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948Y1 - 보완형 베이비 슬링 - Google Patents

보완형 베이비 슬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948Y1
KR200297948Y1 KR2020020028609U KR20020028609U KR200297948Y1 KR 200297948 Y1 KR200297948 Y1 KR 200297948Y1 KR 2020020028609 U KR2020020028609 U KR 2020020028609U KR 20020028609 U KR20020028609 U KR 20020028609U KR 200297948 Y1 KR200297948 Y1 KR 2002979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ling
baby
tail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탈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to KR2020020028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9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9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948Y1/ko

Link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고리부(101), 어깨부(102), 아기 수용부(pouch)(103), 양쪽 날개부(104), 꼬리부(105)등으로 구성되는 베이비 슬링에 있어, 유아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슬링의 어깨부(102)를 넓고 얇게 구성하여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 감을 유지하면서 그 하단에 힘을 받지 않는 별도의 패딩(100)을 부착함으로써, 유아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착용자의 어깨에 가해지는 힘의 분산을 이상적으로 극대화하여 장시간 착용시에도 착용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정확한 착용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베이비 슬링을 제공한다. 또한, 대부분의 슬링 사용자가 느끼는 착용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아기 수용부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개방형 꼬리부를 채용하면서도, 이 아기 수용부의 형성에 관계하는 날개부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양쪽 날개부(104,104')와 연결된 꼬리부의 양단(106,106')을 중심으로 넓은 천을 각각 안쪽으로 봉제하여 꼬리부(105)의 부피를 줄임으로서 번거롭지 않으면서도 꼬리부(105)를 통한 아기 수용부(103)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여 누구나 사용하기 쉬운 베이비 슬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완형 베이비 슬링{IMPROVED BABY SLING}
본 고안은 유아를 안거나 업을 때 사용하는 베이비 슬링에 관한 것이다. 베이비 슬링이란 일반적으로 두개의 고리를 갖고 있으며 그 고리에 걸려 져 있는 긴 천의 중앙 부위에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아기 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천의 꼬리부는 다시 두개의 고리를 버클 끈 통과하는 방식으로 통과하여 매듭을 짓게 되어 유아가 아기 수용부위에 수용되면 매듭부위가 단단하게 잠기어 안전한 유아용 캐리어가 형성되며, 특히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메고 유아를 앞으로 안거나 옆 또는 뒤로업는 등의 여러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공중의 장소에서도 노출 없이 편한 자세로 모유를 수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유아용 포대기는 뒤로만 업어야 하고 앉기가 불편하며 포대기를 한 채 외출하기를 꺼리는 단점이 있으며, 알루미늄 뼈대를 갖는 백 캐리어의 경우도 부피가 크고 앉기 어렵고 힘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기띠는 앞으로 안아야만 하고 힘이 많이 들어 아이체중이 늘어나면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들로서, 개선된 베이비 캐리어(미국 특허 제5,020,709호) 또는 포대기(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10-2000-0041864호)등이 개발되었으나, 간편하고 안전한 베이비 슬링의 장점을 능가하지는 못하였다. 베이비 슬링의 최대 장점은 유아가 엄마 자궁에서 느끼는 것과 가장 유사한 정서적 유대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자세변환이 용이하여 서너 살 된 아이에게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착용 상태에 보다 맵시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용품 산업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베이비 슬링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슬링형식의 유아용 캐리어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유아를 수용하는 보낭이 형성되고 보낭의 양쪽 끝 주름부에 조절 가능한 어깨 끈이 달린 보낭이 있는 베이비 캐리어(미국 특허 제4757925호), 한 쌍의 슬링 고리를 통과하는 꼬리 부분에 차단부가 형성되어 슬링 사용 시 슬링 고리에서 슬링 꼬리 부위가 빠져서 생길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미국 특허 제5857598호), 하나의 긴 천이 두개의 고리를 통과하여 거의 중심부위에서 접힌 구조를 형성하여 두 겹의 아기 수용부와 넓은 꼬리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아기 수용부의 천 사이로 패딩과 베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미국 특허 제5950887호), 유아의 성장에 따라 넓힐 수 있는 슬링 몸체부와 넓은 어깨 패드부를 가지며 조절가능 끈이 몸체부의 양끝에 연결된 슬링 형 베이비 캐리어(미국 특허 제6213362호)등이 있다.
이러한 고안들은 슬링형 베이비 캐리어로서 각기 보완된 기능을 개시하고는 있으나 슬링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보호자들이 공통적으로 호소하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어깨 결림이나 슬링 사용 방법의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링은 유아의 체중을 착용자의 한쪽 어깨로 지탱하는 제품이므로 대부분의 슬링제품의 어깨부위는 두 겹이 겹쳐진 슬링의 천 사이에 넓고 또한 두툼한 패딩을 사용하여 힘을 분산에 주력하고 있으나 아무리 두툼한 패딩을 사용한 슬링의 경우에도 대부분의 착용자는 여전히 어깨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어, 이러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슬링의 구조는 크게 꼬리부가 넓게 펼쳐져 있는 구조(개방형 꼬리부, 도1a)를 가지는 형태와, 꼬리부(105)가 모여서 띠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폐쇄형 꼬리부, 도1b)로 대별되는 데, 개방형 꼬리부를 가지는 슬링은 아기 수용부의 조작이 용이한 반면에 부피가 커서 번거롭고 양 끝단을 찾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폐쇄형 꼬리부를 가지는 슬링은 번거롭지는 않은 반면 자연스런 보낭형태를 만들기가 어려워 그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착용자의 어깨통증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시 어깨 결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초보자도 조작이 용이하고, 안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베이비 슬링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일반적인 베이비 슬링으로서, 도1a는 개방형 꼬리부를 가지는 구조이며, 도1b는 폐쇄형 꼬리부를 가지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베이비 슬링을 착용한 예로서, 이용 가능한 여러 자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3은 베이비 슬링 착용 시 일반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분해에 관한 설명도,
도4는 슬링 어깨부의 두 겹의 슬링 천 사이에 완충재가 들어간 종래의 베이비 슬링 경우에 있어서의 힘의 분해에 관한 설명도,
도5는 본 고안과 같이, 슬링 어깨부의 두 겹의 천 하단에 별도의 완충재가 들어간 베이비 슬링의 경우에 있어서의 힘의 분해에 관한 설명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베이비 슬링 어깨부에 별도의 탈부착식 완충재가 장치된 경우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라 어깨부에 완충재가 장착된 베이비 슬링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에 있어, 아이를 담을 슬링 보낭 형태를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슬링 꼬리부의 양쪽 끝단이 각기수 겹씩 겹쳐 봉제되는 베이비 슬링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1 : 한 쌍의 고리부 2, 102 : 슬링 어깨부
3, 103 : 아기 수용부 4,4',104,104' : 양쪽 날개부
5,5',105 : 꼬리부 106,106' : 꼬리부 양단
100 : 패딩 102a : 어깨부 볼록한(hook) 벨크로
100b : 패딩부 오목한(loop) 벨크로
301, 401, 402, 501, 502 : 슬링천 어깨부
302, 303, 404, 405, 504, 505 : 슬링 어깨부의 양끝 천
403, 503 : 완충재
본 고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은 꼬리부(105)와 협력하여 매듭 고정되는 한 쌍의 고리부(101),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부(102), 유아를 수용하는 아기 수용부(103), 아기 수용부의 양 끝 단으로서 유아를 감싸거나 유아의 무릎 뒤에 걸쳐지는 양 날개부(104, 104'), 고리부에 매듭 고정 되고 아기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꼬리부(105)로 구성되며, 상기 어깨부(102)에, 흡사 양복의 어깨패딩처럼 자연스럽게 어깨를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정확히 착용자의 어깨선에 위치하게 하도록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별도의 패딩부(100)가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은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슬링 어깨부(102)의 안쪽에 볼록한 벨크로(102a)를 장치하고, 별도의 어깨 패딩부(100)에 오목한 벨크로(102b)를 장치하여, 슬링 어깨부(102)에 별도의 어깨 패딩부(100)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 슬링은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슬링 어깨부(102)의 아래쪽에 별도의 어깨 패딩부(100)가 일부 봉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베이비 슬링은 양쪽 날개부(104,104')와 연결된 꼬리부(105)의 양쪽 단(106,106')을 중심으로 꼬리부의 안쪽 천을 수 겹씩 포개서 봉제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별도의 패딩부가 어깨부에 밀착된 베이비 슬링은 어깨부에 걸리는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장시간 사용에 따른 어깨결림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꼬리부 양단을 각기 봉제하여 슬링 전체의 부피는 줄이고 꼬리부의 양단을 통해 아기 수용부의 모양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일반적인 베이비 슬링으로서, 도1a는 개방형 꼬리부(5)를 가지는 구조이고, 도1b는 폐쇄형 꼬리부(5')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이들 구조들은 각기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 되어 진다. 구체적으로 그 구조를 살펴보면 꼬리부(5 또는 5')와 협력하여 매듭 고정되는 한 쌍의 고리부(1),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부(2), 유아를 수용하는 아기 수용부(3), 아기 수용부의 양 끝 단으로서 유아를 감싸거나 유아의 무릎 뒤에 걸쳐지는 양 날개부(4,4'), 고리부에 매듭 고정 되고 아기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꼬리부(5 또는 5')로 구성된다.
도2는 베이비 슬링을 여러 가지 형태로 착용했을 때의 모습의 일부이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슬링의 어깨부는 착용자의 어깨부위를 감싸게 되고 유아의 체중이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넓게 제작되고 두 겹의 천 사이로 완충재를 넣고 봉제 마감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 때 완충재를 많이 넣어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의도로 두툼한 어깨 패딩을 갖는 제품이 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두툼한 어깨 패딩을 사용하더라도 착용자는 비슷한 어깨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더욱이 어깨 패딩이 두꺼워지면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감이 떨어져 슬링의 어깨부가 착용자의 어깨뼈부위로부터 사람의 연약한 부위인 목쪽 근육으로 쏠림현상이 일어나 그 통증이 더 심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3 및 도4에 다음에 그 원인을 간략히 도시했다. 도3에서 슬링 어깨부(301)에 양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천(302,303)을 도식화하였으며, 천의 무게 및 그 밖의 요소는 무시하였다(이하 같다). 여기서 10kg의 유아를 슬링으로 안고 있다고 가정하면 어깨부의 무게 중심에 가해지는 힘(f1)은 10kg중이 작용하고, 착용자의 어깨부위를 감싸게 되는 슬링 어깨부의 양끝 천(302,303)에 가해지는 힘(f2,f3)은 각기 5kg중이다. 어깨부에 가해지는 힘의 총합이 10kg중이므로 어깨부가 넓을수록 착용자의 어깨부에 가해지는 힘이 골고루 분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4를 참고로, 어깨부가 두 겹의 천(401,402)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완충재(403)가 들어간 일반적인 슬링의 경우를 살펴보면, 10kg의 유아를 안고 있을 때 착용자의 어깨부위를 감싸게 되는 슬링 어깨부의 양끝 천(403,404)에 가해지는 힘(f3,f4)은 각기 5kg중이다. 또한 슬링어깨부의 상단 천(401)과 하단 천(402)에 이상적인 힘의 분해가 일어난다고 가정하면 상, 하단 천의 무게중심에 가해지는 힘 f1,f2는 각기 5kg중의 하중을 받게 된다. 슬링 어깨부의 상단 천(401)이 어깨에 충격을 가한다고 볼 때, 이경우 완충재에 의해 힘이 어깨에 전달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충격량은 충격력 X 시간의 관계에 있으므로 가해지는 충격력이 약해져서 착용자의 어깨에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하단 천(402)의 경우 이러한 완충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완충재의 무게가 더 실리게 되어 착용자의 어깨에 직접 하중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하단 천도 힘의 완충을 얻기 위해서는 도5에서처럼 착용자의 어깨가 밀착되는 하단 천의 밑에 유아의 하중을 받지 않는 별개의 완충재(503)를 넣어 상단 천(501)과 하단 천(502)이 거의 같은 힘의 완충이 일어나 각기 가해지는 충격력(f1,f2)이 약해져서 착용자의 어깨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아이스박스 등의 무거운 물건을 어깨에 멜 때 두 겹의 어깨 끈 사이에 패딩이 들어 있을 때 보다 어깨와 끈 사이에 별개의 완충재를 덧 댓을 때가 어깨 통증이 훨씬 경감되는 일상의 예를 통해서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역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개의 완충재를 장착한 베이비 슬링으로서, 그 바람직한 예를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에서 도시된 베이비 슬링은 꼬리부(105)와 협력하여 매듭 고정되는 한 쌍의 고리부(101),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부(102), 유아를 수용하는 아기 수용부(103), 아기 수용부의 양 끝 단으로서 유아를 감싸거나 유아의 무릎 뒤에 걸쳐지는 양 날개부(104, 104'), 고리부에 매듭 고정 되고 아기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꼬리부(105)로 구성되며, 상기 어깨부(102)에, 흡사 양복의 어깨패딩처럼 자연스럽게 어깨를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정확히 착용자의 어깨선에 위치하게하도록 착용자의 어깨에 닿는 슬링 어깨부의 안쪽에 볼록한 벨크로(102a)를 장치하고 패딩부(100)에 오목한 벨크로(100b)를 장치하여 어깨부(102)와 패딩부(100)가 탈부착식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어진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어깨부(102)는 슬링 어깨부(102)의 안쪽에 별도의 어깨 패딩부(100)를 일부 봉제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슬링 어깨부(102)와 별개의 어깨 패딩부(100)가 고정되는 벨크로 또는 봉제 위치는 가장 이상적인 슬링 착용자세를 기준으로 정하게 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부착되어진 별도의 어깨 패딩부(100)를 기준으로 슬링을 착용하면, 착용자가 가장 하중을 잘 이겨낼 수 있는 위치인 어개 끝선 바로 아래에서 어깨 뼈 위쪽으로 어깨부(102)가 자연스럽게 걸치게 되고 고리부(101)는 어깨 쇄골 바로 밑에 올 수 있도록 바른 착용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초보자도 올바르게 슬링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슬링 착용자가 공통적으로 느끼는 슬링 착용법의 곤란함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바람직한 착용형태를 도8에 나타내었다.
슬링을 편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이를 안기 전에 슬링을 올바르게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8에서 특히 어린 유아는 슬링 아기 수용부(103)안에 감싸지게 되는데 이때 아이가 편안하게 슬링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안쪽 날개부(104)는 착용자의 가슴 쪽에 나란히 붙고 바깥쪽 날개부(104')는 아이가 편안히 들어갈 수 있도록 축 처진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슬링의 꼬리부를 한 쌍의 고리부(101)를 루프형식으로 통과시켜 매듭을 만들어 슬링을 전체적으로 큰 고리형태로 한 후 착용자의 한쪽 팔과 머리를 통과하여 반대쪽 어깨에 걸치게 된다. 여기서 자연스런 아기 수용부(103)를 형성하기 위하여 꼬리부(105)를 당겨서 아기 수용부(103)를 조절 하게 되는데 이 부분이 일반적으로 초보 착용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다. 특히 꼬리부가 끈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꼬리부를 당겨도 아기 수용부의 양쪽 날개부(104,104')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어 자연스러운 보낭형태를 만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안쪽 날개부(104)는 착용자의 가슴에 붙고 바깥쪽 날개부(104')는 축 늘어진 비대칭형의 보낭구조를 만들기 위해서는 날개부가 꼬리부로 그대로 연결된 폭이 넓은 구조의 꼬리부가 유리하다. 즉 꼬리부의 안쪽 단(106)을 당기면 안쪽 날개부(104)가 조여지고 바깥쪽 단(106')을 당기면 바깥쪽 날개부(104')가 조여지며 두 단을 동시에 당기면 양쪽 날개부가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개방형 꼬리부를 가지는 슬링(도1a)에 의하면 꼬리부분이 너무 넓어서 번거롭고 또 안 밖의 단을 찾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폐쇄형 꼬리부를 가지는 슬링(도1b)에 의하면 자연스런 보낭형태를 만들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9와 같이 양쪽 날개부(104,104')와 연결된 꼬리부의 양쪽 단(106,106')을 살리고 꼬리부(105)의 안쪽 천을 양쪽 단(106,106')을 중심으로 안쪽으로 수 겹씩 겹쳐서 봉제하면 꼬리부(105)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꼬리부의 양쪽 단에 각기 두툼한 띠 형태가 형성되어 안 밖의 단을 찾는 것이 용이해져 꼬리부의 양단(106,106')을통한 아기 수용부(103)의 자연스런 형태를 취하기가 용이한 편리한 슬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의 몸무게가 집중되는 착용자의 어깨에 힘의 분산을 극대화하여 장시간 착용시에도 보호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베이비 슬링의 올바른 착용과 그 조작이 용이하여 슬링 사용법에 곤란을 느끼는 초보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모유 수유를 하는 엄마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꼬리부와 협력하여 매듭 고정되는 한 쌍의 고리부, 착용자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부, 유아를 수용하는 아기 수용부, 아기 수용부의 양 끝 단으로서 유아를 감싸거나 유아의 무릎 뒤에 걸쳐지는 양 날개부, 고리부에 매듭 고정 되고 아기 수용부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꼬리부로 구성 되어진 베이비 슬링에 있어,
    상기 어깨부에, 흡사 양복의 어깨패딩처럼 자연스럽게 어깨를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갖고, 정확히 착용자의 어깨선에 위치하게 하도록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별도의 패딩부가 형성되어진 베이비슬링.
  2.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슬링 어깨부의 안쪽에 볼록한 벨크로를 장치하고, 별도의 어깨 패딩에 오목한 벨크로를 장치하여, 슬링 어깨부에 별도의 어깨 패딩부가 탈부착식으로 형성되어진 베이비슬링.
  3. 제1항에 있어, 착용자의 어깨에 밀착되는 슬링 어깨부의 아래쪽에 별도의 어깨 패딩부가 일부 봉제되어 고정된 베이비 슬링.
  4. 제1항에 있어, 양쪽 날개부와 연결된 꼬리부의 양쪽 단을 중심으로 꼬리부의 안쪽 천을 수 겹씩 포개서 봉제하여 부피는 줄이고 꼬리부의 양단을 통한 아기 수용부의 모양 조작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 슬링.
KR2020020028609U 2002-09-24 2002-09-24 보완형 베이비 슬링 KR2002979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09U KR200297948Y1 (ko) 2002-09-24 2002-09-24 보완형 베이비 슬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609U KR200297948Y1 (ko) 2002-09-24 2002-09-24 보완형 베이비 슬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948Y1 true KR200297948Y1 (ko) 2002-12-16

Family

ID=7312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609U KR200297948Y1 (ko) 2002-09-24 2002-09-24 보완형 베이비 슬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9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625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US4149687A (en) Baby pouch
US6409060B2 (en) Child carrier with enhanced back and shoulder support and retractable infant seat
CA1196319A (en) Soft orthopedic pouch-type infant carrier
EP2512295B1 (en) Baby carrier
JP3210531U (ja) ヒップシートキャリアセット
US4487346A (en) Infant sling-type carrier
EP2755527A1 (en) Child carrier
KR200477837Y1 (ko) 힙시트 캐리어 세트
US11202520B2 (en) Baby carrier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KR200473475Y1 (ko) 아기띠 힙시트
CA1332928C (en) Baby carrier
US20060213943A1 (en) Character harness with storage pouch
KR20210105712A (ko) 멀티 기능 아기띠 패키지
US20190246811A1 (en) Infant carrier
KR200312695Y1 (ko) 조끼형 아기포대기
WO2013037514A1 (en) Child carrier
EP3644796B1 (en) Multi-adjustable child carrier system
KR200297948Y1 (ko) 보완형 베이비 슬링
KR20100044985A (ko) 아기띠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JP3145902U (ja) 乳幼児用キャリア
KR200447711Y1 (ko) 양손이 편리한 유아용포대기
JP2005288107A (ja) 子守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