함하고,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움직이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홈(310)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310)을 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딩 바(42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복원부(32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 내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운동공간(32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바(420)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1 운동공간(321)을 형성하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측 또는 하측 내면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에 접할 시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경추 지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마주보는 하측에 높이조절 바(34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마주보는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가변 조절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 바(34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는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10)은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311)과,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311)과 교차되는 제2 가이드 홈(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는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끼워져 슬라이드 결합되는 끼움홈(211)과,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진 상기 높이조절 바(340)를 압박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는 상기 높이조절 바(340)와 마주보는 상기 끼움홈(211)의 전측 및 후측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형 후 복원되는 제2 탄성부재(2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두부를 움직여 목에 위치된 근육을 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두부를 운동시키는 슬라이드 운동부가 3축 이상의 자유도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 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며 느끼는 답답함을 해소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부 경추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강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하여 등받이부와 두부 지지부의 이격거리를 조절 가능하므로,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자세를 교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를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경추 지지부를 나타낸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경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부와 두부 지지부가 이격거리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제1 가이드 홈과 제2 가이드 홈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전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의 등받이부 내부의 높이 가변 조절부에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 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고정핀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를 나타낸 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부(100)와, 상기 시트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0)와, 등이 상기 등받이부(200)와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부(300) 및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전측에 위치되며, 접하는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두부를 움직일 시, 사용자의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가 지정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움직일 시 초기 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을 가져, 복원력이 사용자의 경추 심부 굴곡근과 신전근을 강화시키고,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제한된 운동 방향이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올바른 운동 방향으로 작용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는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움직이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홈(310)과, 두부 지지부(30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310)을 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딩 바(42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지지부(300)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후측에 돌출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바(4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상기 가이드 홈(310)을 형성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지정된 임의의 이동 경로로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거북목 증후군을 보다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올바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운동 가능하게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310) 상에 상기 슬라이딩 바(420)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접촉하는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지정된 초기 위치에서 타 위치로 이동 시,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을 가지게 하는 상기 탄성 복원부(32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 복원부(320)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초기 위치로 복원되려는 힘을 가지게 하면 충분하므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지지부(300) 내부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운동공간(32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바(420)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1 운동공간(321)을 형성하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측 또는 하측 내면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두부 지지부(300) 내부에 상기 가이드 홈(310)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상기 제1 운동공간(32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운동공간(321) 내부에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부재(322)를 위치시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 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420)를, 상기 제1 탄성부재(322)가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322)는 상기 슬라이딩 바(420)의 상측, 하측 중 어느 한측에 위치되거나, 슬라이딩 바(420)의 상측과 하측 모두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바(420)가 보다 강한 복원력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제1 탄성부재(322)가 슬라이딩 바(420)의 상측에 위치된 경우 제1 탄성부재(322)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제1 운동공간(321)을 형성하는 두부 지지부(300)의 상측 내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바(420)에 결합되는 형태인 것을 권장하고, 제1 탄성부재(322)가 슬라이딩 바(420)의 하측에 위치된 경우, 제1 탄성부재(322)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 바(42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은 제1 운동공간(321)을 형성하는 두부 지지부(300)의 하측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권장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의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에 접할 시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경추 지지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강화하기 위하여 두부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움직일 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른 자세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하측에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상기 경추 지지부(33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올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경추 지지부(330)는 도 4의 A-A 단면도 및 도 5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 지지부(331)와, 상기 돌출 지지부(331) 사이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목이 끼워지는 홈을 형성하는 굴곡진 형상의 라운드 지지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마주보는 하측에 높이조절 바(34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마주보는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가변 조절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는 사용자의 심부 굴곡근과 신전근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거북목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 시 사용자의 목이 상기 경추 지지부(330)에 감싸지고,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에 위치되어야 사용자의 경추 인근 근육 강화 및 거북목 증후군 치료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체형은 사람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시트부(100)에 착석 시 사용자의 목이 상기 경추 지지부(330)에 의해 감싸지고,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와 접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로 상기 등받이부(200)와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이격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를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높이를 유압식, 공압식, 슬라이드 방식 등으로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가 내주면에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홈 구조를 가져, 사용자가 상기 두부 지지부(30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1 나사산이 상기 제2 나사산을 타고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홈(310)은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311)과,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311)과 교차되는 제2 가이드 홈(3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가이드 홈(311)을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하 높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제2 가이드 홈(312)을 두부 지지부(300)의 좌우 폭 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두부를 움직여 강화할 수 있는 근육의 종류와 질을 보다 높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가이드 홈(311) 및 제2 가이드 홈(312)을 통하여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이동시킴으로써, 두부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자세 교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에서 상기 높이 가변 조절부(210)는 상기 높이조절 바(340)와 마주보는 끼움홈(211)의 전측 및 후측 내면에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전후방향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형 후 복원되는 제2 탄성부재(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단순히 상기 제1 가이드 홈(311)과 상기 제2 가이드 홈(312)을 따라 움직일 경우, 사용자는 임의의 평면상에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2축 운동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된 운동은 사용자에게 답답함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화 가능한 근육의 종류도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상측에 상기 끼움홈(211)을 형성하여,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끼움홈(211)에 슬라이드 결합되게 하되, 높이조절 바(340)가 끼움홈(211)에 끼워질 시 높이조절 바(340)와 마주보는 끼움홈(211)의 전측 및 후측 내주면에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 후 복원되는 고무,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제2 탄성부재(213)를 위치시켜,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후측으로 밀 경우 제2 탄성부재(213)가 변형되어, 두부 지지부(300)가 등받이부(2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회전 변위를 가지게 되고, 사용자의 두부가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후측으로 미는 힘을 감소시키면 제2 탄성부재(213)가 변형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사용자가 두부로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후측으로 밀기 전에 등받이부(200)와 형성하던 각도로 돌아오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는 사용자가 두부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의 위치를 상하, 좌우, 전후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부 경추의 심부 굴곡근과 하부 경추의 신전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 가능함은 물론이며, 동일한 방향으로만 사용자가 운동하며 발생하는 지루함 또한 방지 가능하다.
아울러,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10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상기 끼움홈(211)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 바(340)를 압박하여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핀(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211)에 상기 제2 탄성부재(213)가 위치될 경우, 슬라이드 결합된 두부 지지부(300)의 높이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등받이부(200)의 측면에 상기 끼움홈(211)에 위치된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측면을 압박할 수 있는 고정핀(212)을 형성하여, 두부 지지부(300)를 임의의 높이에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고정핀(212)을 이용하여 높이조절 바(340)를 압박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핀(212)은 상기 등받이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핀 관통홀(201)을 통해 상기 끼움홈(211)으로 인입 가능함은 물론이며, 사용자는 상기 고정핀 관통홀(201)에 끼워진 상기 고정핀(212)을 회전시켜 고정핀(212)이 높이조절 바(340)를 압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100 : 시트부
200 : 등받이부 210 : 높이 가변 조절부
211 : 끼움홈 212 : 고정핀
213 : 제2 탄성부재
300 : 두부 지지부 310 : 가이드 홈
311 : 제1 가이드 홈 312 : 제2 가이드 홈
320 : 탄성 복원부 321 : 제1 운동공간
322 : 제1 탄성부재 330 : 경추 지지부
340 : 높이조절 바
400 : 슬라이드 운동부 410 : 슬라이딩 플레이트
420 : 슬라이딩 바

Claims (6)

  1.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부(100);
    상기 시트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0);
    등이 상기 등받이부(200)와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두부 지지부(300); 및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전측에 위치되며, 접하는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위치가 가변되는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포함하는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는
    사용자의 두부와 접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410)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420)를 포함하고,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움직이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홈(310)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310)을 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슬라이딩 바(420)가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 시 상기 슬라이딩 바(42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320)와,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하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두부가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에 접할 시 사용자의 목을 감싸는 경추 지지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복원부(32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 내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운동공간(321)과,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바(420)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1 운동공간(321)의 상측 또는 하측 내면에 결합되는 제1 탄성부재(322)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한 슬라이드 운동부(400)의 움직임을 통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운동부(400)가 움직일 시 상기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력을 통해 사용자의 경추 근육을 강화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바(42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31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지정된 임의의 이동 경로로 이동하게 하여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며,
    사용자의 두부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10)가 지정된 초기 위치에서 타 위치로 이동 시, 슬라이딩 플레이트(4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복원부(320)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 근육을 강화시키고,
    상기 두부 지지부(30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마주보는 하측에 높이조절 바(34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두부 지지부(300)와 마주보는 상측에 상기 높이조절 바(340)가 결합되며, 결합된 상기 높이조절 바(34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높이 가변 조절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310)은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가이드 홈(311)과,
    상기 두부 지지부(300)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311)과 교차되는 제2 가이드 홈(3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311) 및 제2 가이드 홈(312)을 통하여 슬라이드 운동부(400)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두부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거북목 자세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0327A 2018-06-19 2018-06-19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KR10226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27A KR102268623B1 (ko) 2018-06-19 2018-06-19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27A KR102268623B1 (ko) 2018-06-19 2018-06-19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9A KR20190142969A (ko) 2019-12-30
KR102268623B1 true KR102268623B1 (ko) 2021-06-23

Family

ID=691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327A KR102268623B1 (ko) 2018-06-19 2018-06-19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89A (ko) 2021-12-06 2023-06-13 이선병 자세 교정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9063B2 (en) * 2022-04-26 2024-03-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Reclining seat
US11939064B2 (en) 2022-06-15 2024-03-26 Gulfstream Aerospace Corporation Reclining sea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317A (ja) * 1996-11-15 1998-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物理療法式治療装置
KR20130007300U (ko) * 2012-06-13 2013-12-23 (주) 엑토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JPWO2015056540A1 (ja) 2013-10-17 2017-03-09 Jnc株式会社 液晶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
KR101672124B1 (ko) * 2015-03-03 2016-11-02 성태수 목운동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789A (ko) 2021-12-06 2023-06-13 이선병 자세 교정 의자
KR102634836B1 (ko) * 2021-12-06 2024-02-07 이선병 자세 교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969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623B1 (ko)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US7374517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200447924Y1 (ko) 허리의 스트레칭 및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바른자세를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1916136B1 (ko) 거북목 자세 교정 장치
KR101910413B1 (ko) 틸팅 의자
JPWO2006027822A1 (ja) 着座機構及び椅子
KR101500616B1 (ko) 허리운동기능을 갖는 의자
WO2018060935A1 (en) Cushioning posterior fulcrum back shaper
CN112826263B (zh) 一种椅子结构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1604216B1 (ko) 인체공학적 복합경침
KR20210040530A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KR101152803B1 (ko) 기능성 쿠션시트
CN210870567U (zh) 一种坐姿矫正椅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EP3075370A1 (en) Self-massaging device
KR200395856Y1 (ko) 의자 등받이 요추받침 장치
US20190387886A1 (en) Physical Motion Device
KR20110094501A (ko) 척추강화용 운동의자
KR101608372B1 (ko) 다목적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