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690A -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690A
KR20120110690A KR1020110028717A KR20110028717A KR20120110690A KR 20120110690 A KR20120110690 A KR 20120110690A KR 1020110028717 A KR1020110028717 A KR 1020110028717A KR 20110028717 A KR20110028717 A KR 20110028717A KR 20120110690 A KR20120110690 A KR 20120110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spenders
chair
user
susp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이수민
이희주
홍예진
Original Assignee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690A/ko
Publication of KR2012011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깨와 허리를 고정하는 벨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의자의 등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는 제1체결부; 상기 벨트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 상기 벨트의 두 개의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1멜빵; 및 상기 벨트의 또 다른 두 개의 위치에서 또 다른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2멜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APPARATUS FOR ORTHOTHERAPY IN THE CHAIR}
본 발명은 자세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자에 탈부착되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볼 경우, 착석 초기에는 비교적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만 약간의 시간이 경과 되면, 자신도 모르게 인체가 앞으로 숙여지거나 옆으로 기울어지는 등 자세가 흐트러지게 된다.
자세가 흐트러지면 졸음이 오게 되며, 이로 인해 학업 성취도 또는 업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세가 흐트러진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속되다 보면, 결국 건강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들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착탈이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집이나, 학교, 독서실, 학원 등 다양한 장소에 비치되어 있는 의자에 앉아 학업을 진행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깨와 허리를 고정하는 벨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의자의 등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는 제1체결부; 상기 벨트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 상기 벨트의 두 개의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1멜빵; 및 상기 벨트의 또 다른 두 개의 위치에서 또 다른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2멜빵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멜빵과 상기 제2멜빵은 상기 등받침대의 배면에서 서로 엇갈린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벨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벨트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벨트에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는 고리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는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멜빵 길이 조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라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리는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시킴으로써, 허리 디스크, VDT 증후군이나, 척추측만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떤 형태의 의자에나 탈부착이 가능한 벨트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며,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0), 상기 벨트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벨트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30), 상기 벨트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에 체결되는 제1멜빵(40) 및 상기 벨트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에 체결되는 제2멜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벨트(1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의자에 착석해 있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해 있는 경우, 벨트는 의자의 등판침대 배면에 지지대된 상태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다. 따라서, 벨트는 실질적으로는 의자의 등받침대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벨트는 사용자의 체형,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의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이 강한 경우, 제1멜빵(40)과 제2멜빵(50)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탄성이 작거나 또는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된 벨트의 경우, 별도의 벨트 길이 조절부(60)가 벨트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 의자의 크기 및 모양을 고려하여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벨트 길이 조절부는 벨트의 중간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1체결부 또는 제2체결부의 연결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는 벨트의 양쪽 끝단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서로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벨트의 양쪽 끝단 각각에는 제1체결부(암버클)과 제2체결부(숫버클)이 장착되어 있어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체결시키면, 사용자는 벨트에 의해 의자의 등받침대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통칭하여 체결부라 한다. 또한, 체결부를 형성하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버클과 숫버클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는 접착 테이프 형태의 벨크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체결부(또는 제2체결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제2체결부(또는 제1체결부)의 고리를 체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멜빵(40)과 제2멜빵(50)은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의자에 착석해 있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상체가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제1멜빵과 제2멜빵을 통칭하여 멜빵이라 한다.
이러한 멜빵 역시, 사용자의 체형,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의자에 사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탄성이 강한 경우, 사용자의 상체가 의자의 등받이로부터 멀어져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멜빵과 제2멜빵은 탄성이 작거나 또는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된 멜빵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멜빵 길이 조절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 의자의 크기 및 모양을 고려하여 멜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멜빵 길이 조절부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멜빵은 사용자의 어깨 및 가슴 등의 신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학업 또는 업무에 집중하는 사용자에게는 착용감 역시 중요한 요소인바, 멜빵의 표면은 쿠션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제1멜빵과 제2멜빵은 휴대가 용이한 가벼운 소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특히, 그 표면을 감싸고 있는 재질로는,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과 같은 완충제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착용시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양쪽 끝단에는 벨트와 연결되는 연결부(41, 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를 감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멜빵과 제2멜빵은 벨트의 표면을 따라 다양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멜빵과 제2멜빵의 끝단이 이처럼 형성된 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 의자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하여 벨트 상에서의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체형에 맞게 제1멜빵과 제2멜빵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결부(41, 51)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또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벨트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홀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다양한 형태의 링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적어도 일측끝단에는 상기 홀 또는 링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리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멜빵과 제2멜빵에 장착되어 있는 고리를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홀 또는 링 중 어느 하나에 체결시킴으로써, 제1멜빵과 제2멜빵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홀 또는 링(이하, 간단히 '홀'이라 함)과, 고리의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설명에서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고리가 제1멜빵과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의 고리가 체결되는 홀이 벨트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연결부를 형성하는 홀이 제1멜빵과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의 홀에 체결되는 고리가 벨트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양쪽 끝단은 벨트의 일정 부분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멜빵과 제2멜빵은 서로 평행하게 사용자의 어깨 및 가슴에 접촉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크로스된 상태로 사용자의 어깨 및 가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일측 끝단이 의자의 등받침대에 걸쳐지는 벨트 부분에 연결되고, 제1멜빵과 제2멜빵이 의자의 배면에서 서로 크로스(cross)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멜빵과 제2멜빵의 타측 끝단은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멜빵과 제2멜빵이 상기와 같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벨트에 연결됨으로써, 제1멜빵과 제2멜빵이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진 상태에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어떤 형태의 의자에나 탈부착이 가능한 벨트형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2는 의자에 착석해 있는 사용자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배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허리 디스크, VDT 증후군이나, 척추측만증 예방을 위한 의자용 자세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리는 등의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하기 어렵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착용하는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공부나 업무를 할 때 사용자의 신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건강한 체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벨트와 멜빵의 길이가 사용자의 체형, 의자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어른 및 고학년의 학생부터 저학년의 학생들까지 다양한 연령대에 걸쳐 이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벨트와 멜빵의 길이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의자의 종류 및 크기는 고려될 필요가 없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의 벨트와 멜빵은 의자의 등받침대에 걸쳐져 의자에 고정되는 것임으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과, 등받침대를 구비한 의자라면 그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를 착용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효과가 설명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과, 의자의 크기 및 형태 등을 고려하여, 벨트와 멜빵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조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의자의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의 벨트를 등받침대 뒷쪽에 위치시킨 후, 벨트 양쪽 끝단의 체결부를 자신의 앞쪽으로 끌어당겨 체결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는 의자의 등받침대 배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의자의 등받침대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배치되며, 벨트의 양쪽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1체결부(암버클)와 제2체결부(숫버클)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는 의자의 등받침대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멜빵(40)과 제2멜빵(50)을 각각 좌우 어깨에 걸친다. 이때, 제1멜빵과 제2멜빵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부분에서 서로 엇갈리(cross)도록, 제1멜빵과 제2멜빵의 타측 끝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 부근에서 벨트와 연결되어 있고, 일측 끝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침대의 배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멜빵과 제2멜빵이 사용자의 어깨에 안착된 경우,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더라도 어깨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위치가 부적절하여 불편함이 느껴지는 사용자는 제1멜빵과 제2멜빵의 연결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제1멜빵과 제2멜빵을 어깨에 걸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등부분을 등받침대 부분에 밀착시킨 정자세로 학업 또는 업무에 집중하게 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구부려 사용자의 등이 등받침대로부터 분리되는 비정상적인 자세를 취하려하게 되면, 양어깨 역시 등받침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러나, 제1멜빵과 제2멜빵은 탄성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가 어느 일정 한도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 있거나, 탄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강제적인 힘을 주지 않는 이상 일정 한도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졸음 또는 피로 등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더라도 어느 일정한 한계 이상으로는 숙여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정한 한계에 도달할 정도로 사용자의 상체 또는 어깨가 앞으로 숙여진 경우에는 제1멜빵과 제2멜빵에 의해 사용자의 어깨가 압박을 받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자세를 바로 잡아 다시 정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벨트 20 : 제1체결부
30 : 제2체결부 40 : 제1멜빵
50 : 제2멜빵

Claims (5)

  1. 의자의 등받침대와 상기 의자의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 끝단에 장착되는 제1체결부;
    상기 벨트의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
    상기 벨트의 두 개의 위치에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1멜빵; 및
    상기 벨트의 또 다른 두 개의 위치에서 또 다른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벨트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의 타측 어깨에 걸쳐지는 제2멜빵을 포함하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멜빵과 상기 제2멜빵은 상기 등받침대의 배면에서 서로 엇갈린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벨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벨트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벨트에서 유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는 고리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벨트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에는 상기 제1멜빵 또는 상기 제2멜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멜빵 길이 조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KR1020110028717A 2011-03-30 2011-03-30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KR20120110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17A KR20120110690A (ko) 2011-03-30 2011-03-30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17A KR20120110690A (ko) 2011-03-30 2011-03-30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690A true KR20120110690A (ko) 2012-10-10

Family

ID=4728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717A KR20120110690A (ko) 2011-03-30 2011-03-30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6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40A (ko) * 2017-07-25 2019-02-07 김포 자동차 시트에 체결되는 피로 저감 장치
KR20230084789A (ko) * 2021-12-06 2023-06-13 이선병 자세 교정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640A (ko) * 2017-07-25 2019-02-07 김포 자동차 시트에 체결되는 피로 저감 장치
KR20230084789A (ko) * 2021-12-06 2023-06-13 이선병 자세 교정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6635B2 (ja) 調整可能なヘッドギア
KR101628987B1 (ko) 탄성 가압밴드를 갖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거북목 교정기
TW201526885A (zh) 姿勢保持用具
US20150128979A1 (en) Wig cap
WO2008069757A1 (en) Portable, inflatable and self-adjusting cushion for upper and lower back support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JP7354462B2 (ja) 身体の正しい姿勢及び脊椎疾患予防のための姿勢矯正補助装置
KR20120110690A (ko) 의자용 자세교정 장치
KR20120116264A (ko) 자세교정용 밴드
WO2020152787A1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JP2009195262A (ja) ヘッドレスト付椅子
CN205457413U (zh) 一种新型脊椎记忆靠垫
KR20110063946A (ko) 목 보호대
CN108283538A (zh) 下颚可调式护颈圈
US20190126793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sitting posture
KR101052551B1 (ko) 의자
KR20120003466U (ko) 자세 교정용 벨트가 부착된 의자
GB2582344A (en) Counter balance sitting device
KR200476692Y1 (ko) 유아용 아기띠
CN204908663U (zh) 一种坐姿矫正椅
KR200476173Y1 (ko) 의자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체결구조
TW201733496A (zh) 座椅腰部支撐裝置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CN202005404U (zh) 一种背带
CN108175189A (zh) 一种学生约束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