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837Y1 - 힙시트 캐리어 세트 - Google Patents

힙시트 캐리어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837Y1
KR200477837Y1 KR2020140009572U KR20140009572U KR200477837Y1 KR 200477837 Y1 KR200477837 Y1 KR 200477837Y1 KR 2020140009572 U KR2020140009572 U KR 2020140009572U KR 20140009572 U KR20140009572 U KR 20140009572U KR 200477837 Y1 KR200477837 Y1 KR 200477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nd
baby
support member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섭
Original Assignee
이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섭 filed Critical 이진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8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를 포함하는 아기띠; 및 상기 아기띠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상기 포대기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를 상기 골반띠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힙시트 캐리어 세트{HIP SEAT CARRIER SET}
본 고안은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기는 백일을 전후해서 아직 걸음마를 하지 못하는 첫돌 이전의 유아들의 외출시에, 편리함과 안전을 위하여, 유아들을 사용자의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고 보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기의 경우, 유아의 체중이 어깨벨트를 통하여 보호자의 어깨로 대부분 전달됨은 물론이고, 유아를 안거나 업는 자세에 따라 보호자가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체를 젖히거나 숙이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보호자의 척추에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포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허리 및 골반에 전달되도록 하되 간편하게 아이를 안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캐리어로서 일명 '힙시트'가 제안된 바 있고, 이러한 힙시트는 일반적으로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지지체를 내장한 시트부의 양측에 결속수단을 갖는 허리밴드를 형성하여 보호자의 허리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힙시트의 경우,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자가 유아의 등이나 배를 한 팔로 감싸 안아야 하므로 보호자가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함에 있어 유아가 잠든 경우에는 유아를 임의의 장소에 내릴 수 없으므로 보호자의 행동이 더욱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포대기의 하단에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대기와 힙시트가 체결되는 제품을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경우,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체중이 늘어남으로써, 어느 정도 성장한 유아를 안을 때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유아의 자세 및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 등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경우 사용 모드가 단일하므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품을 착용하여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다리가 과도하게 벌어짐으로써, 장기간동안 사용시 오다리와 같은 체형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유아가 성장해 감에 따라 체중이 늘어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지 않을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다리가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고 유아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게 유아의 다리가 벌어지는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를 포함하는 아기띠; 및 상기 아기띠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상기 포대기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를 상기 골반띠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 날개부를 상호 고정시키는 날개부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 고정수단은 상기 날개부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 고정수단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 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암버튼과, 상기 암버튼과 체결 가능하고, 상기 날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는 수버튼으로 구성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날개부가 접히는 것을 안내하는 접힘선이 형성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선은,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을 향해 접히도록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로서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채로 고정되는 허리띠를 포함하고,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대기는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대기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유아의 허벅지가 밀착되는 다리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모드에 따라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가 상기 아기띠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와 상기 포대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제 1 지지부재와 겹쳐지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는, 상측에서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 및 하측에서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 또는 상기 힙시트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기띠는 상기 포대기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체결부는 버튼으로 구성된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상기 아기띠를 연결하는 체결띠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 및 상기 포대기는, 상기 체결띠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띠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띠에는 벨크로가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힙시트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띠는 상기 시트부재의 양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아의 체중에 따라 힙시트와 포대기를 선택적으로 아기띠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성장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기띠에 힙시트와 포대기를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체력 및 선호하는 자세, 유아의 체격, 사용 목적, 사용 환경 등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자세를 상황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유아를 안거나 업었을 때 유아와 착용자가 모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의 연령 및 신체 사이즈 등에 따라서 유아의 다리가 벌어지는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체형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구성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포대기의 폭 조절부가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포켓에 수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포대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포대기의 날개부가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포대기와 아기띠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착용자가 힙시트 캐리어 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안거나 업은 상태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을 "상방"으로, 아래쪽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구성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1)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거나 업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아기띠(100), 아기띠(100)에 결합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는 힙시트(200) 및 아기띠(100)에 결합되고 유아의 신체를 감싸는 포대기(300)를 포함한다. 아기띠(100), 힙시트(200) 및 포대기(300)는 겉표면이 천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유아와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기띠(100)는 힙시트(200) 또는 포대기(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어느 것에 결합되느냐에 따라 사용 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 모드별로 구성품의 결합 관계 및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2는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아기띠와 힙시트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아기띠(100)는 유아의 신체를 받치는 제 1 지지부재(110),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130), 포대기(300)에 체결되는 상측 결합부(120) 및 힙시트(200) 또는 포대기(300)에 체결되는 하측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0)는 유아의 등이 맞닿는 부위는 푹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재(110)의 상측에는 상측 결합부(120)가 제공될 수 있고, 상측 결합부(120)는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도 5, 320)와 체결되기 위한 지퍼부를 구성하는 지퍼 테이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가 지퍼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는 지퍼 외의 다른 체결 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지지부재(110)의 후면에는 소형의 유아 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주머니(112)가 형성될 수 있다.
어깨띠(130)는 제 1 지지부재(110)의 양 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어 유아의 하중을 착용자의 어깨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어깨띠(130)에는 보조 체결부(132)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체결부(132)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결합될 때 예를 들어 버튼 방식에 의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착용자의 어깨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 체결부(132)는 어깨띠(130)가 제 1 지지부재(1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어깨띠(130)는 어깨끈(134)을 포함할 수 있고, 어깨끈(134)에 의해 어깨띠(130)와 제 1 지지부재(110)의 테두리 일부가 폐곡선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끈(134)은 길이조절부(136)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측 결합부(140)는 아기띠(100)가 힙시트(200)와 체결되기 위한 지퍼부를 구성하는 지퍼 테이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가 지퍼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는 지퍼 외의 다른 체결 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측 결합부(140)는 힙시트(200)와 결합될 때 보조적으로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연결하는 체결띠(14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띠(144)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접혔을 때 벨크로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힙시트(200)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210) 및 시트부재(210)의 양 측으로 연장되는 허리띠(22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210)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었을 때 푹신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부재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재(210)의 상부에는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212)가 제공될 수 있고, 아기띠(100)의 체결띠(144)가 통과하는 체결 고리(214)가 제공될 수 있다.
허리띠(220, 230)는 시트부재(210)의 우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우측 허리띠(220)와 시트부재(210)의 좌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좌측 허리띠(230)를 포함한다. 허리띠(220, 230)는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힙시트(200)가 착용자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좌측 허리띠(230)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키는 허리끈(231)이 제공될 수 있으며, 허리끈(231)의 단부에 연결버클(232)이 제공되고, 우측 허리띠(220) 측에 체결버클(222)이 제공되어 연결버클(232)과 체결버클(222)이 서로 체결됨에 따라서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가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허리끈(23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가 제공되어 착용자가 임의로 허리끈(23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허리띠(230)에 허리끈(231)이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허리끈(231)이 우측 허리띠(220)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고, 허리끈(231)이 포함되지 않고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가 서로 벨크로 등에 의해 접착되도록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기띠(100)와 힙시트(200)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유아가 앉은 자세로 착용자에게 안길 수 있다.
한편, 힙시트(200)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착용자가 유아를 단순히 안을 필요만 있는 경우에는 힙시트(200)를 아기띠(10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아기띠(100)에 포대기(300)를 결합시켜서 유아를 편안한 자세로 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결합된 구체적인 구성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아기띠와 포대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포대기의 폭 조절부가 제 2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포켓에 수납된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아기띠(100)는 포대기(300)와 체결되어 착용자가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대기(300)는 아기띠(100)와 결합되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재(310),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체결되는 상측 결합부(320) 및 제 2 지지부재(310)의 하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부재(310)의 일면에는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체결되는 하측 결합부(340)가 제공될 수 있고,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 하측 결합부(340) 및 보조 체결부(312)는 각각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 하측 결합부(140) 및 보조 체결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에는 폭 조절부(314)가 유아가 착용자에게 안겼을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에는 유아의 허벅지가 밀착되는 다리 밀착부(316)가 제공될 수 있다. 다리 밀착부(316)는 제 2 지지부재의 일측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유아가 안겼을 때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스펀지재, 솜 등의 푹신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폭 조절부(314)는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에 대하여 사이드 체결부(318)에 의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사이드 체결부(318)는 일 예로, 지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드 체결부(318)는 복수 개의 스냅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지퍼 또는 버튼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폭 조절부(314)는 하단이 골반띠(330)에 연결될 수 있다.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는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의 지퍼 테이프(12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322)를 포함할 수 있고, 지퍼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슬라이더가 아기띠(100) 측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도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와 체결되는 지퍼 테이프(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상측 및 하측 결합부에 제공되는 지퍼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퍼 외에 다른 일반적인 체결수단, 가령, 버튼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는 아기띠(100)의 체결띠(144)가 통과되는 체결고리(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대기(300)의 폭 조절부(314)에는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와 체결 가능하도록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 체결부(31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에 제공되는 상측 및 하측 결합부와 보조 체결부에 의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손쉽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합시켰을 때에도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튼튼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한편, 골반띠(330)는 좌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우측 골반띠(334)를 포함한다. 골반띠(330)는 유아가 착용자에게 업힌 상태에서 착용자의 골반 또는 허리 부분의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 골반띠(334)를 서로 밀착시키는 골반끈(33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골반띠(332)에는 연결버클(331)이 제공될 수 있고, 우측 골반띠(334)에는 체결버클(333)이 제공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착용한 후 연결버클(331)과 체결버클(333)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골반띠(330)에는 폭 조절부(314)가 연결된 부분에 포켓(338)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이드 체결부(318)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어 폭 조절부(314)가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포켓(338)에 보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아기띠(100), 힙시트(200) 및 포대기(300)의 총 3 개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아기띠(100)에 힙시트(200)를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아기띠(100)에 힙시트(2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지퍼 테이프(142)를 힙시트(200)의 지퍼 테이프(212)에 체결한 후 슬라이더를 밀어서 지퍼를 이용한 결합을 할 수 있다.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힙시트(200)를 지퍼를 이용하여 결합시킨 후에 아기띠(100)의 체결띠(144)를 힙시트(200)의 체결고리(214)에 삽입한 후에 체결띠(144)를 접어서 벨크로를 이용해 접착함으로써 체결고리(214)와 체결띠(14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퍼 및 체결띠(144)를 이용하여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지퍼를 이용해 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이면 지퍼를 대신해서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아기띠(100)와 힙시트(200)를 체결한 후, 아기띠(100)의 어깨띠(130)를 착용자의 어깨에 멘 후에 힙시트(200)의 연결버클(232)과 체결버클(222)을 서로 체결시켜서 힙시트(200)의 좌측 허리띠(230)와 우측 허리띠(220)를 착용자의 허리를 감싼 상태로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허리에 허리띠(220, 2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아를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에 앉힘으로써 착용자가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다. 또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허리끈(231)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다. 이때, 유아의 가슴 부분이 아기띠(100)의 제 1 지지부재(110)에 밀착되는 자세로 착용자에게 안길 수 있다.
도 3을 보면, 유아가 안겼을 때 유아의 양 다리가 힙시트(200)의 폭(b)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여기서 힙시트(200)의 폭(b)은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의 가장 넓은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부재(110)의 하부폭(a)은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가 제공되는 하측 단부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1 지지부재(110)의 하부폭(a)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 좁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유아의 양 다리가 아기띠(100)의 양 옆으로 용이하게 빠지게 되어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안길 수 있다.
이렇게 힙시트(200)와 아기띠(100)를 결합하여 착용자가 유아를 안은 경우, 유아의 체중이 힙시트(200)의 시트부재(210)에 집중되고, 시트부재(210)에 집중되는 하중이 어깨띠(130) 및 허리띠(220, 230)에 분산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 및 허리로 유아의 체중이 분산되고, 이로써 착용자가 큰 힘을 사용하거나, 착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고도 유아를 간편하게 업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유아가 성장함에 따라 유아의 체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힙시트(200)를 사용하더라도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렇게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아기띠(100)에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하게 쏠리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의 지퍼 테이프(122)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의 지퍼 테이프(322)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아기띠(100)의 상측 결합부(120)와 포대기(300)의 상측 결합부(3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와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지퍼를 통해 결합하여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상하측에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아기띠(100)의 하측 결합부(140)의 체결띠(144)를 포대기(300)의 하측 결합부(340)의 체결고리(344)에 삽입한 후에 체결띠(144)를 접어서 벨크로를 이용해 접착함으로써 체결고리(344)와 체결띠(144)를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퍼 및 체결띠(144)를 이용하여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손쉽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기띠(100)의 보조 체결부(132)와 포대기(300)의 보조 체결부(312)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아기띠(100)와 포대기(300)의 상하측뿐만 아니라 측면에 대하여도 체결할 수 있고, 이로써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서로 하나의 유닛처럼 단단하게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는 방법을 설명하자면, 아기띠(100)의 어깨띠(130)를 착용자의 어깨에 멘 후에 포대기(300)의 골반띠(330)를 착용자의 골반 또는 허리에 둘러멘 상태에서 체결버클(333)과 연결버클(331)을 서로 체결하여 좌측 골반띠(332)와 우측 골반띠(334)를 둘러멘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착용자의 신체에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착용시킨 후에 유아를 포대기(300)의 제 2 지지부재(310)와 착용자의 가슴 사이 공간에 위치시키고 유아의 엉덩이가 제 2 지지부재(3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를 용이하게 안을 수 있다. 이때, 유아의 가슴 부분이 제 2 지지부재(3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유아의 자세가 설정될 수 있고, 유아의 양 다리가 폭 조절부(314)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보면, 포대기(300)의 제 2 지지부재(310)는 폭 조절부(314)가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폭(c)이 아기띠(100)의 하부폭(a)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폭 조절부(314)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c)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도 넓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c)이 힙시트(200)의 폭(b)보다도 넓게 제공됨으로써, 힙시트(2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은 경우보다 포대기(300)를 이용하여 유아를 안은 경우에 유아의 양 다리가 더 넓게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서 힙시트(20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과도하게 무리가 가는 경우에는 힙시트(200) 대신 포대기(300)를 아기띠(100)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유아의 양 다리가 힙시트(200)를 이용할 때보다 더 넓게 벌어지게 되므로, 유아의 체중에 따른 하중이 힙시트(200)를 이용할 때보다 더 골고루 분산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유아의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힙시트(200) 대신 포대기(300)를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어깨에 주는 부담을 덜 수 있다.
한편, 유아의 신체가 아직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여 양 다리가 과도하게 벌어진 상태가 오래 지속됨으로써 오다리와 같은 신체 변형이 유발되는 경우를 피하기 위해, 아기띠(100)와 포대기(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체결부(318)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여 폭 조절부(314)를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포켓(338)에 폭 조절부(314)를 둘둘 말아서 보관함으로써,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도 5의 c에서 도 6의 c'으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폭 조절부(314)를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면에 체결하거나 분리시킴으로써, 유아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유아의 양 다리가 벌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오다리와 같은 유아의 신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사용 모드를 용이하게 변경하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편리하게 유아를 업거나 안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는, 폭 조절부(314)를 제 2 지지부재(310)로부터 분리시켜서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줄인 상태에서 유아를 안았을 경우, 사이드 체결부(318)가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사이드로 노출된 상태에서 유아의 양 다리가 사이드 체결부(318)에 맞닿게 되므로, 유아의 다리가 진동하는 상황에서 허벅지 안 쪽의 사이드 체결부(318)와 맞닿는 부분의 피부에 생채기가 나는 등, 유아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폭 조절부(314)를 제 2 지지부재(310)에 대하여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이드 체결부(318)의 지퍼에 유아의 피부가 파고 들어가서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폭을 조절할 때마다 폭 조절부(314)를 분리시켜서 포켓(338)에 말아 넣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가 제안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의 포대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포대기의 날개부가 접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포대기와 아기띠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실시예는 제 2 지지부재(310)에 폭 조절부(134)가 연결되는 대신, 날개부(311)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가 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 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하겠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1)에 제공되는 포대기(300')는 폭 조절부(314) 대신 날개부(311)를 포함한다. 날개부(311)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사이드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1)는 하단부에 탈착부(313)가 형성되고, 탈착부(313)에 의해 골반띠(33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탈착부(313)는 일 예로 지퍼, 벨크로, 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천 등의 재질로 된 두 부재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사이드에 형성된 두 날개부(311) 중 어느 하나에 암버튼(315)이, 다른 하나에 수버튼(317)이 형성되며, 암버튼(315)과 수버튼(317)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탈착부(313)의 연결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날개부(311)가 골반띠(330)로부터 분리되면, 날개부(311)가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으로 접히면서 암버튼(315)이 수버튼(317)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날개부(311)가 접혀서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 상에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이란, 제 2 지지부재(310)의 양 측 면 중 유아와 접촉하는 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유아와 접촉하는 면은 "안쪽면"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개부(311)가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날개부(311)는 제 2 지지부재(310)의 안쪽면으로 접히는 것도 가능하며, 바깥면으로 접히는 경우에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는 바, 안쪽면으로 접혀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311)는 제 2 지지부재(310)의 안쪽면과 바깥면 모두에 대하여 접히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날개부(311)가 제 2 지지부재(310)에 대하여 접히는 선을 따라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groove)로서 접힘선(319)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날개부(311)가 제 2 지지부재(310)에 대하여 접힐 때마다 접힘선(319)에 의해 일정한 모양으로 접히도록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 측 날개부(311)에 수버튼(317)과 암버튼(315)이 제공되어 서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 날개부(311)가 골반띠(3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고정되기 위한 수단으로는 여러가지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이 아닌 지퍼가 양 날개부(311)에 형성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벨크로에 의해 임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양 날개부(311)를 제 2 지지부재(310)의 일 측 면 상에서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통칭하여 "날개부 고정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는, 착용자가 아기띠(100)와 포대기(300')를 체결하여 유아를 안은 상태에서, 유아의 다리 벌림을 줄이기 위해 탈착부(313)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여 날개부(311)를 골반띠(330)로부터 분리한 후, 접힘선(319)을 따라 날개부(311)를 제 2 지지부재(310)의 바깥면으로 접어서 날개부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간편하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힙시트 캐리어 세트에 따르면,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조절하고자 할 때, 날개부(311)와 골반띠(330)를 연결하는 탈착부(313)가 유아의 다리의 하측에 위치하여 유아의 허벅지와 맞닿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탈착부(313)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때, 유아의 피부가 상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고,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좁힌 상태에서도 유아의 허벅지가 탈착부(313)와 맞닿지 않아서 피부에 생채기가 나는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폭을 좁힌 상태에서 날개부 고정수단에 의해 양 날개부(311)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지지부재(310)의 하부폭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100)에 힙시트(200)와 포대기(300, 300')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기띠(100)와 힙시트(200)가 서로 일체로 제작되거나, 아기띠(100)와 포대기(300, 300')가 서로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아기띠 110: 제 1 지지부재
120: 상측 결합부 130: 어깨띠
140: 하측 결합부 200: 힙시트
210: 시트부재 220: 우측 허리띠
230: 좌측 허리띠 300, 300': 포대기
310: 제 2 지지부재 320: 상측 결합부
330: 골반띠 340: 하측 결합부

Claims (18)

  1. 착용자가 유아를 안을 때 유아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는 제 1 지지부재와 착용자의 어깨에 견착되는 어깨띠를 포함하는 아기띠; 및
    상기 아기띠에 연결되고, 유아의 신체를 받칠 수 있는 제 2 지지부재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유아의 엉덩이를 받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둘러서 착용되는 골반띠를 포함하는 포대기를 포함하고,
    상기 포대기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를 상기 골반띠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탈착부; 및
    상기 날개부의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 날개부를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중앙에서 포개지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날개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골반띠에 연결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양 다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지지부재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날개부가 접히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날개부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을 향해 접히도록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바깥면 또는 안쪽면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로서 제공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부는 착용자가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신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고정수단은,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양 측 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암버튼과,
    상기 암버튼과 체결 가능하고, 상기 날개부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는 수버튼으로 구성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채로 고정되는 허리띠를 포함하고,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힙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대기는 상기 아기띠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기는,
    상기 제 2 지지부재의 하부에 제공되고, 유아의 허벅지가 밀착되는 다리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모드에 따라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가 상기 아기띠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유아를 지지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와 상기 포대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제 2 지지부재가 제 1 지지부재와 겹쳐지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는,
    상측에서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 및
    하측에서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포대기 또는 상기 힙시트와 지퍼에 의해 결합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띠는 상기 포대기와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체결부는 버튼으로 구성된 힙시트 캐리어 세트.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결합부는,
    상기 힙시트 또는 상기 포대기와 상기 아기띠를 연결하는 체결띠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힙시트 및 상기 포대기는,
    상기 체결띠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띠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에는 벨크로가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힙시트는,
    유아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리띠는 상기 시트부재의 양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20140009572U 2014-06-09 2014-12-26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778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14 2014-06-09
KR20140004314 2014-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837Y1 true KR200477837Y1 (ko) 2015-07-29

Family

ID=5387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572U KR200477837Y1 (ko) 2014-06-09 2014-12-26 힙시트 캐리어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83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26U (ko) * 2016-03-24 2017-10-12 차복희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20170004118U (ko) * 2016-05-30 2017-12-08 차복희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20180078274A (ko) * 2015-10-30 2018-07-09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KR20190077019A (ko) * 2016-10-28 2019-07-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11026521B2 (en) 2013-03-13 2021-06-08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US11219317B2 (en) 2018-11-26 2022-01-11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S11805921B2 (en) 2020-06-19 2023-11-0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167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200473013Y1 (ko) * 2013-11-27 2014-06-27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7167A (ko) *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아용 캐리어
KR200473013Y1 (ko) * 2013-11-27 2014-06-27 이진섭 힙시트 캐리어 세트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521B2 (en) 2013-03-13 2021-06-08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US11051634B2 (en) 2015-10-30 2021-07-06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US11786055B2 (en) 2015-10-30 2023-10-1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CN108697246B (zh) * 2015-10-30 2021-11-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可调节的儿童背袋
KR102325907B1 (ko) 2015-10-30 2021-11-15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KR20180078274A (ko) * 2015-10-30 2018-07-09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CN108697246A (zh) * 2015-10-30 2018-10-23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可调节的儿童背袋
CN113995273A (zh) * 2015-10-30 2022-02-01 爱歌宝宝背带有限公司 可调节的儿童背袋
US12016470B2 (en) 2015-10-30 2024-06-25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KR102166510B1 (ko) * 2015-10-30 2020-10-16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KR20200119904A (ko) * 2015-10-30 2020-10-20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조절 가능한 아기 캐리어
KR20170003426U (ko) * 2016-03-24 2017-10-12 차복희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200485256Y1 (ko) * 2016-03-24 2017-12-14 차복희 폭조절부가 구비된 유아용 아기띠
KR200486269Y1 (ko) * 2016-05-30 2018-04-24 차복희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20170004118U (ko) * 2016-05-30 2017-12-08 차복희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KR20190077019A (ko) * 2016-10-28 2019-07-02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11297957B2 (en) 2016-10-28 2022-04-12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KR102479617B1 (ko) 2016-10-28 2022-12-20 더 에르고 베이비 캐리어 아이엔씨 다중 운반 배향을 갖는 조정 가능한 아동용 캐리어
US11684175B2 (en) 2016-10-28 2023-06-2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0736436B2 (en) 2016-10-28 2020-08-11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1219317B2 (en) 2018-11-26 2022-01-11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S11805921B2 (en) 2020-06-19 2023-11-07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11882943B2 (en) 2020-06-19 2024-01-30 The Ergo Baby Carrier, Inc.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multiple carry orientations
USD1024541S1 (en) 2020-06-19 2024-04-30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USD1010305S1 (en) 2020-12-18 2024-01-09 The Ergo Baby Carrier, Inc. Child c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013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10130190B2 (en) Ergonomic twin baby carrier
EP2755527A1 (en) Child carrier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81152Y1 (ko) 유아용 캐리어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A1332928C (en) Baby carrier
KR20130003372U (ko) 유아용 아기띠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CA2821329C (en) Ergonomic baby carrier
WO2013037514A1 (en) Child carrier
KR20160035495A (ko) 아기띠
KR200473921Y1 (ko) 유아용 아기띠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502580B1 (ko) 유아용 힙시트
KR102684472B1 (ko) 아기띠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230190008A1 (en) Baby carrier
KR200315982Y1 (ko) 개량 베이비 슬링
KR101493030B1 (ko) 쌍둥이용 캐리어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KR200487262Y1 (ko) 유아용 포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