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064B1 -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064B1
KR102564064B1 KR1020220175740A KR20220175740A KR102564064B1 KR 102564064 B1 KR102564064 B1 KR 102564064B1 KR 1020220175740 A KR1020220175740 A KR 1020220175740A KR 20220175740 A KR20220175740 A KR 20220175740A KR 102564064 B1 KR102564064 B1 KR 10256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pport
center
aids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노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노바
Priority to KR102022017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는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여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하는 무게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SHAMPOO ASSIST DEVICE FOR INFANT AND TODDLER}
본 발명은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쉽게 감길 수 있게 보조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활 능력이 없는 영유아 단계의 아기는 목욕이나 샴푸가 보호자에 의해 행해진다. 이때 아기의 얼굴은 몸에 비하여 매우 예민한 부분이기 때문에, 보호자는 아기의 몸을 씻기는 목욕보다 머리를 감기는 샴푸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
기존에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감기는 경우, 보호자는 한 손을 사용하여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게 되는데, 이때 보호자의 손목과 팔, 허리 등에 지속적으로 무게가 가해지기 때문에 보호자가 금방 지치게 됨은 물론이고, 아기 역시 균형이 맞지 않는 불안한 상태에 있어 불편함을 느낀다.
또한, 불안정한 상태에서 머리를 감기다가 물이나 비누 거품이 얼굴에 튀는 경우에, 아기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울거나 발버둥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아기가 머리 감기에 대해 두려움과 거부감이 생기게 될 수 있기에, 지금까지도 아기의 머리를 감기는 일은 보호자에게 많은 힘과 기술적인 면을 요하는 어려운 일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616호: 유아용 샴푸 걸이대
상술한 배경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중에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0616호(이하, '문헌 1')가 공개되어 있는 상태이다. 문헌 1에는 아기를 받침부에 눕힌 상태에서, 보호자의 목 뒤를 둘러 끼움 결합하여 착용하는 벨트 구성을 통해 보호자의 몸에 기구를 착용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보호자 혼자 있는 상황에서 문헌 1의 기구를 착용한다면, 보호자는 아기를 받침부에 눕힌 다음, 한 팔로 받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벨트를 끼움 결합하여 착용해야 하는데, 한 손이 자유롭지 못한 자세에서 보호자가 기구의 벨트를 혼자서 목 뒤로 두르고 끼움 결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문헌 1에서 벨트는 보호자의 뒷목에 걸쳐지게 되어, 기구와 아기의 모든 무게가 보호자의 뒷목에 실리게 되는데, 보호자가 목을 펴는 순간 기구의 무게 중심이 등뒤로 빠지면서 벨트가 흘러내리게 되고, 이 경우 보호자는 두 팔로 받침부를 잡지 않으면 아기를 떨어뜨리게 된다는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보호자는 기구를 착용하는 동안 뒷목을 펴지 못하거나 받침부를 한 팔로 지지해야 하고, 결국 두 팔이 자유롭지 못하여 배경의 과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호자가 혼자서도 착용이 간편하며, 보호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기구의 무게 중심이 보호자의 몸 특정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보호자가 아기의 머리를 편하게 감길 수 있는 자세로 아기를 눕힐 수 있으면서,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롭도록 하여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보조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바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목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는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여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하는 무게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형성된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벨트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3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2 측에 형성된 제4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2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4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는 상기 제4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무게 중심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5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 각각을 고정하는 길이조절용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용 고리는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무게 중심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의 타단과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벨트이고,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일체형 벨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일체형 벨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이 보호자의 신체에서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을 고정한 채, 상기 일체형 벨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고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벨트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벨트의 타단과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벨트이고, 상기 일체형 벨트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복수의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일체형 벨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일체형 벨트에서 상기 제1 체결부가 구비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제1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연결하는 제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지지부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Y자 형태의 벨트 구성을 통해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기 위한 별도의 탈결합 과정을 요하지 않고, 보호자가 양 팔을 넣어 벨트에 목을 거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이때 Y자 형태의 벨트 구성의 경우, 보호자의 신체에 기구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제1 벨트, 제2 벨트 및 제3 벨트를 연결하는 무게 중심부는 보호자의 신체 앞측과 뒤측, 좌측과 우측에 무게를 분산시킨 채, 보호자의 어깨에 무게 중심을 고정시킴으로써, 보호자가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벨트가 신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로운 채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하여, 보호자와 아기 모두에게 편의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비된 벨트는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하여 아기와 보호자의 신체 크기에 맞추어 놓으면, 아기가 성장함에 따라 아기의 체형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1 예시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나머지 도면에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한하여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제3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 '결합', '장착', '체결', '접촉'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높이, 길이, 너비, 폭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혼용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본체(1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예시도이다. 본 문서의 도면에 도시된 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를 구분할 때, 본체(110) 중심의 왼쪽을 전면 제1 측, 중심의 오른쪽을 전면 제2 측이라고 지칭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문서의 실시예는 제1 측이 왼쪽, 제2 측이 오른쪽이 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나, 제1 측이 오른쪽, 제2 측이 왼쪽이 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는 본체(110),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제3 벨트(140) 및 무게 중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7)는 제1 측면(a), 제1 측면(a)과 대향하는 제2 측면(b), 제1 측면(a)과 제2 측면(b)을 지지부(117)의 상단에서 연결하는 제3 측면(c), 제1 측면(a)과 제2 측면(b)을 지지부(117)의 하단에서 연결하는 제4 측면(d)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7)의 제1 측면(a) 또는 제2 측면(b)은 본체(110)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117)의 제4 측면(d)도 본체(110)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체(110)는 지지부(117)의 제3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지지부(117)의 상단 제1 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111), 지지부(117)의 상단 제2 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112), 지지부(117)의 하단 제1 측에 형성된 제3 연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지지부(117)의 하단 제2 측에 형성된 제4 연결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11) 내지 제4 연결부(114)는 도 2와 함께 설명할 벨트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 연결부(111) 내지 제4 연결부(114)는 벨트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부(111) 내지 제4 연결부(114) 각각은 지지부(117)의 전후방을 관통하도록 타공된 홀(111, 112, 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벨트(120)는 지지부(117)의 상단 제1 측에 위치한 제1 연결부(111)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벨트(130)는 지지부(117)의 상단 제2 측에 위치한 제2 연결부(112)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벨트(140)는 지지부(117)의 하단 제1 측에 위치한 제3 연결부(113)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벨트, 제2 벨트 및 제3 벨트 각각은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중심부(150)는 제1 벨트(120)의 타단, 제2 벨트(130)의 타단 및 제3 벨트(140)의 타단을 고정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게 중심부(150)는 제1 벨트(120)의 타단, 제2 벨트(130)의 타단 및 제3 벨트(140)의 타단을 재봉 결합, 고리 결합, 벨트 결합 등의 다양한 형태로 고정 또는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무게 중심부(150)는 제1 벨트(120)의 타단, 제2 벨트(130)의 타단 및 제3 벨트(140)의 타단 각각을 고정하고, 무게 중심부(150)에 고정되는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제3 벨트(14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용 고리(121, 131, 141)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용 고리(121, 131, 141)는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의 타단이 무게 중심부(150)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부(150)로부터 지지부(117)를 지지하는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 중심부(150)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보호자의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보호자의 신체 특징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를 기준으로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보호자는 아기를 본체(110)의 전면에 눕힌 채, 왼팔을 (a) 방향으로 넣고, 오른팔과 목을 (b) 방향으로 넣어, 무게 중심부(150)가 보호자의 어깨에 견착되도록 착용하여, 별도의 벨트 탈결합 과정 없이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다(도 6, 도 7 참조).
이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에서는 중복된 구성의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되거나 변형된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예시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2 벨트(130)의 타단과 제3 벨트(140)의 타단은 서로 연결된 일체형 벨트(130, 140)일 수 있다. 즉, 일체형 벨트(130, 140)는 일단이 제2 연결부(1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연결부(113)에 연결된 상태이며, 일체형 벨트(130, 140)에서 무게 중심부(150)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2 연결부(112)에 일체형 벨트(130, 140)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분까지를 제2 벨트(130), 무게 중심부(150)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3 연결부(113)에 일체형 벨트(130, 140)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까지를 제3 벨트(140)로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고, 이 경우 무게 중심부(150)는 일체형 벨트(130, 140) 중 제2 벨트(130)의 부분과, 일체형 벨트(130, 140) 중 제3 벨트(140)의 부분을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무게 중심부(150)는 제1 벨트(120)의 타단을 고정한 채로, 일체형 벨트(130, 140)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일체형 벨트(130, 14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게 중심부(150)는 제1 벨트(120)의 타단을 고정한 채로, 일체형 벨트(130, 140)에 고리 결합(ex. 고리 매듭)되어 일체형 벨트(130, 140)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일체형 벨트(130, 140)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일체형 벨트(130, 140)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제1 체결부(135, 145)를 포함하고, 무게 중심부(150)는 제1 체결부(135, 145)와 마주하는 면에 제1 체결부(135, 145)와 맞물려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2 체결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게 중심부(150)의 제2 체결부(155)는 일체형 벨트(130, 140)의 제1 체결부(135, 145) 중 어느 하나와 체결(ex. 암수 결합)되어 일체형 벨트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제1 벨트(120)의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 중심부(150)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보호자는 일체형 벨트(130, 14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무게 중심부(1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보호자의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보호자의 신체 특징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제3 벨트(140)는 각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122, 132, 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클(122, 132, 142)은 무게 중심부(150)로부터 지지부(117)를 지지하는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의 길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게 중심부(150)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보호자의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보호자의 신체 특징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일체형 벨트(130, 140)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예시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는 제2 연결부(1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4 연결부(114)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4 벨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벨트(16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벨트(160)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가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착용 시, 제4 벨트(160)는 보호자의 허리를 두른 후 체결부(163)에서 체결되어 착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의 예시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는 제4 연결부(114)에 일단이 연결되고 무게 중심부(150)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5 벨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벨트(170)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벨트(170)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자가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착용 시, 제5 벨트(170)는 보호자의 어깨 쪽에 위치한 무게 중심부(150)로부터 보호자의 등을 둘러 허리쪽으로 내려와 체결부(173)에서 체결되어 착용될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1 예시도이고,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100)를 보호자와 아기가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제2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실시예는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를 연결하는 무게 중심부(150)가 보호자의 신체 앞측과 뒤측, 좌측과 우측에 각 벨트의 무게를 분산시킨 채, 보호자의 어깨에 무게 중심을 고정시킴으로써, 보호자가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벨트가 보호자의 신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의 실시예는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기 위한 별도의 탈결합 과정을 요하지 않고, 보호자가 양 팔을 넣어 벨트에 목을 거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착용이 가능하다. 이때 제1 벨트(120), 제2 벨트(130) 및 제3 벨트(140)를 연결하는 무게 중심부(150)는 보호자의 신체 앞측과 뒤측, 좌측과 우측에 무게를 분산시킨 채, 보호자의 어깨에 무게 중심을 고정시킴으로써, 보호자가 자유롭게 신체를 움직이는 상태에서도 벨트가 신체에서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기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기가 보호자의 몸에 안정적으로 지탱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두 팔이 자유로운 채 아기의 머리를 감길 수 있게 하여, 보호자와 아기 모두에게 편의성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즉, 본 문서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에서 각 도면과 함께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조합하여 도출할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10: 본체 111: 제1 연결부 112: 제2 연결부
113: 제3 연결부 114: 제4 연결부 115: 상단 돌출부
117: 지지부 120: 제1 벨트 130: 제2 벨트
140: 제3 벨트 150: 무게 중심부 160: 제4 벨트
170: 제5 벨트 135, 145: 제1 체결부 155: 제2 체결부
121, 131, 141: 길이조절용 고리 133, 163, 173: 체결부
122, 132, 142, 162, 172: 버클

Claims (15)

  1.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여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하는 무게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2 벨트의 일단과 상기 제3 벨트의 일단 사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2 벨트의 일단과 상기 제3 벨트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이 보호자의 신체에서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형성된 제2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형성된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벨트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벨트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3 벨트는
    상기 제3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2 측에 형성된 제4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2 측에 타공된 홀을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4 연결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4 벨트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제4 연결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무게 중심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제5 벨트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 각각을 고정하는 길이조절용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용 고리는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위치를 기초로 상기 무게 중심부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는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상기 제2 벨트 및 상기 제3 벨트는
    벨트의 길이 조절을 수행하는 버클을 각각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을 고정한 채, 상기 제2 벨트의 일단과 상기 제3 벨트의 일단 사이에 고리 결합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또는 상기 제3 벨트는
    벨트의 일단과 타단을 사이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1. 아기의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벨트;
    상기 지지부의 상단 제2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벨트;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제1 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벨트; 및
    상기 제1 벨트의 타단, 상기 제2 벨트의 타단 및 상기 제3 벨트의 타단을 지지하여 보호자가 기구를 착용하는 경우 신체에 걸리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조절하는 무게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 또는 상기 제3 벨트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복수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제2 벨트의 일단과 상기 제3 벨트의 일단 사이에서 상기 제1 벨트의 타단이 지지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부는
    상기 제1 체결부 중 하나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연결하는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지지부의 중앙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호자의 복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3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아기의 머리를 지지하는 상단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KR1020220175740A 2022-12-15 2022-12-15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KR10256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740A KR102564064B1 (ko) 2022-12-15 2022-12-15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740A KR102564064B1 (ko) 2022-12-15 2022-12-15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064B1 true KR102564064B1 (ko) 2023-08-04

Family

ID=8756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740A KR102564064B1 (ko) 2022-12-15 2022-12-15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0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460Y1 (ko) * 2001-07-28 2001-11-23 손미영 유아용 포대기
KR200304844Y1 (ko) * 2002-11-19 2003-02-19 윤지선 척추 균형 조절벨트
JP2012115625A (ja) * 2010-11-29 2012-06-21 Fusae Aso 入浴時乳幼児の頭や体を安全にシャンプーするためのホルダー
KR101320616B1 (ko) 2011-11-04 2013-10-22 김건형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211451B1 (ko) *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460Y1 (ko) * 2001-07-28 2001-11-23 손미영 유아용 포대기
KR200304844Y1 (ko) * 2002-11-19 2003-02-19 윤지선 척추 균형 조절벨트
JP2012115625A (ja) * 2010-11-29 2012-06-21 Fusae Aso 入浴時乳幼児の頭や体を安全にシャンプーするためのホルダー
KR101320616B1 (ko) 2011-11-04 2013-10-22 김건형 유아용 샴푸 걸이대
KR102211451B1 (ko) *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152A (en)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CA2806360C (en) Baby carrier
US11490742B2 (en) Baby and toddler carrier with detachable and adjustable waist belt
US20080087694A1 (en) Hands-free baby carrier
US9226528B2 (en) Wearable blanket-like article for providing warmth and comfort
SE0900554A1 (sv) Barnbärsele vars sittstöds bredd kan ändras.
US20200337475A1 (en) Baby carrier
US2693177A (en) Safety sleeping garment device
US20190269257A1 (en) Hybrid baby wrap and carrier
JPH02124107A (ja) 幼児抱接用具
US6398088B1 (en) Baby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KR102564064B1 (ko)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CN111712162A (zh) 婴儿背带
KR102510908B1 (ko)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KR200296329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000017395U (ko) 아기보기멜빵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190041209A (ko) 사용편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KR200239677Y1 (ko) 수유용 포대기
KR200493861Y1 (ko) 아기띠 고정끈이 구비된 육아용품 휴대 가방
KR200315982Y1 (ko) 개량 베이비 슬링
KR20120082651A (ko) 목걸이형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