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836B1 - 자세 교정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836B1
KR102634836B1 KR1020210172845A KR20210172845A KR102634836B1 KR 102634836 B1 KR102634836 B1 KR 102634836B1 KR 1020210172845 A KR1020210172845 A KR 1020210172845A KR 20210172845 A KR20210172845 A KR 20210172845A KR 102634836 B1 KR102634836 B1 KR 10263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back panel
lumbar
posture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4789A (ko
Inventor
이선병
Original Assignee
이선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병 filed Critical 이선병
Priority to KR102021017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세 교정 의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세 교정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아서 지지해주는 등판부;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해주는 좌석부; 상기 등판부의 중심 영역에 구성되서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및 천추에 대응하는 부위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서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를 지지하는 헤드부; 및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서 의자를 지면으로부터 받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의자{chair for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 교정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잘못된 자세나 습관으로 인하여 발생된 거북목이나 라운드 숄더 현상을 교정해주는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업무가 보편화 되고, 컴퓨터 모니터를 응시하면서 작업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이른바 거북목 또는 라운드 숄더 증상이 많아 지고, 이는 목 디스크나 척추 디스크로 이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처럼 잘못된 자세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거북목이나 라운드 숄더와 같은 잘못된 자세가 고착화되고, 이는 목, 등, 허리 등으로 이어지는 척추뼈에 무리가 가해지고 디스크로 이어지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성인 남성의 평균 머리 무게는 볼링공과 같은 6kg에 육박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존의 헤드레스트는 사용자가 누웠거나 상체의 대부분을 등받이에 기대었을 때 머리를 기대어 쉴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하지만, 업무를 할 경우에도 목을 지탱해줄 수 있으며, 목, 등 그리고 허리의 위치, 형태 및 구조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위치, 형태, 구조를 개인 맞춤형으로 연동시켜서 개인별 목, 등,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하여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피로 누적을 저감시키고, 장시간 앉아 있더라도 거북목 및 라운드 숄더와 같은 증상을 줄여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자세 교정 의자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999544호(공고일 : 2019.07.08)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527933호(공고일 : 2015.06.04) 특허문헌 3 : 한국등록특허 제10-2268623호(공고일 : 2021.06.17) 특허문헌 4 : 한국등록특허 제10-1618638호(공고일 : 2016.04.29)
상술한 필요성에 의해서 안출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업무를 위해 상체를 세웠을 때도 목을 지탱해주고 머리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는 목 지지대를 구비한 자세 교정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중앙에 유동 가능한 척추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경추-흉추-요추-천추(꼬리뼈)로 이어지는 인체 공학적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감이 훌륭하며,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잘 분산시킬 수 있는 자세 교정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추가 c커브를 그리는 전만된 모습, 흉추, 요추, 천추가 각각 후만, 전만, 후만되어야 하는 이상적인 형태로 사용자를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좌골과 정수리를 잇는 수직선이 그어지도록 착석할 수 있도록 경추와 요추를 같은 범위만큼 밀어주어야하고, 신체는 의자에 밀착될 수 있는 자세 교정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어깨 부분을 절제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충분한 가동범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자세 교정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아서 지지해주는 등판부;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해주는 좌석부; 상기 등판부의 중심 영역에 구성되서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및 천추에 대응하는 부위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서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를 지지하는 헤드부; 및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서 의자를 지면으로부터 받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등판부는, 상부면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 종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판부의 앞면에서는 매립되고 뒷면에서는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을 상기 등판부의 뒷면에서 앞면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길이 조절 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 부재에 연결되서 상기 등판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서 사용자의 요추 및 천추의 전부 또는 일부에 맞닿는 요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요추 부재를 상기 등판부의 전방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지지 부재는, 기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원호 형태로 휘어지고, 상기 요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곡률 반경과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호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요추 부재는, 상기 등판부의 표면 밖으로 아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자세 교정 의자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된 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사용자의 양쪽 팔과 어깨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벨트부;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벨트부는, 제1 벨트부와 제2 벨트부로 나눠지고, 상기 제1 벨트부와 상기 제2 벨트부의 중심부분에서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업무를 위해 상체를 세웠을 때도 목을 지탱해주고 머리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경추의 피로도를 저감 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중앙에 유동 가능한 척추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경추-흉추-요추-천추(꼬리뼈)로 이어지는 인체 공학적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석감이 좋아지고,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잘 분산시킴으로써 척추 부위가 약한 사용자도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추가 c커브를 그리는 전만된 모습, 흉추, 요추, 천추가 각각 후만, 전만, 후만되어야 하는 이상적인 형태로 사용자를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좌골과 정수리를 잇는 수직선이 그어지도록 착석할 수 있도록 경추와 요추를 같은 범위만큼 밀어주고, 사용자의 신체를 의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적인 경추로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의 어깨 부분을 절제하여 사용자의 어깨에 충분한 가동범위를 확보함과 동시에 올바른 앉은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면,
도 4는 헤드부의 연결구조의 변형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자세 교정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의 등판부, 지지부 및 헤드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헤드부의 기동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의 요추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부를 구비한 자세 교정 의자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부를 구비한 자세 교정 의자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크기, 형태, 모양, 재질, 가공방식 등을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고, 이렇게 설계 변경된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라면 그 권리 범위가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자세 교정 의자(100)는 등판부(110), 좌석부(120), 지지부(130), 헤드부(140), 바퀴부(150) 및 팔걸이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등판부(110)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130)를 채택하되, 지지부(130)의 일부 구성요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고,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춤형 요추 지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헤드부(140)와 지지부(130)를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성하되, 헤드부(140)의 각도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 지지 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지지부(130)는 등판부(110)의 중심 영역을 가로 지르도록 구성되고,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균등한 면적으로 나누어지는 위치에 구성됨으로써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천추의 치수 별로 맞춤형으로 지지부(130)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자세 교정 의자(10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 등판부(110)의 중심축 위치에 지지부(130)가 위치한다. 지지부(130)는 등판부(110)와 좌석부(120)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시작해서 헤드부(140)의 연결부위까지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등판부(110)는 사용자의 등과 맞닿는 부위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해서 쿠션감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등판부(110)는 중심 축에 지지부(13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등판부(110)는 지지부(1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프레임 및 고정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과 고정 부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서 본질적인 내용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세 교정 의자(100)는 등판부(110)와 지지부(130)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되지만, 지지부(130)의 일부 구성 요소인 요추 부재(133)는 등판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아치형태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추 부재(133)는 등판부(110)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등판부(110)는 주로 사용자의 등 부위와 접촉하므로 사람의 등의 굴곡 형태와 유사한 굴곡면을 갖도록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소정의 각도의 제1 원호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지지부(130)의 요추 부재(133)는 사용자의 등 부위 일부와 엉덩이 부위에 맞닿을 수 있도록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소정의 각도의 제2 원호 형태로 가공될수 있다. 제1 원호 형태와 제2 원호 형태는 서로 대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등판부(110)에 매립된 지지부(130)의 상부 종단은 헤드부(140)와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지지부(130)와 헤드부(140)를 일체화된 구조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헤드부의 연결구조의 변형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자세 교정 의자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와 헤드부(140)의 연결구조가 2개의 관절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와 헤드부(140)의 연결구조가 3개의 다관절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부(140)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서 조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헤드부(140)는 지지부(130)의 지지 부재(131)와 직접 연결됨으로써, 머리, 경추, 흉추, 요추 및 천추를 일체형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등판부(110)에 의해서 사용자의 등판이 지지되면서, 길이 조절 부재(132)에 의해서 요추 부재(133)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춤형 척추 지지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를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등판부(110)는 뒷면이 지지부(130)의 지지 부재(131)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등판부(110)의 뒷면에 위치하는 지지부(130)의 지지 부재(131)를 관통해서 요추 부재(133)와 연결되는 길이 조절 부재(132)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31)는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천추를 통합적으로 지지하면서 동시에 등판부(110)를 지지한다. 길이 조절 부재(132)는 지지 부재(131)의 일 영역에서 등판부(110)의 뒷면에서 관통하여 요추 부재(133)의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길이 조절 부재(132)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요추 부재(133)가 등판부(110)의 표면에서 전방 방향으로 전지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요추 부재(133)가 등판부(110)의 표면에서 후방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동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 의자의 등판부, 지지부 및 헤드부의 결합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등판부(110)는 지지부(130)에 의해서 뒷면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등을 기대더라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30)는 등판부(110)의 뒷면을 지지하고, 등판부(110)의 앞면에는 요추 부재(133)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집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러한 요추 부재(133)가 등판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전방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밀착되게 한다. 요추 부재(133)가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밀착되면,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머리, 경추, 요추, 천추를 지지해줌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세 교정을 해준다.
또한, 요추 부재(133)가 전후방으로 전진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오목한 척추 부분을 정확히 지지해 줄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은 등판부(110)의 중심 축 상에 중앙 부위에 전진 후퇴가 가능한 요추 부재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요추 위치에 맞게 등받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경추-흉추-요추-천추(꼬리뼈)로 이어지는 인체 공학적 구조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착석감을 제공하고,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더욱 잘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경추는 c커브를 그리는 전만된 모습, 흉추, 요추, 천추는 각각 후만, 전만, 후만되어야 하는데, 사용자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골과 정수리를 잇는 수직선이 그어져야 한다. 따라서 경추와 요추를 같은 범위만큼 밀어주어야하고, 신체는 의자에 밀착될 수 있도록 요추 부재(13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6에 도시된 헤드부의 기동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을 참고하면, 헤드부(140)의 쿠션 부재(141)는 상부와 하부 사이를 피벗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헤드부(140)의 피벗 부재(142)는 쿠션 부재(141)가 상부 지점과 하부 지점 사이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40)는 사용자의 머리 위치 및 경추의 위치에 맞춰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고하면, 헤드부(140)의 쿠션 부재(141)는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쿠션 부재(141)를 회동시킬 수 있는 범위는 피벗 부재(142)를 다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계하면 피벗 각도 및 회동 각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지지부의 요추 부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요추 부재(133)는 등판부(110)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방 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지지 부재(131)의 소정의 각도(θ1)로 이루어진 제1 원호와 지지부(130)의 요추 부재(133)의 소정의 각도(θ1)로 이루어진 제2 원호의 형태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b)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길이 조절 부재(132)를 조절하여 X축 방향으로 X1만큼 요추 부재(133)를 전진시킬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길이 조절 부재(132)를 조절하여 X축 방향으로 X2만큼 요추 부재(133)를 전진시킬 수 있다. 반대 방식으로 조작하여 길이 조절 부재(132)를 조절함으로써 요추 부재(133)를 등판부(110) 방향으로 후퇴시킬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부를 구비한 자세 교정 의자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자세 교정 의자(100)에 착석 한 뒤 지지부(130)에 기댄 상태에서 벨트부(170)를 양쪽 팔에 끼울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왼쪽 팔과 오른쪽 팔에 각각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끼워서 사용자의 어깨부위를 지지부(130)에 지지시킬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면,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지지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끼워맞춤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를 할 수 있다. 도 9(d)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상부에 홈부(131-1)를 구비함으로써,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수직으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트부를 구비한 자세 교정 의자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자세 교정 의자(100)에 착석 한 뒤 지지부(130)에 기댄 상태에서 벨트부(170)를 양쪽 팔에 끼울 수 있다. 도 10(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왼쪽 팔과 오른쪽 팔에 각각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끼워서 사용자의 어깨부위를 지지부(130)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는 체결부재(170-3)에 의해서 체결됨으로써, 사용자의 배 부위에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10(c)를 참고하면,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지지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끼워맞춤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 및 탈거를 할 수 있다. 도 10(d)를 참고하면, 지지부(130)의 상부에 홈부(131-1)를 구비함으로써, 제1 벨트부(170-1)와 제2 벨트부(170-2)를 수직으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벨트부를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세 교정 의자(100)에 착석할 경우에 경추, 흉추, 요추 및 천추를 지지부(130)에 접촉시키면서도 동시에 어깨를 스트레칭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100 : 자세 교정 의자
110 : 등판부
120 : 좌석부
130 : 지지부
140 : 헤드부
150 : 바퀴부
160 : 팔걸이부
170 : 벨트부

Claims (7)

  1. 자세 교정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등 부위와 맞닿아서 지지해주는 등판부;
    상기 등판부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해주는 좌석부;
    상기 등판부의 중심 영역에 구성되서 사용자의 경추, 흉추, 요추 및 천추에 대응하는 부위를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서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를 지지하는 헤드부; 및
    상기 좌석부의 하부에서 의자를 지면으로부터 받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등판부의 앞면에서는 매립되고 뒷면에서는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을 상기 등판부의 뒷면에서 앞면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는 길이 조절 부재 및 상기 길이 조절 부재에 연결되서 상기 등판부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서 사용자의 요추 및 천추의 전부 또는 일부에 맞닿는 요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조절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요추 부재를 상기 등판부의 전방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며,
    상기 지지 부재는, 기 결정된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원호 형태로 휘어지고,
    상기 요추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곡률 반경과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원호 형태로 휘어지고,
    상기 제1 원호 형태는 상기 제2 원호 형태로 서로 대향하는 형태이며,
    상기 요추 부재는, 상기 등판부의 표면 밖으로 아치 형태로 돌출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는, 상부면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쪽 종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된 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고, 사용자의 양쪽 팔과 어깨 부위에 착용될 수 있는 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제1 벨트부와 제2 벨트부로 나눠지고, 상기 제1 벨트부와 상기 제2 벨트부의 중심부분에서 탈착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 의자.
KR1020210172845A 2021-12-06 2021-12-06 자세 교정 의자 KR10263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45A KR102634836B1 (ko) 2021-12-06 2021-12-06 자세 교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45A KR102634836B1 (ko) 2021-12-06 2021-12-06 자세 교정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89A KR20230084789A (ko) 2023-06-13
KR102634836B1 true KR102634836B1 (ko) 2024-02-07

Family

ID=8676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845A KR102634836B1 (ko) 2021-12-06 2021-12-06 자세 교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8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46B1 (ko) * 2002-05-08 2004-06-12 강직원 척추 교정용 의자
KR102256839B1 (ko) * 2021-03-17 2021-05-27 한형우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KR102268623B1 (ko) * 2018-06-19 2021-06-23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4048A (ko) * 2008-05-29 2009-12-03 김정보 의자 등받이부 체결용 탄성결합부재
KR20120110690A (ko) * 2011-03-30 2012-10-10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KR101527933B1 (ko) 2014-01-29 2015-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자세 교정 의자
KR101618638B1 (ko) 2015-04-28 2016-05-09 남궁명숙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KR101999544B1 (ko) 2017-08-03 2019-07-12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교정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46B1 (ko) * 2002-05-08 2004-06-12 강직원 척추 교정용 의자
KR102268623B1 (ko) * 2018-06-19 2021-06-23 김병훈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KR102256839B1 (ko) * 2021-03-17 2021-05-27 한형우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89A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EP1255471B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eated person and method for adjusting, designing and/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US6293625B1 (en) Chairs
JP2006218047A (ja) 椅子
KR101135969B1 (ko) 의자용 등받이
US20150223611A1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KR102634836B1 (ko) 자세 교정 의자
KR101690054B1 (ko) 유동좌판식 요추의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210040530A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JP2013123453A (ja) 椅子の身体支持構造物の曲率変更機構
KR101384102B1 (ko) 의자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2324422B1 (ko)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프레임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20060028465A (ko) 척추 보호용 의자 시트
KR102293114B1 (ko) 신축성을 갖는 틸팅형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WO2008054225A1 (en) Chair
JP2020058759A (ja) 椅子
KR102078658B1 (ko)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