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460Y1 - 유아용 포대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460Y1
KR200252460Y1 KR2020010022991U KR20010022991U KR200252460Y1 KR 200252460 Y1 KR200252460 Y1 KR 200252460Y1 KR 2020010022991 U KR2020010022991 U KR 2020010022991U KR 20010022991 U KR20010022991 U KR 20010022991U KR 200252460 Y1 KR200252460 Y1 KR 200252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g
sides
suppo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미영
Original Assignee
손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미영 filed Critical 손미영
Priority to KR2020010022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460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길이가 짧은 포대기 본체부에 폭방향이 짧은 천으로 아기 엉덩이 지지수단 및 다리 지지수단을 구성하고, 아울러 포대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어깨끈을 설치함으로서 외부모습이 매우 깔끔하면서도 동시에 안정된 상태로 아기를 업고 다닐 수 있는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아기를 등에 감쌀 수 있고, 아기의 다리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아기의 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수직방향에 비해 수평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포대기 본체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 양사이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아래쪽으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상부 양사이드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양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며 각각 암수 결합구로 체결되는 어깨 고정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로 부터 일정길이가 연장되어 아기를 업었을때 명치부에 도달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유아용 포대기{Quilt for Little Children}
본 고안은 유아용 아기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직길이가 짧은 포대기 본체부에 폭방향이 짧은 천으로 아기 엉덩이 지지수단 및 다리 지지수단을 구성하고, 아울러 포대기 본체부의 상하부에 어깨끈을 설치함으로서 외부모습이 매우 깔끔하면서도 동시에 안정된 상태로 아기를 업고 다닐 수 있는 포대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를 업는 방법은 아기를 뒷 등에 업는 것과 아기를 앞 가슴에 안듯이 업는 방법이 있다. 이같이 아기를 업는 방식에 따라 포대기의 형태도 달라진다. 아기를 뒷 등에 업을 때의 포대기 형태는 흔히 볼수 있는 재래식 포대기로서 아기를 등에 업고 둘둘 감는 4각 형태의 시트와, 그 시트 상부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고 허리에 둘러 매는 매듭띠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은 보통의 아기 포대기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의 몸 전체를 덮는 본체부(1)와, 이 본체부(1)의 상단부 양측에 아기를 덮고 난 후의 상기 본체부(1)를 묶을 수 있도록 설치된 끈(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같이 재래식 포대기는 아기를 등에 업고 시트로 감은 후 매듭띠로 허리에 둘러 감아 주는 것으로 아기의 하중이 대부분 업는 사람의 허리에 지지된다. 따라서 재래식 포대기로 아기를 등에 업을 때는 업는 사람의 허리부분이 쉽게 피로를 느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엉덩이를 두른 끈이 미끄러지고, 매듭이 느슨해져 아기를 다시 추스려야 하며, 또한 끈으로 묶는 방식이어서 깔끔한 형태가 아니다.
한편, 아기를 앞 가슴에 안듯이 업을 때의 포대기 형태는 아기의 등을 감싸주는 시트와, 그 시트의 하부에 아기의 양 다리를 각기 넣어 받쳐주는 고리형태의받침띠와, 시트의 좌우측에 각기 부착되고 어깨에 메는 좌우 어깨띠들과, 그 좌우 어깨띠들을 업는 사람의 등쪽에서 상호 연결시켜 주는 연결띠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아기를 앞에 업을 때의 포대기는 아기의 하중이 어깨띠를 통하여 업는 사람의 어깨에 대부분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한 포대기로 아기를 앞에 업을 때는 업는 사람의 어깨부분이 쉽게 피로를 느끼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아기의 다리가 덜렁거리며, 엄마가 마주보고 있어서 아기가 앞이 안보여 매우 답답해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근래에는 포대기의 개념을 벗어난 구성형태로서, 아기의 몸체를 수용되게 하는 안착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안착부 전면에 어깨끈과, 허리끈을 구비되도록하여, 일반적인 배낭구조와 같이 아기를 보호자의 신체에 메는 형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배낭구조를 이루는 종래의 아기 고정수단은 아기를 안착부에 안착시킨 형태로 어깨끈과 허리끈을 이용한 이중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한 고정력을 부여한 것이기는 하나, 부피가 커서 운반이 운반이 곤란하며, 특히 사람이 많은 지하철 등에서도 남에게 많은 피해를 줄 수 있고, 미사용시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엄마와 아기의 몸을 최대한 편하게 하고, 장시간 착용해도 불편이 없으며, 디자인이 깔끔하여 남자들이 착용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토록 하는 포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기를 등에 감쌀 수 있고, 아기의 다리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아기의 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수직방향에 비해 수평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포대기 본체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 양 사이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아래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상부 양 사이드로 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양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며 각각 암수 결합구로 체결되는 어깨 고정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일정길이가 연장되어 아기를 업었을때 명치부에 도달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다리 지지부의 끝단은 벨크로를 부착하여 자연스럽게 탈착이 가능토록함이 특징이다.
도 1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의 전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의 후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의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의 후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포대기 본체부 실시예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포대기 본체부 20: 엉덩이 지지부
30: 어깨 고정부 40: 다리 지지부
100: 아기 200: 아기 업는 사람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의 전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용 포대기의 후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의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의 후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포대기 본체부 실시예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2와 도 3 및 도 4에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를 등에 감쌀 수 있고, 아기의 다리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아기(100)의 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수직방향에 비해 수평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포대기 본체부(10)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10)의 하부 양사이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아래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20)와;
일측이 상기 포대기 본체부(10)의 상부 양 사이드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엉덩이 지지부(20)의 양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며 각각 암수 결합구(31, 32)로 체결되는 어깨 고정부(30)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10)의 하부로 부터 일정길이가 연장되어 아기를 업었을때 명치부에 도달하는 다리 지지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포대기 본체부(10)는 기본적으로 수직부분보다 수평부분이 더 긴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여 포대기로 아기를 감쌀 수 있도록하며, 상부 양측에 돌출부(11)를 더 형성하여 어깨끈(30)과 결합시 어깨끈(30)의 일측과 상기 돌출부(11)를 통해 결합시키도록 하였다.
이는 아기(100)를 감싼 상태에서 외부에서 보았을때 깔끔한 모양이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며, 특히 여름철에 아기도 시원하면서 동시에 아기를 업은 사람도 시원토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이러한 형태는 남자들이 아기를 업었을 때에도 단정한 모습이 연출되어 남을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아기를 업고 다님으로서 여자들의 수고스러움을 많이 덜어줄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도로서, 포대기 본체부(10)를 망사로 제작하여 보다 시원한 상태로 아기를 업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특히 여름철에 유리하도록 제작하였지만, 수직부분을 더 늘리도록 하면 아기들의 다리까지 감쌀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도 간편하게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포대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엉덩이 지지부로서 엉덩이 지지용 벨트(20)를 장착하는바,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벨트(20)의 양 사이드를 포대기 본체(10)에 결합하고, 고정점(21)을 기점으로 그 중앙부(23)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함으로서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하부로 유동시켜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지지용 벨트(20) 내부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재(22)를 삽입하여 아기가 편안한 상태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 엉덩이 지지부를 구성하는 엉덩이 지지용 밸트(20)는 포대기 본체(10)의 맨 하부쪽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형태로 제작하게 되면 엉덩이 지지밸트 (20) 하부로는 천의 길이가 길게 나오지 않기 때문에 보다 깔끔한 형태의 포대기로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 지지용 밸트(20)를 연장하고, 포대기 상부 일측으로 부터 밸트를 연장한 상태에서 그 결합지점에 각각 암수 결합구(31, 32)로 연장된 밸트를 서로 연결하고, 아기를 업고 나서 상기 암수 결합구(31, 32)를 서로 결합하여 체결함으로서 명치를 중심으로 엑스자형태의 체결형태가 된다. 여기서 암수 결합구 (31, 32)는 원터치로 작동되는 통상의 버클이 사용되어 원터치에 의하여 포대기를 조립 및 탈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아기를 업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어깨끈(30)의 체결부(암수 결합구, 31, 32)가 명치끝에 오도록 하였는바, 아기(100)의 무게를 가장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동시에 아기 (100)를 업고 있는 사람(200)을 전방에서 바라보았을때 가장 단정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어깨끈(30)에서 엄마(200)의 어깨에 닿는 부위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쿠션재(33)를 넣어 어깨끈(30)이 직접 인체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아기(100)의 다리를 사람의 전방 몸체로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기 다리 지지부(40)를 필수 구성요소로 채택하고 있는바, 이는 본 고안의 포대기가 기본적으로 아기(100)의 다리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제작하기 때문이며, 이를 이용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아기의 다리가 덜렁거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함이다.
상기 다리 지지부(40)는 포대기 본체부(10)의 하부 양 사이드에 위치하며, 상기 포대기 본체부(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아기를 업은 후 다리 지지용 밸트 (40)를 어깨끈 체결부(31, 32)쪽으로 유도하면, 어깨끈 체결부(31, 32)가 명치를 누를때 그 쪽에 위치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안정된 상태로 아기의 다리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다리 지지부(40)는 어깨끈 체결부(31, 32)의 내측에 위치시켜 어깨끈(30)의 고정과 더불어 다리지지부(40)가 고정될 수도 있고, 일측이 포대기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다리지지부(40)의 타측 맨 끝에는 밸크로(41)를 형성하여 체결부(31, 32)의 체결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서도 서로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다리 지지부(40)의 두께를 어깨끈(30)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다리 지지부(40)가 정확히 보이지 않게 되어, 아기를 업은 상태를 전면에서 보았을 때 어깨끈만이 정확하게 판독되어 매우 깔끔하게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의 다리 지지부(40)는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어깨끈 체결부 (31, 32)내측에 위치시켜 어깨끈과 사람 몸체 사이에서 쿠션작용을 일으켜 어깨끈의 체결부가 사람의 몸을 직접 압박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은 포대기 본체(10)를 직사각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중심으로 다리지지부(40)와 어깨끈(30)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아기의 팔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아기가 업힌 상태에서도 손을 마음대로 놀릴 수 있어 보다 자유로운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기의 경우 아기의 어깨가 포대기 속으로 모두 들어가도록 제작되어 유아들에게 많은 말못할 답답함 및 고통을 안겨줄 수 있지만, 본 고안에서는 기본적으로 유아들이 포대기의 양 사이드를 통해 어깨를 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보다 많은 자유를 않겨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고안의 포대기는 수평면보다 수직면이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들 보다 큰 어린이는 포대기 본체(10)의 윗쪽으로 어깨을 들어 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모양을 전부 없애고, 아기를 업는데 필요한 부분만 있기 때문에 포대기의 전체 무게도 최대한 줄이도록 하고, 또한 아기 및 아기를 업는 사람 모두 간편하고 단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체결부가 배와 가슴의 중간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압박감이 덜하고, 아기의 체중이 분산되어 허리의 통증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엉덩이 지지밸트 및 다리지지부가 설치되어 아이들을 확실하고 안정되게 지지하기 때문에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원리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가지로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포대의 면적이 적절하고, 이를 이용한 체결수단 및 길이 연장부가 필요한 만큼만 적절히 배치되어 안정되게 아기를 업으면서도 동시에 깔끔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어 기존의 아기 포대기에 대한 고정관남을 탈피하고 또한 포대기도 옷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패션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남성들에게 착용시에도 매우 단정한 모양이 창출되어 거부감이 전혀 없기 때문에 쉽게 아이들을 업어 줄 수 있어 엄마들이 외출시 훨씬 수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8)

  1. 아기를 등에 감쌀 수 있고, 아기의 다리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하며, 아기의 팔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수직방향에 비해 수평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포대기 본체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 양 사이드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중앙부를 아래로 적절히 이동시키면서 아기의 엉덩이를 받쳐 지지하는 엉덩이 지지부와;
    일측이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상부 양 사이드로 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엉덩이 지지부의 양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며 각각 암수 결합구로 체결되는 어깨고정부와;
    상기 포대기 본체부의 하부로부터 일정길이가 연장되어 아기를 업었을때 명치부에 도달하는 다리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지지부의 끝단은 벨크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지지부의 폭은 어깨끈의 두께와 동일한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구는 원터치에 의해서 착탈되는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 몸체는 망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는 어깨끈 결합용 돌기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끈에 있어서, 어깨에 맞닿는 부위에는 쿠션용 충진제를 삽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지지부에는 쿠션용 충진제를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포대기.
KR2020010022991U 2001-07-28 2001-07-28 유아용 포대기 KR200252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91U KR200252460Y1 (ko) 2001-07-28 2001-07-28 유아용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91U KR200252460Y1 (ko) 2001-07-28 2001-07-28 유아용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460Y1 true KR200252460Y1 (ko) 2001-11-23

Family

ID=7306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91U KR200252460Y1 (ko) 2001-07-28 2001-07-28 유아용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829A (ko) * 2002-05-24 2003-04-18 황춘화 아기포대기
KR102564064B1 (ko) * 2022-12-15 2023-08-04 주식회사 비노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829A (ko) * 2002-05-24 2003-04-18 황춘화 아기포대기
KR102564064B1 (ko) * 2022-12-15 2023-08-04 주식회사 비노바 영유아 샴푸 보조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652B1 (ko) 패드부착 베이비 캐리어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KR200252460Y1 (ko) 유아용 포대기
JP2003225119A (ja) リュックサック
CN111700318A (zh) 一种可携带婴儿的羽绒服
KR200335689Y1 (ko) 아기 포대기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JP3127392U (ja) ベビーキャリア
KR20000017395U (ko) 아기보기멜빵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CN219289098U (zh) 一种婴幼儿背带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315990Y1 (ko) 베이비 슬링
CN215533164U (zh) 腰凳
CN217510180U (zh) 一种便于使用的多功能背带腰凳
KR20070000506U (ko) 유아용 캐리어
CN215583665U (zh) 一种婴儿背带
KR200364173Y1 (ko) 배낭형 유아용 포대기
CN220369768U (zh) 一种多功能婴幼儿腰凳
KR102115805B1 (ko)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CN202681298U (zh) 育婴哺乳多功能垫
CN209073924U (zh) 多功能宝宝抱袋式秋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