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162B1 - 유아용 목욕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목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162B1
KR102026162B1 KR1020180070787A KR20180070787A KR102026162B1 KR 102026162 B1 KR102026162 B1 KR 102026162B1 KR 1020180070787 A KR1020180070787 A KR 1020180070787A KR 20180070787 A KR20180070787 A KR 20180070787A KR 102026162 B1 KR102026162 B1 KR 102026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unit
bathtub
infan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정
Original Assignee
황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세정 filed Critical 황세정
Priority to KR102018007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와, 상기 욕조로 부터 분리가능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를 구비하는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 결합부에는 각도조절구가 내장되어 받침대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대응하여 받침대가 욕조에 지지된 상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목욕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받침대의 틸팅 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기저귀 갈이대, 배변 후 엉덩이 세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의 신체 특성에 맞춰 각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받침대의 어느 한 쪽에는 목욕을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머리감기를 위한 오목홈을 형성하여 용도에 따라 바꿔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목욕조{Bath tub for an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목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목욕시 가장 인체공학적이면서 편한 자세로 유아의 목욕과 머리감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유아용 목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피부가 약해 수시로 변과 땀을 씻어내기 위해 목욕을 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나 유아들은 자신의 몸을 자유롭게 가눌 수 있는 능력이 없고, 신생아의 경우도 평균 3kg 정도의 체중이 나갈 뿐만 아니라 12개월의 유아는 평균 체중이 10kg이상이므로 보호자 혼자서 목욕을 시킨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산모나 신체적으로 불편함이 있는 보호자의 경우 작은 신생아조차 혼자 기존의 욕조에서 목욕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목을 가누지 못하는 신생아의 경우는 어디든 기대고 지지한 다음에 목욕을 시켜줘야 하는데 종래의 욕조(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욕조도 포함한다)는 목욕은 차치하고 무엇보다 머리감기기가 곤란한 구조이다.
이는 받침대의 각도의 조절이 곤란하기 때문에 아이의 크기와 조건에 맞춰 편하게 눕힌 상태에서 눈과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머리를 감기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9933호
2.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050호
3. 국내 등록특허 제10-1151491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조에 받침대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해 욕조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신체발달이나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유아를 편하게 눕히되 미끌리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욕조와, 상기 욕조로 부터 분리가능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를 구비하는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 결합부에는 각도조절구가 내장되어 받침대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대응하여 받침대가 욕조에 지지된 상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각도조절구는 받침대의 힌지부와 결합구의 받침대 결합부 사이에 개재되되, 각도조절구의 외측면 일측 또는 양측이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받침대의 힌지부 내측면과 결합구의 받침대 결합부의 내측면은 상기 각도조절구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조절구가 받침대의 힌지부와 결합구의 받침대 결합부 사이에 삽입되면 받침대의 각도는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각도조절구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받침대의 저면 일측에는 보조다리가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받침대의 상면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를 위치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 가장자리로는 돌출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받침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되 걸림턱의 하단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받침대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받침대의 틸팅 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필요에 따라 기저귀 갈이대, 배변 후 엉덩이 세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의 신체 특성에 맞춰 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받침대의 어느 한 쪽에는 목욕을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머리감기를 위한 오목홈을 형성하여 용도에 따라 바꿔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 유아의 머리감기는 배수구가 있는 욕실에서만 가능했으나, 본발명은 받침대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건식욕실,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 엉덩이 받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유아의 신체 성장에 따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받침대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일반 욕조로 사용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목욕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각 부분 별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는 받침대가 수평인 상태이고, (나)도는 받침대가 아래로 경사진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목욕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유아용 목욕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각 부분 별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의 각도 조절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는 받침대가 수평인 상태이고, (나)도는 받침대가 아래로 경사진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목욕조는 욕조(110)와, 상기 욕조(110)로 부터 분리가능한 받침대(120)와, 상기 받침대(120)를 욕조(110)의 상단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구(140)는 욕조(110)의 상단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141)와 상기 본체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받침대(120)를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 결합부(142)에는 각도조절구(130)가 내장되어 받침대(12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125)에 대응하여 받침대(120)가 욕조(110)에 지지된 상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도조절구(130)는 받침대(120)의 힌지부와 결합구(140)의 받침대 결합부(142) 사이에 개재되는데, 각도조절구(130)의 외측면 일측 또는 양측이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받침대(120)의 힌지부 내측면과 결합구(140)의 받침대 결합부(142)의 내측면은 상기 각도조절구(13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구(130)가 받침대(120)의 힌지부와 결합구(140)의 받침대 결합부(142) 사이에 개재, 즉 삽입되어지면 받침대(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의 편리를 위해 상기 각도조절구(130)는 스프링(131)의 탄성에 의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각도조절구(130)를 누르게 되면 받침대(120)의 힌지부(125)와 결합구(140)의 받침대 결합부(142)로 부터 이탈되어 받침대(12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지고, 손을 놓으면 다시 받침대(120)의 힌지부와 결합구(140)의 받침대 결합부(142)에 삽입되면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구(130)는 힌지부(125)의 양측에 또는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131)은 힌지부(125) 또는 받침대 결합부(142)에 지탱되어 탄발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120)의 저면 일측에는 각도조절구(130)를 보조하기 위해 보조다리(150)가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아이의 무게를 지탱함에 있어 보다 견고하게 보조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보조다리(150)는 축핀(151)에 의해 받침대(120) 저면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된다.
또 상기 받침대(120)의 상면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를 위치하기 위한 오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22) 가장자리로는 돌출턱(121)이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아이의 머리를 오목홈(122)에 위치시켜 머리감기 쉽게 하도록 하고, 돌출턱(121)은 어깨를 받쳐주어 유아가 미끌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120)에는 걸림턱(124)을 형성하되 걸림턱(124)의 하단에는 삽입돌기(124a)가 형성되어 받침대(120)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23)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120) 상판을 잘 미끌리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처리를 할 수도 있고, 받침대(120)의 일측에는 목욕이나 머리감기 중 아이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모빌이나 모니터를 장치할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욕조
120: 받침대
130: 각도조절구
140: 결합구
141: 본체
142: 받침대 결합부

Claims (6)

  1. 욕조와, 상기 욕조로 부터 분리가능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를 구비하는 유아용 욕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욕조의 상단 일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한 받침대 결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 결합부에는 각도조절구가 내장되어 받침대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대응하여 받침대가 욕조에 지지된 상태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구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구는 양측이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탄발력이 작용하도록 하되,
    각도조절구의 일측은 힌지부에 끼워지고, 타측은 받침대 결합부에 끼워지게 되면 받침대의 각도가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70787A 2018-06-20 2018-06-20 유아용 목욕조 KR10202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87A KR102026162B1 (ko) 2018-06-20 2018-06-20 유아용 목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87A KR102026162B1 (ko) 2018-06-20 2018-06-20 유아용 목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162B1 true KR102026162B1 (ko) 2019-09-27

Family

ID=6809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87A KR102026162B1 (ko) 2018-06-20 2018-06-20 유아용 목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1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99A (ko) * 2003-03-03 2004-09-08 최영진 어린이용 목욕대
KR20100107292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20120000742U (ko) * 2010-07-21 2012-02-02 신한에이엠(주) 유아용 비데의자
KR20140005253U (ko) * 2013-03-29 2014-10-08 임흥기 유아 높낮이 조절 가능 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7999A (ko) * 2003-03-03 2004-09-08 최영진 어린이용 목욕대
KR20100107292A (ko) *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20120000742U (ko) * 2010-07-21 2012-02-02 신한에이엠(주) 유아용 비데의자
KR20140005253U (ko) * 2013-03-29 2014-10-08 임흥기 유아 높낮이 조절 가능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US20110107511A1 (en) Standing baby shower seat
US20140359932A1 (en) Inclined child bath support
KR102026162B1 (ko) 유아용 목욕조
KR101530657B1 (ko) 유아용 기저귀 비데
US11013374B2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US20200352396A1 (en) Bath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533830B1 (ko) 육아 보조기구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CN209450403U (zh) 折叠浴盆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20180124255A (ko) 욕실용 샴푸의자
KR100396942B1 (ko) 의자
JP3210873U (ja) 沐浴補助具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KR20100008439U (ko) 미끄럼방지구를 구비한 유아용 욕조
US11849891B2 (en) Infant bathing apparatus
KR20034721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CN104068681A (zh) 一种兼具餐椅和洗头椅功能的儿童座椅
KR102539703B1 (ko) 다기능 아기목욕 의자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CN214964927U (zh) 婴幼儿卫生护理器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