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699Y1 -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699Y1
KR200379699Y1 KR20-2004-0035044U KR20040035044U KR200379699Y1 KR 200379699 Y1 KR200379699 Y1 KR 200379699Y1 KR 20040035044 U KR20040035044 U KR 20040035044U KR 200379699 Y1 KR200379699 Y1 KR 200379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user
chai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박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진 filed Critical 박명진
Priority to KR20-2004-0035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3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with double foot-rests or leg-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는, 사용자의 착석시 하부에서 사용자의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부분으로 의자의 중심부를 이루며,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부위를 받쳐주는 허리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부재; 시트부재의 하부에서 시트부재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시트부재를 고정 및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재; 시트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허리받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등받이 부재; 등받이 부재를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등받이 부재가 전후 탄성 요동이 가능하도록 등받이 부재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는 등받이 고정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에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팔걸이 부재를 하향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고, 등받이 부재를 충분한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일반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팔걸이 부재 및 등받이 부재를 이용하여 상체를 전후 요동함으로써 허리, 척추 및 복근 운동과 하체의 근력까지 키울 수 있는 운동 보조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Auxiliary sports equipment and office knee chair in one}
본 고안은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팔걸이 부재가 거의 270°가까이 하향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등받이 부재가 충분한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일반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팔걸이 부재 및 등받이 부재를 이용하여 상체를 전후 요동함으로써 허리 및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생활 습관의 변화에 따라 현대인들이 의자에 앉아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의자의 형상이나 기능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또한 상당하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의자들은 인체의 일부를 받쳐주는 역할만을 할 뿐이고 오히려 인체 특히, 요추를 변형시켜 요통 등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인체 공학적인 구조를 갖는 의자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은 단지 인체의 일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는데 만족하고 있다. 이러한 의자를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는 허리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을 분산 또는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해 틈틈이 운동을 하여야 하나 이렇게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의자로부터 일어나 허리를 회전 또는 꺾어 운동을 해야하므로 통상적으로 허리 등의 피로를 풀어주지 못하고 누적시켜 요통을 유발시킴은 물론 심하게는 하나의 병으로 까지 발전시키는 일이 종종 있었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 의자에 앉아 장시간 근무를 하게 되면 심신의 피로가 누적되어 피곤을 느끼며, 이러한 심신의 피로는 즉시 풀어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까지 이동하는 것은 시간적인 제약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팔걸이 부재를 하향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고, 등받이 부재를 충분한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일반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팔걸이 부재 및 등받이 부재를 이용하여 상체를 전후 요동함으로써 허리 및 복근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는,
사용자의 착석시 하부에서 사용자의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부분으로 의자의 중심부를 이루며,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부위를 받쳐주는 허리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서 시트부재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시트부재를 고정 및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허리받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등받이 부재;
상기 등받이 부재를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등받이 부재가 전후 탄성 요동이 가능하도록 등받이 부재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는 등받이 고정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에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재는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시트부재와 시트 지지부재의 전,후방 공간상에는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감 증진 및 시트부재의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몸체 소정 부위에는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 상체의 전후운동을 수행할 시, 발목을 거치시켜주기 위한 발목거치대가 더 마련된다. 또한, 시트 지지부재의 각 버팀발 단부에는 캐스터(caster)가 각각 설치되되, 그 캐스터에는 필요에 따라 수동조작에 의해 캐스터의 회전운동을 막아 캐스터가 하나의 고정 받침부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팔걸이 부재의 단부에는 팔걸이 부재의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 시 착석상태의 사용자의 무릎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곡면받침부가 시트부재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팔걸이 부재가 정상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팔걸이 부재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100)는 시트부재(110), 시트 지지부재(120), 등받이 부재(130), 등받이 고정부재(140), 팔걸이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부재(110)는 사용자의 착석 시 하부에서 사용자의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부분으로 의자의 중심부를 이루며,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부위를 받쳐주는 허리받이부(112)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시트부재(110)는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12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시트부재(110)와 시트 지지부재(120)의 전,후방 공간상에는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감 증진 및 시트부재(110)의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114a)(114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시트 지지부재(120)는 시트부재(110)의 하부에서 시트부재(110)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시트부재(11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시트 지지부재(120)의 몸체 소정 부위에는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 상체의 전후운동을 수행할 시, 발목을 거치시켜주기 위한 발목거치대(122)가 더 마련된다. 또한, 시트 지지부재(120)의 각 버팀발(124) 단부에는 캐스터(caster)(126)가 각각 설치되되, 그 캐스터(126)에는 필요에 따라(예컨대,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 운동을 하고자 할 때) 수동조작에 의해 캐스터(126)의 회전운동을 막아 캐스터(126)가 하나의 고정 받침부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126s)가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 부재(130)는 상기 시트부재(11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허리받이부(1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탄력적으로 받쳐준다.
상기 등받이 고정부재(140)는 등받이 부재(130)를 상기 시트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상기 등받이 부재(130)가 전후 탄성 요동이 가능하도록 등받이 부재(130)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지지한다. 이와 같은 등받이 고정부재(140)는 소정의 탄성율을 갖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팔걸이 부재(150)는 상기 시트부재(110)의 양측에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120)의 일측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팔걸이 부재(150)의 단부에는 팔걸이 부재(150)의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 시 착석상태의 사용자의 무릎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곡면받침부(150c)가 시트부재(11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의 사용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일반 의자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사무용 의자나 기타 일반적인 의자의 사용 때처럼 통상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팔걸이 부재(150)는 보통의 팔걸이 부재가 달린 사무용 의자처럼 정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이상과 같은 일반 의자로 사용하다가, 본 고안의 의자를 운동 보조기구로 이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시트 지지부재(120)의 각 버팀발(124)에 설치되어 있는 캐스터(126)의 스톱퍼(126s)를 수동 조작에 의해 하부로 밀어 내려 바닥에 밀착시킴으로써 의자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런 후,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양쪽의 팔걸이 부재(150)를 하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팔걸이 부재(15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곡면받침부(150c)에 양쪽 무릎부위를 받치는 한편, 발목은 시트 지지부재(120)에 마련되어 있는 발목거치대(122)에 거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체를 전,후로 움직이면 등받이 부재(130)의 탄력적인 반동력과 시트부재(110) 하부의 스프링(114a)(114b)의 탄성력 등에 의해 사용자의 몸은 착석상태에서 탄력적인 전후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 척추, 복부 등의 근육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상체를 견고하게 지탱하는 하체에도 힘이 들어가 있는 상태이므로 하체의 근력운동도 함께 진행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는 팔걸이 부재를 하향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고, 등받이 부재를 충분한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일반 사무용 의자로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팔걸이 부재 및 등받이 부재를 이용하여 상체를 전후 요동함으로써 허리, 척추 및 복근 운동과 하체의 근력까지 키울 수 있는 운동 보조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 부재가 정상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에 있어서, 팔걸이 부재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를 일반 의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를 운동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시트 부재 112...허리받이부
114a,114b...스프링 120...시트 지지부재
122...발목거치대 124...버팀발
126...캐스터 126s...스톱퍼
130...등받이 부재 140...등받이 고정부재
150...팔걸이 부재

Claims (5)

  1. 사용자의 착석시 하부에서 사용자의 둔부 및 허벅지 부위를 받쳐주는 부분으로 의자의 중심부를 이루며,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리 및 척추부위를 받쳐주는 허리받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에서 시트부재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시트부재를 고정 및 지지하는 시트 지지부재;
    상기 시트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허리받이부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등받이 부재;
    상기 등받이 부재를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되, 등받이 부재가 전후 탄성 요동이 가능하도록 등받이 부재를 탄력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는 등받이 고정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양측에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일측에 각각 기계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 지지부재에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시트부재와 시트 지지부재의 전,후방 공간상에는 사용자의 착석시 쿠션감 증진 및 시트부재의 전후방향의 시소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몸체 소정 부위에는 사용자가 착석 상태에서 상체의 전후운동을 수행할 시, 발목을 거치시켜주기 위한 발목거치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지지부재의 각 버팀발 단부에는 캐스터(caster)가 각각 설치되되, 그 캐스터에는 필요에 따라 수동조작에 의해 캐스터의 회전운동을 막아 캐스터가 하나의 고정 받침부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부재의 단부에는 팔걸이 부재의 하향 힌지식 회전운동 시 착석상태의 사용자의 무릎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정 넓이의 곡면받침부가 시트부재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20-2004-0035044U 2004-12-09 2004-12-09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200379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44U KR200379699Y1 (ko) 2004-12-09 2004-12-09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44U KR200379699Y1 (ko) 2004-12-09 2004-12-09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78A Division KR100607537B1 (ko) 2004-12-09 2004-12-09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699Y1 true KR200379699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44U KR200379699Y1 (ko) 2004-12-09 2004-12-09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6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492A (ko) * 2016-10-26 2018-05-04 정원욱 일반 의자로 변형 가능한 승마운동기구
WO2019245213A1 (ko) * 2018-06-22 2019-12-26 권광희 흔들리는 마차 테이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492A (ko) * 2016-10-26 2018-05-04 정원욱 일반 의자로 변형 가능한 승마운동기구
WO2019245213A1 (ko) * 2018-06-22 2019-12-26 권광희 흔들리는 마차 테이블
KR20200000176A (ko) * 2018-06-22 2020-01-02 권광희 흔들리는 마차 테이블
KR102160613B1 (ko) * 2018-06-22 2020-09-28 권광희 흔들리는 마차 테이블
CN112218782A (zh) * 2018-06-22 2021-01-12 权光熙 晃动的马车车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6369B2 (ja) 姿勢保持具
JP4856911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US6672660B2 (en) Chair for a drum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KR20110074342A (ko) 기능성 의자
US11583085B2 (en) Motion chair
JP201113995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JP3137036U (ja) 椅子
JP2007175520A (ja) 椅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1198578B1 (ko) 자세 교정의 용도 전환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JP7436743B1 (ja) リラックスチェア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20120063643A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