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68Y1 -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 Google Patents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68Y1
KR200245168Y1 KR2020010016048U KR20010016048U KR200245168Y1 KR 200245168 Y1 KR200245168 Y1 KR 200245168Y1 KR 2020010016048 U KR2020010016048 U KR 2020010016048U KR 20010016048 U KR20010016048 U KR 20010016048U KR 200245168 Y1 KR200245168 Y1 KR 200245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waist
plate
seat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수
Original Assignee
전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수 filed Critical 전은수
Priority to KR2020010016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68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이수단을 구비하여 착석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에 맞대어 뒤로 기대었을 경우에 의자 등받이와 이격되는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좌판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지지판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측판과 우측판 1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상의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3)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0)에 기대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좌판부(3) 쪽의 전방으로 전진하여 허리를 받쳐주며, 상기 의자 등받이(10)가 다시 전방으로 회동하면 후방으로 후진하여 허리를 계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수단(20)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항상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Backrest having Supporter for Supporting Loin in Chair}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이수단을 구비하여 착석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에 맞대어 뒤로 기대었을 경우에 의자 등받이로부터 이격되는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다리부와 좌판부 및 등받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의자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부 및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는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부가 구비되며, 이 좌판부 후면에는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에는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판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가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는 착석시 착석자의 등을 보다 편안하게 받쳐주고 척추에 걸리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발전되어 왔으며,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3-1033호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 우 1쌍으로 이루어지는 의자 등받이가 적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지된 종래의 의자 등받이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착석하는 경우에는 착석자 등의 곡선에 따라 유연하게 밀착되어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쳐주나,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에 기댄 경우에는 착석자의 허리가 자연스럽게 들리는 자세가 되기 때문에, 의자 등받이로부터 허리가 이격되어 착석시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에 완전히 기대어 뒤로 젖혀진 경우에도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석시 항상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허리받침수단을 구비하는 의자 등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에 완전히 기대어 뒤로 젖혀진 경우에, 좌판부 쪽의 전방으로 전진하여 허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수단을 구비하는 의자 등받이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허리받침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a)는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b)는 착석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에 기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다리부 2:높이조절부 3:좌판부
4:팔걸이부 5:머리받침부 10:등받이
11:좌측판 12:우측판 13:지지판
13a:힌지고정구 14:지지구 15:힌지
20:허리받침수단 21:수직작동부 21a:작동간
21b:힌지작동구 21c:작동판 22:수평작동부
23:허리받침부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 등받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허리받침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a)는 착석자가 바른 상태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b)는 착석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에 기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의자 등받이는, 좌판부(3)와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지지판(13)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측판(11)과 우측판(12)의 1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의자 등받이(10)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3)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0)에 기대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좌판부(3)쪽의 전방으로 전진하여 허리를 받쳐주며, 상기 의자 등받이(10)가 다시 전방으로 회동하면 후방으로 후진하여 허리를 계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수단(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자 등받이(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부(3)와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지지판(13)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측판(11)과 우측판(12) 1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3)과 의자 등받이(10)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0)에 기대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좌판부(3)쪽의 전방으로 전진하여 허리를 받쳐주며, 상기 의자 등받이(10)가 다시 전방으로 회동하면 후방으로 후진하여 허리를 계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수단(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허리받침수단(2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13) 전면에 힌지고정구(13a)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고정구(13a)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작동구(21b)에 의해 전후 회동되도록, 수직작동부(21)가 상기 지지판(13)과 의자 등받이(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수직작동부(21) 상측에는 상기 의자 등받이(10)의 후면에 접하는 작동간(21a)이 구비되며, 하측에는 작동판(21c)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작동구(21b)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운동된다. 이때, 상기 작동간(21a)의 상측단부에는 머리받침부 (5)가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작동부(21)의 하부 상기 작동판(21c)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직작동부(21)의 작동간(21a)과 반대방향으로 전후 회동되는, 수평작동부(22)가 상기 좌측판(11)과 우측판(12)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작동부(2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작동부(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후 회동하는 허리받침부(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허리받침부 (23)는 상기 의자 등받이(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며, 인체의 곡선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쿠션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은 다리부, 2는 높이조절부, 4는 팔걸이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4a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석자가 좌판부(3)에 착석하면 좌, 우측판(11)(12)으로 이루어진 의자 등받이(10)가 착석자의 등에 밀착하여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고, 허리받침수단 (20)의 허리받침부(23)는 착석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준다.
그리고, 착석자가 등을 의자 등받이(10)에 기대어 하중을 가하게 되면, 의자등받이(10)는 지지구(14)를 기준으로 상부는 후방으로 회동하며, 하부는 전방으로 회동하여 착석자의 등을 계속적으로 받쳐주고, 착석자의 허리는 자연스럽게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의자 등받이(10)와 이격된다.
이때, 상기 의자 등받이(10)의 상부가 후방으로 회동할 때, 이 상부와 접하는 작동간(21a)이 후방으로 회동하고, 작동판(21c)은 전방으로 회동하며, 상기 작동판(21c)과 연결된 수평작동부(22)와 허리받침부(23)도 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허리받침부(23)는 계속하여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준다.
또한,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0)에 가한 하중을 제거하면 착석자의 등에 의해 의자 등받이(10)의 상부는 전방으로 회동하고, 하부는 후방으로 회동한다. 이때, 착석자의 허리는 허리받침부(23)와 밀착된 상태에서 후방측으로 밀어준다.
또한편으로, 상기 허리받침부(23)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수평작동부(22)와 작동판(21c)이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작동간(21a)은 전방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되는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에 의하면, 허리받침수단을 구비하여 착석자의 허리를 항상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에 완전히 기대어 뒤로 젖혀진 경우에도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석시 항상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항상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좌판부와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지지판에 장착되어 지지되며,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좌측판과 우측판 1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통상의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3)에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석자가 의자 등받이(10)에 기대어 후방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좌판부(3)쪽의 전방으로 전진하여 허리를 받쳐주며, 상기 의자 등받이(10)가 다시 전방으로 회동하면 후방으로 후진하여 허리를 계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수단(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수단(20)은 상기 지지판(13) 전면에 구비되는 힌지고정구(13a)와;
    상기 힌지고정구(13a)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작동구(21b)에 의해 전후 회동되며, 상기 지지판(13)과 의자 등받이(10)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작동부(21)와;
    상기 수직작동부(21)의 하부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수직작동부(21)의 상측과 반대방향으로 전후 회동되며, 상기 좌측판(11)과 우측판(12)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작동부(22)와;
    상기 수평작동부(22)의 일단에 구비되어 허리받침부(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20010016048U 2001-05-30 2001-05-30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245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48U KR200245168Y1 (ko) 2001-05-30 2001-05-30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048U KR200245168Y1 (ko) 2001-05-30 2001-05-30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168Y1 true KR200245168Y1 (ko) 2001-10-29

Family

ID=7306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048U KR200245168Y1 (ko) 2001-05-30 2001-05-30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6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100434998B1 (ko) * 2002-03-18 2004-06-09 주식회사 일룸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0863182B1 (ko) * 2007-05-09 2008-10-13 이훈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1056076B1 (ko) 2009-02-13 2011-08-10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502994B1 (ko) 2014-05-02 2015-03-17 (주)씨텍코리아 의자 등받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100434998B1 (ko) * 2002-03-18 2004-06-09 주식회사 일룸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0863182B1 (ko) * 2007-05-09 2008-10-13 이훈 일체형 허리받이와 머리받이가 장착된 의자
KR101056076B1 (ko) 2009-02-13 2011-08-10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502994B1 (ko) 2014-05-02 2015-03-17 (주)씨텍코리아 의자 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946A (en) Chair with movable back support
CA1084177A (en) Portable folding orthopedic chair
CA1287291C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CA1309334C (en) Chair
JP3977005B2 (ja) 椅子
KR200447924Y1 (ko) 허리의 스트레칭 및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바른자세를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의자
JPH10165252A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WO2007033472A1 (en) Tiltable chair with seat depth adjustability
KR200245168Y1 (ko)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JP417646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JP3012765B2 (ja) 座席装置
JP4170829B2 (ja) 椅子における背凭れ装置
KR20220139174A (ko) 좌변기용 가동식 등받이 장치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61365Y1 (ko) 의자
CN218889465U (zh) 一种座椅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JP2002291808A (ja) 腰掛座面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JPH059868Y2 (ko)
JP3102151U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