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59B1 - 스마트의자 - Google Patents

스마트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59B1
KR102147959B1 KR1020190004017A KR20190004017A KR102147959B1 KR 102147959 B1 KR102147959 B1 KR 102147959B1 KR 1020190004017 A KR1020190004017 A KR 1020190004017A KR 20190004017 A KR20190004017 A KR 20190004017A KR 102147959 B1 KR102147959 B1 KR 10214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elastic
sea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568A (ko
Inventor
김재등
Original Assignee
김재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등 filed Critical 김재등
Priority to KR102019000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균형조절부 및 상기 균형조절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조절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대, 상기 좌판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대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의자 {Smart chair}
본 발명은 스마트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추 근육을 훈련시킬 수 있는 스마트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작업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학교 또는 회사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공부 또는 일을 하게 된다.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척추가 압박되어 사용자의 일상 자세가 변형되거나 요통이나 호흡장애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의자에 앉아있는 동안 척추가 장시간 압박을 받으면서 자세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요통을 일으키거나 척추근육이 경직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의자들이 제작 및 시판되고 있으나 요통 및 척추근육 경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요추 근육을 효율적으로 키울 수 있는 기능성 의자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 즉, 종래의 제품들은 요통환자 및 허리 기능을 근본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목적으로 활용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이며, 사용자가 스스로 요추 근육을 훈련시킬 수 있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전환이 용이한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균형조절부 및 상기 균형조절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조절부는, 상기 다리부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대, 상기 좌판부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대 및 일단은 상기 제1지지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대와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좌판부 위에서 균형을 잡도록 하여 요추 근육을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다리부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좌판부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조절부는, 상기 탄성지지대 및 상기 탄성지지대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부의 무게를 지탱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며, 일반 의자모드와 요추 근육 훈련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좌판부는,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 및 상기 좌판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지지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직선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좌판과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기호에 따라 좌판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고정나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차례로 관통 가능하게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바, 상기 나사바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나사바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삽입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스토퍼 및 상기 나사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된 길이가이더는 상기 나사바의 직선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균형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 및 상기 탄성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댐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지지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가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면 상기 좌판부 내부에 구비된 진동판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추 근육을 훈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육운동모드 및 일반의자모드로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및 기호에 따라 좌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바른 자세로 앉아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지지대 및/또는 제2지지대에 탄성고정판이 설치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은 이동플레이트와 제2지지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고정나사가 이동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는 고정부재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8은 댐퍼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지지대와 댐퍼부가 접촉된 상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어부의 작동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병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1)의 주요 구성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1)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0), 사용자의 하체(엉덩이 및/또는 허벅지 등)를 지지하는 좌판부(200), 스마트의자(1)의 이동 및 주요 구성들을 지지하는 다리부(300), 및 좌판부(200)와 다리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좌판부(200)의 무게를 지지하는 균형조절부(400)를 포함한다.
등받이부(100)는 좌판부(200), 다리부(300) 및 균형조절부(4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받이부(100)는 좌판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등받이부(100)와 좌판부(200)의 연결부위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등받이부(100)는 다리부(300)와 연결되어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의자의 형태를 가진다면 어떠한 연결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00)는, 사용자의 등과 직접 접촉하는 등받이(110), 등받이(110)와 좌판부(200) 또는 등받이(110)와 다리부(300)를 연결시키는 연결지지대(120), 등받이(110)와 머리연결부(131)에 의해 연결되는 머리받침대(130)를 포함한다.
등받이(110)는 하나의 플레이트 또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척추 교정 및 등과 허리 근육을 편하게 이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등받이(110)가 제작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등받이(110)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지지대(120)는 일단이 등받이(110)의 후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다리부(300)의 연결부(330)와 연결된다. 연결지지대(120)는 휘어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결지지대(120)의 타단은 연결부(3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머리받침대(130)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구성이며, 머리연결부(131)에 의해 등받이(110)와 연결된다. 머리연결부(131)의 일단은 머리받침대(130)의 후단과 연결되고 머리연결부(131)의 타단은 등받이(110)의 후단과 연결된다. 머리연결부(131)의 타단이 등받이(110)와 연결되는 지점은 연결지지대(120)의 일단이 등받이(110)와 연결되는 지점보다 더 높다.
한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1)는 등받이부(100) 없이 좌판부(200), 다리부(300) 및 균형조절부(40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좌판부(200)는 사용자의 하체 중 주로 엉덩이나 허벅지를 지지하는 구성이며 사용자의 하체와 접촉되는 지점은 쿠션이 설치될 수 있다. 좌판부(200)는 오직 균형조절부(400)에 의해서만 지면과 접하는 다리부(3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좌판부(200)의 모든 무게는 균형조절부(400)의 탄성부(430)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부(430)는 탄성을 가진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이 사용된다. 또한 탄성부(430)는 좌판부(200)의 전체 면적에 비해 매우 작은 부분과 접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판부(200)에 앉았을 때, 사용자는 좌판부(200)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추 근육에 많은 힘이 주게 된다.
좌판부(200)는,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210), 좌판(2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두 개의 손잡이(220) 및 좌판(210)의 하단에 설치되어 균형조절부(4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230)의 중심선은 좌판(210)을 반으로 가로지르는 선에 해당된다. 이동플레이트(23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들은 추후 균형조절부(400)의 제2지지대(42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리부(300)는, 다수개의 바퀴(311)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대(310), 하부지지대(310)의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부(320) 및 높이조절부(320)의 끝단에 구비되고 균형조절부(400)가 결합되는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310)는 중심으로부터 뻗어나가는 다수개의 바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바의 끝단에 바퀴(311)가 각각 구비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퀴(311)가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하부지지대(310)는, 등받이부(100), 좌판부(200) 및 균형조절부(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균형조절부(400)는, 좌판(210)에 앉은 사용자가 좌판(210)이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사용자 스스로 요추 주변 근육에 힘을 주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균형조절부(400)는, 연결부(3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410), 좌판(210)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대(420), 일단은 제1지지대(3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지지대(420)와 연결되는 탄성부(430)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410) 및 제2지지대(42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1지지대(410)는, 하단이 연결부(330)와 결합되고 상단은 탄성부(430)의 일단과 연결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판 형태의 지지플레이트(411), 지지플레이트(411)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탄성부(430)의 일단이 삽입되는 안착홈(41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4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탄성지지대(412)는 지지플레이트(4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어 구비되며, 안착홈(412a)은 탄성지지대(412) 내에 환형의 움푹 패인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제1지지대(410)는 탄성지지대(412)의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중앙나사홀(413) 및 지지플레이트(4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관통되는 다수개의 주변나사홀(414)을 더 포함한다.
중앙나사홀(413) 및 주변나사홀(414)을 통해 나사가 삽입될 수 있으며, 나사 삽입을 통해 연결부(330)와 지지플레이트(411)가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부(330)는 다른 방식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나사 결합 이외에도 지지플레이트(411)와 연결부(33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430)의 일단이 안착홈(412a) 내에 삽입되면, 탄성고정판(431)을 이용하여 탄성부(430)가 안착홈(412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고정판(431)은 중앙나사홀(413)과 동일한 너비의 나사홈이 중심에 형성되며 탄성고정판(431)의 길이는 탄성지지대(412)의 직경보다 같거나 크다.
탄성부(430)의 일단이 안착홈(412a)에 안착된 후, 탄성고정판(431)이 탄성지지대(412)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판(431)의 나사홈이 중앙나사홀(413)과 일치하도록(도 4 참고) 배치된 후에 나사결합을 통해 탄성고정판(431)을 탄성지지대(412)의 상단에 고정할 수 있다.
탄성고정판(431)의 길이가 탄성지지대(412)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안착홈(412a)에 삽입된 탄성부(430)는 안착홈(412a)의 외부로 탈착될 수 없다.
제2지지대(420)는, 상단이 좌판(210) 또는 이동플레이트(230)와 결합되고 하단은 탄성부(430)의 타단과 연결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판 형태의 지지플레이트(423), 지지플레이트(423)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탄성부(430)의 타단이 삽입되는 안착홈(424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424)를 포함한다. 탄성부(430)의 타단은 안착홈(424a) 내에 삽입 결합된다.
제2지지대(420)가 좌판(210)의 하단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제2지지대(420)는 제1지지대(410)와 동일하게 중앙나사홀 및 주변나사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나사 결합을 통해 좌판(2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좌판부(200)가 이동플레이트(23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경우, 제2지지대(420)는 이동플레이트(230)와 연결되며, 제2지지대(420)는 가이더(421) 및 고정나사(422)를 더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가이더(421) 및 고정나사(422) 구조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가이더(421)는 세로 방향(사용자가 좌판(210) 위에 앉았을 때 정면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플레이트(423)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이동플레이트(230)와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플레이트(230)의 직선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구성이다.
또한, 가이더(421)는 지지플레이트(423)의 가장자리에서 상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지지플레이트(423)의 중심 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진다.
이동플레이트(230)는 제2지지대(420)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며, 좀 더 상세하게 상기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동플레이트(230)는, 판 형태를 가지고 좌판(210)의 하단과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232), 판 형태를 가지고 지지플레이트(423)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233) 및 상부플레이트(232)와 하부플레이트(233)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부(234)를 포함한다.
결합부(234)는 가이더(421) 폭보다 약간 더 길며 일단은 상부플레이트(232)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플레이트(233)와 결합된다. 결합부(234)에 의해 형성된 상부플레이트(232)와 하부플레이트(233) 사이의 공간 내부로 제2지지대(420)의 가이더(421)가 삽입된다.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플레이트(411)의 가로 방향 양 끝단 가장자리에 각각 가이더(421)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플레이트(230)는 세로 방향 직선 운동만 가능하다. 이동플레이트(230)의 세로 방향 직선 운동을 통해 좌판(210)은 세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스마트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 각각의 신체 구조에 맞추어 제2지지대(420)에 대하여 좌판(210) 및 이동플레이트(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의자(1)를 사용할 때에는 이동플레이트(230)의 이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 이동플레이트(230)는 고정나사(422)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나사(422)는 하부플레이트(233)를 세로방향으로 반으로 구획하는 중심선 상에 관통되어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홀(23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230)를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고정나사(422)에 힘을 인가하여 어느 하나의 삽입홀(231)에 삽입된 고정나사(422)를 삽입홀(231)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고정나사(422)가 인출되면 이동플레이트(230)의 세로 방향 이동이 자유로워진다.
도 6을 살펴보면, 고정나사(422)는, 지지플레이트(423) 및 하부플레이트(233)를 차례로 관통 가능하게 구비되는 나사바(422b), 나사바(422b)의 일단에 구비되며 최대폭(또는 직경)이 나사바(422b)의 최대폭(또는 직경)보다 큰 손잡이부(422a), 나사바(422b)에 고정 결합되고 삽입홀(23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지지플레이트(423)와 하부플레이트(233) 사이에 위치되는 스토퍼(422c) 및 나사바(4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스토퍼(422c)와 지지플레이트(423)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422d)을 포함한다.
나사바(422b)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며, 지지플레이트(423)를 지나 하부플레이트(233)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삽입홀(231)에 삽입됨으로써 이동플레이트(230)의 직선 방향 운동을 구속하는 구성이다.
또한 나사바(422b)는 지지플레이트(423) 및 하부플레이트(233)와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 나사바(422b)의 직선 방향 이동은 지지플레이트(423)의 하단에 구비된 길이가이더(423a)에 의해 가이딩된다. 길이가이더(423a)의 내주면의 직경은 나사바(422b)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가이더(423a)의 내주면은 마찰계수가 작은 소재로 코팅되거나 길이가이더(423a) 구성의 전체 소재가 마찰계수가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422c)는 삽입홀(231)보다 더 큰 직경(또는 폭)을 가지기 때문에 스토퍼(422c)에 의해 나사바(422b)는 각각의 삽입홀(231)에 대한 최대 삽입 깊이가 결정된다.
한편, 스프링(422d)이 스토퍼(422c)와 지지플레이트(423)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스토퍼(422c)는 위쪽 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423)는 아래쪽 방향으로 항상 탄성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스토퍼(422c)의 상단은 스프링(422d)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하부플레이트(233)의 하단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나사바(422b)는 어느 하나의 삽입홀(231)의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동플레이트(23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손잡이부(422a)는 사용자가 잡고 아래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기 쉬운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든 무관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손잡이부(422a)는 구 형태로 이루어진다.
좌판(210)과 일체로 연결된 이동플레이트(2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부(422a)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고정나사(422) 전체 구성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손잡이부(422a)에 아래 방향으로 스프링(422d)의 탄성력보다 같거나 큰 힘이 인가되면, 하부플레이트(233)와 접촉을 유지하던 스토퍼(422c)는 하부플레이트(233)와 분리된다. 동시에 어느 하나의 삽입홀(231)에 삽입된 나사바(422b)는 삽입홀(231)로부터 완전히 인출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나사(422)에 인가된 힘에 의해 이동플레이트(230)의 이동을 구속하는 요소가 사라졌기 때문에 이동플레이트(230)를 포함하는 좌판부(200) 구성 전체가 세로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체형 및 사용자의 몸 상태에 따라 좌판부(200)의 세로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고정나사(422)에 인가된 힘을 해제할 수 있으며, 나사바(422b)는 스프링(422d)의 탄성력에 의해 하부플레이트(233)에 구비된 또 다른 삽입홀(231)에 최종적으로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의자(1)를 일반 의자와 똑같이 사용하고 싶을 경우에 추가로 적용되는 구성인 고정부재(440)가 도시되고 있다.
고정부재(440)는 탄성부(430)가 지탱하는 제2지지대(420)와 좌판부(200)의 무게를 대신하여 지탱할 수 있는 구성이며, 제1지지대(410)와 제2지지대(4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40)의 일단은 탄성지지대(412)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고 고정부재(440)의 타단은 탄성지지대(424) 가장자리부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좌판부(200), 제2지지대(420) 및 사용자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고정부재(440)는 강도가 클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력이 높은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재(4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피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440)가 2개의 피스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고정부재(440)는 180도의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지는 기둥이 될 것이다. 2개의 피스를 모두 제1지지대(410)와 제2지지대(420)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탄성부(430)에 인가되는 대부분의 무게는 고정부재(440)로 이동된다.
도 8 및 도 9를 통해 댐퍼부(45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균형조절부(400)는 지지플레이트(411)의 상단에 설치되되 탄성부(430) 및 탄성지지대(412)의 외측 주변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댐퍼부(45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댐퍼부(450)는 4개의 댐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411)의 세로방향 중심선 상에 구비되는 전측댐퍼(451) 및 후측댐퍼(452), 지지플레이트(411)의 가로방향 중심선 상에 구비되는 좌측댐퍼(453) 및 우측댐퍼(454)로 구성된다. 각각의 댐퍼를 수식하는 "전측" "후측" "좌측" "우측"은 좌판(210)에 앉은 사용자의 정면 시선 및 탄성지지대(412)를 기준으로 정해진 것이다.
각각의 댐퍼들은 각각 지지플레이트(411)와 결합되는 몸체부(450b), 몸체부(450b)의 내측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450a), 및 길이조절부(450a)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2지지대(42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부(450c)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좌판(210)에 앉은 후 좌판(210)이 탄성부(430)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요추 근육을 사용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균형을 잃게 되면 좌판(210)이 기울게 된다. 좌판(210)이 일정 경사 이상으로 기울어질 경우 사용자가 위험해지거나 요추 근육 운동 효과가 떨어진다. 댐퍼부(45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댐퍼부(450)는 기울어진 좌판(210)이 일정 경사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길이조절부(450a)의 높이 조절을 통해 좌판(210)의 기울어지는 경사각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좌판(210) 및 제2지지대(420)가 후측댐퍼(452)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후측댐퍼(452)로 인해 좌판(210) 및 제2지지대(420)가 후측으로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450c)는 댐퍼부(45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대(420)가 기울어질 때 접촉부(450c)의 전체 면적이 제2지지대(420)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지지대(420)가 기울어졌을 때 접촉부(450c)가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제2지지대(420)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길이조절부(450a)의 끝단에 구비된 접촉부(450c)는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45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후측댐퍼(452)의 끝단에 구비된 접촉부(450c)가 제2지지대(420)와 접촉한 경우, 접촉부(450c)의 끝단에 설치된 센서부(450d)에 의해 좌판(210)이 후측으로 기울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부(450c)의 끝단에 설치되는 센서부(450d)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500)는 접촉부(450c)의 끝단에 설치되는 센서부(450d)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50d)를 통해 접촉 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되면, 제어부(500)는 좌판(210)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판(510)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좌판(210) 내부에는 4개의 진동판(510)이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댐퍼부(450)가 설치된 위치와 유사하게 4개의 진동판(510)은 좌판(210)의 전후좌우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마트의자(1) 사용 중에 좌판(210)이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전측댐퍼(451)의 접촉부(450c)가 제2지지대(420)와 접촉하는 경우, 제어부(500)는 좌판(210) 내부에 설치된 진동판(510) 중 전측에 설치된 진동판(51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 결과 전측에 설치된 진동판(510)이 진동을 하게 되고 사용자는 좌판(210)이 전측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좌판(21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운 경우, 좌판(210) 내부의 좌측 진동판 또는 우측 진동판이 진동하게 될 것이다.
즉, 댐퍼부(450), 제어부(500) 및 좌판(210)에 설치되는 진동판을 통해 별도의 보조자 없이도 사용자 혼자 바른 자세로 좌판(210) 위에서 균형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스마트의자
100: 등받이부 110: 등받이 120: 연결지지대
200: 좌판부 210: 좌판 220: 손잡이
230: 이동플레이트 231: 삽입홀 232: 상부플레이트
233: 하부플레이트 234: 결합부 300: 다리부
310: 하부지지대 311: 바퀴 320: 높이조절부
330: 연결부 400: 균형조절부 410: 제1지지대
411: 지지플레이트 412: 탄성지지대 420: 제2지지대
421: 가이더 422: 고정나사 423: 지지플레이트
424: 탄성지지대 430: 탄성부 431: 탄성고정판
440: 고정부재 450: 댐퍼부 500: 제어부

Claims (5)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0);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부(200);
    상기 좌판부(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200)를 지지하는 균형조절부(400); 및,
    상기 균형조절부(400)의 하단과 결합되는 다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조절부(400)는,
    상기 다리부(300)의 상단과 결합되는 제1지지대(410), 상기 좌판부(200)의 하단과 결합되는 제2지지대(420), 일단은 상기 제1지지대(4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지지대(420)와 연결되는 탄성부(430) 및 상기 탄성부(4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탄성고정판(4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대(410)는 상기 다리부(3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411) 및 상기 탄성부(430)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홈(412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4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420)는 상기 좌판부(200)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423) 및 상기 탄성부(430)의 타단이 안착되는 안착홈(424a)을 포함하는 탄성지지대(424)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조절부(400)는 상기 탄성지지대(412) 및 상기 탄성지지대(424)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판부(200)의 무게를 지탱하는 고정부재(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고정판(431)은 상기 안착홈(412a)의 적어도 일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탄성지지대(412)의 상단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200)는,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210) 및 상기 좌판(2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지지대(42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플레이트(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4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23)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30)의 직선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더(421)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230)를 고정시키는 고정나사(4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30)는, 상기 좌판(210)과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232), 상기 지지플레이트(423)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23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23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33)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234)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나사(422)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33)에 구비된 다수개의 삽입홀(231)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42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23)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233)를 차례로 관통 가능하게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바(422b);
    상기 나사바(422b)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422a);
    상기 나사바(422b)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삽입홀(23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2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33) 사이에 위치되는 스토퍼(422c); 및,
    상기 나사바(42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422c)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23)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422d);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23)의 하단에 구비된 길이가이더(423a)는 상기 나사바(422b)의 직선 방향 이동을 가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
  5.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조절부(4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의 상단 및 상기 탄성부(43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댐퍼부(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45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11)와 결합되는 몸체부(450b), 상기 몸체부(450b)의 내측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길이조절부(450a) 및 상기 길이조절부(450a)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지지대(420)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촉부(450c)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대(420)가 상기 접촉부(450c)와 접촉하면 상기 좌판부(200) 내부에 구비된 진동판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자.
KR1020190004017A 2019-01-11 2019-01-11 스마트의자 KR10214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017A KR102147959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017A KR102147959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68A KR20200087568A (ko) 2020-07-21
KR102147959B1 true KR102147959B1 (ko) 2020-08-25

Family

ID=7183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017A KR102147959B1 (ko) 2019-01-11 2019-01-11 스마트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42B1 (ko) * 2004-05-12 2006-08-22 주식회사 맨플러스 등받이가 자동으로 이동 조절되어 척추관련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의자
KR101129781B1 (ko) * 2010-07-14 2012-03-23 오상효 좌판 슬라이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568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WO2014106217A2 (en) Upholstered seat with flexible pelvic support
EP2156766A1 (en) Chair (variants)
EP2580992A2 (en) Chair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KR101910413B1 (ko) 틸팅 의자
KR200411172Y1 (ko) 길이가 조절되는 의자요추받침대
JP3172695U (ja) 調整可能な背もたれパッド
KR20180006024A (ko)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20130141827A (ko)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101106197B1 (ko)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CN107485210B (zh) 用于就坐表面的可调节背部支撑件
CN210870567U (zh) 一种坐姿矫正椅
CN208909432U (zh) 多功能坐姿矫正二联垫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69298Y1 (ko) 척추운동기구
KR102628170B1 (ko) 경사형 등받이와 수직형 등받이가 결합 된 등받이가 이중 구조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