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769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769B1
KR101069769B1 KR1020090025507A KR20090025507A KR101069769B1 KR 101069769 B1 KR101069769 B1 KR 101069769B1 KR 1020090025507 A KR1020090025507 A KR 1020090025507A KR 20090025507 A KR20090025507 A KR 20090025507A KR 101069769 B1 KR101069769 B1 KR 10106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ed
backrest
ch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292A (ko
Inventor
최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Priority to KR102009002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6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다리부와, 다리부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좌판과, 다리부에 겹합되며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와, 등받이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받침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머리받침대가 등받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 및 고정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한다.
머리받침대, 체결유닛, 의자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이다.
회사원이나 연구원과 같이 오랜 시간 동안 의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의자에서 편안한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의자에는 사람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가 마련되어 있다.
종래 의자의 경우,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는 탄성성 가지는 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를 머리받침대에 기대면 머리받침대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사용자가 머리를 머리받침대에서 떼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머리받침대가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의자와 같이 탄성부재에 의해 머리받침대와 등받이가 결합되어 있으면, 머리받침대가 회전된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머리받침대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해당하는 만큼의 힘으로 머리받침대를 눌려야 하는데, 이때 이 힘은 사용자의 머리 무게가 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마다 머리의 무게가 다를 뿐 아니라, 사용자마다 가장 편한함을 느끼는 자세에서 머리받침대가 회전되는 각도가 서로 상이하므로 머리받침대에 작용하는 복원력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의 의자와 같이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머리받침대와 등받이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한 상태로 받쳐주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좌판과, 상기 다리부에 겹합되며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받침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가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 및 고정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대와 상기 등받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머리받침대에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된 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홈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된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고정위치와 상기 홈부에서 이탈되는 회전가능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자세에 따라 머리받침대를 회전 시킨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더 편안하게 의자에 앉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머리받침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머리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체결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5의 (A)는 고정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회전가능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는 다리부(10)와, 좌판(20)과, 등받이(30)와, 머리받침대(40)와, 체결유닛(50)을 가진다.
다리부(10)는 후술할 좌판(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리부(10)에는 복수의 바퀴(11)가 결합되어 있으며, 한 쌍의 팔지지대(12)가 결합되어 있다.
좌판(20)은 착석자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것으로 다리부(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좌판(20)에는 착석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한 쿠션이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30)는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31)과, 등받이 천(32)을 포함한다. 프레임(31)은 탄성을 가지는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다리부(10)에 결합되며, 착석자가 등을 기대는 경우 소정의 각도로 뒤로 젖혀지게 된다. 등받이 천(32)은 프레임(31)에 결합되며, 통풍이 원활하도록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3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허리받침대(33)가 결합되어 있다.
머리받침대(40)는 착석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부재(50)와, 이동판을 포함한다.
본체부재(50)는 중앙부(51)와 측면부(52)로 이루어진다. 중앙부(5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512)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탄성체(512)에는 스토퍼 부재(513)가 결합된다. 측면부(52)는 중앙부(51)와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51)의 양측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측면부(52)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측면부(52)의 하단부에는 홈부(522)와, 지지부(523)가 마련되어 있다. 홈부(522)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522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23)는 후술할 탄성부재가 지지되는 곳이다. 지지부(523)는 홈부(522)와 인접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523)의 일측면이 홈부(52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지지부(523)에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공은 홈부(5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홈부와 연결된다.
이동판은 본체부재(5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1판상부재(61)와 제2판상부재(62)로 이루어진다. 제1판상부재(61)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돌기(611) 및 두 쌍의 결합돌기(614)와, 본체부재의 가이드홈부(521)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6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판상부재(61)는 돌기(61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n)에 의해 본체부재(5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상부재(61) 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의 삽입홈(613)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삽입홈(613)은 본체부재(50)의 반대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 삽입홈(613)에 스토퍼 부재(513)가 삽입된다. 제2판상부재(62)는 본체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제1판상부재(61)의 맞은편에 배치된다. 제2판상부재(62)에는 복수의 관통공(6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판상부재의 결합돌기(614)가 제2판상부재의 관통공(6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622)에 의해 제1판상부재(61)와 제2판상부재(62)가 상호 결합된다.
체결유닛(70)은 머리받침대(40)와 등받이(30)를 상호 체결시키되, 머리받침대(40)가 등받이(30)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와, 머리받침대(40)가 등받이(30)에 고정된 상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머리받침대(40)와 등받이(3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유닛(70)은 결합부재(71)와, 이동부재(72)와, 연결부재(73)와, 탄성부재(74)와, 보조결합부재(75)와, 마개(76)를 포함한다.
결합부재(71)는 몸체부(711)와, 결합부(712)를 가진다. 몸체부(711)는 등받이의 프레임(31)에 나사 결합된다. 결합부(712)는 몸체부(711)와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712)에는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본체부재의 홈부(522)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522a)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어(712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712)는 본체부재 측면부(52)의 하단부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본체부재에 형성된 홈부(522)와 삽입공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동부재(72)에는 복수의 기어(721)와, 관통공(722)과, 끼움홈(723)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기어(721)는 이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결합부재(71)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71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관통공(722)은 후술할 너트(80)가 삽입되는 곳으로, 이동부재(72)의 중심축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끼움홈(723)은 후술할 연결부재(73)가 삽입되는 곳으로, 이동부재(72)의 일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이동부재는 결합부재(71)에 삽입되며, 고정위치와 회전가능위치 사이에서 직선이동된다. 여기서 고정위치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72)가 본체부재의 홈부(522)에 삽입된 위치로, 이 고정위치에서는 본체부재의 홈부에 형성된 기어(522a)와 이동부재에 형성된 기어(721)가 서로 맞물리게 되며(이때, 결합부재에 형성된 기어(712a)와 이동부재에 형성된 기어(721)도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71)에 대하여 본체부재(50)가 고정, 즉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되게 된다. 한편, 회전가능위치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72)가 본체부재의 홈부(522)에 삽입되지 않은 위치(즉, 이탈된 위치)로, 이 회전가능위치에서는 본체부재의 홈부에 형성된 기어(522a)와 이동부재에 형성된 기어(721)가 서로 맞물리지 않으며, 따라서 결합부재(71)에 대하여 본체부재(5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게 된다.
연결부재(73)는 삽입부(731)와 플랜지부(732)를 가진다. 삽입부(7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의 끼움홈(723)에 삽입된다. 삽입부(731)의 중심에는 볼트(80)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관통 형성된다. 플랜지부(732)는 삽입부(73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볼트(80) 및 너트(81)에 의해 이동부재(72)와 결합되며, 이동부재(72)와 함께 이동된다.
탄성부재(74)는 이동부재(72)를 고정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로 스프링(74)이 채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4)은 연결부재(73)에 삽입되며, 스프링(74)의 일단부는 본체부재의 지지부(523)에 지지되고, 스프링(74)의 타단부는 연결부재의 플랜지부(732)에 지지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4)은 연결부재(73)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에 결합된 이동부재(72) 역시 좌측 방향, 즉 고정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 되게 된다.
보조결합부재(75)에는 관통공(7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는 본체부재의 플랜지부(523)가 삽입된다. 보조결합부재는 나사(82)에 의해 결합부재(7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7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의 측면부(5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자의 머리받침대(40) 및 머리받침대의 이동판을 조작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4)에 의해 이동부재(72)가 고정위치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체부재의 홈부에 형성된 기어와 이동부재에 형성된 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되며, 이에 따라 머리받침대(보다 구체적으로는 머리받침대의 본체부재)가 등받이(30)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손가락으로 연결부재(73)를 가압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4)이 압축되면서 연결부재(73) 및 이에 결합된 이동부재(72)가 회전가능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72)가 본체부재의 홈부(522)에서 이탈되며, 이에 따라 머리받침대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머리받침대를 회전시킨 후 연결부재(73)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74)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72)가 다시 고정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받침대가 등받이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머리받침대의 이동판을 잡고 상방향(혹은 하방향)으로 당기면 이동판이 본체부재(50)에 대해 슬라이딩 되며, 이때 탄성체(512)는 변형 및 회복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513)가 제1판상부재에 형성된 삽입홈(613) 사이의 돌출된 부분을 지나게 되는 경우에는 탄성체(512)가 눌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판상부재(61)와 본체부재(50)가 상대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판이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탄성체(512)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 부재(513)가 삽입홈(613)에 삽입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판이 그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머리받침대를 회전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의자와 같이 머리받침대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이 사용자의 머리로 전달되거나 또는 이 복원력에 의해 머리받침대가 원래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 결과 사용자의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머리받침대의 이동판을 슬라이딩시키면 사용자의 앉은 키에 따라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더 편안한 상태로 의자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이동판의 제1판상부재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본체부재에 탄성체 및 스토퍼 부재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체부재에 복수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동판에 탄성체 및 스토퍼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머리받침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머리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체결유닛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5의 (A)는 고정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의 (B)는 회전가능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의자 10...다리부
20...좌판 30...등받이
40...머리받침대 70...체결유닛
71...결합부재 72...이동부재
73...연결부재 74...탄성부재

Claims (6)

  1.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엉덩이가 지지되는 좌판과, 상기 다리부에 겹합되며 착석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며 착석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머리받침대를 구비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가 상기 등받이에 대하여 회전 및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받침대와 상기 등받이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머리받침대에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된 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홈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된 삽입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위치와 상기 홈부에서 이탈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에는, 상기 홈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홈부와 연결된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는,
    상기 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 및 상기 이동판 중 어느 하나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동판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재 및 상기 이동판 사이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스토퍼 부재 및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90025507A 2009-03-25 2009-03-25 의자 KR10106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07A KR101069769B1 (ko) 2009-03-25 2009-03-25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507A KR101069769B1 (ko) 2009-03-25 2009-03-25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92A KR20100107292A (ko) 2010-10-05
KR101069769B1 true KR101069769B1 (ko) 2011-10-05

Family

ID=4312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507A KR101069769B1 (ko) 2009-03-25 2009-03-25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62B1 (ko) * 2018-06-20 2019-09-27 황세정 유아용 목욕조
KR101976002B1 (ko) * 2018-07-28 2019-05-08 주식회사 삼정에스브이씨 각도 조절 팔걸이를 구비하는 보조 등받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22Y1 (ko) * 2004-11-10 2005-03-11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머리받침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22Y1 (ko) * 2004-11-10 2005-03-11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머리받침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292A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JP2015084927A (ja) 椅子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1069769B1 (ko) 의자
KR101482738B1 (ko) 슬라이딩장치가 구비된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48235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US20120119552A1 (en) Automatically adjustable chair structure
KR101412406B1 (ko) 프레임 타입형 의자
KR100883913B1 (ko) 틸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140004925A (ko) 가변형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303263B1 (ko) 허리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JP6538020B2 (ja) 椅子の背もたれの高さ調節構造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JP4936270B2 (ja) 椅子
KR200436742Y1 (ko) 의자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2013255553A (ja) 背もたれの角度調整装置
KR101052551B1 (ko) 의자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KR200445660Y1 (ko) 의자
KR200409233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설치 구조
KR102497164B1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