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942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942B1
KR100396942B1 KR10-2001-0023434A KR20010023434A KR100396942B1 KR 100396942 B1 KR100396942 B1 KR 100396942B1 KR 20010023434 A KR20010023434 A KR 20010023434A KR 100396942 B1 KR100396942 B1 KR 100396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aist
neck
rod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786A (ko
Inventor
김창규
이양훈
Original Assignee
김창규
이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이양훈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10-2001-002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9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각 부위를 지지하여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의자는 앉았을 때에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등받이가 엉덩이부분을 막게 되므로 허리가 뒤로 굽게 되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대부분 등받이의 상부에 목받침대가 없기 때문에 목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없게 되어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목부위 및 어깨의 통증이 유발될 뿐 아니라 뒷목과 어깨 근육이 뭉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허리에 많은 부담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부가 돌출 형성되어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허리받침부의 위치가 체형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조절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지지막대(50)를 설치하고, 지지막대(50)의 전면 상부에 등받이(20)를 고정 설치하며, 지지막대(50)의 상부에 목받침(6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지지막대(50)의 전면 중앙부에 허리받침대(7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좌판(1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는 팔걸이(30)의 전방 수직프레임(31)에 대퇴부지지대(8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목받침(60)을 통해 사용자의 뒷목을 받쳐주어 뒷목의 근육과 양어깨의 근육을 쉬게 해줄 수 있게 되며, 허리받침대(70)를 통해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등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허리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대퇴부지지대(80)를 통해 등이 굽고 상체가 늘어져 허리와 골반에 주는 무게를 덜어주는 동시에 상체를 쉽게 세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 각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각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각 부품의 위치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의자 { a chair }
본 발명은 신체 각 부위를 지지하여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각 개인의 체형과 척추구조에 맞게 목받침의 각도, 허리받침대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퇴부를 양 옆에서 지지해주어 상체를 쉽게 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허리가 받는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편안하게 앉아서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무용, 가정용 의자는 좌판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다리가 설치되고, 좌판의 후방 상부에 등받이가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주로 사용되었던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의자는 앉았을 때에 좌판의 후방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등받이가 엉덩이부분을 막게 되므로 허리가 뒤로 굽게 되거나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대부분 등받이의 상부에 목받침대가 없기 때문에 목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없게 되어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목부위 및 어깨의 통증이 유발될 뿐 아니라 뒷목과 어깨 근육이 뭉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대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대퇴부의 유동으로 인해 허리에 많은 부담이 가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부가 돌출 형성되어 그 위치를 가변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허리받침부의 위치가 체형에 맞지 않는 경우에도 조절이 불가능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자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목부위 및 허리부위 등 신체 각 부위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각 부품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목받침의 사시도
도 4는 동 목받침의 종단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허리받침대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동 허리받침대의 요부 종단면도
도 7a는 동 실시예의 대퇴부지지대의 래칫홈에 래칫이 물린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7b는 동 실시예의 대퇴부지지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래칫홈에서 래칫이 분리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8a는 동 실시예의 대퇴부지지대의 래칫홈에 래칫이 물린 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8b는 동 실시예의 대퇴부지지대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래칫이 후방으로 눌려진 상태의 요부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의자 10 : 좌판
20 : 등받이 30 : 팔걸이
31 : 전방 수직프레임 40 : 지지다리
50 : 지지막대 54a : 걸림홈
60 : 목받침 61 : 받침부
62 : 연결막대 63 : 회전체
63a : 멈춤돌기 64 : 고정체
64a : 멈춤홈 64b : 개구부
65 : 스프링 70 : 허리받침대
71 : 받침부 72 : 승강지지부
73 : 걸림해제버튼 74 : 회동걸림체
74a : 걸림돌기 75 : 스프링
80 : 대퇴부지지대 81 : 지지부
82 : 회동막대 83 : 회동연결체
83a : 래칫홈 83b : 해제공간
84 : 래칫 85 : 스프링
86 : 스프링 90 : 태퇴부 고정벨트
91 : 매직테이프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판의 후방 상부에 지지막대를 설치하고, 지지막대의 전면 상부에 등받이를 설치하는 한편, 지지막대의 상부에 목받침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지지막대의 전면 중앙부에 허리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좌판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는 팔걸이의 전방 수직프레임에 대퇴부지지대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8까지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등받이(20)가 마련되고, 좌판(10)의 양측 상부에 팔걸이(30)가 마련되며, 좌판(1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다리(40)가 마련되는 의자(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지지막대(50)를 설치하고, 지지막대(50)의 전면 상부에 등받이(20)를 고정 설치하며, 지지막대(50)의 상부에 목받침(6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지지막대(50)의 전면 중앙부에 허리받침대(7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좌판(1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는 팔걸이(30)의 전방 수직프레임(31)에 대퇴부지지대(8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 1에서 도 8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받침(6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방형의 받침부(61)의 하단 중앙에 연결막대(62)가 설치되고, 일측에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가 형성된 회전체(63)가 연결막대(62)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 회전체(63)의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와 대응되는 세레이션형 멈춤홈(64a)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 중앙부에 연결막대(62)가 인출되는 개구부(64a)가 마련된 고정체(64)의 내부에 회전체(63)가 스프링(65)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고정체(64)의 외주 전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6)가 지지막대(50)의 후면 상단부에 접합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도 1에서 도 8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허리받침대(70)는 도 5와 같이 전면부가 볼록한 장방형의 받침부(61)의 후방에 승강지지부(72)가 마련된 형태를 갖으며, 지지막대(50)에 승강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승강지지부(72)는 도 6과 같이 양측에 스프링(75)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해제버튼(73)이 마련되고, 승강막대(50)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54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74a)를 갖는 회동걸림체(74)가 각 걸림해제버튼(73)의 내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 1에서 도 8까지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퇴부지지대(80)는 판상의 지지부(81)의 후면에 인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회동막대(82)의 선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가 스프링(85)으로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회동막대(82)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동연결체(83)가 회동막대(82)의 후단부에 설치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회동연결체(83)의 내상부 둘레에 래칫홈(83a)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해제공간(83b)이 마련되며, 회동연결체(83)의 래칫홈(83)에 결합되는 동시에 후방 부위가 스프링(86)으로 탄성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출몰되는 래칫(84)이 팔걸이(30)의 전방 수직프레임(31)에 돌출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도 1에서 도 8까지에 도시된 실시예는 팔걸이(30)의 후방 수직프레임(32)에 대퇴부지지대(80)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하는 대퇴부지지대 걸이편(87)이 마련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팔걸이(30)에 대퇴부지지대(80)를 설치하지 않고, 좌판(10)의 상단 전방부에 대퇴부 고정벨트(90)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88은 멈춤나사, 91은 매직테이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등받이(20)의 상부에 마련되는 목받침(60) 및 등받이(20) 하부에 마련되는 허리받침대(70)를 통해 좌판(10)에 앉은 사용자의 목과 등, 그리고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됨은 물론 한 쌍의 대퇴부지지대(80)를 통해 사용자의 대퇴부를 받쳐 줄 수 있게 되어 허리의 걸리는 부담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좌판(10)의 상하 높이는 물론 등받이(20)의 상부에 마련되는 목받침(60)의 전후 각도 및 허리받침대(70)의 상하 높이, 대퇴부지지대(80)의 지지부(81) 인출 길이 등을 각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수 있게 되는 것으로, 목받침(60)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고정체(64)의 일측으로 돌출된 회전체(63)의 일단부를 눌러 회전체(63)의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를 고정체(64)의 세레이션형 멈춤홈(64a)으로부터 이탈시키고 받침부(61)와 연결막대(62), 회전체(63)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켜 전후 각도를 조절한 다음 회전체(63)의 누르는 압력을 제거하면 스프링(6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회전체(63)의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가 고정체의 세레이션형 멈춤홈(64a)에 다시 결합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허리받침대(7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승강지지부(72)의 양측에 마련된 걸림해제버튼(73)을 누르게 되면 걸림해제버튼(73)의 내측단부가 회동걸림체(74)를 회동시키게 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되며,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승강지지부(72) 및 받침부(71)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하부로 끌어당기면 스프링(7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회동걸림체(74)의 걸림돌기(74a)가 지지막대(50)의 최초 걸림홈(54a)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걸림홈(54a)에 삽입되는 동시에 걸림해제버튼(73)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대퇴부지지대(80)의 지지부(81) 인출 길이는 회동막대(82)의 멈춤나사(82a)를 풀고 회동막대(82)의 전방부를 후방부에서 인출하거나 후방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와 같이 각 부품의 위치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설정한 후에는 사용자가 좌판(10)에 앉게 되면 목받침(60)과 등받이(20), 허리받침대(70)가 사용자의 목과 등, 허리를 받쳐주게 되어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되며, 양 대퇴부지지대(80)를 안쪽으로 회동시켜 그의 지지부(81)로 양 대퇴부를 받쳐주게 되면 다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올바른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허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대퇴부지지대(80)를 안쪽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8a와 같이 회동연결체(83)의 래칫홈(83a)에 걸려있던 래칫(84)이 출몰을 반복하게 되면서 회동연결체(83) 및 회동막대(82), 지지부(81)가 회동할 수 있게 되며, 대퇴부를 받친 후에는 대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지지부(81)와 회동막대(82)를 통해 회동연결체(83)에 전달되더라도 래칫홈(83a)에 래칫(84)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대퇴부지지대(80)가 바깥쪽으로 회동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대퇴부지지대(80)에 의한 대퇴부의 지지상태를 해제한 후 의자(1)에서 일어나고자 할 때에는 각 대퇴부지지대(80)의 회동연결체(83)를 하방으로 밀게 되면 도 7a와 같이 래칫(84)에 결합되어 있던 회동연결체(83)의 래칫홈(83a)이 도 7b와 같이 래칫(84)의 하부로 이동되고 회동연결체(83)의 해제공간(83b)에 래칫(84)이 위치하게 되므로 회동연결체(83) 및 회동막대(82), 지지부(81)가 바깥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며, 장기간동안 대퇴부지지대(8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깥쪽으로 회동시킨 대퇴부지지대(80)를 팔걸이 후방 수직프레임(32)에 설치된 대퇴부지지대 걸이편(87)에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도 9와 같이 좌판(10)의 상단 전방에 대퇴부 고정벨트(90)를 설치한 경우에는 좌판(10)에 앉은 후에 대퇴부 고정벨트(90)로 대퇴부를 감아 고정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20)의 상부와 하부에 목받침(60)과 허리받침대(70)를 설치하고, 팔걸이(30)에 대퇴부지지대(80)를 설치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목받침(60)을 통해 사용자의 뒷목을 받쳐주어 뒷목의 근육과 양어깨의 근육을 풀어줄 수 있게 되며, 허리받침대(70)를 통해 등에서 오목하게 들어간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어 등을 곧게 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허리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대퇴부지지대(80)를 통해 등이 굽고 상체가 늘어져 허리와 골반에 주는 무게를 덜어주는 동시에 상체를 쉽게 세울 수 있게 되어 신체 각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각 부품의 위치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등받이(20)가 마련되고, 좌판(10)의 양측 상부에 팔걸이(30)가 마련되며, 좌판(1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다리(40)가 마련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지지막대(50)를 설치하고, 지지막대(50)의 전면 상부에 등받이(20)를 고정 설치하며, 지지막대(50)의 상부에 목받침(6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지지막대(50)의 전면 중앙부에 허리받침대(7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좌판(1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는 팔걸이(30)의 전방 수직프레임(31)에 대퇴부지지대(8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목받침(60)은 장방형의 받침부(61)의 하단 중앙에 연결막대(62)를 설치하고, 일측에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가 형성된 회전체(63)를 연결막대(62)의 하단에 설치하며, 내부 일측에 회전체(63)의 세레이션형 멈춤돌기(63a)와 대응되는 세레이션형 멈춤홈(64a)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단 중앙부에 연결막대(62)가 인출되는 개구부(64a)가 마련된 고정체(64)의 내부에 회전체(63)를 스프링(65)을 통해 탄성 지지하는 한편, 고정체(64)의 외주 전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66)를 지지막대(50)의 후면 상단부에 접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허리받침대(70)는 전면부가 볼록한 장방형의 받침부(61)의 후방에 승강지지부(72)를 마련하고, 승강지지부(72)를 지지막대(50)에 승강이 자유롭게 결합하며, 승강지지부(72)의 양측에 스프링(75)으로 탄성 지지되는 걸림해제버튼(73)을 마련하고, 승강막대(50)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54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돌기(74a)를 갖는 회동걸림체(74)를 각 걸림해제버튼(73)의 내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대퇴부지지대(80)는 판상의 지지부(81)의 후면에 인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회동막대(82)의 선단부를 결합하고, 하단부가 스프링(85)으로 탄성 지지되는 동시에 회동막대(82)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회동연결체(83)를 회동막대(82)의 후단부에 설치하며, 회동연결체(83)의 내상부 둘레에 래칫홈(83a)이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해제공간(83b)을 마련하며, 회동연결체(83)의 래칫홈(83)에 결합되는 동시에 후방 부위가 스프링(86)으로 탄성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출몰되는 래칫(84)을 팔걸이(30)의 전방 수직프레임(31)에 돌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팔걸이(30)에 대퇴부지지대(80)를 설치하지 않고, 좌판(10)의 상단 전방부에 대퇴부 고정벨트(9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1-0023434A 2001-04-30 2001-04-30 의자 KR100396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34A KR100396942B1 (ko) 2001-04-30 2001-04-30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434A KR100396942B1 (ko) 2001-04-30 2001-04-30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538U Division KR200243582Y1 (ko) 2001-04-30 2001-04-30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786A KR20020083786A (ko) 2002-11-04
KR100396942B1 true KR100396942B1 (ko) 2003-09-17

Family

ID=2770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434A KR100396942B1 (ko) 2001-04-30 2001-04-30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95Y1 (ko) * 2008-08-29 2011-07-14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WO2024043964A1 (en) * 2022-08-23 2024-02-29 Kigonya Godfrey Posture-enforcing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82B1 (ko) * 2007-05-09 2008-10-13 이훈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CN102894707A (zh) * 2012-10-29 2013-01-30 曹康 一种具有按摩功效的椅子
GB2523584B (en) * 2014-02-28 2016-01-13 Sitting Comfortably Ltd Chai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09U (ko) * 1993-08-19 1995-03-20 유태우 자동차 핸들용 지압구
KR960000126A (ko) * 1994-06-22 1996-01-25 이흥섭 허리받침이 구비된 의자
KR960037378A (ko) * 1995-04-06 1996-11-19 전성원 각도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머리받침대
KR19990012624U (ko) * 1997-09-10 1999-04-06 최경덕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KR20000010088U (ko) * 1998-11-10 2000-06-15 정희연 의자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209U (ko) * 1993-08-19 1995-03-20 유태우 자동차 핸들용 지압구
KR960000126A (ko) * 1994-06-22 1996-01-25 이흥섭 허리받침이 구비된 의자
KR960037378A (ko) * 1995-04-06 1996-11-19 전성원 각도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머리받침대
KR19990012624U (ko) * 1997-09-10 1999-04-06 최경덕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KR20000010088U (ko) * 1998-11-10 2000-06-15 정희연 의자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95Y1 (ko) * 2008-08-29 2011-07-14 박영근 경추 견인 기구
WO2024043964A1 (en) * 2022-08-23 2024-02-29 Kigonya Godfrey Posture-enforcing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786A (ko) 200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EP2204153B1 (en) A tattoo chair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0396942B1 (ko) 의자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KR200243582Y1 (ko) 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ITTO20030080U1 (it) Dispositivo di stiramento applicabile a mobili.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072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2152141B1 (ko) 착탈식 가슴받침대를 포함하는 목욕의자
KR200409233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설치 구조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0415432Y1 (ko) 욕조 받침대
KR20100008565U (ko) 의자용 팔걸이
CN111434282A (zh) 一种多用途的网脱眼枕及平趴睡的休息方式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CN210354162U (zh) 可调节高度的枕头
KR200210831Y1 (ko) 목욕용 의자
CN216797036U (zh) 一种便于老人使用的躺椅
CN214388149U (zh) 一种带有胸部支撑功能的老年人助行器
JP2001333938A (ja) 介護用車椅子
JP2002017497A (ja) 理美容椅子の座支持台、及びその座台付き洗髪機
CN210114587U (zh) 护理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