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990Y1 - 베이비 슬링 - Google Patents

베이비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990Y1
KR200315990Y1 KR20-2003-0008200U KR20030008200U KR200315990Y1 KR 200315990 Y1 KR200315990 Y1 KR 200315990Y1 KR 20030008200 U KR20030008200 U KR 20030008200U KR 200315990 Y1 KR200315990 Y1 KR 200315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by sling
receiving portion
bab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영
Original Assignee
박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영 filed Critical 박주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비 슬링에 관한 것으로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가 수유를 하는 동안이나 전화 또는 뜨개질 등과 같은 작은 소일거리를 하는 동안에 편안한 자세로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슬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은 중앙부위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져 긴 형태의 보자기 형상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가 형성된 유아 수용부와; 상기 유아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링부재와; 상기 유아 수용부의 타측 단부에 봉합되어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비 슬링{BABY SLING}
본 고안은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을 때 사용하게 되는 베이비 슬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가 수유를 하는 동안이나 전화 또는 뜨개질 등과 같은 작은 소일거리를 하는 동안에 편안한 자세로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슬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동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유아들을 돌보거나 동행하여 외출 할 때에는 유아용 포대기 또는 캐리어 등을 이용하여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돌보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가 가장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이룰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한편, 유아를 안거나 업고 있는 보호자에게 피로감을 덜어주고 활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유아용 포대기는 대부분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대기 양측단에 결속을 위한 끈이 박음질 되어 구성된 것으로, 먼저 보호자가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 포대기를 두르고 양측단의 끈을 이용하여 유아의 등과 엉덩이부분을 둘러 메어 업기 때문에, 착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아니라 끈으로 압박하여 착용함에 따라 착용감이 매우 거북스럽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대기 사용도중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는 끈으로 아기의 엉덩이와 등을 둘러 메고 조여서 묶음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체중으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엉덩이를 두른 끈의 매듭이 느슨해지거나 풀어지게 되면 수시로 끈을 조여 묶거나 다시 추스려 업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유아용 포대기는 대부분 끈으로 묶는 형태이기 때문에 매듭이나 끈의 자투리가 외관상으로 노출되어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아용 포대기는 유아를 업을 때만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유아를 앞 가슴에 안듯이 업을 때에는 별도의 유아용 포대기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소비자들이 별도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감을 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유아를 받쳐주기 위한 시트와, 이 시트와 연결되며 보호자들의 어깨에 맬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좌,우 어깨띠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를 전방으로 업은 상태에서는 유아의 하중에 의해서 보호자들이 어깨에 통증을 느끼거나 압박에 의한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유아용 포대기는 전방으로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양손 사용이 매우 부자연러워 유아를 돌보는 일 이외에 다른 일을 병행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고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호자들이 유아를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안거나 업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깔끔한 외관미와 유아가 감싸지는 포대기의 착용 위치에 따라서 보호자들이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를 자유자재로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를 돌보는 동안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 슬링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교적 중앙부위가 넓게 형성되고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져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의 보자기 형상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가 형성된 유아 수용부와; 상기 유아 수용부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링부재와; 상기 유아 수용부의 타측 단부에 봉합되어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고정된 길이조절부로 이루어진 베이비 슬링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부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따른 베이비 슬링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비 슬링 10 : 유아 수용부
12 : 지지부 12a: 인출공
14 : 지지패드 14a: 탄력밴드
14b: 조절끈 20 : 어깨지지부
22 : 다트 24 : 링부재
30 : 길이조절부 32 : 고정단추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길이조절부 요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1)은 중앙부위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져 길이가 긴 형태의 보자기 형상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12)가 형성된 유아 수용부(10)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링부재(24)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타측 단부에 봉합되어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조절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2)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 탄력밴드(14a)가 고정되고 타단에 조절끈(14b)이 봉착된 지지패드(14)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되도록 수용부(10)의 양단을 말아 올려서 봉합하되, 상기 탄력밴드(14a)는 어깨지지부(20)와 함께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 봉착되도록 하고, 그 타단에 고정된 조절끈(14b)은 상기 지지부(12)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인출공(12a)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여 이룬다.
이때, 상기 인출공(12a)을 통해 인출된 조절끈(14b)은 베이비 슬링(1)을 착용한 보호자가 상기 지지패드(14)를 탄력적으로 잡아당겨서 유아들이 안착된 위치 또는 자세에 따라 유아를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링부재(24)가 고정되는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는 어깨지지부(20)가 연이어서 봉합되도록 하되, 상기 어깨지지부(20)는 유아를 안거나 업었을 때,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푹신한 재질의 쿠션재로 형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 하고 그 적정부에는 어깨선이 박음질 된 다트(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타측 단부에 연결·고정된 길이조절부(30)에는 장난감(딸랑이, 치아발육기 등)등과 같은 물건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고정단추(32)가 부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베이비 슬링은 첨부도면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아 수용부(10) 일측의 링부재(24)와 타측의 길이조절부(30)를 고리형상으로 엮어진 상태가 되도록 고정하여 착용하게 된다.
이때, 한쌍으로 이루어진 링부재(24) 사이로 상기 길이조절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정도에 따라 베이비 슬링(1)의 전체 치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비 슬링(1)을 착용함에 있어, 유아를 안거나 업을 수 있도록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착용하되, 상기 어깨지지부(20)의 다트(22)부분은 어깨부분을 감쌀수 있도록 하여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유아 수용부(10)에 유아를 안착시킨 후, 보호자가 상기 지지부(12)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조절끈(14b)을 잡아당겨 주면, 내부에 봉합되어 있는 지지패드(14)가 탄력적으로 잡아당겨 지면서 유아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감싸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착용이 완료된 베이비 슬링(1)은 푹신한 쿠션재로 이루어진 어깨지지부(20)의 다트에 의해서 목쪽으로 쏠려 목근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을 어깨쪽으로 분산시켜 부담감을 덜어주고 피로도를 줄여 줄 수 있게 됨은 물론유아가 안착되는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양손사용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30)에 부착된 고정단추(32)에는 가벼운 장난감이나 치발기등을 걸어서 보관함에 따라, 외출시에도 유아들이 손쉽게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의 포대기 형태로 제작하여 착용이 매우 간편하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누구나 손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를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에서 수유를 하는 동안이나 다른 소일거리를 하는 동안에 양손 사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단순 구조로서 휴대가 용이하고 간결하며 깔끔한 외관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유아를 안거나 업을 때 사용되는 베이비 슬링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슬링(1)은 중앙부위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져 긴 형태의 보자기 형상을 가지며, 양측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12)가 형성된 유아 수용부(10)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한 쌍의 링부재(24)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타측 단부에 봉합되어 띠 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조절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 탄력밴드(14a)가 고정되고 타단에 조절끈(14b)이 봉착된 지지패드(14)가 상기 유아 수용부(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삽입되도록 수용부(10)의 양단을 말아 올려서 봉합하되, 상기 탄력밴드(14a)는 어깨지지부(30)와 함께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 봉착되도록 하고, 그 타단에 고정된 조절끈(14b)은 상기 지지부(12)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인출공(12a)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24)가 고정되는 유아 수용부(10)의 일측 단부에는어깨지지부(20)가 연이어서 봉합되도록 하되, 상기 어깨지지부(20)는 쿠션재로 형성되고 그 적정부에는 어깨선이 박음질 된 다트(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30)의 단부에는 고정단추(32)가 부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
KR20-2003-0008200U 2002-11-06 2003-03-19 베이비 슬링 KR2003159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33209 2002-11-06
KR2020020033209 2002-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990Y1 true KR200315990Y1 (ko) 2003-06-11

Family

ID=4933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00U KR200315990Y1 (ko) 2002-11-06 2003-03-19 베이비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9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18Y1 (ko) * 2014-07-21 2015-02-27 엄세영 보관 물품 보호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물품 휴대용 스트랩
KR20220003052U (ko) 2021-06-22 2022-12-29 정하윤 수유 아기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418Y1 (ko) * 2014-07-21 2015-02-27 엄세영 보관 물품 보호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물품 휴대용 스트랩
KR20220003052U (ko) 2021-06-22 2022-12-29 정하윤 수유 아기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9687A (en) Baby pouch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JP2001137082A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521766B1 (ko) 후방아기띠와 전방아기띠를 구비한 아기띠장치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N111110481B (zh) 用于移乘器的安全绑带、身体防护结构以及移乘器
JP2009207848A (ja) 交差式折畳み抱っこ紐
KR200315990Y1 (ko) 베이비 슬링
KR20210001495U (ko) 슬링형 아기띠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345164Y1 (ko) 조끼형 아기 포대기
KR200167674Y1 (ko) 유아용 포대기
KR20070000506U (ko) 유아용 캐리어
KR200291528Y1 (ko) 아기포대기
KR200191720Y1 (ko) 아기 포대기
KR200274753Y1 (ko) 개량형 아기 포대기
KR102606524B1 (ko) 유아 보육용 아기띠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20070115587A (ko) 아기 포대기
CN220326861U (zh) 一种一体式可背负婴幼儿的服装
KR200297948Y1 (ko) 보완형 베이비 슬링
KR102115805B1 (ko) 팔걸이식 유아용 아기띠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