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736B1 - 샴푸의자 - Google Patents

샴푸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736B1
KR101790736B1 KR1020160040426A KR20160040426A KR101790736B1 KR 101790736 B1 KR101790736 B1 KR 101790736B1 KR 1020160040426 A KR1020160040426 A KR 1020160040426A KR 20160040426 A KR20160040426 A KR 20160040426A KR 101790736 B1 KR101790736 B1 KR 10179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flow guide
user
guide portion
suppor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805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16004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0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with head-rests; with pap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복부 또는 등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물을 흘러내릴 수 있는 물흐름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샴푸의자{a shampoo chair}
본 발명은 샴푸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미용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샴푸의자는 전동식 샴푸의자와 좌식형 샴푸의자으로 나뉘며, 상기 전동식 샴푸의자는 모터를 이용하여 의자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고 의자 등받이도 모터구동에 의해서 수평을 이루는 구조로 치과용 의자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식형 샴푸의자는 의자와 그 뒤에 샴푸를 할 수 있도록 샴푸대를 구비하여 시술자가 머리를 뒤로 제쳐서 얼굴은 하늘로 향하도록 하여 샴푸용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샴푸의자는 등받이에 복부나 가슴 부분은 기대지 못하고 등 부분만 기댄 상태로 머리를 뒤로 젖혀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한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에 큰 무리를 주거나 허리 척추에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허리가 아픈 사용자의 경우 등받이에 장시간 등부를 기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를 청결하게 헹구지 못해 샴푸나 비누 거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1320호(2014.03.0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부 또는 등부를 선택적으로 기대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여 허리가 아픈 사람이나 임산부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샴푸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복부 또는 등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물을 흘러내릴 수 있는 물흐름유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샴푸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체 전면 또는 상체 후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물을 흘러내릴 수 있는 물흐름유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하측 및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받침부를 복부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흐름유도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다리,
상기 지지다리의 저면 및 보조 지지다리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다리는 그 상측이 상기 받침부의 상측 외면과 접촉되고,
상기 보조지지다리와 받침부에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상기 물흐름유도부가 상기 받침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하는 접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다리의 일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샤워기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워기 걸이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샤워기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홀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흐름유도부의 일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수납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좌대와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상측 내부와 양측면에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의 승강안내홀과 장착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대와 받침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안내홀을 따라 승강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장착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승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장착홀과 승강부의 연결홀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좌대와 받침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대와 승강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하중을 완충 지지하는 완충지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이 상기 암 연결부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암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 연결부에는 장착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장착홀과 수 연결부의 연결홀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받침부를 상체의 전면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와 암 연결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는, 받침부에 복부 또는 등부를 선택적으로 기대 머리를 감을 수 있으며, 특히 받침부에 복부를 안정적으로 기댄 다음 머리를 앞으로 젖혀 편안하게 감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허리가 아픈 사용자나 임산부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샴푸나 비누 거품을 완벽하게 헹궈낼 수 있는 효과가 수반된다.
그리고,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물 및 거품이 물흐름유도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다음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물이 튀기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좌대 및 받침부의 높낮이 또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흐름유도부를 받침부 측으로 접어 샴푸의자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보관장소의 공간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에 적용된 물흐름유도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에 적용된 물흐름유도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는 좌대(10), 받침부(20), 지지다리(30), 물흐름유도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좌대(10)는 샴푸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좌대(10)의 상면에는 솜이나 스펀지를 설치하고, 가죽으로 마감 처리하여 사용자가 착석시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물기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좌대(10)는 후술되는 받침부(20)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받침부(20)를 복부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20)에 복부를 자연스럽게 밀착시킨 상태로 기댈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부(20)는 사용자가 복부 또는 등부를 선택적으로 기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좌대(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나 플랜지 등의 연결장치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20)의 상면에는 솜이나 스펀지를 설치하고, 가죽으로 마감 처리하여 사용자가 등부 또는 복부를 접촉하였을 경우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물기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0)는 사용자의 등부 곡선과 대응되는 곡선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20)를 등부 지지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등부가 상기 받침부(20)를 향하는 형태로 상기 좌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받침부(20)에 등부를 기댄 다음 머리를 뒤로 젖혀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받침부(20)를 복부 지지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복부가 상기 받침부(20)를 향하는 형태로 상기 좌대(10)에 착석한 상태에서 받침부(20)에 복부를 기댄 다음 머리를 앞으로 젖혀 감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받침부(20)의 하측 부분은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그 양측이 곡선 형상으로 함몰되어 제1안착홈(20a)이 형성되고, 상기 좌대(10) 중 후술되는 물흐름유도부(40)를 향하는 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곡선 형상으로 함몰되는 한 쌍의 제2안착홈(10a)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20)를 복부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양 허벅지 부분을 상기 제1안착홈(20a)에 안착시키고, 양 종아리 부분은 제2안착홈(10a)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즉, 종래 샴푸의자의 경우 받침부에 사용자의 등부만 기댄 상태로 머리를 뒤로젖혀 감을 수 있도록 한 방식이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큰 무리를 주거나 허리 척추에 변형을 일으키게 되며, 허리가 아픈 사용자의 경우 받침부에 장시간 등부를 기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머리를 청결하게 헹구지 못해 거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으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의 경우 받침부(20)에 사용자의 등부 뿐만 아니라 복부를 용이하게 기대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허리가 아픈 사용자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샴푸나 비누 거품을 완벽하게 헹궈낼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30)는 상기 좌대(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좌대(10)가 일정 높이로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다리(30)는 다수개가 좌대(10)의 저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좌대(10) 및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다리(30)는 물과 자주 접촉되는 특성상 방청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30)의 저면에는 고무 재질의 미끄럼방지부(50)가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흐름유도부(40)는 머리를 감을 경우 사용되는 물 및 물에 혼합되어 거품화 된 샴푸나 비누를 흘러내려 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20)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를 화장실에서 사용할 경우 상기 물흐름유도부(40)의 하단이 화장실에 구비된 배수구를 향하도록 하거나 또는 물흐름유도부(40)가 욕조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물 및 거품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통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물 및 거품이 사용자에게 튀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물흐름유도부(40)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아랫부분에만 다수개의 타공홀을 형성하면 물튀김은 방지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물흐름유도부(40)의 양측에는 보조 지지다리(41)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지지다리(41)는 받침부(20) 및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측이 후술되는 접이부(60)를 통해 상기 받침부(20)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 지지다리(41)는 상기 물흐름유도부(4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조 지지다리(41)와 물흐름유도부(40)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다.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저면에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부(50’)가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지지다리(41)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방지부(50’)가 화장실 등의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받침부(20) 및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와 물흐름유도부(4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보조 지지다리(41)가 물흐름유도부(4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빈 공간(S,S’)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다리(30)의 하측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통해서는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타고 내려온 물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물흐름유도부(40)의 하단이 반드시 화장실에 구비된 배수구를 향하도록 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타고 내려온 물은 상기 지지다리(30)의 하측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통과하여 배수로로 원활하게 흘러내려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다리(30)의 상측에 형성된 빈 공간(S’)을 통해서는 상기 받침부(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20)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받침부(20)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는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상측에 형성된 빈 공간(S’)에 삽입되며 양측면이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상측과 돌출부(21)에는 서로 연결되는 관통홀(21a,41a)이 형성되며, 원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이부(60)가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관통홀(21a)과 돌출부(21)의 관통홀(41a)을 순차적으로 관통된다.
이때, 상기 접이부(60)의 양측은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외부로 돌출되면 상기 돌출된 부분에는 너트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61)를 장착하므로서, 상기 접이부(60)가 돌출부(21)와 보조 지지다리(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물흐름유도부(40)는 상기 받침부(20)와 연결되며, 상기 접이부(60)를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받침부(20) 측으로 접어 샴푸의자(1)의 부피를 줄여 보관장소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받침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보조 지지다리(41)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정돌기(4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42)에는 샤워기걸이부(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샤워기걸이부(70)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ㄷ’형상의 본체부(71), 상기 본체부(71)의 하측 끝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42)가 삽입되는 삽입홈(721)이 형성된 고정부(72), 상기 본체부(71)의 상측 끝단에 형성되며 샤워기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반원형 형상의 홀더부(7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71)는 임의로 구부릴 수 있는 스틸파이프나 알루미늄 코팅 자바라로 제작되어 샤워기의 분사구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홀더부(73)에 샤워기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부(71)를 통해 샤워기의 분사구 위치를 조정한 다음 양손으로 머리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샤워기걸이부(70)는 오른손 잡이용 또는 왼손 잡이용으로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지지다리(41)의 일측에는 걸이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43)에는 수납함(80)이 결합된다.
상기 걸이부(43)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30)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납함(8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사각 박스, 원형 박스, 타원형 박스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면에 상기 걸이부(43)에 장착되는 ‘ㄱ’ 형상의 장착부(81)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납함(80)에 머리를 감을 때 필요한 샴프, 린스, 비누, 헤어용 에센스 등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샴푸의자(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납함(80)을 보조 지지다리(41)에서 분리한 다음 물흐름유도부(40)를 받침부(20) 측으로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좌대(10)와 받침부(20)는 분할 형성되고, 연결부(9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90)는 전체가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형 막대 또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측을 향해 수직 절곡되는 제1절곡부(91)와 제2절곡부(9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90) 중 제1절곡부(91)가 형성된 부분이 지지다리(30)의 상면에 용접 또는 볼팅 결합되며, 제2절곡부(92)는 상기 받침부(20)의 저부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20)는 사용자의 등부 또는 복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제2절곡부(92)가 제1절곡부(9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91)와 제2절곡부(9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승강안내홀(91a)과 제2승강안내홀(9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91)의 양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승강안내홀(91a)과 연결되는 제1장착홀(91b)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92)의 양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승강안내홀(92a)과 연결되는 제2장착홀(92b)이 형성된다.
상기 좌대(10)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1절곡부(91)의 제1승강안내홀(91a)을 따라 승강되는 완충지지부(110)와 제1승강부(11)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차례대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20)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2절곡부(92)의 제2승강안내홀(92a)을 따라 승강되는 제2승강부(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승강부(11)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장착홀(91b)과 연결되는 제1연결홀(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22)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장착홀(92b)과 연결되는 제2연결홀(2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홀(11a)과 제2연결홀(22a) 각각은 좌대(10)와 받침부(20)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좌대(10)와 받침부(20)는 제어부(100,100’)를 통해 승강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100’)는 상기 좌대(10)와 받침부(20)의 승강을 각각 제어하기 위해 2개가 적용된다.
상기 제어부(100,100’)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손잡이(101,10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파지홈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다음 제어부(100,1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각각은 상기 제1장착홀(91b)과 제1연결홀(11a), 상기 제2장착홀(92b)과 제2연결홀(22a)에 순차적으로 체결됨에 따라 좌대(10)와 받침부(20)의 상,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맞게 상기 좌대(10)와 받침부(2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머리를 감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지지부(110)는 쇼크 업소버일 수 있다.
상기 완충지지부(110)는 좌대(10)와 승강부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중을 완충 지지하므로서,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좌대(10)와 받침부(20)는 암 연결부(120)와 수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암 연결부(120)는 상기 좌대(10) 중 물흐름유도부(40)를 향하는 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좌대(10)의 중앙부분에 위치된다.
상기 암 연결부(120) 중 상기 물흐름유도부(40)를 향하는 면은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 연결부(130)는 상기 받침부(20)의 저면 중앙부분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측이 상기 암 연결부(120)를 향해 절곡된다.
상기 수 연결부(130)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암 연결부(1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받침부(20)를 좌대(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암 연결부(120)에는 그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장착홀(120a)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130)에는 상기 장착홀(120a)과 연결되는 연결홀(13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120a)과 연결홀(130a)에는 제어부(140)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므로서, 수 연결부(130)의 이동을 제한하여 받침부(2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신장에 맞게 수 연결부(130)를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좌대(10)와 받침부(20)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머리를 감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부(20)는 수 연결부(130)로 인해 일정높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상체를 향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체 전면 중 가슴부위 또는 상체 후면 중 등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특히, 상기 받침부(20)는 사용자의 상체 중 가슴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암 연결부(120)와 수 연결부(130)를 통해 좌대(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허리가 아픈 사람 뿐만 아니라 임산부도 용이하게 샴푸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임산부가 상기 받침부(20)에 가슴 부분을 지지하였을 경우, 복부가 좌대(10)와 받침부(2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S)에 위치되어 아무런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용이하게 머리를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좌대(10) 중 물흐름유도부(40)를 향하는 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곡선 형상으로 함몰되는 한 쌍의 제1안착홈(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 연결부(120)와 수 연결부(130)는 좌대(10)와 받침부(20)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되므로, 그 양측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위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S’)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20)를 가슴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양 허벅지는 상기 거치공간(S)에 위치되고, 양 종아리 부분은 상기 제1안착홈(10a)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머리를 용이하게 감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 : 샴푸의자 10 : 좌대
10a : 제2안착홈 11 : 제1승강부
11a : 제1연결홀 20 : 받침부
20a : 제1안착홈 21 : 돌출부
21a,41a : 관통홀 22 : 제2승강부
22a : 제2연결홀 30 : 지지다리
40 : 물흐름유도부 41 : 보조 지지다리
42 : 고정돌기 43 : 걸이부
50,50’ : 미끄럼방지부 60 : 접이부
61,72 : 고정부 70 : 샤워기걸이부
71 : 본체부 721 : 삽입홈
73 : 홀더부 80 : 수납함
81 : 장착부 90 : 연결부
91 : 제1절곡부 91a : 제1승강안내홀
91b : 제1장착홀 92 : 제2절곡부
92a : 제2승강안내홀 92b : 제2장착홀
100,100’ : 제어부 101,101’ : 손잡이
110 : 완충지지부

Claims (11)

  1.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복부 또는 등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물을 흘러내릴 수 있는 물흐름유도부,
    상기 물흐름유도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다리는 상기 물흐름유도부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흐름유도부는 그 하단이 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조 지지다리의 사이에는 물흐름유도부를 타고 내려온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이 상기 암 연결부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암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 연결부에는 장착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장착홀과 수 연결부의 연결홀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2.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대,
    상기 좌대의 일측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상체 전면 또는 상체 후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좌대를 지지하는 지지다리,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물을 흘러내릴 수 있는 물흐름유도부,
    상기 물흐름유도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다리는 상기 물흐름유도부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물흐름유도부는 그 하단이 지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보조 지지다리의 사이에는 물흐름유도부를 타고 내려온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는 하측이 상기 암 연결부를 향해 절곡되며 상기 암 연결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 연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암 연결부에는 장착홀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 연결부의 장착홀과 수 연결부의 연결홀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수 연결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측 및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받침부를 복부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이 각각 함몰 형성되는 샴푸의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저면 및 보조 지지다리의 저면에 각각 장착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다리는 그 상측이 상기 받침부의 상측 외면과 접촉되고,
    상기 보조지지다리와 받침부에 순차적으로 관통되어 상기 물흐름유도부가 상기 받침부를 향해 접혀지도록 하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다리의 일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에 장착되는 샤워기 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워기 걸이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샤워기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흐름유도부의 일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걸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수납함을 포함하는 샴푸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와 받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상측 내부와 양측면에는 서로 연결되는 형태의 승강안내홀과 장착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대와 받침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안내홀을 따라 승강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장착홀과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승강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장착홀과 승강부의 연결홀에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상기 좌대와 받침부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샴푸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와 승강부의 사이에는 사용자의 하중을 완충 지지하는 완충지지부가 형성되는 샴푸의자.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 중 물흐름유도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받침부를 상체의 전면 지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다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 연결부와 암 연결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다리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공간이 형성된 샴푸의자.
KR1020160040426A 2016-04-01 2016-04-01 샴푸의자 KR10179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26A KR101790736B1 (ko) 2016-04-01 2016-04-01 샴푸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426A KR101790736B1 (ko) 2016-04-01 2016-04-01 샴푸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05A KR20170112805A (ko) 2017-10-12
KR101790736B1 true KR101790736B1 (ko) 2017-11-20

Family

ID=6014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26A KR101790736B1 (ko) 2016-04-01 2016-04-01 샴푸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73B1 (ko) * 2021-08-02 2024-02-02 이승재 유아용 세정 보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52Y1 (ko) * 2004-11-12 2005-01-28 안재철 유아용 샴푸의자
KR101477986B1 (ko) * 2014-04-03 2015-01-12 김범준 욕실용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52Y1 (ko) * 2004-11-12 2005-01-28 안재철 유아용 샴푸의자
KR101477986B1 (ko) * 2014-04-03 2015-01-12 김범준 욕실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805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283B1 (ko) 영유아용 비데
US5092001A (en) Infant bathing apparatus
JP4555632B2 (ja) 理美容用椅子
US20080022448A1 (en) Bathing aid
KR101790736B1 (ko) 샴푸의자
KR101018729B1 (ko) 다기능성 의자
JP4606914B2 (ja) フットバス用椅子
CN104068681B (zh) 一种兼具餐椅和洗头椅功能的儿童座椅
JP3210873U (ja) 沐浴補助具
KR101775573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KR20160008316A (ko) 기능성 의자
KR200399680Y1 (ko) 체중 고정구조를 갖는 반신욕 의자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JP2005013674A (ja) 療養ベッド
JP2008110181A (ja) 携帯移動式洗髪台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US20180360219A1 (en) Child's hair care chair
KR20170007982A (ko) 반신욕조
JP6801515B2 (ja) 浴槽
US20100175180A1 (en) Child shampoo lounger
KR200474051Y1 (ko) 반신욕기용 등받이 의자
WO2006128226A1 (en) A support device
JP2004008657A (ja) 入浴用椅子
JP2006020659A (ja) 浴槽
JP3096371U (ja) 腰が疲れにくい効果がある座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