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430B1 -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430B1
KR101044430B1 KR1020090091293A KR20090091293A KR101044430B1 KR 101044430 B1 KR101044430 B1 KR 101044430B1 KR 1020090091293 A KR1020090091293 A KR 1020090091293A KR 20090091293 A KR20090091293 A KR 20090091293A KR 101044430 B1 KR101044430 B1 KR 101044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plate
chai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704A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30B1/ko
Priority to PCT/KR2010/006554 priority patent/WO2011037431A2/ko
Publication of KR2011003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맞게 요추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뒤로 젖혀질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정상 상태에 위치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도 함께 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인체 공학적인 의자의 등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와, 등판부를 지지하는 등판부 지지대와, 등판부의 상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등판부의 상부를 등판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과, 등판부의 하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등판부에 가해지면 등판부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유닛과,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등판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요추받이와; 그리고 요추받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의자, 등, 요추, 지지, 전후, 이동, 탄성

Description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BACK SUPPORTING APPARATUS OF A CHAIR INCLUDING A LUMBAR REST}
본 발명은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횡방향으로 두 개의 등판이 나란히 배열된 투 백 타입의 등판부를 갖는 의자가 아닌 단 하나의 등판이 구비된 원 백 타입의 등판부를 갖는 의자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크기(예를 들어, 앉은키, 요추의 만곡정도 등)에 맞게 요추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뒤로 젖혀질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정상 상태에 위치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도 함께 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인체 공학적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에 수직하게 위치되되 좌판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의 일부인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받이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등을 편하게 지지하기 위해 등판부를 의자의 전/후 방향으 로 회동시킬 수 있는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가 좌판부의 하단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틸팅 장치가 더 구비될 경우 등판부의 하단은 틸팅 장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등판부의 상단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가 기지개를 펴거나 등을 뒤로 젖힐 때 등판부가 이에 따라 전/후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제대로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등판부가 좌/우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좌판부 또는 틸팅 장치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주위의 물건을 집는 등의 행위를 하기 위해 등을 좌/우로 움직일 경우 등판이 같이 좌/우 회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사용자는 의자에 갇혀 있는 답답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등판부가 등과 같이 좌/우 회전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등이 좌측 후방 또는 우측 후방으로 쏠릴 경우, 등의 척추 및 요추 부위가 등판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궁극적으로, 척추 및 요추에 스트레스가 집중되므로 사무실이나 독서실 등에서 장시간 이런 상태를 유지할 경우 척추 또는 요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한, 요추받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타입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 술적 과제는, 횡방향으로 두 개의 등판이 나란히 배열된 투 백 타입의 등판부를 갖는 의자가 아닌 단 하나의 등판이 구비된 원 백 타입의 등판부를 갖는 의자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크기(예를 들어, 앉은키, 요추의 만곡정도 등)에 맞게 요추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과 함께,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뒤로 젖혀질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원 백 타입의 등판부가 정상 상태에 위치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의 좌/우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도 함께 좌/우로 회전될 수 있는 인체 공학적인 의자의 등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를 지지하는 등판부 지지대와; 상기 등판부의 상부와 상기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의 상부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과; 상기 등판부의 하부와 상기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상기 등판부에 가해지면 상기 등판부의 하부가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유닛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요추받이와;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요추받이는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는 요추 바디와; 그리고 상기 요추 바디의 전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요추 바디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관통홀에 상응하도록 상기 요추 쿠션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과; 상기 제1 관통홀에 관통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1 볼트와; 그리고 상기 제1 볼트가 뒤로 후퇴됨 없이 제자리에서 헛돌 수 있도록 제1 볼트를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볼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볼트가 제1 나사홈을 따라 정 회전되면서 상기 요추 쿠션부가 전진될 수 있고, 상기 제1 볼트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볼트가 제1 나사홈을 따라 역 회전되면서 상기 요추 쿠션부가 후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요추 쿠션부가 전/후 이동되는 동안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후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전후 안내부는 상기 요추 쿠션부의 배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와;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가 인입출 되도록 상기 요추 바디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홈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 돌기와 상기 안내홈의 종단면은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나사홈은 상기 안내 돌기에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안내홈은 동심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 쿠션부는 상기 요추 바디에 구비되는 요추 지지판과; 상기 요추 지지판에 구비되는 요추 쿠션과; 그리고 상기 제1 볼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 면서 상기 안내 돌기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요추 지지판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추 지지판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판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스프링은 상기 요추 지지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판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요추 지지판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판형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요추 지지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위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에 힘이 가해져 상기 요추 지지판에 집중 하중이 전해질 때 상기 판형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요추 지지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 후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복원 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추 쿠션부는, 상기 제1 볼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 돌기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요추 지지판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추 쿠션의 내측 중심에 설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볼트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에 결합됨과 함께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을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 도록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추 바디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이 뒤로 후퇴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가 잡고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상기 등판부 지지대와 상기 요추받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부 지지대는 제1 수직바와;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에서 설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수직바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요추 바디의 일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수직바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요추 바디의 타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안내 레일과; 그리고 상기 요추 바디를 해당 높이에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 레일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필요시 걸리도록 상기 요추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부는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 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되는 단일 형상의 판형 부재와; 그리고 상기 판형 부재에 고정되는 스폰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요추받이가 위치되는 제1 부분과 그 이외의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가 상기 전후 이동 유닛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상기 판형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이 사용자의 요추를 향해 원활하게 밀리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설정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위로 볼록한 "∩" 형상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판부는, 다른 예로서,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 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등판 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쉬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가 상기 전후 이동 유닛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메쉬 부재가 자체 탄성에 의해 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되며 등판부의 외형을 이룰 수 있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부의 중심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의 중심부를 탄성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 중심부에 장착되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되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 및 제3 결합체와; 그리고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사이 및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3 결합체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기 하부 중심부에 돌출부가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체는 상기 돌출부에 볼트 체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판 프레임이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 상기 제2 결합체 및 상기 제3 결합체가 상기 등판 프레임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1 결합체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는 상기 제2 및 제3 결합체를 각각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2 및 제3 안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이 상기 탄성 유닛을 통해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대해 좌/우 회전되는 동안 상기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부 지지대 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의 횡단면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향해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홈과;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을 거쳐 상기 제2 나사홈에 체결되는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볼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배면 중 상기 제2 볼트가 체결된 부위를 덮는 볼트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요추받이 및 전후 이동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요추 형상에 맞추어 사용자의 요추를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 이동 유닛이 더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추어 사용자의 요추를 더욱 바람직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 이동 유닛의 각 구성요소들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됨과 함께 상하 이동 유닛의 각 구성요소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즉 전후 이동 유닛 및 상하 이동 유닛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바 형상의 조절용 노브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옷 등이 찢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디자인 측면에서도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부의 상부가 등판부 지지대의 상부 중심부에 고정 유닛에 의해 고정되고, 등판부의 하부 중심부가 등판부 지지대의 하부 중심부에 탄성 유닛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정상 상태(등판부가 바로 된 상태)의 의자에 않아서 일을 할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은 요추 아랫부분에 위치되게 되므로 즉, 탄성 유닛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주위 물건을 집는 등 좌/우로 몸을 틀 경우 등의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 또한 회전하게 되어 등의 인체 공학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틸팅 장치 등을 이용하여 등판부를 젖혀서 잠을 청하는 등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가슴 윗 부분으로 올라오게 되므로 즉, 고정 유닛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체를 뒤치기더라도 상체가 좌/우로 거의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 등판부가 회전되게 되면 놀라서 잠에서 깨거나 깊은 잠을 청하지 못하는 등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 프레임의 하부 중심부에서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됨과 함께 제1 결합체가 이 돌출부에 체결됨에 따라, 등판 프레임이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되더라도 제2 및 제3 결합체는 등판 프레임에 간섭되지 않을 것이고, 돌출부와의 간섭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등판 프레임의 좌/우 회전 범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등판부(100)와 등판부 지지대(200)와 탄성 유닛(400)과 그리고 요추받이(50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서 등판부(100)가 분해된 상태 를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요추받이(500)를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요추받이(500)를 뒤에서 바라본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등(요추 포함)을 지지 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백 타입의 등판부(100)와, 등판부 지지대(200)와, 요추받이(500)와, 전후 이동 유닛(700)과, 고정 유닛(300)과, 그리고 탄성 유닛(400)을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원 백 타입의 등판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등판을 이용하여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두 개의 등판이 나란히 배열된 투 백 타입의 등판부와는 대별된다. 나아가, 이러한 원 백 타입의 등판부(100)는 쿠션의 재질에 따라 스폰지 쿠션 타입과 메쉬 쿠션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스폰지 쿠션 타입을 갖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110)과, 등판 프레임(110)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등판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단일 형상의 판형 부재(120)와, 그리고 판형 부재(120)에 고정되는 스폰지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쉬 쿠션 타입을 갖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미도시)는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 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미도시)과, 그리고 등판 프레임(미도시)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등판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메쉬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메쉬 부재"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 소재(mesh material)로 이루어진 것을 일컫는다.
나아가, 등판 프레임(110)은 등판부(100)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등판부(100)가 원 백 타입을 가짐에 따라 등판 프레임(110)은 등판부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등판부 지지대(200)는 사용자의 등이 아닌 등판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기술"란에 언급된 바와 같이 틸팅 장치(도 14의 "10" 참조)를 갖는 의자에 등판부 지지대(200)가 적용될 경우에는 등판부 지지대(200)는 틸팅 장치(도 14의 "10" 참조)와 연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틸팅 장치(도 14의 "10" 참조)가 없는 의자인 경우에는 등판부 지지대(200)는 좌판부(미도시) 또는 다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이러한 등판부 지지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300)이 구비되는 상부 수평바(210)와, 탄성 유닛(400)이 구비되는 하부 수평바(220)와, 상부 수평바(210)와 하부 수평바(220)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수직바(230)와, 그리고 상부 수평바(210)와 하부 수평바(220)를 서로 연결하되 제1 수직바(230)에서 설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수직바(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요추받이(500)를 구제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요추받이(500) 및 그 주위 부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의 VIII-VIII 단면도이다.
요추받이(500)는 등판부(100)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받이(500)는 제1 및 제2 수직바(230)(24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가 직접 잡아서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요추 바디(510)와, 그리고 요추 바디(510)의 전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쿠션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바디(510)를 제1 수직바(230) 및 제2 수직바(240) 사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기 위해 상하 이동 유닛(600)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이동 유닛(600)은,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바(230)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요추 바디(510)의 일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안내 레일(610)과, 제2 수직바(240)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요추 바디(510)의 타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안내 레일(620)과, 그리고 요추 바디(510)를 해당 높이에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630)는 제1 및 제2 안내 레일(610)(620)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631)과, 그리고 복수개의 걸림 턱(631) 중 어느 하나에 필요시 걸리도록 요추 바디(5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 걸림돌기(6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요추받이(50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요추 바디(510)를 잡고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리면 요추 바디(510)의 양측이 제1 및 제2 안내 레일(610)(6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필요한 높이에 이르러 사용자가 요추 바디(510)를 놓으면 탄성 걸림돌기(632)가 복수개의 걸림턱(631) 중 해당 높이에 위치된 걸림턱(631)에 걸리면서 멈추게 된다.
또한,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받이(500)의 요추 쿠션부(520)는 전후 이동 유닛(700)에 의해 전/후 이동될 수 있다.
전후 이동 유닛(700)은 요추 바디(51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710)과, 제1 관통홀(710)에 상응하도록 요추 쿠션부(520)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720)과, 제1 관통홀(710)에 관통되어 그 끝단이 제1 나사홈(720)에 결합되는 제1 볼트(730)와, 그리고 제1 볼트(730)가 뒤로 후퇴됨 없이 제자리에서 헛돌 수 있도록 제1 볼트(730)를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파지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볼트(7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볼트(730)가 제1 나사홈(720)을 따라 정 회전되면서 요추 쿠션부(520)가 전진될 수 있고, 제1 볼트(7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볼트(730)가 제1 나사홈(720)을 따라 역 회전되면서 요추 쿠션부(520)가 후진될 수 있다.
또한, 전후 이동 유닛(700)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쿠션부(520)가 전/후 이동되는 동안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후 안내부(G)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 안내부(G)는 요추 쿠션부(520)의 배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750)와, 그리고 안내 돌기(750)가 인입출 되도록 상기 요추 바디(510)에 형성되는 안내홈(7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돌기(750)가 안내홈(760)을 따라 정확히 이동되므로 요추 쿠션부(520)가 요추 바디(510)로부터 전/후진되는 동안 요추 쿠션부(520)의 요동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나아가, 안내 돌기(750)가 안내홈(760)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회전되지 않도록 안내 돌기(750)와 안내홈(760)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나 다각형상을 할 경우, 요추 쿠션부(520)가 전/후진되는 동안 또는 요추받이(500)가 상/하 이동되는 동안 요추 쿠션부(520)가 요추 바디(510)를 기준으로 도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홈(720)은 안내 돌기(750)에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관통홀(710)과 안내홈(760)은 동심원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부위에 두 개의 구성요소가 함께 형성됨에 따라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쿠션부(520)는 요추 바디(510)에 구비되는 요추 지지판(521)과, 요추 지지판(521)에 구비되는 요추 쿠션(522)과, 그리고 요추 지지판(521)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판형 스프링(52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판형 스프링(523)은 등판부(100)의 하부가 좌/우 회전되는 동안 가해지는 힘 또는 제1 볼트(7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내 돌기(750)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요추 지지판(521)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요추 지지판(521)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요 추 지지판(521)을 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판형 스프링(52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제1 볼트의 회전에 의해 안내 돌기(750) 및 요추 지지판(521)의 중심에 집중 하중이 가해질 때 판형 스프링(523)은 요추 지지판(521)에 미치는 집중 하중으로부터 요추 지지판(521)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요추 지지판(521)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판형 스프링(523)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상태를 실선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0는 등판부(100)의 하부가 등 및 탄성 유닛(400)에 의해 좌/우 회전될 때 판형 스프링(523)이 요추 지지판(521)에 미치는 집중 하중으로부터 요추 지지판(521)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요추 지지판(521)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판형 스프링(523)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상태를 실선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다.
판형 스프링(523)은 요추 지지판(5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판형 스프링(523)의 일단은 요추 지지판(521)에 고정될 수 있고, 각각의 판형 스프링(523)의 타단은 요추 지지판(5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이동 유닛(700)에 의해 안내 돌기(750)에 힘이 가해져 화살표 방향으로 요추 지지판(521)의 중심이 눌리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00)의 하부가 좌/우 회전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요추 지지판(521)의 좌/우측이 눌릴 때, 판형 스프링(523)의 타단이 요추 지지판(521)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도 9 및 도 10의 점선과 같이 슬라이딩되 면서 이동 후 요추 지지판(521)을 복원 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요추 쿠션부(520)는 탄성 보강부(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탄성 보강부(524)는 상술한 판형 스프링(523)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제1 볼트(7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내 돌기(750)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요추 지지판(521)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요추 지지판(521)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521)을 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요추 쿠션(522)의 내측 중심에 설정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후 이동 유닛(700)은 제1 볼트(730)와 동심원을 이루며 제1 볼트(730)의 머리에 결합됨과 함께 제1 볼트(730)의 머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의 지름의 제1 볼트(730)의 머리의 지름보다 큼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하는데 보다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을 한번 돌릴 경우 제1 볼트(730)가 여러 번 돌게 되므로 요추 쿠션부(520)의 전/후진 조작이 상당히 수월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 있는 파지부(740)는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을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짐과 함께 요추 바디(510)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770)의 배면에 위치되어 전후 이동 용 조절 다이얼(770)이 뒤로 후퇴되는 것을 막아줄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가 잡고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그립 형상이란 어려움 없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상술한 스폰지 쿠션 타입을 갖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100)가 채용할 경우, 상술한 판형 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받이(500)가 위치되는 제1 부분(121)과 그 이외의 제2 부분(122)을 나눌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설정 형상의 절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요추받이(500)가 전후 이동 유닛(700)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판형 부재(120)의 제1 부분(121)이 사용자의 요추를 향해 원활하게 밀리게 되므로 요추받이(500)의 역할을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23)는 위로 볼록한 대략 "∩"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절개되지 않은 제1 부분(121)의 하단[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이 서로 연결된 부위]을 기준으로 제1 부분(121)이 회전되면서 전진하게 되므로 제1 부분(121)은 제1 부분(121)의 하단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궁극적으로, 이렇게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제1 부분(121)은 요추의 하중 중 아래를 향하는 힘을 원활하게 떠받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상술한 메쉬 쿠션 타입을 갖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미도시)가 채용될 경우에는, 요추받이(500) 가 전후 이동 유닛(700)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메쉬 부재(미도시)가 자체 탄성에 의해 밀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타입에서는 상술한 절개부(123)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고정 유닛(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정 유닛(3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프레임(110)의 상부와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수평바(210) 사이에 구비되며 등판 프레임(110)의 상부를 상기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수평바(2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 유닛(300)은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수평바(210)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310)과, 등판 프레임(110)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홈(320)과, 그리고 제2 관통홀(310)을 거쳐 제2 나사홈(320)에 체결되는 제2 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트(330)를 제2 관통홀(310) 및 제2 나사홈(32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돌리게 되면 제2 볼트(330) 및 제2 나사홈(320)의 결합력에 의해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수평바(210) 및 등판 프레임(110)의 상부는 서로 고정된다.
나아가, 제2 볼트(330)의 머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즉 시각 디자인 측면에서 외관이 아름답게 보이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300)은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수평바(210)의 배면 중 제2 볼트(330)가 체결된 부위를 덮는 볼트 캡(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탄성 유닛(4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탄성 유닛(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와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중심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등판 프레임(110)에 가해지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탄성 유닛(400)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의 XI-XI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유닛(400)은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에 장착되는 제1 결합체(410)와, 제1 결합체(410)의 일단에 위치되되 등판부 지지대(200)에 좌 방향(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좌 방향)으로 위치되고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에 장착되는 제2 결합체(420)와, 제1 결합체(410)의 타단에 위치되되 등판부 지지대(200)에 우 방향(도 2를 기준으로 볼 때 우 방향)으로 위치되고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에 장착되는 제3 결합체(430)와, 제1 결합체(410)와 제2 결합체(42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탄성체(440)와, 제1 결합체(410)와 제3 결합체(430)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탄성체(45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탄성체(440)의 일단은 제1 결합체(410)의 일단에 접착되고, 제1 탄성체(440)의 타단은 제2 결합체(420)의 일단에 접착된다. 제2 탄성체(450)의 일단은 제1 결합체(410)의 일단에 접착되고, 제2 탄성체(450)의 타단은 제3 결합 체(430)의 타단에 접착된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같이, 제1 결합체(410)는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체결공(411)이 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볼트(412)가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3)과, 그리고 제1 결합체(410)에 형성된 제1 체결공(411)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와 제1 결합체(4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체(420)는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좌측(도 2를 기준으로 좌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결합공(421)이 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결합 볼트(422)가 제2 결합체(420)에 형성된 제2 결합공(421)과, 그리고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좌측에 형성된 제2 체결공(423)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과 제2 결합체(4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결합체(430)는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우측(도 2를 기준으로 우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경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3 결합공(431)이 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결합 볼트(433)가 제3 결합체(430)에 형성된 제3 결합공(431)과, 그리고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우측에 형성된 제3 체결공(432)에 순차적으로 체결되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과 제3 결합체(4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예로서, 조립의 편의성(추후 부품 교체 등의 편의성을 포함)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술한 제1, 제2 및 제3 결합체(410)(420)(430)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 제1 및 제2 탄성체(440)(450)는 접착제(미도시) 등에 의해 해당 부품들에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상술한 제1, 제2 및 제3 결합체(410)(420)(430)를 굳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등판 프레임(110) 및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1 및 제2 탄성체(440)(450)는 등판 프레임(110) 및 하부 수평바(220)에 열 융착에 의해 직접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탄성 유닛(400)은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의 각 배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마찰 돌기(4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는 마찰 돌기(400a)에 의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에 제대로 안착될 수 있다.
이하, 도 14,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고정 유닛(300) 및 상술한 탄성 유닛(400)이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다.
도 14는 등판부(100)가 정상 상태에 위치된 의자에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요추 아랫부분에 위치됨을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5는 사용자가 등판부(100)를 뒤로 젖힐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가슴 윗부분에 위치됨을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6은 등판부(100) 중 탄성 유닛(400)과 고정 유닛(300) 사이에서의 좌/우 회전 정도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등판부(100)의 상부가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중심부에 고정 유닛(300)에 의해 고정되고, 등판부(100)의 하부 중심부[예를 들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가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중심부[예를 들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중심부]에 탄성 유닛(40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상 상태[등판부(100)가 바로 된 상태]의 의자에 않아서 일을 할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은 요추 아랫부분에 위치되게 되므로 즉, 탄성 유닛(400)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주위 물건을 집는 등 좌/우로 몸을 틀 경우 등의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100) 또한 좌/후 회전하게 되어 등의 인체 공학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장치(10) 등을 이용하여 등판부(100)를 젖혀서 잠을 청하는 등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가슴 윗부분으로 올라오게 되므로 즉, 고정 유닛(300)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체를 뒤치기더라도 상체가 좌/우로 거의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자고 있는 동안에 등판부(100)가 회전되어 놀라는 일이 없이 사용자의 등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유닛(400)에 가까워질수록 즉, 고정 유닛(300)에서 멀어질수록 등판부(100)의 회전 정도는 점점 커지게 되고(화살표 참조), 그리고 탄성 유닛(400)에서 멀어질수록 즉, 고정 유닛(300)에 가까워질수록 등판부(100)의 회전 정도는 점점 작아지게 된다(화살표 참조). 따라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에 따라 즉, 등판부(100)가 뒤로 젖혀지는 정도에 따라, 등판부(100)의 회전 정도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등판부(100)가 바로선 상태에서 일을 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탄성 유닛(400)에 가까워지게 되어 등판부(100)의 회전 정도가 크게 되므로 일을 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없어질 것이고, 등판부(100)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잠을 청할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고정 유닛(300)에 가까워지게 되어 등판부(100)의 회전 정도가 매우 작게 되므로 잠을 청하는 중 등판부(100)의 회전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수면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2는 돌출부(111)에 제1 결합체(410)가 구비됨에 따라 등판 프레임(110)이 좌/우 회전되더라도 등판 프레임(110)과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가 서로 간섭될 수 없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정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100)는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에서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결합체(410)는 제1 결합 볼트(412)에 의해 돌출부(11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체(410)가 돌출부(111)에 체결되고,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에 체결되는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는 제1 결합체(410)를 기준으로 좌/우에 위치됨에 따라, 등판 프레임(110)이 등판부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되더라도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는 등판 프레임(110)에 간섭되지 않을 것이고, 돌출부(111)와의 간섭 또한 최소화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등판 프레임(110)의 좌/우 회전 범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1)는 등판 프레임(110)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 제2 결합체(420) 및 제3 결합체(430)가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1)에는 제1 결합체(410)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부(111a)가 형성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제1 안착부(111a)가 형성되므로 제1 결합체(410)의 체결 위치를 빠르게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2,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부 지지대(200)에는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를 각각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2 및 제3 안착부(200a)(200b)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제2 및 제3 안착부(200a)(200b)가 또한 형성되므로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의 체결 위치를 빠르게 정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200)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등판 프레임(110)이 좌/우 회전되더라도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와 등판부 지지대(200)가 서로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 프레임(110)이 탄성 유닛(400)을 통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에 대해 좌/우 회전되는 동안 등판 프레임(110)과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 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의 횡단면은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를 향해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13에 나타난 화살표는 좌/우 회전이 가능한 유효 유격을 나타낸 것으로서,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의 횡단면이 직선 형상을 갖는 것에 비해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질 때 그 유효 유격이 커짐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요추받이(500) 및 전후 이동 유닛(700)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 형상에 맞추어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의 요추를 인체 공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 이동 유닛(600)이 더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추어 사용자의 요추를 더욱 바람직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 이동 유닛(7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됨과 함께 상하 이동 유닛(6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즉 전후 이동 유닛(700) 및 상하 이동 유닛(600)에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바(bar) 형상의 조절용 노브(knob)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음에 따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옷 등이 찢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디자인 측면에서도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부(100)의 상부가 등판부 지지대(200)의 상부 중심부에 고정 유닛(300)에 의해 고정되고, 등판부(100)의 하부 중심부[예를 들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가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중심부[예를 들어, 등판부 지지대(200)의 하부 수평바(220)의 중심부]에 탄성 유 닛(40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상 상태[등판부(100)가 바로 된 상태]의 의자에 않아서 일을 할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은 요추 아랫부분에 위치되게 되므로 즉, 탄성 유닛(400)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주위 물건을 집는 등 좌/우로 몸을 틀 경우 등의 움직임에 따라 등판부(100) 또한 회전하게 되어 등의 인체 공학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장치(10) 등을 이용하여 등판부(100)를 젖혀서 잠을 청하는 등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가슴 윗부분으로 올라오게 되므로 즉, 고정 유닛(300)에 가까워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체를 뒤치기더라도 상체가 좌/우로 거의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잠을 자는 동안 등판부(100)가 회전되게 되면 사용자가 놀라서 잠에서 깨거나 깊은 잠을 청하지 못하는 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등판 프레임(110)의 하부 중심부에서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1)가 더 구비됨과 함께 제1 결합체(410)가 이 돌출부(111)에 체결됨에 따라, 등판 프레임(110)이 등판부 지지대(200)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되더라도 제2 및 제3 결합체(420)(430)는 등판 프레임(110)에 간섭되지 않을 것이고, 돌출부(111)와의 간섭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등판 프레임(110)의 좌/우 회전 범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등판부와 등판부 지지대와 탄성 유닛과 요추받이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서 등판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앞에서 바라본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요추받이를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요추받이를 뒤에서 바라본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요추받이 및 그 주위 부품들을 나타낸 것으로, 도 7의 VIII-VIII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볼트의 회전에 의해 안내 돌기 및 요추 지지판의 중심에 집중 하중이 가해질 때 판형 스프링은 요추 지지판에 미치는 집중 하중으로부터 요추 지지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요추 지지판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판형 스프링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상태를 실선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등판부의 하부가 등에 의해 좌/우 회전될 때 판형 스프링이 요추 지지판에 미치는 집중 하중으로부터 요추 지지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후 요추 지지판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판형 스프링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는 상태를 실선과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 지지 장치 중 탄성 유닛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돌출부에 제1 결합체가 구비됨에 따라 등판 프레임이 좌/우 회전되더라도 등판 프레임과 제2 및 제3 결합체가 서로 간섭될 수 없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정면도이다.
도 13은 등판 프레임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를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등판 프레임이 좌/우 회전되더라도 등판 프레임의 하부와 등판부 지지대가 서로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등판부가 정상 상태에 위치된 의자에 사용자가 앉을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요추 아랫부분에 위치됨을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5는 사용자가 등판부를 뒤로 젖힐 경우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대략 가슴 윗부분에 위치됨을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6은 등판부 중 탄성 유닛과 고정 유닛 사이에서의 좌/우 회전 정도를 나 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등판부 200: 등판부 지지대
300: 고정 유닛 400: 탄성 유닛
500: 요추받이 510: 요추 바디
520: 요추 쿠션부 700: 전후 이동 유닛
710: 제1 관통홀 720: 제1 나사홈
730: 제1 볼트 740: 파지부
G: 전후 안내부

Claims (23)

  1.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와;
    상기 등판부를 지지하는 등판부 지지대와;
    상기 등판부의 상부와 상기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의 상부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과;
    상기 등판부의 하부와 상기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상기 등판부에 가해지면 상기 등판부의 하부가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유닛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등판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요추받이와;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 유닛
    을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요추받이는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는 요추 바디와; 그리고
    상기 요추 바디의 전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요추 바디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관통홀에 상응하도록 상기 요추 쿠션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홈과;
    상기 제1 관통홀에 관통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1 볼트와; 그리고
    상기 제1 볼트가 뒤로 후퇴됨 없이 제자리에서 헛돌 수 있도록 제1 볼트를 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볼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 볼트가 제1 나사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요추 쿠션부가 전진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요추 쿠션부가 전/후 이동되는 동안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후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전후 안내부는
    상기 요추 쿠션부의 배면 중심에 형성되는 안내 돌기와;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가 인입출 되도록 상기 요추 바디에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안내홈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 돌기와 상기 안내홈의 종단면은 타원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갖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나사홈은 상기 안내 돌기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안내홈은 동심원을 이루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요추 쿠션부는
    상기 요추 바디에 구비되는 요추 지지판과;
    상기 요추 지지판에 구비되는 요추 쿠션과; 그리고
    상기 제1 볼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 돌기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요추 지지판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추 지지판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되는 판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판형 스프링은
    상기 요추 지지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판형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요추 지지판에 고정되고;
    상기 판형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요추 지지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위치되며, 그리고
    상기 안내 돌기에 힘이 가해져 상기 요추 지지판에 집중 하중이 전해질 때 상기 판형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요추 지지판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 후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복원 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보유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요추 쿠션부는
    상기 제1 볼트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 돌기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요추 지지판이 그 힘에 의해 변형될 경우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요추 지지판을 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요추 쿠션의 내측 중심에 설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전후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볼트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에 결합됨과 함께 상 기 제1 볼트의 머리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을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요추 바디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의 배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후 이동용 조절 다이얼이 뒤로 후퇴되는 것을 막아주며; 그리고
    사용자가 잡고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립 형상을 가지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등판부 지지대와 상기 요추받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요추받이를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상하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등판부 지지대는
    제1 수직바와; 그리고
    상기 제1 수직바에서 설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제2 수직바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상하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수직바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요추 바디의 일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수직바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요추 바디의 타측을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제2 안내 레일과; 그리고
    상기 요추 바디를 해당 높이에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멈춤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내 레일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필요시 걸리도록 상기 요추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탄성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3. 제3항에서,
    상기 등판부는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 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되는 단일 형상의 판형 부재와; 그리고
    상기 판형 부재에 고정되는 스폰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 부재는 상기 요추받이가 위치되는 제1 부분과 그 이외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요추받이가 상기 전후 이동 유닛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상기 판형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이 사용자의 요추를 향해 원활하게 밀리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설정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절개부는 위로 볼록한 "∩" 형상을 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5. 제3항에서,
    상기 등판부는
    외장을 이루며 가운데가 비어 있는 고리 형상을 한 등판 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등판 프레임의 가운데 부분을 막으며 상기 등판 프레임에 고정되는 메쉬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요추받이가 상기 전후 이동 유닛에 의해 전진 이동되는 동안 메쉬 부재가 자체 탄성에 의해 밀리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등판부는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위치되며 외형을 이루는 등판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부의 중심부를 고정시키고, 그리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하부에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의 중심부를 탄성 연결시키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 중심부에 장착되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의 양단에 각각 위치되되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 및 제3 결합체와; 그리고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사이 및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3 결합체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기 하부 중심부에 돌출부가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체는 상기 돌출부에 볼트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등판 프레임이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시 상기 제2 결합체 및 상기 제3 결합체가 상기 등판 프레임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1 결합체를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부가 형성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는 상기 제2 및 제3 결합체를 각각 용이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제2 및 제3 안착부가 각각 형성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등판 프레임이 상기 탄성 유닛을 통해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대해 좌/우 회전되는 동안 상기 등판 프레임과 상기 등판부 지지대 간의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등판 프레임의 하부의 횡단면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를 향해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갖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2. 제16항에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등판부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과;
    상기 등판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나사홈과;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을 거쳐 상기 제2 나사홈에 체결되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23. 제22에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2 볼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상기 등판부 지지대의 배면 중 상기 제2 볼트가 체결된 부위를 덮는 볼트 캡을 더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20090091293A 2009-09-25 2009-09-25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04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93A KR101044430B1 (ko) 2009-09-25 2009-09-25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PCT/KR2010/006554 WO2011037431A2 (ko) 2009-09-25 2010-09-27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293A KR101044430B1 (ko) 2009-09-25 2009-09-25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04A KR20110033704A (ko) 2011-03-31
KR101044430B1 true KR101044430B1 (ko) 2011-06-27

Family

ID=4379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293A KR101044430B1 (ko) 2009-09-25 2009-09-25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4430B1 (ko)
WO (1) WO2011037431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461B1 (ko) 2019-04-18 2019-09-20 유한회사 애니체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138836B1 (ko) 2019-07-15 2020-07-29 주식회사 토퍼스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210040530A (ko)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토퍼스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KR102460662B1 (ko) 2021-12-17 2022-10-3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KR102506195B1 (ko)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506194B1 (ko)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574254B1 (ko) 2022-10-12 2023-09-06 김소연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492B1 (ko) * 2012-11-21 2015-03-24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 등받이의 위치 조절 장치
KR101410648B1 (ko) * 2013-05-06 2014-06-24 부호체어원(주) 요추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
US10182657B2 (en) 2016-02-12 2019-01-22 Haworth, Inc. Back support for a chair
CN107307644A (zh) * 2017-07-07 2017-11-03 周学蒙 一种智能可调座椅
CN109380908B (zh) * 2018-11-23 2023-09-22 浙江润大柯泓家具有限公司 一种具有腰托支架的椅子背框
CN111938983B (zh) * 2020-07-13 2022-07-12 电子科技大学 一种柔性腰椎理疗按摩仪
KR102400029B1 (ko) * 2020-11-12 2022-05-20 나이스팩토리 유한회사 기능성 의자
CN112389292B (zh) * 2020-11-25 2023-11-03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座椅腰托及带该腰托的汽车座椅
CN214631136U (zh) * 2020-12-31 2021-11-09 中山市九松塑胶制品有限公司 可调节座椅腰靠
CN114009992B (zh) * 2021-11-03 2023-07-25 永艺家具股份有限公司 一种腰靠深度调节装置
KR102390126B1 (ko) * 2021-12-16 2022-04-25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WO2023239262A2 (ru) * 2022-06-10 2023-12-14 Амир ФАТКУЛЛИН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971A (ko) * 2001-03-12 2003-10-10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이미다졸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200379971Y1 (ko) 2004-12-23 2005-03-25 부호체어원(주) 요추지지 의자
KR2009000944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585B2 (ja) * 1996-06-05 2000-08-28 株式会社イトーキ 椅 子
JP2006311946A (ja) * 2005-05-09 2006-11-16 Hideo Doya 仙骨支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971A (ko) * 2001-03-12 2003-10-10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이미다졸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200379971Y1 (ko) 2004-12-23 2005-03-25 부호체어원(주) 요추지지 의자
KR20090009446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시디즈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461B1 (ko) 2019-04-18 2019-09-20 유한회사 애니체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138836B1 (ko) 2019-07-15 2020-07-29 주식회사 토퍼스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210040530A (ko) 2019-10-04 2021-04-14 주식회사 토퍼스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KR102460662B1 (ko) 2021-12-17 2022-10-3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KR102506195B1 (ko)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506194B1 (ko) 2022-09-05 2023-03-07 주식회사 린백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574254B1 (ko) 2022-10-12 2023-09-06 김소연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7431A2 (ko) 2011-03-31
KR20110033704A (ko) 2011-03-31
WO2011037431A3 (ko) 2011-09-01
WO2011037431A9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30B1 (ko)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EP0173372B1 (en) Sitt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swivel-chair
KR20080037029A (ko) 의자
KR101143619B1 (ko)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044429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KR101167816B1 (ko) 등받이의자
JP4950701B2 (ja) 椅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1733981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의자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1274582B1 (ko) 의자의 보조 등받이 장치
AU2006275207A1 (en) A chair or a bed having a seat, a backrest and an armrest as well as use thereof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CN217827280U (zh) 一种用于椅子的弹性伸缩支撑装置及座椅
CN115530561B (zh) 自适应坐具
KR20180009104A (ko) 좌식의자
EP3653082B1 (en) Office chair
KR200411864Y1 (ko) 의자용 허리 받침대
KR101092785B1 (ko) 의자
KR200361365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