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024A -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024A
KR20180006024A KR1020160086558A KR20160086558A KR20180006024A KR 20180006024 A KR20180006024 A KR 20180006024A KR 1020160086558 A KR1020160086558 A KR 1020160086558A KR 20160086558 A KR20160086558 A KR 20160086558A KR 20180006024 A KR20180006024 A KR 2018000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ackrest
frame
suppor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균
Original Assignee
장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균 filed Critical 장성균
Priority to KR1020160086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6024A/ko
Publication of KR2018000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Abstract

등받이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안정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와 둔부가 지지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좌석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의자다리부; 상기 좌석부의 일측면과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틸팅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각도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된 틸팅수단; 및 상기 틸팅수단의 회전됨에 의해 연동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를 바닥과의 사이에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연동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chair having tilting back}
본 발명은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안정성이 개선된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와,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석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기 위한 의자다리부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이러한 통상적인 의자는 최근에 기능성과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에서 오랜 시간 동안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며, 특히 잘못된 자세의 척추는 정상적인 척추라인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는 척추의 추간연골이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자에 앉은 착석자는 수시로 등을 젖히고 펴서 척추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추간연골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 순환과 양분 공급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위해 의자의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틸팅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자세로 앉을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부에 만곡을 주어서 등을 효과적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등받이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넓게 받쳐주도록 하는 의자도 제안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의자는 착석자의 편의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있다. 그리고, 착석자의 요추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등받이가 틸팅 수단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틸팅이 가능하도록 체결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틸팅의자는 착석자가 누울 수 있도록 틸팅되되, 상기 좌석부가 지지하는 하중보다 상기 등받이부가 지지하는 하중이 더 커지거나 일측의 방향으로 집중하중이 발생한다면, 의자의 균형을 잃게 되어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틸팅의자는 틸팅을 위해 구비된 기어가 상기 등받이부에 피로하중을 받음에 따라 기어 톱니의 마모가 발생하며, 마모의 진행 후에 하중이 발생하면 기어가 고정되지 않아 상기 등받이부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착석자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좌석부를 최대 각도로 틸팅하여 상체 및 하체를 움직이며 자세를 교정하면, 의자가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의자의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6233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 지지수단이 구비되어 안정성이 개선된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와 둔부가 지지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좌석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의자다리부; 상기 좌석부의 일측면과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틸팅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각도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된 틸팅수단; 및 상기 틸팅수단의 회전됨에 의해 연동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를 바닥과의 사이에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연동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좌석부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제1틸팅프레임과,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부에 연결되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틸팅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틸팅프레임과 힌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틸팅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틸팅조절부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동지지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펼침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틸팅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틸팅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양단이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지지프레임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의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회동이 제한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틸팅고정홈 측으로 탄성수단에 의해 탄발지지되되, 상기 틸팅조절부는 외부조작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1틸팅프레임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상기 틸팅조절레버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좌석부와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고정되며 심지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부가 횡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구비되되, 펼침상태에서는 상기 연동지지수단이 상기 등받이부와 연동되어 바닥에 지지되므로 하중분산 및 균형유지를 통해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연동지지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펼침상태에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지지되도록 힌지축에 의해 자동으로 바닥 방향을 향해 회동되며, 상기 등받이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틸팅고정홈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틸팅수단 및 연동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틸팅수단 및 연동지지수단을 나타낸 조립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틸팅수단 및 연동지지수단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틸팅수단 및 연동지지수단을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본체부(10), 의자다리부(20), 틸팅수단(30) 그리고 연동지지수단(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착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11)와 착용자의 둔부가 지지되는 좌석부(12)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메쉬, 패브릭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인조가죽, 라텍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착석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면부에는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후면부는 후술하게 되는 펼침상태에서 바닥과 대면하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전면부는 상기 착석자의 등과 접촉되도록 구비된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1)는 상기 연동지지수단(40)과 탄력적인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착석자의 요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1)의 전면부는 상기 착석자의 등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착석감이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에는 상기 틸팅수단(30) 및 상기 의자다리부(20)가 고정되도록 프레임결합부재(12a)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면부는 바닥과 대면하는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면부는 상기 착석자의 둔부와 접촉되도록 구비된 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의 측단부에는 후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후크는 더 구비된 상기 좌석부(12)를 포함하는 의자와 후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착석자가 상기 좌석부(12)에 다리를 지지하여 이용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석부(12)의 상면부에는 상기 착석자의 둔부와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비되어 상기 착석자의 착석감이 개선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석부(12)의 상면부 양측단에는 팔걸이부가 구비되어 상기 착석자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의 일측에는 나사결합하도록 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좌석부(12)와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좌석부(12)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접촉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에 홀이 구비되어 상기 접촉면과 나사체결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가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에 고정되는 구조라면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와 상기 좌석부(12)가 접착되는 구조나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석부(12)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상기 의자다리부(20)는,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의 하면부에 홀이 구비되어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의자다리부(20)와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는 접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착석자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의자다리부(20)가 바닥에 닿는 단부에 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자다리부(20)에는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조절부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의자다리부(20)를 축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틸팅수단(30)은 제1틸팅프레임(31), 제2틸팅프레임(32) 그리고 틸팅조절부(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은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의 일측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너비 방향으로 양측단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연동지지수단(40)과 힌지축이 연결되도록 연장된 양측단에는 상부힌지부(31a) 및 하부힌지부(31b)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단의 연장부는 라운드 진 형태로 구비되어 미감이 개선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틸팅프레임(31) 및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2개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좌석부(12)의 일측면에 상호 이격되며 너비 방향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좌석부(12)의 후면부에 부착되도록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의 일측에 구비된 홀은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의 일측에 구비된 홀과 나사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은 평형 및 균형 유지를 위하여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이 상기 좌석부(12)의 후면부에 부착되는 구조라면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결합부재(12a)가 접착되어 부착되는 구조나,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구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면부에 연결되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틸팅고정홈(3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힌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부(11)의 일측면에 상호 이격되며 너비 방향이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일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틸팅고정홈(32a)이 구비되되, 일측의 측단 상부에는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힌지축으로 연결되도록 상측이 연장된 기어힌지부(32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상기 좌석부(12)의 상면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하측은 상기 좌석부(12)의 하면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일측은 상기 틸팅고정홈(32a)을 따라 라운드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타측에는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이 연결되도록 등받이힌지부(3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의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부힌지부(31a)와 상기 기어힌지부(32b)의 위치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힌지 연결은 하나의 부재가 다른 하나의 부재에 회전을 가하도록 연결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에 홀이 구비되고 홀과 대응되는 부재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부재에는 힌지돌기가 구비되고, 다른 부재에는 힌지홈이 구비되어 각각의 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힌지 연결은 부싱과 샤프트를 이용한 실질적인 힌지 장치 이외에도 회전식 조인트, 트랙롤 등 다양한 회전운동부품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힌지부(31a)와 상기 기어힌지부(32b)가 힌지 연결된 부분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위치가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가지는 구조라면, 코일스프링이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의 일측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틸팅고정홈(32a)이 선택적으로 구속됨에 따라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각도가 다르게 변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틸팅고정홈(32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회전을 구속하는 상기 틸팅조절부(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틸팅조절부(33)는 상기 틸팅고정홈(32a) 측으로 탄성수단(60)에 의해 탄발지지되되, 상기 틸팅조절부(33)는 외부조작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틸팅조절레버(50)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조작력은 상기 착석자가 상기 틸팅조절레버(50)를 조작하는 힘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부(33)는 상기 틸팅조절레버(50)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되는 돌출부(33a)가 포함되되, 상기 돌출부(33a)는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틸팅조절부(33)의 일측은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대응되는 상기 돌출부(33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조절레버(50)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틸팅조절레버(50)의 일측으로부터 지렛대의 원리로 외부조작력을 작용받아 상기 틸팅조절부(33)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조절부(33)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33a)는 연장된 단부로부터 직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예각, 둔각 및 기설정된 각도 등으로 상기 돌출부(33a)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틸팅조절레버(50)는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틸팅조절레버(50)는 일측이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에 구비된 홀을 관통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조작되도록 지지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을 경유하지 않고 조작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면 상기 틸팅조절레버(50)의 일측이 라운드지는 구조 또는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을 우회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레버(50)의 타측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틸팅조절레버(50)의 일측이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의 내측면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틸팅조절레버(50)는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직접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틸팅조절부(33)가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를 구속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수단(60)이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60)은 상기 돌출부(33a)가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탄성력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60)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및 탄성고무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탄성력이 구비되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력에 의해 구속 지지되는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탄성수단(60)의 일측은 상기 틸팅조절부(33)에 고정되되, 타측은 한쌍의 상기 제1틸팅프레임(31) 내측면 사이에 고정된다. 이때, 내측면 사이에는 부재가 더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제1틸팅프레임(31) 내측면에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수단(60)의 타측이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수단(60)이 상기 틸팅조절부(33)가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된 상태를 구속 지지하는 구조라면 상기 탄성수단(60)의 타측은 임의 위치에 설정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틸팅조절부(33)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돌출부(33a)는 상기 탄성수단(60)에 의해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되어 구속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조절레버(50)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틸팅조절부(33)의 연장된 단부는 외력을 받게 되어 상기 틸팅조절부(33)가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3a)는 상기 틸팅고정홈(32a)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은 제1지지프레임(41)과 제2지지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은 상기 틸팅수단(30)의 회전됨에 의해 연동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11)를 바닥과의 사이에 지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상기 등받이부(11)의 펼침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타측 단부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펼침상태는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면부가 바닥과 대면되도록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이 틸팅되어 상기 틸팅조절부(33)에 구속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힘상태는 상기 등받이부(11)의 길이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이 틸팅되어 상기 틸팅고정홈(32a)이 구속 지지되는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일측에 제1연동힌지부(41a)가 구비되며, 한쌍으로 이격된 상기 제2틸팅프레임(3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등받이힌지부(32c)와 힌지 연결됨에 따라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연동힌지부(41a)로부터 이격되어 제2연동힌지부(41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상기 등받이부(11)의 펼침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연동힌지부(41b)로부터 상기 제1연동힌지부(41a)를 경유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연장된 단부는 상기 등받이부(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너비 방향으로 양측단이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된 양측단에는 마찰력이 높은 마찰부재(41c)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2연동힌지부(41b)로부터 연장된 단부와 상기 부재의 중앙부가 용접,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일측에 양단이 각각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2개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힌지축이 연결되도록 제1보조힌지부(42a)가 구비된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제1보조힌지부(42a)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너비 방향 양측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연동힌지부(41b)와 힌지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연결되도록 연장되는 단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연장된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역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일측으로부터 라운드지게 구비되어 연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힌지부(31b) 방향을 향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직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힌지부(31b)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힌지축이 연결되도록 제2보조힌지부(42b)가 구비되며, 상기 제2보조힌지부(42b)는 상기 하부힌지부(31b)와 힌지 연결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접힘상태로 구비되어 일반적인 의자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3a)는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틸팅고정홈(32a) 중, 일측으로부터 첫번째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삽입되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1)의 길이 방향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틸팅프레임(3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이 틸팅되어 상기 틸팅고정홈(32a)이 구속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부(11)가 상기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착석자는 일반적인 의자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착석자는 구미에 맞게 상기 틸팅조절레버(50)를 조작하여 상기 등받이부(11)가 틸팅되는 각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상기 착석자가 사무 업무, 학업, 휴식 간에 이용되는 의자의 기본 기능이 구비된다. 그리고, 다양한 자세로 앉을 수 있고, 상황에 따라 편리하게 등받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틸팅 기능이 포함된 의자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부(11)에 연결된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은 바닥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양측단으로 연장부가 구비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타측에는 하중이 가해지므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일측에 연결된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상기 제1보조힌지부(42a)에 연결된 힌지축과 상기 제2보조힌지부(42b)에 연결된 힌지축에 의해 길이 방향이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도록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에 의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상기 등받이부(11)와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면부에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이 구비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이 역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면, 접힘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이 간섭되지 않도록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펼침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면부는 바닥과 대면되도록 향하게 되며, 상기 등받이부(11)는 횡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틸팅프레임(32)이 상기 상부힌지부(31a)에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틸팅조절부(33)에 의해 구속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11)는 횡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상기 제1연동힌지부(41a)에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마찰부재(41c)가 바닥에 닿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1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상기 하부힌지부(31b)에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하측으로 회동된다.
더욱이, 상기 제1보조힌지부(42a)에 연결된 힌지축은 바닥과 회전축과의 거리를 좁혀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이 상기 등받이부(11)를 지지하는 동안 발생하는 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멘트는 물체가 회전하려고 하는 힘의 작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상기 등받이부(11)의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의 회동이 제한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동이 제한됨에 따라 상기 좌석부(12) 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 사이의 각도 크기는 직각에 대응되거나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이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41)과 상기 제2틸팅프레임(32) 사이의 각도는 직각이나 둔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둔각이 너무 크게 형성되면 상기 등받이부(11)의 타측면이 바닥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상기 착석자가 눕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 각도는 90~120도가 적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가 예각으로 이루어진다면, 상기 등받이부(11)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바닥에서 상기 좌석부(12) 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모멘트가 커진다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은 상기 등받이힌지부(32c)에 연결된 힌지축으로부터 상기 좌석부(12)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기 등받이부(11)를 지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가 둔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부(11)에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모멘트가 발생하면, 모멘트는 바닥에서 상기 등받이부(11)의 타측면 방향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때, 모멘트가 커지더라도 상기 제1보조힌지부(42a)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4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힌지부(42b)가 상기 제1틸팅프레임(31)에 연결된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에 의해 회동이 멈추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의 길이에 따라 회동 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상기 제2지지프레임(42)은 둔각을 이루어 회동을 멈출 수 있는 적정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상기 착석자가 상기 등받이부(11)와 상기 좌석부(12)를 틸팅하여, 등을 젖히고 펴서 척추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발하고 추간연골 및 근육의 긴장을 풀어 혈액 순환과 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1)는 상기 좌석부(12)와의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고정되며 심지어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부(11)가 횡방향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100)는 상기 등받이부(11)가 상기 연동지지수단(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연동지지수단(40)에 의해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펼침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1)의 전면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반력에 의해 분산되고 의자의 균형이 유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지지수단(40)은 상기 등받이부(11)의 펼침상태에 연동되어 상기 등받이부(11)가 지지되도록 힌지축에 의해 자동으로 바닥 방향을 향해 회동되며, 상기 등받이부(11)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틸팅고정홈(32a)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본체부 20 : 의자다리부
30 : 틸팅수단 31 : 제1틸팅프레임
32 : 제2틸팅프레임 33 : 틸팅조절부
40 : 연동지지수단 41 : 제1지지프레임
42 : 제2지지프레임 50 : 틸팅조절레버
60 : 탄성수단 100 :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Claims (5)

  1.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와 둔부가 지지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좌석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된 의자다리부;
    상기 좌석부의 일측면과 상기 등받이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틸팅조절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전각도가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된 틸팅수단; 및
    상기 틸팅수단의 회전됨에 의해 연동 회전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를 바닥과의 사이에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연동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좌석부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제1틸팅프레임과,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부에 연결되되,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틸팅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틸팅프레임과 힌지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틸팅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틸팅조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지지수단은
    상기 등받이부의 펼침상태에서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틸팅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틸팅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양단이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의 펼침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회동이 제한되는 길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틸팅고정홈 측으로 탄성수단에 의해 탄발지지되되, 상기 틸팅조절부는 외부조작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1틸팅프레임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상기 틸팅조절레버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1020160086558A 2016-07-08 2016-07-08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20180006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8A KR20180006024A (ko) 2016-07-08 2016-07-08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58A KR20180006024A (ko) 2016-07-08 2016-07-08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24A true KR20180006024A (ko) 2018-01-17

Family

ID=6102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58A KR20180006024A (ko) 2016-07-08 2016-07-08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60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23B1 (ko) 2019-06-19 2020-02-06 주식회사 트윈스 등받이 틸팅형 의자
KR20200128787A (ko) 2019-05-07 2020-11-17 최덕중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2294992B1 (ko) * 2021-05-21 2021-08-30 이세영 홈트레이닝용 변형 의자
KR102592658B1 (ko) 2022-11-07 2023-10-24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787A (ko) 2019-05-07 2020-11-17 최덕중 상승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2073623B1 (ko) 2019-06-19 2020-02-06 주식회사 트윈스 등받이 틸팅형 의자
KR102294992B1 (ko) * 2021-05-21 2021-08-30 이세영 홈트레이닝용 변형 의자
KR102592658B1 (ko) 2022-11-07 2023-10-24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6766B1 (en) Chair (variants)
KR20180006024A (ko)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100807370B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KR102071448B1 (ko) 의자 등받이의 이중구조 틸팅장치
US20130175839A1 (en) Chair
KR101193404B1 (ko) 가변 허리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080090592A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KR100621073B1 (ko) 좌판과 요추판 및 등판이 상이한 각도로 틸팅되는 의자의틸팅장치
JP2005533538A (ja) 着座装置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1473879B1 (ko)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KR101106197B1 (ko)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KR101931630B1 (ko) 기능성 의자
JP2024518059A (ja) 人間工学的モーションチェア
JP5578457B1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100787165B1 (ko) 척추교정용 의자
JP2555234Y2 (ja) 椅子の傾動構造
KR20130078931A (ko) 의자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KR102359635B1 (ko) 요추지지방석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JP7440880B2 (ja) 椅子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