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324A - 요추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요추받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324A
KR20030012324A KR1020010046307A KR20010046307A KR20030012324A KR 20030012324 A KR20030012324 A KR 20030012324A KR 1020010046307 A KR1020010046307 A KR 1020010046307A KR 20010046307 A KR20010046307 A KR 20010046307A KR 20030012324 A KR20030012324 A KR 20030012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chair
backrest
support
lum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193B1 (ko
Inventor
박형준
조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1-004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1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요추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10)와,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30)를 가지는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추받이(50)(150)와, 등받이(3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놉(60)과, 회전놉(60)의 회전에 따라 요추받이(50)(150)를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및 몰입시키는 회전봉(70)(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추받이 의자{Lumbar support chair}
본 발명은 요추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등받이로부터 요추받이의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요추받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의자는 크게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와, 팔이 걸쳐지는 팔걸이등으로 이루어진다. 좌석받이 및 등받이에는 안락함을 배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의자는 일반적인 의자로서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자의 고급화 및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용한 다른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석하는 사람의 요추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요추받이를 가지며, 그 요추받이의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편안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요추받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제1실시예로서, 도 1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제2실시예로서,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석받이 20 ... 다리
21 ... 캐스터 30 ... 등받이
40 ... 팔걸이 50 ... 요추받이
50a ... 쿠션 51 ... 너트부
60 ... 회전놉 70 ... 회전봉
71 ... 볼트부 80 ... 베어링
150 ... 요추받이 151 ... 볼트부
170 ... 회전봉 171 ... 너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추받이 의자는,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10)와,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30)를 가지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요추받이(50)(150)와, 상기 등받이(3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놉(60)과, 상기 회전놉(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추받이(50)(150)를 상기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및 몰입시키는 회전봉(70)(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50)에는 너트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70)에는 상기 너트부(5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봉(70)은 상기 등받이(30)에 고정되는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150)에는 볼트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170)에는 상기 볼트부(151)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봉(170)은 상기 등받이(30)에 고정되는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50)(150)에는 쿠션(50a)(150a)이 덮여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요추받이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크게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석받이(10)와, 좌석받이(10)를 지지하는 다리(20)와, 좌석받이(10)에 결합되며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30)와, 팔이 걸쳐지는 팔걸이(40)를 포함한다. 다리(20)의단부에는 캐스터(21)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석받이(10) 및 등받이(30)에는 안락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쿠션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원의 특징에 따르면, 등받이(30)에는 그 전면으로 돌출되거나 몰입되는 요추받이(50)를 설치하여 편안함을 배가시키도록 한다.
도 2는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제1실시예로서, 도 1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의 전면에는 앉은 사람의 요추를 받쳐주는 요추받이(50)가 설치된다. 등받이(30)의 배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놉(60)이 설치되고, 등받이(30)의 내부에는 회전놉(60)의 회전에 의하여 요추받이(50)를 등받이(30)로부터 돌출시키거나 몰입시키는 회전봉(70)이 설치된다.
요추받이(50)는 전체적으로 기다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요추에 더 큰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쿠션(50a)이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추받이(50)에는, 등받이(30) 내측으로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너트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요추받이(50)는 등받이(3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고 돌출 및 몰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봉(70)에는 요추받이(50)의 너트부(5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7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봉(70)은 등받이(30)에 고정된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놉(60)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 의자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람이 의자에 깊숙이 착석하게 되면, 등 및 요추가 등받이에 밀착된다. 이때, 요추는 요추받이(50)에 의하여 받쳐지므로 착석자는 더욱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체형에 따라 요추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등받이(30)의 배면에 있는 회전놉(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놉(60)에 의하여 회전봉(70)이 회전하고, 회전봉(70)의 볼트부(71)는 요추받이(50)의 너트부(51)에서 회전한다. 이때, 요추받이(50)는 등받이(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으므로, 볼트부(71)와 너트부(51)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서 등받이(3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된다. 착석자는 자기 체형에 맞도록 요추받이(50)를 돌출시키거나 몰입시켜 사용한다.
도 3은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의 제2실시예로서, 도 1의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 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의 전면에는 앉은 사람의 요추를 받쳐주는 요추받이(150)가 설치되고, 등받이(30)의 배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놉(60)이 설치되며, 등받이(30)의 내부에는 회전놉(60)의 회전에 의하여 요추받이(150)를 등받이(30)로부터 돌출시키거나 몰입시키는 회전봉(170)이 설치된다.
요추받이(150)는 전체적으로 기다란 형상을 함과 동시에 쿠션(150a)이 덮여져 있고, 등받이(30)에서 회전되지 않고 돌출 및 몰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요추받이(150)에는 등받이(30) 내측 방향으로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봉(170)에는 요추받이(150)의 볼트부(151)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봉(170)은 등받이(30)에 고정된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놉(60)과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요추받이 의자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람이 의자에 깊숙이 않게 되면, 등 및 요추가 등받이(30)에 밀착된다. 이때, 요추는 요추받이(150)에 의하여 받쳐지므로 더욱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이때, 사람의 체형에 따라 요추의 편안함이 다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등받이(30)의 배면에 있는 회전놉(6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놉(60)에 의하여 회전봉(70)이 회전하고, 회전봉(70)의 너트부(171)는 요추받이(150)의 볼트부(15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때, 요추받이(150)는 등받이(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으므로, 볼트부(151)와 너트부(171)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서 등받이(3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된다. 착석자는 자기 체형에 맞도록 요추받이(150)를 돌출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의 요추받이 의자에 따르면, 요추받이가 착석자의 요추를 받쳐주어 편안함을 배가시키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요추받이의 돌출 및 몰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10)와, 등이 기대어지는 등받이(30)를 가지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추받이(50)(150)와, 상기 등받이(3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놉(60)과, 상기 회전놉(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요추받이(50)(150)를 상기 등받이(3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및 몰입시키는 회전봉(70)(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50)에는 너트부(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70)에는 상기 너트부(5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봉(70)은 상기 등받이(30)에 고정되는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150)에는 볼트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170)에는 상기 볼트부(151)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17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봉(170)은 상기 등받이(30)에 고정되는 베어링(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 의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이(50)(150)에는 쿠션(50a)(150a)이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받이 의자.
KR10-2001-0046307A 2001-07-31 2001-07-31 요추받이 의자 KR10042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07A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1-07-31 요추받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07A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1-07-31 요추받이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24A true KR20030012324A (ko) 2003-02-12
KR100427193B1 KR100427193B1 (ko) 2004-04-14

Family

ID=2771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307A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1-07-31 요추받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30B1 (ko) 2009-09-25 2011-06-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967201B1 (ko) 2018-08-31 2019-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요추받이부 굴곡조절모듈이 구비된 의자
KR102078658B1 (ko) 2019-10-16 2020-02-18 동성사무기기(주)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KR20220000551U (ko) 2020-08-28 2022-03-08 (주)일루일루 요추지지 의자
KR20220052230A (ko) 2020-10-20 2022-04-2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 교정 탈부착 쿠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08U (ko) * 1975-07-19 1977-02-03
JP2858094B2 (ja) * 1995-03-13 1999-02-17 コクヨ株式会社 椅子の背凭れ部等の接合構造
KR19990046125A (ko) * 1999-03-26 1999-06-25 차석출 의자등받이
KR200178232Y1 (ko) * 1999-11-02 2000-04-15 길영옥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189721Y1 (ko) * 2000-02-24 2000-07-15 길영옥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191797Y1 (ko) * 2000-03-10 2000-08-16 길영옥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245168Y1 (ko) * 2001-05-30 2001-10-29 전은수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193B1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4705B1 (en) Commode chair with enhanced user support
KR20110074342A (ko) 기능성 의자
WO2007033472A1 (en) Tiltable chair with seat depth adjustability
KR100427193B1 (ko) 요추받이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US6616234B1 (en) Adjustable back furniture
US20050017565A1 (en) Office chair with inflatable cellular insert
KR200438932Y1 (ko) 맞춤형 의자
KR200379971Y1 (ko) 요추지지 의자
KR200245168Y1 (ko)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200442423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0325403Y1 (ko) 보조등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79699Y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JP2002291808A (ja) 腰掛座面
KR200226584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KR20100092803A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0607537B1 (ko) 운동 보조기구 겸용 사무용 무릎 의자
KR200168740Y1 (ko) 발 받침대를 가진 의자
JP2022158152A (ja) 背凭れリクライニング支持構造
KR950008828Y1 (ko) 안락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