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422Y1 - 의자용 머리받침부 - Google Patents

의자용 머리받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422Y1
KR200377422Y1 KR20-2004-0031742U KR20040031742U KR200377422Y1 KR 200377422 Y1 KR200377422 Y1 KR 200377422Y1 KR 20040031742 U KR20040031742 U KR 20040031742U KR 200377422 Y1 KR200377422 Y1 KR 200377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hair
head
us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용서
Original Assignee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용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용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로써, 중앙영역에 핀수용부가 마련된 후면케이스와; 일단은 소정의 연결핀에 의해 상기 핀수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어느 일영역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더에 마련된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레일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편과; 상기 후면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머리받침부{Head supporter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머리받침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머리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걸터앉는데 사용하는 가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의자의 기본 구조는 시트라고 하는 앉는 자리와 의자를 지탱하는 다리부 및 등받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등받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를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의자는 그 형태, 구조, 재료 및 가공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고 나뉜다. 형태에 따라서는 등받이부가 없는 의자, 소형의자, 팔걸이의자, 안락의자, 긴의자(sofa), 침대식 긴의자, 흔들의자 등이 있다. 용도를 살펴보면 사무용, 학습용, 식사용, 회의용 의자 등이 있고, 특수용도로 이발용, 미용용, 의료용, 극장용 등이 나와 있기도 하다.
의자의 구조는 고정식, 회전식, 접이식 및 조합식 등이 있으며, 사용되는 재료로 분류해볼 때, 목제의자, 금속의자, 플라스틱의자 등이 있으며, 가공기술에 따라 나무를 구부려서 만들거나 성형합판으로 만들거나 혹은 강관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만는 의자 등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의자의 기능은 무엇보다도 사용시, 신체에 무리를 느끼지 않도록 보건적인 기능이 중요하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단순히 앉는 수단으로써의 의자 외에도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기본으로 하여 시트의 형상을 사용자의 엉덩이의 형태에 따라 파형으로 제조하거나 혹은, 등받이부의 구조 및 형상을 변경하여 인체의 등을 보다 편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여러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다수 출원된 바 있다. 특히, 등받이의 구조나 시트의 구조 외에도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 역시 신체에 무리를 느끼지 않으면서도 의자에 좀 더 편안하게 앉아있을 수 있는 조건을 이룬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머리받침부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의자용 머리받침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로써, 중앙영역에 핀수용부가 마련된 후면케이스와; 일단은 소정의 연결핀에 의해 상기 핀수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어느 일영역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더에 마련된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레일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편과; 상기 후면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판면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고정되는 돌기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부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에 비해 부피가 큰 머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고정부에 형성된 고정공은 상기 머리부의 이탈저지를 위해 원형의 관통공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다수개 절취된 방사형상을 갖는다.
상기 후면케이스를 향한 상기 전면케이스의 핀수용부에 결합되는 수용부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케이스에는 상기 수용부커버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는 사용자의 머리에 맞게 일정부분에서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가 상호 조립된 후에는 쿠션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부가 장착된 의자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크게, 앉는 자리로써의 시트(1)와, 지면에 대해 의자를 전체적으로 지탱하는 다리부(2)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6)와, 등받이부(6)의 상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0)를 포함한다.
시트(1)는 내부에 쿠션재가 포함된 천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쿠션이 없는 철판이나 플라스틱 판상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1)가 사용자의 엉덩이의 형상에 맞게 파형을 가진다면 사용자가 좀 더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 시트(1)의 양측에는 팔걸이부(5)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팔걸이부(5) 역시 높이조절가능하게 그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팔걸이부(5)가 없는 의자일 경우라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다리부(2)는 의자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써 도시된 것처럼 이동이 자유로운 휠(2a)이 결합되어 있다. 물론, 휠(2a)이 없는 의자에도 본 고안의 사상은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휠(2a)이 장착되어 있다면 사용시, 더욱 편리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사용자의 등을 후면에서 지지하는 등받이부(6)는 인체의 구조에 맞게 일정부분에서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이는 시트(1)에도 적용이 되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등받이부(6)와 시트(1)로 인해 본 의자에 앉는 사용자는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등받이부(6)의 판면에는 사용자의 등에 땀이 차는 것을 저지하는 복수의 통기공(6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머리받침부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6)의 상단에는 머리받침부(10)가 장착되어 있다. 머리받침부(1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부(6)에 대해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좀 더 안락하게 머리를 받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의자용 머리받침부(1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호 결합되는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와, 등받이부(6)에 결합되는 지지부(26)와, 후면케이스(14)에 결합되어 지지부(26)에 대해 높이조절되는 슬라이더(20)를 포함한다.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는, 사용자의 머리에 맞게 일정부분에서 만곡되어 있다. 즉, 중앙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가 있고 양측이 중앙부분에 비해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가 상호 조립된 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10a)이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쿠션(10a)의 재질은 일반 천이나 가죽 등이 될 수 있다.
전면케이스(12)의 판면 중앙영역에는 후술할 수용부커버(18)가 노출되는 노출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노출공(12a)은 거의 타원형상을 갖는다. 노출공(12a)의 양측에는 후면케이스(14)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부(15)가 끼워져 고정되는 복수의 돌기고정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고정부(13)에 형성된 고정공(13a)은 원형의 관통공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다수개 절취된 방사형상을 갖는다.
후면케이스(14)의 판면 양측에는 전면케이스(12)에 형성된 돌기고정부(13)의 고정고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부(15)는 축부(15a)와 축부(15a)의 단부에 형성되되 축부(15a)에 비해 부피가 큰 머리부(15b)로 이루어져 있는데, 머리부(15b)가 돌기고정부(13)의 고정공(13a)에 끼워짐으로서 반대방향으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취한다.
후면케이스(14)의 판면 중앙영역에는 핀수용부(16)가 마련되어 있다. 핀수용부(16)에는 후술할 슬라이더(20)가 결합되는데, 슬라이더(20)가 결합된 후에는 핀수용부(16)에 수용부커버(18)가 결합된다. 수용부커버(18)는 전면케이스(12)의 노출공(12a)에 노출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한다.
슬라이더(20)는 바나나 형상으로 휜 막대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슬라이더(20)의 상단에는 핀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슬라이더(20)의 상단을 후면케이스(14)의 핀수용부(16)에 배치한 상태에서 핀공(20a)을 통해 연결핀(24)을 삽입하여 후면케이스(14)의 핀수용부(16)에 체결함으로써 슬라이더(20)는 부분적으로 후면케이스(14)와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20)의 하단 영역은 그 하단이 등받이부(6)에 결합된 지지부(26)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지지부(26)는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6a)에 의해 등받이부(6)의 상단 후면에 결합되는 구조체로써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부(26b)가 형성되는데, 이 수용부(26b) 내로 슬라이더(20)의 하단 영역이 삽입된다.
결국, 지지부(26)는 등받이부(6)에 결합된 구조체이고 슬라이더(20)는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를 지지하는 구조체인 바, 지지부(26)에 대해 슬라이더(20)의 삽입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머리받침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6)에 대해 슬라이더(20)의 삽입깊이를 조절한 후에는 슬라이더(20)가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한데, 이는 다음의 구조에 의해 구현된다. 즉, 슬라이더(20)의 하부 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토퍼(20b)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26)의 수용부(26b) 내에는 슬라이더(20)에 마련된 스토퍼(20b)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레일부(28a)를 가지고 지지부(26)에 대한 슬라이더(20)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편(28)이 수용된다.
따라서 지지부(26)에 대해 슬라이더(20)를 삽입하거나 노출시키게 되면 슬라이더(20)에 형성된 스토퍼(20b)가 길이조절편(28)에 형성된 레일부(28a)의 어느 일영역에 걸림유지됨으로써 슬라이더(20)의 삽입깊이가 조절된다. 이에 전체적으로 머리받침부(1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 영역을 높이고자 한다면, 상호 조립되어 있는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를 상측으로 잡아 올린다.
그러면, 지지부(26)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던 슬라이더(20)가 올라간다(노출된다). 어느 정도 올라가다가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슬라이더(20)에 형성된 스토퍼(20b)가 길이조절편(28)에 형성된 레일부(28a)의 어느 일영역에 걸림유지됨으로써 이 영역에서 슬라이더(20)의 이동은 멈추고 고정된다. 따라서 전면 및 후면케이스(12,14)는 등받이부(6)에 대해 그 높이가 상승된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기에 신장이 큰 사용자의 머리를 좀 더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1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머리받침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사용할 수 있어 상체, 특히 머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앉는 자세를 좀 더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부가 장착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머리받침부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머리받침부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2 : 다리부
5 : 팔걸이부 6 : 등받이부
10 : 머리받침부 12 : 전면케이스
14 : 후면케이스 16 : 핀수용부
18 : 수용부커버 20 : 슬라이더
24 : 연결핀 26 : 지지부
28 : 길이조절편

Claims (6)

  1. 의자의 등받이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로써,
    중앙영역에 핀수용부가 마련된 후면케이스와;
    일단은 소정의 연결핀에 의해 상기 핀수용부에 결합되고 적어도 어느 일영역에 스토퍼가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되 상기 슬라이더에 마련된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레일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슬라이더의 삽입깊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편과;
    상기 후면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케이스를 포함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판면에는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부가 고정되는 돌기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부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축부에 비해 부피가 큰 머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기고정부에 형성된 고정공은 상기 머리부의 이탈저지를 위해 원형의 관통공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다수개 절취된 방사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를 향한 상기 전면케이스의 핀수용부에 결합되는 수용부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에는 상기 수용부커버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는 사용자의 머리에 맞게 일정부분에서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및 후면케이스가 상호 조립된 후에는 쿠션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2004-0031742U 2004-11-10 2004-11-10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0377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42U KR200377422Y1 (ko) 2004-11-10 2004-11-10 의자용 머리받침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42U KR200377422Y1 (ko) 2004-11-10 2004-11-10 의자용 머리받침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422Y1 true KR200377422Y1 (ko) 2005-03-11

Family

ID=4367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42U KR200377422Y1 (ko) 2004-11-10 2004-11-10 의자용 머리받침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4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9B1 (ko) * 2009-03-25 2011-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101616507B1 (ko) * 2015-12-22 2016-04-2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69B1 (ko) * 2009-03-25 2011-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101616507B1 (ko) * 2015-12-22 2016-04-28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JP3137036U (ja) 椅子
KR200388338Y1 (ko) 기능성 팔걸이부 및 목받침부를 갖는 좌식의자
WO2000010429A1 (en) Adjustable back furniture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200440799Y1 (ko) 등받이소파
JP3146343B2 (ja) 椅 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381388Y1 (ko) 통풍 의자
US20190110602A1 (en) Back support including armpit support parts
KR200371572Y1 (ko) 의자
KR200361519Y1 (ko) 다목적 등받이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US20100102606A1 (en) Chair Structure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0012324A (ko) 요추받이 의자
KR100683552B1 (ko) 의자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102552180B1 (ko) 변형이 가능한 기능성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