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182B1 -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 Google Patents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182B1
KR100863182B1 KR1020070044947A KR20070044947A KR100863182B1 KR 100863182 B1 KR100863182 B1 KR 100863182B1 KR 1020070044947 A KR1020070044947 A KR 1020070044947A KR 20070044947 A KR20070044947 A KR 20070044947A KR 100863182 B1 KR100863182 B1 KR 10086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eadrest
chair
leve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
Original Assignee
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 filed Critical 이훈
Priority to KR102007004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 상,하부에 일체형으로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장착되고, 이들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임의대로 승,하강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다리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후방에 등받이가 설치되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따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머리받이와 허리받이로 사용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사용자의 척추와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 중앙에 관통되고 그 관통된 전방 양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슬롯; 상기 슬롯을 통과하지 않도록 단차면에 수용되어 승,하강하고 그 단차면에 밀착/해제되는 블록; 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머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허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등받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슬롯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과 대응되게 등받이 후방을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등받이 후방에 밀착/해제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슬롯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하여 상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및 밀착판을 등받이에 밀착/해제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의자, 등받이, 머리받이, 허리받이, 슬롯, 관통

Description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Chair having a waist rest and head re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이 부분을 확대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하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보인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의 슬롯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이의 조립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9는 8의 요부를 확대한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에 쿠션이 설치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이 설치된 등받이 부분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하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등받이 부분을 보인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등받이 부분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등받이 부분을 보인 배면도
도 17은 도 16의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등받이 부분을 보인 측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등받이 부분을 보인 배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머리받이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머리받이가 해제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머리받이가 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머리받이가 해제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레버가 프레임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 : 의자 15 : 프레임
16,54 : 머리받이 17,55 : 허리받이
18 : 지지봉 19 : 조립공
20 : 걸림턱 21 : 레버
23 : 탄성부재 53 : 등받이
56 : 슬롯 56a : 단차면
58 : 블록 59 : 샤프트
본 발명은 등받이 상,하부에 일체형으로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장착되고, 이들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임의대로 승,하강 조절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자에 설치된 머리받이는 머리만을 전용으로 받침 지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위치에 고정되었거나 또는 머리 위치에서 미세하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종래 의자 사용시 요통이 있거나 요통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허리받이를 허리 부근에 위치시켜 사용하였는데, 종래 허리받이 용도로 사용된 것은 주로 내부에 솜이 들어있는 소형 쿠션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쿠션은 의자의 등받이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좌판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쿠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항상 허리를 세운 상태에서 허리를 의자의 등받이에 기대어 사용해야 하고, 상체를 움직일 경우에는 쿠션을 손아 잡아 좌판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의자에 앉을 때 쿠션이 좌판에 놓여있기 때문에 쿠선을 들어올린 후 허리부근에 위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의자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등받이 상,하부에 일체형으로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장착되고, 이들을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임의대로 승,하강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리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후방에 등받이가 설치되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따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머리받이와 허리받이로 사용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사용자의 척추와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 중앙에 관통되고 그 관통된 전방 양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슬롯;
상기 슬롯을 통과하지 않도록 단차면에 수용되어 승,하강하고 그 단차면에 밀착/해제되는 블록;
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머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허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등받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슬롯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과 대응되게 등받이 후방을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등받이 후방에 밀착/해제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슬롯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하여 상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및 밀착판을 등받이에 밀착/해제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의 다른 실시예 구성은, 다리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 후방에 양측으로 분리된 등받이가 설치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 등받이 후방 중앙에 프레임이 세움 설치되고, 상단부에 머리받이 하단부에 허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봉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지지봉은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걸림고정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도면이고,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도면이며,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의자(50)는, 다리(51) 상부에 좌판(52)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52)의 후방에 등받이(53)가 설치된다.
이러한 의자(5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53) 전방 상,하에는 머리받이(54)와 허리받이(55)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머리받이(54) 기능 및 허리받이(55)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등받이(53)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머리받이(54) 및 허리받이(55)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슬롯(56)이 관통된다. 상기 등받이(53)는 슬롯(56)을 경계로 그 양측 전방에 쿠션(57)이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수단은, 사용자의 척추와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53) 중앙에 관통되고 그 관통된 전방 양측에 단차면(56a)이 형성된 슬롯(56);
상기 슬롯(56)을 통과하지 않도록 단차면(56a)에 수용되어 승,하강하고 그 단차면(56a)에 밀착/해제되는 블록(58);
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머리받이(5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허리받이(5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이(54) 및 허리받이(55)가 등받이(53) 전방에 위치되도록 슬롯(56)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58)과 대응되게 등받이(53) 후방을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등받이(53) 후방에 밀착/해제되는 밀착판(59a)이 형성된 샤프트(59);
상기 샤프트(59)를 슬롯(56)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하여 상기 머리받이(54)와 허리받이(55)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58) 및 밀착판(59a)을 등받이(53)에 밀착/해제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슬롯(56)은 일체형 등받이(53)에서 머리받이(54)와 허리받이(55)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슬롯(56)의 단차면(56a)은 상기 블록(58)이 등받이(53)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하면서, 이 블록(58)이 후술하는 너트(62)에 의해 등받이(53)에 고정될 때 블록(58)이 밀착되는 면적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슬롯(56)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머리받이(54)를 사용할 때 머리받이(54)가 후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60)가 돌출된다.
상기 지지대(6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샤프트(59)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통로(60a)를 가진다. 상기 지지대(60)는 머리받이(54)를 무리한 힘을 가하 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때 너트(62)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스톱퍼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블록(58)은 슬롯(56)의 단차면(56a)에 수용되고 상기 밀착판(59a)과 협력하여 샤프트(59)를 등받이(53)에 고정/해제하는 것으로, 체결수단의 너트(62)를 잠금할 때 단차면(56a)에 밀착되어 샤프트(59)를 고정/해제하게 된다. 상기 블록(58)은 체결수단의 보울트(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58a)이 관통된다.
상기 블록(58)의 두께는 단차면(56a)에 수용되어 등받이(53)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그 폭은 슬롯(56)을 따라 자유롭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슬롯(56)의 폭보다 더 좁아야 한다.
상기 샤프트(59)는 상단부에 상기 머리받이(54) 하단부에 허리받이(55)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몸체와 교차되게 힌지축(59b)(59b-1)이 형성되고, 상기 각 힌지축(59b)(59b-1)이 슬롯(56)을 통해 등받이(53)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힌지축(58b)(59b-1)이 형성되는 부분에 곡면부(59c)(59c-1)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59)의 중앙에 형성된 밀착판(59a)은 체결수단의 너트(62)가 블록(58)의 보울트(61)를 체결할 때 등받이(53) 배면에 밀착되어 샤프트(59)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밀착판(59a)에는 보울트(61)가 삽입되는 체결공(59a-1)이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58) 및 밀착판(59a)은 너트(62)를 조임할 때 서로 등받 이(53)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샤프트(59)를 협력하여 고정하고, 너트(62)를 해제할 때 샤프트(59)를 해제하여 승,하강토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보울트(61)와 상기 보울트(61)에 체결되는 너트(62)를 사용한다. 상기 너트(62)는 머리받이(54) 또는 허리받이(55)를 들어올릴 때 상기 지지대(60)에 걸림 정지되어 머리받이(54)가 등받이(5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머리받이(54)와 허리받이(55)의 승,하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안내수단(63)을 더 갖는다.
상기 안내수단(63)은 등받이(53)의 후방 슬롯(56)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홈(64); 상기 샤프트(59)의 밀착판(59a) 전방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홈(64)에 삽탈되는 볼(65); 및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고, 상기 볼(65)이 걸림홈(6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6);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수단(63)은 머리받이(54) 및 허리받이(55)를 사용하기 위해 너트(62)를 약간 해제한 상태에서 머리받이(54) 또는 허리받이(55)를 승,하강시키게 되면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해 볼(65)이 걸림홈(64)이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의의 걸림홈(64)에 볼(65)을 삽입하여 머리받이(54) 및 허리받이(55)를 자신의 신체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등받이(53)는 상기 슬롯(56) 양측에 공간부(53a)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53a)는 재료를 절감하는 목적과 함께 공기가 흐르도록 여름철에 등을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등받이(53)에는 쿠션(57)이 더 장착되는데, 이 쿠션(57)은 스폰지, 발포성 합성수지, 망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스크류 등 고정수단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 의자는 도 13 내지 도 19에서와 같이 등받이가 양측으로 구분된 공지의 의자에 적용된다.
다시 말해, 제 2실시예 의자(10)는 다리(11) 상부에 좌판(12)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12) 후방에 설치된 브래킷(13)에 양측으로 분리된 등받이(14)가 설치된다.
이러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 등받이(14) 후방 중앙에 프레임(15)이 세움 설치되고, 상단부에 머리받이(16)가 하단부에 허리받이(1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봉(18)이 상기 프레임(15)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지지봉(18)은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15)의 지정된 위치에 걸림 고정된다.
상기 머리받이(16) 및 허리받이(17)는 프레임(15)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5)은 양측 등받이(14) 중앙에 세움 설치되는데, 지지봉(18)에 고정된 머리받이(16) 및 허리받이(17)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구부(15a)가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상기 지지봉(18)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15)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봉(18)을 고정하는 체결볼트(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공(15b)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5)은 상기 허리받이(17)를 하강시킬 때 그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단턱(15c)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8)은 그 상,하 양단부에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15)의 공간에 삽입되어 개구부(15a)의 안내에 따라 승,하강 하게 되는데, 높낮이 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에 나사공(18a)이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18)을 고정/해제하는 위치고정수단은 2가지 실시예가 제공된다.
제 1실시예의 위치고정수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5) 후방에 관통되는 안내공(15b), 상기 지지봉(18)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되는 나사공(18a), 및 상기 지지봉(18)을 승,하강시켜 머리받이(16) 및 허리받이(17)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15b)을 관통하여 나사공(18a)에 체결되는 체결볼트(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실시예의 위치고정수단은 머리받이(16) 또는 허리받이(17)를 승,하강시켜 지지봉(18)에 형성된 임의의 나사공(18a)을 프레임(15)의 안내공(15b)과 일치시킨 다음 체결볼트(B)로 체결하게 되면 머리받이(16) 및 허리받이(17)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제 2실시예의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15)에 관통되는 조립공(19), 상기 지지봉(18)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20), 손잡이(21a)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9)에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지지봉(18)의 걸림턱(20) 사이에 삽탈되어 지지봉(18)을 고정/해제시키는 레버(21), 상기 레버(21)의 손잡이(21a)를 잡아당겨 걸림턱(20) 사이에서 레버(21)를 해제할 때 레버(21)가 프레임(15)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레버(21)에 체결되는 스톱퍼(22), 및 상기 레버(21)의 손잡이(21a)의 당김을 해제할 때 레버(21)가 걸림턱(20) 사이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21)에 끼워지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20)은 지지봉(18)의 후방면에 복수 개가 일려로 돌출되는데, 그 사이에 삽입되는 레버(21)를 고정시켜 결국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턱(20)은 레버(2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경사지게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실시예의 위치고정수단은 손잡이(21a)를 이용하여 레버(21)를 잡아당기게 되면 레버(21)의 선단부가 걸림턱(20)에서 빠져나와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는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후, 고정상태가 해제된 상기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를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허리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21)의 손잡이(21a)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20)의 축적된 탄성에 의해 레버(21)(18)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걸림턱(20) 사이로 이동하여 머리받이(16)와 허리받이(17)를 다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실시예의 레버(21)는 도 8과 같이 프레임(15)의 어느 일측 측면에 삽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등받이 전방에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들의 사용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허리받이가 등받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허리받이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종래 쿠션 사용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Claims (11)

  1. 삭제
  2. 다리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의 후방에 등받이가 설치되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등받이를 따라 동시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 머리받이와 허리받이로 사용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사용자의 척추와 대응되게 상기 등받이 중앙에 관통되고 그 관통된 전방 양측에 단차면이 형성된 슬롯;
    상기 슬롯을 통과하지 않도록 단차면에 수용되어 승,하강하고 그 단차면에 밀착/해제되는 블록;
    몸체의 상단부에 상기 머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부에 상기 허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가 등받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슬롯에 수용되며, 상기 몸체의 중앙에는 상기 블록과 대응되게 등받이 후방을 따라 승,하강하고 상기 등받이 후방에 밀착/해제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슬롯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하여 상기 머리받이와 허리받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및 밀착판을 등받이에 밀착/해제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블록에 삽입되고 슬롯 및 밀착판을 관통하는 보울트;
    상기 보울트에 체결되어 블록과 밀착판 사이에 위치한 샤프트를 고정/해제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슬롯 상부에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등받이의 후방 슬롯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샤프트의 밀착판 전방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용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탈되는 볼; 및
    상기 수납홈에 장착되고, 상기 볼이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슬롯 양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슬롯을 경계로 그 전방 양측에 쿠션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8. 다리 상부에 좌판이 설치되고, 상기 좌판 후방에 양측으로 분리된 등받이가 설치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 등받이 후방 중앙에 프레임이 세움 설치되고, 상단부에 머리받이 하단부에 허리받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봉이 상기 프레임 내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지지봉은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지정된 위치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머리받이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 후방에 관통되는 안내공;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으로 관통되는 나사공;
    상기 지지봉을 승,하강시켜 머리받이 및 허리받이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관통되는 조립공;
    상기 지지봉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턱;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에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지지봉의 걸림턱 사이에 삽탈되어 지지봉을 고정/해제시키는 레버;
    상기 레버의 손잡이를 잡아당겨 걸림턱 사이에서 레버를 해제할 때 레버가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레버에 체결되는 스톱퍼;
    상기 레버의 손잡이의 당김을 해제할 때 레버가 걸림턱 사이로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에 끼워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허리 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20070044947A 2007-05-09 2007-05-09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086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47A KR100863182B1 (ko) 2007-05-09 2007-05-09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947A KR100863182B1 (ko) 2007-05-09 2007-05-09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182B1 true KR100863182B1 (ko) 2008-10-13

Family

ID=4015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947A KR100863182B1 (ko) 2007-05-09 2007-05-09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1554A (zh) * 2009-08-06 2011-12-07 姜直远 脊椎保护用靠背调节椅子
KR200471779Y1 (ko) * 2012-06-07 2014-03-17 박경준 의자용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86Y1 (ko) * 2000-02-08 2000-06-15 주식회사해정지점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
KR200245168Y1 (ko) * 2001-05-30 2001-10-29 전은수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20083786A (ko) * 2001-04-30 2002-11-04 김창규 의자
KR200379704Y1 (ko) * 2004-12-14 2005-03-23 임병섭 의자용 등받이
KR100515954B1 (ko) * 2005-03-15 2005-09-23 박용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86Y1 (ko) * 2000-02-08 2000-06-15 주식회사해정지점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
KR20020083786A (ko) * 2001-04-30 2002-11-04 김창규 의자
KR200245168Y1 (ko) * 2001-05-30 2001-10-29 전은수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379704Y1 (ko) * 2004-12-14 2005-03-23 임병섭 의자용 등받이
KR100515954B1 (ko) * 2005-03-15 2005-09-23 박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1554A (zh) * 2009-08-06 2011-12-07 姜直远 脊椎保护用靠背调节椅子
KR200471779Y1 (ko) * 2012-06-07 2014-03-17 박경준 의자용 높이 조절가능한 허리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490A (en) Auxiliary chair mounted in vehicle
CN100586342C (zh) 可调节椅座深度的座椅
US20090302661A1 (en) Armrest Apparatus
KR101421876B1 (ko) 전향 및 후향 겸용 isofix 카시트 고정장치
KR20160058169A (ko) 어린이 안전 시트
US8251453B2 (en) Adjustable armrest support of chair
EP0930194A1 (en) Child seat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0829220B1 (ko) 허리받이 겸용 머리받이가 설치된 의자
KR100863182B1 (ko)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033924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안전벨트 유격조절장치
EP0931691A1 (en) Child seat
US3698765A (en) Adjustable headrest for dental chairs
KR101062937B1 (ko) 상하높이 및 전후방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시트 헤드레스트
KR20140065308A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US6019426A (en) Child seat
KR101235147B1 (ko) 의자 머리받침장치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JP2001186954A (ja) 椅 子
KR100945574B1 (ko) 철도 차량용 풋레스트
CN113647769A (zh) 一种带有腰靠的椅子
WO2001021433A1 (fr) Siege de bebe
KR101823120B1 (ko) 경사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시트용 암 핏 레스트
KR20042628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