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860B1 - 유아용 욕조 - Google Patents

유아용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860B1
KR101584860B1 KR1020130143830A KR20130143830A KR101584860B1 KR 101584860 B1 KR101584860 B1 KR 101584860B1 KR 1020130143830 A KR1020130143830 A KR 1020130143830A KR 20130143830 A KR20130143830 A KR 20130143830A KR 101584860 B1 KR101584860 B1 KR 10158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late
cleaning space
wall
infant
groov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164A (ko
Inventor
권순호
Original Assignee
권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호 filed Critical 권순호
Priority to KR102013014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8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3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 A47K3/034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는, 외벽; 상기 외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정 공간; 및 상기 세정 공간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세정공간에 진입할 수 있는 베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사용하면, 세정 욕조와 헹굼 욕조를 별도의 욕조에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 아니라, 비누칠 후 세정 욕조에 유아를 옮기는 시간 및 세정욕조에서 헹굼 욕조로 유아를 옮기는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물을 교체하느라 유아를 욕조 외부에 방치해야 하는 경우가 사라지므로 매우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욕조{BATHTUB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칠과 헹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이다.
유아는 신체 조건이 어린이나 성인과 다르기 때문에 유아를 목욕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용으로 제작된 욕조를 이용하게 된다. 특히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난방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실내에서 유아를 목욕시키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난방이 이루어지는 방에는 목욕을 위한 급수 및 배수 시설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많은 불편을 감수하여야만 한다. 또한, 비누칠을 하는 과정에서 비누가 용해된 욕조의 물은 비누를 헹구기 위하여 새로운 물로 교환해야 하지만, 그러한 물갈이 과정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물을 쏟을 수도 있다.
한편, 만 1 세 전후의 유아는 걷거나 서는 동작이 불완전하므로, 비누칠을 하거나 머리를 감기기 위해서는 유아를 눕힌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유아용 욕조에는 유아를 눕혀놓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유아를 안거나 받친 상태에서 비누칠을 하거나 머리를 감기게 된다. 특히 생후 50일 이전의 신생아들은 목을 가누기가 힘들어 이러한 과정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공개 실용 신안 제 2012-0006725 호에는 아기 목욕통, 목욕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아기 목욕통은 목욕통 벽면에 목욕 침대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구비한다. 그러나, 목욕 침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아기 목욕통에서 유아의 피부로부터 비누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목욕통 안의 사용했던 물을 쏟아버리고, 다시 새로운 물로 갈아줘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 실용 신안 제 1990-6283 호에는 온도계가 부착된 유아용 목욕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목욕통의 벽 일측에는 온도계가 부착될 수 있는 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목욕통에서는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기능 이외에 통상적인 유아용 목욕통이 가지는 문제점을 모두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유아용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유아를 안전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조의 물을 반복적으로 교환하지 않으면서 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유아용 욕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외벽; 및 외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정 공간과, 상기 세정 공간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세정공간에 진입할 수 있는 베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유아용 욕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세정 공간을 제 1 세정 공간 및 제 2 세정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엉덩이 받침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다른 단부는 상기 외벽의 안쪽 또는 상기 격벽에 구비된 정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단부에는 상기 격벽의 정지부에 지지될 수 있는 회전 연장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구비된 상기 정지부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격벽으로부터 회전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벽은 상기 정지부가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베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세정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가지고, 상기 격벽은 외력에 의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에서는 비누칠과 헹굼이 물갈이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에서는 비누칠과 헹굼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목욕 시간이 단축되고,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목욕시킬 수 있으며, 목욕 과정에서 유아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전체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기로 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는 세정 공간이 격벽(13)에 의해 제 1 세정 공간(11)과 제 2 세정 공간(12)으로 격리된 구성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정 공간이 하나만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베드 플레이트(1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1)는 외벽(10)과, 상기 외벽(1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을 제 1 세정 공간(11) 및 제 2 세정 공간(12)으로 분할하는 격벽(13)과, 상기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세정 공간에 진입할 수 있는 베드 플레이트(14)를 구비한다. 제 1 세정 공간(11)과 제 2 세정 공간(12)은 격벽(13)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다. 제 1 세정 공간(11)의 저부에는 배수구(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세정 공간(12)의 저부에도 배수구(1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0a,10b)는 마개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제 1 세정 공간(11)은 베드 플레이트(14)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특히, 제 1 세정 공간(11)은 베드 플레이트(14)에 눕혀진 유아가 베드 플레이트(14)와 함께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의 내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베드 플레이트(14)에는 제 1 세정 공간(11)으로의 진입이 쉽도록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드 플레이트(14)의 상부 표면은 전체적으로 가운데가 오목하고 완만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즉, 유아가 베드 플레이트(14)상에 누웠을 때, 유아의 체형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특히, 유아의 머리에 대응하는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의 폭 보다, 유아의 둔부에 대응하는, 엉덩이 받침부(14a)가 형성된 베드 플레이트(14) 부분의 폭이 더 큰 것이 바람직스럽다. 한편, 베드 플레이트(14)의 하부 표면은 베드 플레이트(14)가 제 1 세정 공간(12)의 내부로 가라앉혀질 때 제 1 세정 공간(12)의 바닥 표면에 적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베드 플레이트(14)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는 제 1 세정 공간(11)의 외벽에 형성된 거치부(16a)에 지지되고, 베드 플레이트(14)의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는 격벽(13)에 형성된 정지부(13a)에 의해 지지된다.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치부(16a)는 외벽(10)의 상부 테두리 중 일부에 해당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거치부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14)의 길이 방향 양쪽 단부들이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지지되는 방식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14)에는, 상기 외벽(10)의 거치부(16a)에 대응하여, 거치홈 형성부(16b)가 구비된다.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로서, 베드 플레이트(14)의 거치홈 형성부(16b)는 거치부(16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걸쳐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걸쳐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 플레이트(14)에는 다른 형태의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어, 외벽(10)에 형성된 다른 형상의 거치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외벽(10)의 거치부(16a)와 베드 플레이트(14)의 거치홈 형성부(16b)가 분리됨으로써, 베드 플레이트(14)가 욕조(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드 플레이트(14)가 거치부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 의 실시예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가 정지부(13a)상에 정지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정 공간이 하나로 형성된 욕조에서는 정지부가 외벽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4)의 저면에, 정지부(13a)상에 정지되는 회전 연장부(21, 도 2b)가 구비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엉덩이 받침부(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엉덩이 받침부(14a)는 베드 플레이트(14)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베드 플레이트(14)의 상부 표면에 눕혀진 유아의 엉덩이와 허벅지 사이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엉덩이 받침부(14a)는 베드 플레이트(14)를 경사지게 했을 때 유아가 베드 플레이트(14)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엉덩이 받침부(14a)에는 손 삽입 공간(14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 삽입 공간(14b)에 손을 집어넣어서 베드 플레이트(14)를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베드 플레이트(14) 상에 유아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손 삽입 공간(14b)에 손을 집어 넣어 베드 플레이트(14)를 들어올림으로써, 욕조(1)의 외벽(10)으로부터 베드 플레이트(14)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손 삽입 공간(14b)에 손을 집어 넣어 베드 플레이트(14)와 외벽(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베드 플레이트(14)를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14)의 최대 폭(W2)은 제 1 세정 공간(11)의 최대 폭(W1) 보다 작다. 이는 베드 플레이트(14)가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베드 플레이트(14)상에서 물을 사용하더라도 물이 욕조(1)의 외부로 흐르지 않고 제 1 세정 공간(11)으로 떨어지게 한다.
또한 베드 플레이트(14)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제 1 세정 공간(11)의 일측에는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18)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2 세정 공간(12)의 일측에도 수온 측정용 온도계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컵(19)이 외벽(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컵(19)은 욕조의 물을 떠서 유아의 몸을 적시거나 헹굼 물을 담아놓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컵(19) 대신에, 또는 상기 컵과 함께, 외벽(1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홀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에는 비누, 샴프 및 목욕 용품들이 담길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욕조 하부의 일측 단부에 바퀴를 설치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실리콘 패킹을 구비함으로써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도 실리콘 패킹을 구비한 단부를 살짝 들어 올려 손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세정 공간(11)의 면적에 비해 제 2 세정 공간(12)의 면적은 작은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에 반해, 제 1 세정 공간(11)의 높이에 비해 제 2 세정 공간(12)의 높이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 2 세정 공간(12)의 높이를 더 높게 하도록, 제 2 세정 공간(12)을 둘러싸는 외벽(10)의 높이는 제 1 세정 공간(11)을 둘러싸는 외벽(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스럽다. 즉, 제 2 세정 공간(12)은 코쿤(cocoon)형의 형상을 가진다.
유아는 제 1 세정 공간(11)의 내부로 베드 플레이트(14)에 눕혀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는 반면에, 제 2 세정 공간(12)의 내부에 앉혀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유아가 제 2 세정 공간(12)의 내부에 앉혀질 수 있도록, 제 2 세정 공간(12)에는 의자(17)가 설치될 수 있다. 의자(17)는 물에 가라앉혀진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의자(17)를 욕조(1)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는 의자(17)를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유아는 제 2 세정 공간(12)에서 반신욕을 할 수 있다.
제 2 세정 공간(12)을 형성하는 외벽(10)의 일부에는 목받침 홈(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의자(17)에 앉혀진 유아는 목받침 홈(12a)에 목을 기대고 편하게 앉을 수 있다.
도 2a 는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드 플레이트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16b)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 형성부(16b)는 외벽(10)의 거치부(16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걸쳐진다. 거치홈 형성부(16b)는 외벽(1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거치부(16a)에 걸쳐질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베드 플레이트(14)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지 않는 한, 거치홈 형성부(16b)와 거치부(16a) 사이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드 플레이트의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에서 도 2a 에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홈 형성부(16b)는 외벽(10)에 형성된 거치부(16a)에 맞물린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6a)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거치홈 형성부(16b)는 원호형 홈을 가진다. 상기 거치부(16a)의 원형 단면은 상기 거치홈 형성부(16b)의 원호형 홈 안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며, 베드 플레이트(14)가 거치부(16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거치홈 형성부(16b)의 원호형 홈의 중심각은 18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베드 플레이트(14)에 주로 작용하는 힘은 지면을 향하는 중력의 힘이기 때문에, 거치홈 형성부(16b)가 거치부(16a)를 이탈할 가능성은 없다. 베드 플레이트(14)가 제 1 세정 공간(11)의 내부로 진입하기 위해서 회전하는 경우에도 베드 플레이트(14)의 회전 각도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거치홈 형성부(16b)가 거치부(16a)를 이탈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베드 플레이트(14)를 분리하기 위해서 상방향으로 외력을 살짝 가하면 거치홈 형성부(16b)는 거치부(16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거치홈 형성부(16b)의 원호형 홈의 중심각을 180 도 보다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거치홈 형성부(16b)를 적절한 강성 및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거치홈 형성부(16b)와 거치부(16a)의 상호 맞물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거치홈 형성부(16b)와 거치부(16a)가 서로 맞물려 있을 때, 거치홈 형성부(16b)는 탄성 변형을 일으킬 정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거치부(16a)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즉, 통상적인 사용 상태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4)가 거치부(16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용만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거치홈 형성부(16a)의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외력을 가하면 거치홈 형성부(16a)는 거치부(16a)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베드 플레이트(14)가 분리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14)의 다른 단부의 저면에는 회전 연장부(21)가 설치된다. 회전 연장부(21)는 힌지(21a)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연장부(21)가 수평의 상태로 연장되면 외벽의 내면 또는 격벽(13)에 형성된 정지부(13a)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베드 플레이트(14)는 거치부(16a)와 정지부(13a)에 의해 지지되며, 도 1 에 도시된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아가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된 베드 플레이트(14)에 눕거나 앉아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세정 공간(11)내의 물에 접촉하지 않으며, 따라서 용이하게 비누칠을 하거나 머리를 감길 수 있다.
한편, 회전 연장부(21)가 베드 플레이트(14)의 저면과 맞닿도록 회전 연장부(21)를 회전시키면 베드 플레이트(14)가 정지부(13a)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므로, 베드 플레이트(14)는 제 1 세정 공간(11)으로 이중 화살표(A)로 표시된 회전 방향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세정 공간(11)에 진입하게 되며, 따라서 유아도 제 1 세정 공간(11)으로 함께 진입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 2b 를 통해 설명된 회전 연장부(21)를 구비하는 대신에, 격벽(13)을 2 개의 위치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베드 플레이트(14)를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유지시키거나 또는 제 1 세정 공간(11)의 안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즉, 외력을 가하지 않은 제 1 위치에서는 격벽(13)에 형성된 정지부(13a)가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를 지지하고, 외력을 가하여 격벽(13)을 변형시킨 제 2 위치에서는 정지부(13a)가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3)을 수평 방향으로 밀면 격벽(13)이 휘어지면서 변형되고, 그에 따라서 정지부(13a)가 베드 플레이트(14)의 다른 단부로부터 멀어져서 베드 플레이트(14)가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후에 외력을 제거하면 격벽(13)은 다시 제 1 위치로 탄성 복원됨으로써 돌아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적절한 정도의 강성 및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로 격벽(13)을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리콘고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c 는 도 2a 의 일부 구조를 변형시킨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격벽(13)에 회전 정지부(25)가 힌지(25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 정지부(25)는 격벽(13)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상태와, 격벽(13)으로부터 돌출된 상태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정지부(15)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4)의 일 단부가 회전 정지부(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회전 정지부(15)가 격벽(13)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4)가 2 중 화살표(A)의 방향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베드 플레이트(31)의 일 단부에는 유연성 연결부(32)가 구비되고, 베드 플레이트(31)의 다른 단부에는 후크 연결부(33)가 구비된다. 유연성 연결부(32)는 유연성을 가지는 그 어떤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연성 연결부(32)는 베드 플레이트(31)가 도 1 에 도시된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유연성 연결부(32)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축 삽입부(32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힌지축 삽입부(32a)에 삽입된 힌지축(미도시)이 욕조(1)의 외벽(1)에 고정될 수 있다. 베드 플레이트(31)에 구비된 후크 연결부(33)는 격벽(13)에 설치된 고리(35)에 걸릴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후크 연결부(33)를 격벽(13)의 대응하는 고리(35)에 걸어서 베드 플레이트(31)를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유아를 베드 플레이트(31)에 눕혀서 비누칠 등을 할 수 있다. 이후에는 후크 연결부(33)와 고리(35)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베드 플레이트(31)와 함께 유아를 제 1 세정 공간(11)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위에 설명된 베드 플레이트 대신에, 해먹(hammock) 유형의 그물형 베드 또는 직물형 베드가 구비된다. 그물형 베드 또는 직물형 베드는 그물 또는 직물(41)의 양 단부를 제 1 지지봉(42) 및 제 2 지지봉(43)에 연결하고, 각각의 지지봉(42,43)들에 후크 연결부(45,46)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1 지지봉(42)의 후크 연결부(45)는 욕조(1)의 외벽(10)에 구비된 대응하는 고리(미도시)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고, 제 2 지지봉(43)의 후크 연결부(46)는 격벽(13)에 구비된 대응하는 고리(47)에 연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물형 베드 또는 직물형 베드를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유아를 그물형 베드 또는 직물형 베드에 눕혀서 비누칠 등을 할 수 있고, 이후에 후크 연결부(46)를 고리(47)로부터 분리하여 유아를 그물형 베드 또는 직물형 베드와 함께 제 1 세정 공간(11)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욕조(1)의 내표면에는 권장되는 물의 양을 표시할 수 있는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아의 월령에 따라서 1 개월 유아, 3 개월 유아 또는 6 개월 유아의 표준적인 체격을 고려한 권장 물의 양을 눈금으로써 욕조(1)의 내표면에 표시한다. 또한 욕조(1)의 취급상 편의를 위해서 또는 유아가 붙잡을 수 있도록 외벽(11)의 내측면, 외측면 또는 상면에, 또는 격벽(13)의 양쪽 측면에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의 사용 방법을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유아를 목욕시키려면, 제 1 세정 공간(11) 및 제 2 세정 공간(12)에 적절한 온도의 물을 적절한 수위로 채워 넣고, 베드 플레이트(14)를 제 1 세정 공간(11)의 상부에 배치한다. 다음에 유아를 베드 플레이트(14)에 눕게 하거나 앉게 하고, 비누칠을 하거나 머리를 감긴다. 이때 제 1 세정 공간(11)의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후에 베드 플레이트(14)를 제 1 세정 공간(11) 안으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베드 플레이트(14)상의 유아도 제 1 세정 공간(11)의 안에 함께 진입할 수 있다. 즉, 유아가 베드 플레이트(14)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베드 플레이트(14)에 형성된 손 삽입 공간(14b)에 손을 집어넣어 베드 플레이트(14)를 약간 들어올림으로써, 베드 플레이트(14)의 거치홈 형성부(16b)와 외벽(10)의 거치부(16a)의 맞물림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베드 플레이트(14)의 다른 단부가 정지부(13a)에 닿지 않게 베드 플레이트(14)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유아와 함께 베드 플레이트(14)는 안전하게 제 1 세정 공간(11)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세정 공간(11)에 있는 물로 유아는 1 차적으로 헹굼 작용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세정 공간(11)에서 유아의 피부로부터 비누 거품이 어느 정도 제거된다.
이후에 유아는 제 2 세정 공간(12)으로 옮겨지며, 2 차적인 헹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아는 제 2 세정 공간(12)에서 의자(17)에 앉혀질 수 있으며, 맑은 물로 비누 거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유아는 제 2 세정 공간(12)내에서 반신욕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욕조를 비롯하여 의자, 물컵 등 악세사리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ABS 수지, 실리콘 수지와 같이 인체에 해가 없으면서 가볍고 튼튼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욕조를 사용하면, 세정 욕조와 헹굼 욕조를 별도의 욕조에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 아니라, 비누칠 후 세정 욕조에 유아를 옮기는 시간 및 세정욕조에서 헹굼 욕조로 유아를 옮기는 시간이 단축되고, 또한 물을 교체하느라 유아를 욕조 외부에 방치해야 하는 경우가 사라지므로 매우 편안하고 효율적으로 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다.
1. 욕조 10. 외벽
11. 제 1 세정 공간 12. 제 2 세정 공간
13. 격벽 14. 베드 플레이트

Claims (8)

  1. 외벽;
    상기 외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으로 이루어진 세정 공간;
    상기 세정 공간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면서 또한 상기 세정공간에 진입할 수 있는 베드 플레이트;
    상기 세정 공간을 제 1 세정 공간 및 제 2 세정 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 및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면에 손 삽입 공간이 형성된 엉덩이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다른 단부는 상기 외벽의 안쪽에 또는 상기 격벽에 구비된 정지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정지부가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베드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세정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를 가지고, 상기 격벽은 외력에 의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단부에는 상기 격벽의 정지부에 지지될 수 있는 회전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는 거치홈 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벽에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거치홈 형성부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구비된 상기 정지부는 상기 베드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격벽으로부터 회전 돌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8. 삭제
KR1020130143830A 2013-11-25 2013-11-25 유아용 욕조 KR10158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30A KR101584860B1 (ko) 2013-11-25 2013-11-25 유아용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830A KR101584860B1 (ko) 2013-11-25 2013-11-25 유아용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64A KR20130138164A (ko) 2013-12-18
KR101584860B1 true KR101584860B1 (ko) 2016-01-13

Family

ID=4998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830A KR101584860B1 (ko) 2013-11-25 2013-11-25 유아용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5Y1 (ko) * 2014-11-11 2017-02-20 박종관 유아용 욕조
KR102090546B1 (ko) * 2017-10-26 2020-05-29 주식회사 알텍 유아용 샤워기
KR102006311B1 (ko) * 2018-11-21 2019-08-01 주식회사 포프베베 영유아용 욕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60Y1 (ko) 1999-11-18 2000-04-15 최재호 유아용 목욕의자
KR200229567Y1 (ko) 2000-12-27 2001-07-19 오일영 유아용 욕조
KR200447175Y1 (ko) 2007-10-05 2009-12-31 김태영 유아욕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60Y1 (ko) 1999-11-18 2000-04-15 최재호 유아용 목욕의자
KR200229567Y1 (ko) 2000-12-27 2001-07-19 오일영 유아용 욕조
KR200447175Y1 (ko) 2007-10-05 2009-12-31 김태영 유아욕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64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925B2 (en) Portable infant washing tub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US20140325750A1 (en) Baby bath station
KR101533451B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492170B1 (ko) 유아용 목욕 보조대
US11013374B2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403894B1 (ko) 영유아용 욕조
KR102316711B1 (ko) 유아용 욕조
KR200447175Y1 (ko) 유아욕조
KR10151079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200441061Y1 (ko) 씻기기 편한 아기 목욕통
US11633068B2 (en) Infant bathing apparatus
KR102539703B1 (ko) 다기능 아기목욕 의자
KR102162692B1 (ko) 휴대용 아기 씻기 보조기
KR20120000955U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US20240008689A1 (en) Bath Support Device
KR10163396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200450840Y1 (ko) 접이식 유아용 욕조
CN210961711U (zh) 一种护理用新生儿洗浴装置
KR200143717Y1 (ko) 신생아용 목욕 욕조
KR200143718Y1 (ko) 유아용 목욕 기구대
JP3075500U (ja) 介護用入浴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