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616B1 - 유아용 샴푸 걸이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샴푸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616B1
KR101320616B1 KR1020110114759A KR20110114759A KR101320616B1 KR 101320616 B1 KR101320616 B1 KR 101320616B1 KR 1020110114759 A KR1020110114759 A KR 1020110114759A KR 20110114759 A KR20110114759 A KR 20110114759A KR 101320616 B1 KR101320616 B1 KR 10132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upport
binding
shoulder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9624A (ko
Inventor
김건형
Original Assignee
김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형 filed Critical 김건형
Priority to KR102011011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6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4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자의 몸에 유아가 눕힌 상태로 안길 수 있게 유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아가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으며 보호자는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유아의 머리를 감길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받쳐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보호자의 허리에 장착가능하게 허리벨트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반대편에서부터 길게 연장하여 한쪽 끝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 멜 수 있게 형성되는 어깨띠로 구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 간에 서로 맞물려 끼움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샴푸 걸이대{Hair Shampooing Hanger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샴푸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의 몸에 유아가 눕힌 상태로 안길 수 있게 유아의 신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아가 편안하면서도 안전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으며 보호자는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유아의 머리를 감길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유아용 샴푸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1~6세까지의 어린아이)는 잦은 대/소변이나 땀에 의해 피부가 물러지거나 땀띠 등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아에 대해 매일 한번 이상씩은 목욕 및 샴푸를 해야만 하고, 이는 자활능력이 없는 특성상 유아의 목욕이나 샴푸는 보호자에 의해 행해진다.
이처럼 보호자는 유아가 스스로 목욕을 하고 머리를 감을 수 있는 시기까지 육아의 일부분으로 행해지며, 유아는 몸을 씻기는 목욕보다도 머리를 감기는 샴푸에 많은 힘이 소요되고 특히 경험이 없는 보호자에게는 기술적인 면을 요하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유아를 목욕시키는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목욕용품인 각종 유아용 욕조(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29567호, 한국특허등록 제10-0739010호 등)가 개발되어 있는 반면, 유아를 샴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용품의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 유아의 머리를 감김에는 아직 목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생후 1년 이전의 유아) 및 아직 어린 유아(만1~3세의 유아)인 경우에 보호자가 손과 팔을 사용하여 안은 후 뒤로 눕힌 채 머리를 감겼으며, 조금 성장한 유아(만4세 이후의 유아)의 경우에는 아이를 쪼그려 앉힌 후 머리를 숙이게 하여 머리를 감기도록 하였다.
그러나 보호자가 유아를 한 손과 팔을 사용하여 안은 상태로 다른 한 손을 사용해 샴푸함에는 손목과 팔, 허리 등에 지속적으로 힘이 가해져 금방 지치게 됨은 물론 유아가 불안하면서도 불편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으며, 아이를 앉힌 상태로 머리를 숙여 샴푸함에는 물 및 비눗물이 눈에 들어가는 일이 발생하여 아이들에게 머리를 감는 일에 대한 두려움 및 거부감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유아를 앉힌 후 머리에 샴푸모자를 씌우므로 머리를 감길 때에 물이나 비눗물이 유아의 눈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더 나아가,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데 사용되는 각종 기구대 및 유아용 샴푸의자가 각각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유아의 목욕 및 샴푸할 때 사용되는 기구대와 관련하여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143718호에는, 어린 유아가 담겨져 충분하게 전신 목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욕조 평면의 외주면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홈을 갖는 목욕 욕조에 있어서, 상기 욕조 평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 처리되어 시소 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축봉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표면부에 유아의 몸이 좌우로 쏠리지 않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요홈부가 형성되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회동가능한 지지랙을 구비하여 목욕 기구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각도로 욕조의 바닥면에 걸려 유아의 자세를 편안하게 하고 유아의 머리를 편리하게 감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목욕 기구대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유아용 샴푸의자와 관련하여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74452호에는, 유아의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와, 상기 목받침부의 하부로 유아의 등이 안착되도록 신체 곡면에 따라 형성된 등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유아 및 보호자가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샴푸모자와 기구대 및 샴푸의자는 자활능력이 어느 정도 가능하여 목을 가눌 수 있는 유아인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자활능력이 전혀 없어 목을 가누지 못하는 유아에는 목이 꺾이지 않게 머리를 잡아주어야만 하는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사용가능한 연령대가 한정된다는 기술적으로 미흡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두 욕조나 의자에 유아를 단순히 눕힌 상태로 씻기지만 환경상 유아는 보호자의 품에 안겨있지 못한 상태에서 불안감을 느끼기 때문에 유아는 보호자로부터 떨어져 머리를 감는데 거부감을 느끼며 유아를 다시 안정시키는데 시간이 지체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 중 자활능력이 전혀 없는 유아의 경우에는 도 1에서처럼 보호자가 한 손과 팔로 유아를 감싸 안은 상태에서 남은 한 손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김에 따라 보호자의 불안정한 자세로부터 유아에게 불안감을 조성하여 샴푸에 대한 거부감을 초래하고 보호자는 상당한 시간을 불편한 자세로 유지하기 때문에 몸이 지치고 다양한 신체부위(예를 들면, 손목, 팔, 허리 등)의 만성 관절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보호자는 한 손과 팔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만을 사용하여 유아의 머리를 감김에 따라 전체적으로 꼼꼼하게 씻기기 어려우며 결국 깨끗하게 씻기지 못하거나 비눗물을 제대로 헹구지 못하여 각질이나 가려움증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아를 눕힌 상태로 지지한 후 보호자의 신체에 받쳐 멜 수 있게 구성하므로 유아의 몸 전체를 감싸 유아를 안전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샴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유아의 연령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아를 샴푸할 때 보호자의 두 손이 자유로워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 일에 대한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안정적인 자세에서 전체적으로 세세하게 씻기거나 헹굴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보호자는 샴푸 도중에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방향을 전환한 후 원하는 물건이나 행동을 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비눗물 등의 이물이 유아의 눈이나 입에 들어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자의 신체 일부를 지속적으로 받쳐 지지하고 전반적으로 유아가 보호자에게 안겨있는 환경을 조성하므로 보호자는 계속해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함은 물론 유아가 보호자의 품에서 안락하면서도 편안함 가운데 머리를 감을 수 있어 샴푸에 대한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는 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받쳐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보호자의 허리에 장착가능하게 허리벨트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반대편에서부터 길게 연장하여 한쪽 끝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 멜 수 있게 형성되는 어깨띠로 구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 간에 서로 맞물려 끼움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유아를 눕힌 후 안전하게 잡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서 양쪽 측단으로 각각 연결되어 유아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어깨고정끈과, 상기 어깨고정끈의 양쪽 측단에서 연장하여 상기 받침부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유아의 몸을 지지하여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는 몸고정끈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는 유아가 접하는 지지면이 평탄한 평면을 이루도록 수평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받침부는 유아가 접하는 지지면이 유아의 몸에 맞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받침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지지부와 상기 허리벨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결속돌기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구멍이 형성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의 반대편에서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가 서로 접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걸이부의 제2결속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서로 끼움 결합가능하게 결속띠로 구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결속부에는 상기 제2결속돌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어깨띠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에 의하면 보호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허리벨트 및 어깨끈이 구비된 걸이부와 함께 유아를 받쳐 눕힐 수 있도록 받침부가 구성되므로 유아를 안정적으로 감싸안은 상태에서 샴푸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다양한 유아의 연령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는 보호자의 허리와 어깨를 사용해 유아를 안은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져 두 손이 자유로우므로 보호자는 안정적인 자세에서 유아의 머리를 전체적으로 세세하게 씻기거나 헹굴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보호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보호자는 샴푸 도중에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행동을 취할 수 있어 작업중 방향을 전환한 후 원하는 물건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를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비눗물 등의 이물이 유아의 눈이나 입에 들어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는 유아를 받쳐 안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신체 일부를 계속해서 지지하여 보호자는 지속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유아가 보호자에게 안겨있는 환경을 조성하므로 유아가 보호자의 품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어 샴푸에 대한 두력움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유아를 샴푸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걸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결속부 중 제1결속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본 발명은 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받쳐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보호자의 허리에 장착가능하게 허리벨트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반대편에서부터 길게 연장하여 한쪽 끝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 멜 수 있게 형성되는 어깨띠로 구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 간에 서로 맞물려 끼움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유아를 눕힌 후 안전하게 잡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서 양쪽 측단으로 각각 연결되어 유아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어깨고정끈과, 상기 어깨고정끈의 양쪽 측단에서 연장하여 상기 받침부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유아의 몸을 지지하여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는 몸고정끈을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유아가 접하는 지지면이 유아의 몸에 맞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받침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지지부와 상기 허리벨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결속돌기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구멍이 형성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의 반대편에서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가 서로 접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걸이부의 제2결속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서로 끼움 결합가능하게 결속띠로 구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속부에는 상기 제2결속돌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어깨띠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끈을 포함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의 일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부(10)와, 걸이부(20)와, 결속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0)는 유아를 눕힐 수 있도록 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받침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아를 여유있게 눕힐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유아를 기준으로 좌우측면은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되 유아의 머리가 위치하는 한쪽 면은 원호형상의 곡면을 이루어 유아의 뒷머리를 용이하게 씻길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0)의 길이와 폭은 유아의 평균크기에 맞추거나 보다 크게 설정함에 따라 다양한 연령대에 적용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0)는 유아가 누웠을 때 소정의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쿠션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내부에 폼이나 라텍스 등의 소재를 구비하고 외부에는 천으로 내부소재를 감싸 보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10)에는 유아가 접하는 목이나 엉덩이 등의 특정부위에 대응하여 실리콘을 덧붙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0)는 전체적으로 아이소 핑크를 소재로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부(10)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탄한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서처럼 유아가 접하는 지지면이 유아의 몸에 맞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10)에는 유아가 누웠을 때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수용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며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받침부(10)를 만곡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가공가능한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사용하여 성형가공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부(10)를 만곡형으로 구성하게 되면, 유아의 신체 일부가 수용되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0)에는 유아를 눕힌 후 안전하게 잡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1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어깨고정끈(16)과 몸고정끈(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깨고정끈(16)은 상기 받침부(10)의 상단에서 양쪽 측단으로 각각 연결되어 유아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어깨고정끈(16)은 상기 받침부(10)의 상단 양쪽에 각각 연결고정되어 파생되는 끈과 상기 받침부(10)의 양쪽 측단에서 각각 파생되는 끈이 서로 연결결합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속수단(45a)이 구비된다.
상기 몸고정끈(17)은 상기 어깨고정끈(16)의 양쪽 측단에서 연장하여 상기 받침부(10)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유아의 몸을 지지하여 고정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몸고정끈(17)은 양쪽 측단으로 연장하여 연결되고 중간으로부터 파생되어 유아의 다리 사이로 연장하도록 하단으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상기 몸고정끈(17)에도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결속수단(45b)이 구비된다.
상기 어깨고정끈(16)과 상기 몸고정끈(17)은 각각 상기 결속수단(45a)(45b)으로부터 끈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2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0)의 하면을 감싸도록 연결되고 보호자의 허리와 어깨에 착용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지지부(21)와 허리벨트(23) 및 어깨띠(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받침부(10)의 하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1)의 폭은 상기 받침부(10)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벨트(23)는 상기 지지부(21)의 한쪽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보호자의 허리를 감싸 장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어깨띠(25)는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 멜 수 있도록 상기 허리벨트(23)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반대편에서부터 대각방향으로 길게 연장하여 한쪽 끝단이 상기 받침부(10)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어깨띠(25)에는 보호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무게감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완충작용이 가능한 쿠션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리벨트(23)와 상기 어깨띠(25)에도 각각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결속수단(45c)(45d)을 구성하여 허리에 둘러 착용하거나 어깨에 메는 과정이 용이하게 형성한다.
상기 걸이부(20)는 다양한 종류의 천 등의 유연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받침부(10)와 상기 걸이부(20) 간에 서로 맞물려 끼움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10)와 상기 걸이부(20)에 각각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상호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30)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결속부(31)와 제2결속부(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속부(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0)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결속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20)의 지지부(21)와 상기 허리벨트(2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결속돌기(32)가 하부로부터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속부(31)의 제1결속돌기(32)와 상기 수용구멍(33)은 각각 상기 받침부(10) 및 상기 지지부(21)의 측면 정중앙에 위치하여 유아가 누웠을 경우 무게중심이 좌우로 치우쳐 기울어지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결속부(36)는 상기 제1결속부(31)의 반대편에서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0)와 걸이부(20)가 서로 접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결속돌기(3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0) 및 상기 걸이부(20)의 제2결속돌기(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서로 끼움 결합가능하게 결속띠(38)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띠(38)는 상기 제2결속돌기(37) 상에 띠 형상으로 형성하되 좌우로 구비되는 상기 제2결속돌기(37) 중 하나는 상기 받침부(10)의 제2결속돌기(37)에 형성되고 남은 하나는 상기 걸이부(20)의 제2결속돌기(37)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띠(38) 중 하나는 상기 받침부(10)의 제2결속돌기(37) 상에 유아가 누워지는 안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의 제2결속돌기(37)가 안쪽에서 끼움 결합함에 따라 고정되고, 또 남은 하나는 상기 걸이부(20)의 제2결속돌기(37) 상에 바깥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부(20)의 제2결속돌기(37)가 바깥쪽에서 끼움 결합함에 따라 고정된다.
상기 제2결속부(36)에는 상기 제2결속돌기(37)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어깨띠(25)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끈(39)이 구성된다. 즉, 상기 걸이부(20)에 구성된 상기 어깨띠(25)는 상기 걸이부(20)의 제2결속돌기(37) 중 하나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연결끈(39)은 상기 걸이부(20)에 남은 하나의 상기 제2결속돌기(37) 상단에 한쪽이 연결되며 반대쪽은 상기 어깨띠(25)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연결끈(39)에도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결속수단(45e)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0)와 걸이부(20)를 상기 결속부(30)를 이용해 일체로 결합하고 보호자의 허리에 상기 걸이부(20)의 허리벨트(23)를 두른 다음 상기 어깨띠(25)를 어깨에 멤에 따라 보호자가 착용한다. 이후 유아를 상기 받침부(10)의 윗면에 올려 눕힌 후 상기 고정부의 어깨고정끈과 몸고정끈을 사용하여 유아를 고정한 다음 유아의 샴푸작업을 진행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에 의하면, 보호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게 허리벨트 및 어깨끈이 구비된 걸이부와 함께 유아를 받쳐 눕힐 수 있도록 받침부가 구성되므로 유아를 안정적으로 감싸안은 상태에서 샴푸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을 높이고, 다양한 유아의 연령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효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보호자의 허리와 어깨를 사용해 유아를 안은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져 두 손이 자유로우므로 보호자는 안정적인 자세에서 유아의 머리를 전체적으로 세세하게 씻기거나 헹굴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임은 물론 보호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보호자는 샴푸 도중에도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행동을 취할 수 있어 작업중 방향을 전환한 후 원하는 물건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아를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이면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비눗물 등의 이물이 유아의 눈이나 입에 들어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를 받쳐 안은 상태에서 보호자의 신체 일부를 계속해서 지지하여 보호자는 지속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전반적으로 유아가 보호자에게 안겨있는 환경을 조성하므로 유아가 보호자의 품에서 머리를 감을 수 있어 샴푸에 대한 두력움이나 거부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샴푸 걸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받침부 15 : 고정부
16 : 어깨고정끈 17 : 몸고정끈
20 : 걸이부 21 : 지지부
23 : 허리벨트 25 : 어깨띠
30 : 결속부 31 :제1결속부
32 : 제1결속돌기 33 : 수용구멍
36 : 제2결속부 37 : 제2결속돌기
38 : 결속띠 39 : 보조연결끈
45a,45b,45c,45d,45e : 결속수단

Claims (5)

  1. 유아의 몸을 전체적으로 받쳐 눕힐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하면을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한쪽에 연결되어 위치하고 보호자의 허리에 장착가능하게 허리벨트가 형성되며, 상기 허리벨트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반대편에서부터 길게 연장하여 한쪽 끝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 멜 수 있게 형성되는 어깨띠로 구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 간에 서로 맞물려 끼움 결합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호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받침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1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의 지지부와 상기 허리벨트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결속돌기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용구멍이 형성되는 제1결속부와; 상기 제1결속부의 반대편에서 좌우로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와 걸이부가 서로 접하여 상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2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걸이부의 제2결속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서로 끼움 결합가능하게 결속띠로 구성되는 제2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유아를 눕힌 후 안전하게 잡아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서 양쪽 측단으로 각각 연결되어 유아의 어깨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어깨고정끈과, 상기 어깨고정끈의 양쪽 측단에서 연장하여 상기 받침부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유아의 몸을 지지하여 고정가능하게 형성되는 몸고정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유아가 접하는 지지면이 유아의 몸에 맞게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속부에는, 상기 제2결속돌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어깨띠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0110114759A 2011-11-04 2011-11-04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132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59A KR101320616B1 (ko) 2011-11-04 2011-11-04 유아용 샴푸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759A KR101320616B1 (ko) 2011-11-04 2011-11-04 유아용 샴푸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24A KR20130049624A (ko) 2013-05-14
KR101320616B1 true KR101320616B1 (ko) 2013-10-22

Family

ID=4866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759A KR101320616B1 (ko) 2011-11-04 2011-11-04 유아용 샴푸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64B1 (ko) 2022-12-15 2023-08-04 주식회사 비노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908B1 (ko) * 2021-08-12 2023-03-16 홍영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89U (ja) * 1992-09-25 1994-04-19 三井屋工業株式会社 乳幼児用シャンプーチェア
JP3077992U (ja) * 2000-11-29 2001-06-1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乳児用パッドおよび縦抱き・横抱き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6842925B1 (en) 2002-09-17 2005-01-18 Marilou Owens Nursing Pillow
KR20110005263U (ko) * 2009-11-20 2011-05-26 김찬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89U (ja) * 1992-09-25 1994-04-19 三井屋工業株式会社 乳幼児用シャンプーチェア
JP3077992U (ja) * 2000-11-29 2001-06-12 ラッキー工業株式会社 乳児用パッドおよび縦抱き・横抱き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6842925B1 (en) 2002-09-17 2005-01-18 Marilou Owens Nursing Pillow
KR20110005263U (ko) * 2009-11-20 2011-05-26 김찬수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64B1 (ko) 2022-12-15 2023-08-04 주식회사 비노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624A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326B2 (en) Bath cover for a child
AU2017349629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fant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1533451B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584860B1 (ko) 유아용 욕조
US20190320854A1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A2852701A1 (en) Bathtub safety system
KR101196868B1 (ko) 휴대용 유아침대
CN216932890U (zh) 一种可折叠多场景婴儿洗浴用垫
JP2012115625A (ja) 入浴時乳幼児の頭や体を安全にシャンプーするためのホルダー
KR101636971B1 (ko) 영유아용 바운서 겸용 욕조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CN111642992A (zh) 一种具有辅助扶持结构的儿科护理用婴幼儿躯体清洗装置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JP5600223B1 (ja) 室内で用いる抱っこ用、授乳用、入浴用を兼ねた保育用具
CN207370645U (zh) 沐浴垫
KR200143718Y1 (ko) 유아용 목욕 기구대
KR200143717Y1 (ko) 신생아용 목욕 욕조
KR20140069967A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2177659B1 (ko) 샴푸용 머리 받침대
KR100739010B1 (ko) 유아용 욕조
CN210961711U (zh) 一种护理用新生儿洗浴装置
JPH0240870Y2 (ko)
KR20034721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KR20120000955U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