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452Y1 - 유아용 샴푸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샴푸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452Y1
KR200374452Y1 KR20-2004-0032062U KR20040032062U KR200374452Y1 KR 200374452 Y1 KR200374452 Y1 KR 200374452Y1 KR 20040032062 U KR20040032062 U KR 20040032062U KR 200374452 Y1 KR200374452 Y1 KR 200374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ain body
height
shampoo chai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철
Original Assignee
안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철 filed Critical 안재철
Priority to KR20-2004-0032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받침부와, 등안착부, 받침대 및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으로, 받침대가 유아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샤워기 걸이부 또는 분사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홀더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유아의 머리를 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샴푸의자{SHAMPOO CHAIR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와, 상기 목받침부의 하부로 유아의 등이 안착되도록 신체 곡면에따라 형성된 등안착부와,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및 의자다리로 이루어져 유아를 샴푸시키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한 것이다.
어린애가 스스로 목욕하고 머리감기까지는 어느 정도 성장했을 때부터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1~7세 정도의 유아는 보호자가 목욕 및 샴푸를 해주게 되는데, 그 동안 이처럼 육아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목욕 및 샴푸를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유아를 목욕시키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목욕의자 등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사실상 몸을 씻기는 목욕보다는 머리를 감기는 샴푸가 훨씬 힘이 들고 어려운 일이다.
즉, 유아의 머리를 감기려고 할 때는, 아기를 손으로 안고 뒤로 눕힌 채 머리를 감겨야 했고, 좀 더 성장한 유아의 경우에는 쪼그려 앉아 머리를 숙이게 한 후 머리를 감기는게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두 손으로 안고 머리를 감기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유아를 안고 다른 한 손으로 머리를 감겨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고 팔이 아프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유아의 목 등이 다치지 않도록 하고 비눗물 등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쪼그려 앉힌 후 머리를 감기는 경우에는 유아의 눈에 비눗물이 들어갈 우려가 많고, 아이가 오랫동안 쪼그려 앉아 있게 되어 매우 불편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 일은 유아나 머리를 감겨주는 사람에게 모두 힘든 일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의 머리를 감기는데 편리한 구조를 갖는 샴푸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아의 키에 맞춰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샤워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머리를 감기는 일에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는 유아의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와, 상기 목받침부의 하부로 유아의 등이 안착되도록 신체 곡면에 따라 형성된 등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에 샤워기를 걸 수 있는 샤워기 걸이부 및/또는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스틸파이프를 이용하여 분사구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샤워기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받침대를 본체에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설명 *
1: 유아용 샴푸의자 10: 본체
20: 받침대 30: 의자다리
11: 머리받침부 12: 등안착부
13: 돌기 14: 결합홈
15: 샤워기 걸이부 16: 샤워기 홀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에 관하여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샴푸의자(1)는 크게 볼 때 세 개 부분, 즉, 본체(10), 받침대(20) 및 의자다리(30)로 구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유아용 샴푸의자(1)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다른 재질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본체(10)에는 그 상부에 목받침부(11)가 형성되고 그 아래로 유아의 몸이 안착되도록 길게 등안착부(12)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머리를 감길 때 유아가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목받침부(11)는 소정 각도로 경사가 지도록 부드러운 곡면을 형성하여 유아가 누웠을 때 목을 부담이 없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즉, 목받침부(11)의 아래쪽으로는 유아가 기대어 앉았을 때 등의 곡면 등과 일치하여 거부감이 없고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등안착부(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양측면은 곡선을 이루며 전면측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하여, 유아가 앉았을 때 안정감을 갖도록 하고 샴푸시에 물이 옆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의 등안착부(12)에는 약간 돌출되는 다수개의 돌기(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돌기를 형성하지 않았을 경우 매끈매끈한 안착면이 등과 완전히 밀착되게 되어 유아가 끈적끈적한 좋지 않은 느낌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돌기(13)로 인하여 지압효과와 함께 이러한 불쾌한 느낌을 제거할 수 있고, 등안착부(12)의 내로 비눗물 등이 흘렀을 때 상기 돌기(13)들의 틈새로 흘러 나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체(10)의 상단 일측에는 샴푸를 하는 동안에 편리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샤워기를 걸 수 있도록 샤워기 걸이(15)가 형성된다. 상기 샤워기 걸이(15)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정면상에서 좌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에 형성하면 왼손잡이에게도 편리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단 일측에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스틸파이프(일명 '코브라'라 함)를 이용하여 분사구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샤워기 홀더(16)를 구비하게 되면, 샤워기를 필요한 부위로 이동시켜 고정한 후에 양손을 이용하여 머리를 감길 수 있다. 즉, 샤워기를 튼 후 양손으로 자유롭게 샴푸를 할 수 있어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소정 위치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ㄱ자 형태의 받침대(20)가 형성되는바, 상기 받침대(20)는 유아의 키에 상관없이 목받침부(11)에 정확하게 목이 위치하도록 받침대(2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 중 받침대(20)가 위치할 부분에는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14)을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결합홈(14)에 대응되어 삽입되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된다.
즉,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유아의 엉덩이 부분이 오는 부분에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좌우 대칭으로 다수개의 결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에는 상기 결합홈(14)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2)를 결합홈(14)에 삽입하여 받침대(20)를 본체(1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받침대(20)는 본체(1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받침대(20)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유아의 키에 맞도록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샴푸의자의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의자다리(30)가 형성되는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자다리(30)는 본체의 후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며, 본체(1)의 하부면와 함께 샴푸의자(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의자다리(30)는 본체(1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별개로 성형한 후에 본체(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합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할 수 있을 것이며, 예를 들면, 본체(10) 및 의자다리(30)에 각각 나사부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힌지결합 등으로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의자다리(30)가 본체에 힌지결합(18)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의자다리(30)의 하단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 부재(31)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유아의 키에 맞춰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아 및 양육자가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한 샴푸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샴퓨시에 샤워기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샴푸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를 샴푸시키는데 편리한 구조를 갖는 샴푸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유아의 목을 받쳐주는 목받침부와, 상기 목받침부의 하부로 유아의 등이 안착되도록 신체 곡면에 따라 형성된 등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의자다리로 이루어진 유아용 샴푸의자에 있어서,
    유아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는 높이에 따라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구비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샤워기를 걸 수 있는 샤워기 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안착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스틸파이프를 이용하여 분사구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샤워기 홀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샴푸의자.
KR20-2004-0032062U 2004-11-12 2004-11-12 유아용 샴푸의자 KR200374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62U KR200374452Y1 (ko) 2004-11-12 2004-11-12 유아용 샴푸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62U KR200374452Y1 (ko) 2004-11-12 2004-11-12 유아용 샴푸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452Y1 true KR200374452Y1 (ko) 2005-01-28

Family

ID=4935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062U KR200374452Y1 (ko) 2004-11-12 2004-11-12 유아용 샴푸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4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8A1 (ko) * 2015-11-11 2017-05-18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20170055387A (ko) * 2015-11-19 2017-05-19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101790736B1 (ko) * 2016-04-01 2017-11-20 조현철 샴푸의자
KR102074596B1 (ko) * 2018-12-06 2020-03-02 강주영 다기능 유아샤워침대
KR20210048883A (ko) 2019-10-24 2021-05-04 김형섭 유아용 샴푸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98A1 (ko) * 2015-11-11 2017-05-18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20170055387A (ko) * 2015-11-19 2017-05-19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101872244B1 (ko) * 2015-11-19 2018-06-28 정은경 인체용 지지대
KR101790736B1 (ko) * 2016-04-01 2017-11-20 조현철 샴푸의자
KR102074596B1 (ko) * 2018-12-06 2020-03-02 강주영 다기능 유아샤워침대
KR20210048883A (ko) 2019-10-24 2021-05-04 김형섭 유아용 샴푸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US7562402B1 (en) Bathtub hair wash recliner for toddler
US11439222B2 (en) Shampoo assisting device
US20140359932A1 (en) Inclined child bath support
KR200374452Y1 (ko) 유아용 샴푸의자
KR20090051835A (ko) 유아용 욕조
KR20017806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US6318804B1 (en) Child's hair shampooing chair
JP4202776B2 (ja) シャワーユニット付き椅子
KR101754024B1 (ko) 유아용 발판 겸용 샴푸의자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KR102307381B1 (ko) 유아용 샴푸 의자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KR101320616B1 (ko)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JP2000060754A (ja) 浴 槽
KR20180124255A (ko) 욕실용 샴푸의자
KR20120000955U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KR20060020530A (ko) 샴푸 의자
KR200143718Y1 (ko) 유아용 목욕 기구대
KR200314467Y1 (ko) 어린이용 목욕대
JP3013759U (ja) 座浴イス
US20240008689A1 (en) Bath Support Device
KR102026162B1 (ko) 유아용 목욕조
JP3326438B2 (ja) 携帯用洗髪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