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26B1 -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26B1
KR102390126B1 KR1020210180311A KR20210180311A KR102390126B1 KR 102390126 B1 KR102390126 B1 KR 102390126B1 KR 1020210180311 A KR1020210180311 A KR 1020210180311A KR 20210180311 A KR20210180311 A KR 20210180311A KR 102390126 B1 KR102390126 B1 KR 102390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er
chair
guide
pa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규
강백주
Original Assignee
(주) 파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트라 filed Critical (주) 파트라
Priority to KR1020210180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26B1/ko
Priority to US18/075,207 priority patent/US202301900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 작동력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허리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럼버프레임; 럼버프레임에 가이드 커버가 고정설치되고, 가이드 커버내에서 수평이동대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설치되는 깊이조절부; 깊이조절부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구비되고, 수평이동대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작동핀이 접촉지지되는 다단지지레일이 수용홀 양단에 구비되며, 럼버프레임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는 깊이조절 레버;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에 구비된 탄성편에 수직파형레일이 탄성접촉되며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패드지지부; 패드지지부의 양단에 끼움결합되고 착석자의 허리에 탄성접촉되어 지지되는 럼버패드;를 포함하여, 깊이조절레버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수평이동대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어 럼버패드(500)의 전후방향 깊이가 조절되고, 수평이동대를 기준으로 하는 패드지지부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럼버패드의 위치를 상하방향(높낮이 조절) 및 전후방향(깊이조절)으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럼버패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리와, 상기 좌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요추)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좌석의 양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와,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등받이는 플라스틱이나 천 등의 유연 또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석자가 좌석에 앉을 경우 착석자의 등을 받쳐 지지하도록 좌석의 후방에 일정각도만큼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사무실 안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학생 등,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으나, 종래의 의자 등받이는 구조적으로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고 부드럽게 받쳐주지 못하였기 때문에 안락감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요통 등의 허리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착석자에 의해 등받이가 휘어지게 되면, 등의 허리부위와 등받이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허리부위를 전혀 받치지 못하게 됨으로써 오랜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 착석자의 경우에는 허리부위에 피로가 가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종래에는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별도로 방석이나 쿠션을 구입한 후, 상기 방석이나 작은 쿠션 등을 허리에 대고 앉아, 허리를 지지하는 방안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방석이나 쿠션 등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적절히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허리받침대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그 구성이 복잡하거나, 의자 전체구조를 변경해야 하므로, 전체 생산라인에 영향을 주어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허리받침대는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유연성을 구비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의 움짐임에 따라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허리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높낮이 조절(상하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나, 깊이조절(의자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허리받침대의 높낮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요추 지지장치가 개발되어지고 있으나, 개발되어진 요추 지지장치는 두손 조작에 의해 조절이 이루어지거나, 다이얼 타입(회전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허리받침대의 높낮이 및 깊이를 조절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가 아니라, 의자 뒤로 가서 허리받침대의 높낮이 및 깊이를 조절한 후 의자에 착석하고 있어, 착석자의 허리에 맞도록 허리받침대의 위치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없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84987(2014.04.08)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6742(2007.09.19)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43307(2011.04.27)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107288(2010.10.05)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작동력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허리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럼버프레임; 럼버프레임에 가이드 커버가 고정설치되고, 가이드 커버내에서 수평이동대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설치되는 깊이조절부; 깊이조절부가 수용되는 수용홀이 구비되고, 수평이동대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작동핀이 접촉지지되는 다단지지레일이 수용홀 양단에 구비되며, 럼버프레임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는 깊이조절 레버;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에 구비된 탄성편에 수직파형레일이 탄성접촉되며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패드지지부; 패드지지부의 양단에 끼움결합되고 착석자의 허리에 탄성접촉되어 지지되는 럼버패드;를 포함하여, 깊이조절레버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수평이동대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어 럼버패드(500)의 전후방향 깊이가 조절되고, 수평이동대를 기준으로 하는 패드지지부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하 수직작동력에 의해 럼버패드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고, 럼버패드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깊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작은 힘에 의해서도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 수직작동력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가 조절되므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럼버패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가 조절되므로,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허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 아니라, 착석자의 허리를 한층 더 안락하고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어, 착석자의 허리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럼버패드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하중 발생시, 착석자의 허리에 럼버패드가 감싸지면서 접촉지지되므로, 착석자의 허리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깊이조절레버가 럼버프레임에 구비된 다수의 수직리브, 가이드구, 가이드돌기에 접촉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깊이조절레버의 작동시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하방향 작동성이 향상되어 럼버패드의 깊이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럼버패드의 전후방향 이동 시, 럼버패드측에 연결된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가 가이드커버의 수평 슬라이드홀을 따라 수평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깊이조절레버에 의한 수평이동대의 전후방향 작동시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이를 통해 럼버패드의 깊이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도 2 의 B-B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도 2 의 C-C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깊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깊이조절레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지지레일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깊이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력 테스트를 보인 사진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도 2 의 B-B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도 2 의 C-C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깊이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깊이조절레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지지레일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브래킷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수직작동력에 의해 럼버패드의 높낮이 및 깊이가 손쉽게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의자(800)의 등판프레임(700)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럼버프레임(100);
럼버프레임(100)에 가이드 커버(210)가 고정설치되고, 가이드 커버(210)내에서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설치되는 깊이조절부(200);
깊이조절부(200)가 수용되는 수용홀(310)이 구비되고, 수평이동대(220)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는 다단지지레일(320)이 수용홀 양단에 구비되며, 럼버프레임(10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는 깊이조절 레버(300);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220)에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패드지지부(400);
패드지지부(400)의 양단에 끼움결합되고 착석자의 허리에 탄성접촉되어 지지되는 럼버패드(500);를 포함하여,
깊이조절레버(300)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어 럼버패드(500)의 전후방향 깊이가 조절되고, 수평이동대(220)를 기준으로 하는 패드지지부(400)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럼버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조절부(200)의 가이드 커버(210)가 나사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중앙프레임(110)과, 중앙프레임(11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이 의자의 등판 프레임(800)에 고정설치되는 날개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프레임(110)은 깊이조절부의 가이드 커버(210)가 나사결합되는 커버체결구(111)와, 커버체결구(111)를 중심으로 대칭되어지도록 돌출형성되어 깊이조절레버(300)의 상하방향(Z,Z`)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구(112)와, 깊이조절레버(300)의 일면에 접촉지지되도록 돌출형성된 다수의 수직리브(113)를 포함한다.
즉, 상기 럼버프레임(100)은 중앙프레임(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날개프레임(120)이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일체로 형성되고, 중앙프레임(110)의 일면 즉, 깊이조절레버(300)를 향하는 일면에 커버체결구(111), 한 쌍의 가이드구(112) 및 다수의 수직리브(11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럼버프레임(100)은 등판 프레임(700)의 형상에 따라 소정곡률을 구비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날개프레임(120)이 연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깊이조절부(20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커버(210)와, 가이드 커버(210)내에서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삽입설치되는 수평이동대(220)와, 수평이동대(220)를 관통하여 가이드 커버(210)에 끝단이 고정설치되는 리미트볼트(230)와, 리미트볼트의 볼트머리(231)에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수평이동대(2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수평이동대(220)내에 설치되는 탄성체(240)와, 가이드 커버(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장홀(211)을 관통하여 수평이동대(220)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작동핀(250)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커버(210)는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삽입되는 수평 슬라이드홀(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슬라이드홀(212)과 연통되도록 양측면에 사이드 장홀(21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 슬라이드홀(212)은 럼버패드(500)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되어지는 수평이동대(220)의 전후방향(Y,Y`)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다.
상기 수평이동대(220)는 가이드 커버(210)의 수평 슬라이드홀(212)내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본체(221)와,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4)이 구비되도록 본체의 일면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222)와, 삽입돌기(221)의 서로 마주하는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에 탄성접촉되는 탄성편(22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21)는 리미트볼트(230) 및 탄성체(240)가 삽입되는 지지홀(225)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작동핀(230)이 체결되는 체결홀(226)이 소정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홀(225)은 탄성체(240)를 지지하는 단턱(225a)이 구비되도록 본체(22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기(222)는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수평이동대(220)와 패드지지부(400)가 전후방향(Y,Y`)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평이동대(220)를 기준으로 하여 패드지지부(400)가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삽입돌기(222)는 수평이동대의 본체(221)에 서로 대칭되어지도록 또한 본체(221)와의 사이에 가이드홈(224)이 구비되도록 본체(221)에서 '┌ ┐' 자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222)는 럼버패드(500)를 향하는 일면에 상하방향(Z,Z`)으로 요철가이드(222a)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가이드(222a)는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에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삽입되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 조절 시,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패드지지부(400)의 상하방향(Z,Z`)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요철가이드(222a)는 요(凹)부와 철(凸)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돌기(222)의 마주하는 끝단에는 철(凸)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223)은, 패드지지부(400)의 수직 파형레일(414)에 탄성접촉되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뿐 아니라, 수평이동대(220)와 패드지지부(400)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패드지지부(400)의 상하방향(Z,Z`)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223)은 삽입돌기(222)에 요철가이드(222a)가 더 구비될 경우, 요철가이드(222a)의 끝단에 위치하는 철(凸)부 즉, 서로 마주하는 철(凸)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요(凹)부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돌기(222)에 탄성편(223)과 요철가이드(222a)가 구비될 경우, 패드지지부(400)의 수직파형레일(414)이 삽입돌기의 탄성편(22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삽입돌기의 요철가이드(222a)내로 패드지지부(400)의 상하가이드(42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므로, 유격현상없이 패드지지부(400)의 상하방향(Z,Z`)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홈(224)은 본체(221)에서 이격되어 돌출형성되는 삽입돌기(222)에 의해 본체(22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 조절 시, 패드지지부(400)를 상하방향(Z,Z`)으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리미트볼트(230)는 탄성체(240)에 의해 수평이동대(220)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지지홀(225)을 통해 가이드 커버(210)에 체결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볼트(230)는 가이드커버(210)에 직접체결되거나, 가이드커버(210)에 일체로 삽입성형된 금속재질의 너트(213)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미트볼트(230)는, 가이드커버(210)에 체결될 시, 지지홀(225)내로 볼트머리(23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일측이 리미트볼트(230)에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수평이동대(2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탄성력에 의해 수평이동대(220)가 가이드커버의 수평 슬라이드홀(212)내에서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이 작동된다.
즉, 상기 탄성체(240)는, 일측이 리미트볼트의 볼트머리(231)에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수평이동대(220)의 지지홀(225)내 구비된 단턱(225a)에 접촉지지되도록 지지홀(225)내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체(240)는 일 예로 압축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핀(250)은 착석자의 하중이 럼버패드(500) 및 패드지지부(400)를 통해 깊이조절부(200)으로 전달될 시, 전달되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이드 커버(210) 외측으로 돌출되어지도록 가이드 커버(210)의 사이드 장홀(211)을 통해 수평이동대(220)의 체결홀(226)에 체결된다.
즉, 상기 작동핀(250)은 가이드 커버(210)의 양측으로 돌출된 일측이 깊이조절레버(300)의 다단지지레일(3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럼버패드(500)에 통해 후단방향(Y`)으로 전달되는 하중(F,착석자에 의한 힘, 탄성체의 탄성력)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핀(2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무두볼트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핀(250)은 수평이동대의 본체에 구비된 체결홀(226)에 체결되어도 충분한 강성을 구비할 수 있으나, 체결홀(226)과 연통되도록 본체(221)내에 체결너트(227)가 삽입설치된 후, 삽입된 체결홀(226)과 체결너트(227)에 동시 체결되도록 또는, 체결홀(226)을 관통하여 체결너트(227)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너트(227)가 더 구비될 경우, 작동핀(250)의 체결력이 더욱 증대되어, 착석자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향상되어지게 된다.
또한, 수평이동대의 본체(221)에는 체결너트(227)의 삽입설치를 위한 너트삽입홀(221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너트삽입홀(221a)은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체결너트(227)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즉, 체결너트(227)가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체결홀(226)에 연통되도록 본체(221)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핀(250)은 가이드커버(210)의 사이드 장홀(211)을 관통하여 수평이동대(220)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가이드커버(210)와 수평이동대(220)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는 기능 및, 가이드 커버(210)의 수용홀내에서 수평이동대(220)의 전후방향(Y,Y`)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함께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깊이조절부(200)는 가이드커버(21)의 수평 슬라이드홀(212)내에 수평가이드(2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평가이드(214)에 대응되는 슬라이드홈(221b)이 수평이동대의 본체(221)에 형성되어, 가이드커버의 수평슬라이드홀(212)내에서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될 시, 가이드커버(21)의 수평가이드(214)를 따라 수평이동대(220)가 이동되어, 전후방향(Y,Y`) 작동성이 향상되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깊이조절레버(300)는 상하방향(Z,Z`)로 작동되어 럼버패드(500)를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럼버패드(500)의 깊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5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손잡이(331)가 형성된 레버본체(330)와, 레버본체(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깊이조절부(200)가 수용되는 수용홀(310)과, 수용홀(310) 양단에 위치하도록 레버본체(330)에 형성된 다단지지레일(320)과, 럼버프레임의 가이드구(112)가 삽입되도록 레버본체(3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직가이드홀(34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홀(310)은 깊이조절부(200)가 삽입관통되고, 레버본체(330)의 상하작동 시, 깊이조절부(20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크기를 구비하며 레버본체(33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럼버패드(500)의 깊이를 다단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홀(310)의 양측에 수용홀(3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레일홈(370)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도록 럼버패드(500)를 향하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레일홈(370)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을 구비하는 레일홈(370)의 경사면을 따라 하단걸림턱(321)과 다수의 상단걸림턱(322)이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의해 연결형성된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고 깊이조절레버의 상측방향(Z) 이동을 제한하는 하단걸림턱(321)과, 하단걸림턱(3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는 다수의 상단걸림턱(322)과, 하단걸림턱(321)과 상단걸림턱(322), 일측 상단걸림턱과 이에 이웃하는 상단걸림턱을 연결하는 하향경사가이드(323)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걸림턱(321)은, 럼버패드(500)가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1단 기본상태)에서 작동핀(250)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작동핀(250)에 접촉지지되어 깊이조절레버의 상측방향(Z)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321a)과, 작동핀(250)에 접촉지지되어 럼버패드(500)의 후단방향(Y`)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면(32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면(321a)은 작동핀(250)이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321b)은 작동핀(25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단걸림턱(322)은,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도록 소정면적을 구비하고, 하단걸림턱(321) 상측에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단걸림턱(322)은, 상측에 위치하는 일측 상단걸림턱(322`)이 럼버패드(500) 방향에 위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상단걸림턱(322``)이 럼버프레임(100) 방향에 위치되도록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단걸림턱(322``)은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의해 하단걸림턱(321)과 연결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작동핀(250)의 직경(D)에 대하여 약 0.5(D)∼1.0(D)의 높이(h)를 구비하는 다수의 상단걸림턱(322)과, 상기 상단걸림턱(322)에 대하여 약 120°∼160°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하향경사가이드(323)와,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의 외면둘레가 면접촉되며 안착지지되도록 작동핀(250)과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는 하단걸림턱(321)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걸림턱(322)은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작동되는 하중(F, 착석자의 등부분 하중 및 탄성체의 탄성력)을 지지하고, 하중에 의해 깊이조절레버(300)가 저절로 상하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직평면을 일정구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평면은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작동되는 하중(F)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즉, 상기 상단걸림턱(322)은 도 9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수직평면(322a)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9 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핀(250)의 외면둘레가 면접촉되는 접촉곡면(322b)과, 상기 접촉곡면(322b)에 연장되는 수직평면(322c)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평면(322c)은 접촉곡면(322b) 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단걸림턱(322)은 접촉곡면(322b)과 수직평면(322c)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촉곡면(322b)는,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될 시, 작동핀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θ1) 25°∼45°에 대한 호의 길이에 해당되는 곡면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평면(322c)은, 작동핀의 직경(D)에 대하여 0.1(D)∼0.5(D)의 길이를 구비하며 접촉곡면(322b)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곡면(322b)은, 상측이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연결되고, 수직평면(322c)은 하측이 또다른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곡면(322b)은 작동핀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θ1)이 25°미만의 호의 길이를 구비할 경우, 단턱 기능이 저하되어 깊이조절레버(300)의 하측방향 작동성은 향상되나, 작동핀(250)과의 접촉면적 감소로 인해 하중(F)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곡면(322b)은 작동핀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θ1)이 45°를 초과하는 호의 길이를 구비할 경우, 단턱 기능이 향상되어 하중(F)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깊이조절레버의 하측방향(Z`) 작동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평면(322c)은 작동핀의 직경(D)에 대하여 0.1(D)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하중(F)에 대한 지지가 어려워 작동핀(250)이 다단지지레일(320)을 따라 상하방향(Z,Z`)으로 유동 또는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평면(322c)은 작동핀의 직경(D)에 대하여 0.5(D)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하중(F)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깊이조절레버의 작동 시, 작동핀(250)과의 마찰면적이 증대되어 깊이조절레버(300)의 조절시 많은 힘을 필요할 뿐 아니라 작동성이 저하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단걸림턱(322)이 접촉곡면(322b)과 수직평면(322c)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동핀(250)과 상단걸림턱(322)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작동되는 하중(F)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상승되고, 작동핀의 상하방향(Z,Z`)으로의 유동현상이 방지되며, 이를 통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 위치에 대한 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작은 힘에 의해서도 깊이조절레버(300)에 의한 럼버패드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의 하향경사각(θ)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핀(250)을 기준으로 하여, 하중(F, 착석자에 의한 등판 하중, 탄성체의 탄성력)과 중력(G)의 합력(F+G)에 따른 하중작동각(θ2)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하향경사각(θ)은 하중작동각(θ2)+90° 보다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향경사각(θ)은 럼버프레임 방향으로 접촉지지면(321)의 수직평면(321a)에 대한 하향경사가이드(323)의 각도를 의미하고, 하중작동각(θ2)은 하중(F)의 방향에 대한 합력(F+G) 방향의 각도(사이각)을 의미한다.
일 예로, 착석자에 의한 등판 하중이 20∼30㎏f, 탄성체에 의한 탄성력이 1∼2.5㎏f임을 고려할 경우,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는 럼버프레임 방향으로 접촉지지면(321)의 수직평면(321a,321c)에 대하여 약 120°∼160°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약 130°∼150°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5°∼150°의 하향경사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는 160°를 초과하는 하향경사각을 구비할 경우, 깊이조절레버의 상하방향(Z,Z`) 이동시, 작동핀(250)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깊이조절레버(300)의 작동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깊이조절레버(300)의 상하방향 작동에 따른 럼버패드(500)의 깊이조절 범위가 작아지게 되어, 럼버패드(500)에 대한 효율적인 깊이조절이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가 120°미만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할 경우, 깊이조절레버(300)의 상측방향(Z) 작동성은 우수하나, 하측방향(Z`) 작동성은 저하되고, 접촉지지면(321)간의 수평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다단지지레일(320)의 전후방향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현상(깊이조절레버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현상)이 발생될 뿐 아니라, 깊이조절레버(300)가 상하방향(Z,Z`)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될 시, 작동핀(250)과 접촉지지면(321)의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가 120°미만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할 경우, 하중작동각(θ2)+90° 보다 작게 되므로, 럼버패드(500)에 하중이 발생될 경우, 하중에 의해 깊이조절레버(300)가 상측방향(Z)으로 작동되어, 후단방향(Y`)으로 럼버패드의 밀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상단걸림턱(322)과 하향경사가이드(323)의 연결부위 즉, 접촉곡면(321b)과 하향경사가이드(323)의 연결부위, 수직평면(321a)과 하향경사가이드(323)의 연결부위는 작동핀(25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하단걸림턱(321)과 2개의 상단걸림턱(322`,322``) 및, 3개의 하향경사가이드(323)가 구비된 다단지지레일(3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다단지지레일에 대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깊이조절레버(300)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프레임(100)을 향하는 레버본체(330)의 일면 즉, 럼버프레임의 수직리브(113)에 접촉되며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되는 본체의 일면에 가이드 슬롯(360)이 더 구비되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프레임(100)에 가이드돌기(114)가 더 돌출형성되어, 깊이조절레버(300)가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될 시, 깊이조절레버의 가이드 슬롯(360)이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60)은 깊이조절레버의 상하방향(Z,Z`) 이동시 가이드돌기(11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소정길이를 구비하며 수용홀(310)과 수직가이드홀(3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슬롯(360)은 상측방향(Z)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깊이조절레버(300)가 하측방향(Z`)으로 이동될 시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의 하측부분이 가이드 슬롯(360)내에 위치하고, 상측방향(Z)으로 이동될 시, 가이드돌기(114)가 가이드 슬롯(360)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는 수직리브(113)와 별도로 돌출형성되거나, 다수의 수직리브 중 일측 수직리브에서 돌출되어지도록 수직리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깊이조절레버(300)는 깊이조절부(200)가 수용홀(310)내로 삽입되고, 럼버프레임(100)의 가이드구(112)가 수직가이드홀(340)내로 삽입된 후, 가이드구(112)에 체결되는 플랜지나사(350)에 의해 상하방향(Z,Z`)으로 이동가능하면서 럼버프레임(10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된다. 이때, 본체의 손잡이(331)는 럼버프레임(100) 하측에 노출되어지며,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는 가이드슬롯(360)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깊이조절레버(300)는 상하방향(Z,Z`)으로 이동 시, 가이드구(112)를 중심으로 수직가이드홀(340)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가이드돌기(114)를 중심으로 가이드슬롯(36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깊이조절레버(300)는 레버본체(330)가 럼버프레임에 구비된 다수의 수직리브(113)에 접촉지지되면 상하 슬라이딩되므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면서 전후방향(Y,Y`) 및 상하방향(Z,Z`)으로의 유격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깊이조절레버(300)는 본체의 가이드슬롯(360)이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를 따라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되므로, 깊이조절레버(300)의 작동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깊이조절레버(300)의 유격현상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상기 패드지지부(400)는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220)에 상하방향(Z,Z`)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연결되고 럼버패드(500)가 조립결합되는 럼버브래킷(410)과, 상기 럼버브래킷(410)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이동대(220)에서 럼버브래킷(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럼버플레이트(420)를 포함한다.
상기 럼버브래킷(410)은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평이동대(220)에 끼움연결되는 중앙브래킷(411)과, 상기 중앙브래킷(411)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럼버패드(500)가 끼움결합되는 날개브래킷(4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럼버브래킷(410)은 중앙브래킷(411)을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날개브래킷(412)이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럼버브래킷(410)은 중앙브래킷(411)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날개브래킷(412)이 소정곡률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럼버패드(500)와 중앙브래킷(411) 사이에 변형공간부(430)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럼버브래킷(410)은, 럼버패드(500)를 통해 하중이 전달될 시, 럼버패드(500)가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감싸며 지지될 수 있도록 중앙브래킷(411)을 중심으로 럼버패드(500)가 결합된 양측의 날개브래킷(412)이 중앙브래킷(411)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상기 중앙브래킷(411)은 럼버패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중앙홈(413)과, 중앙홈(413)내에 위치하도록 대칭형성된 한 쌍의 수직파형레일(414)과, 중앙홈(413)과 연통되도록 중앙브래킷의 양측을 관통형성되어 수평이동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수직슬라이드홀(415)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홈(413)은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파형레일(414)은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에 구비된 탄성편(223)이 탄성접촉되어지는 것으로, 산(철)부와 골(요)부가 파형을 이루면서 수직슬라이드홀(415)을 통해 노출되도록 연속적으로 반복형성되어 있다.즉, 상기 수직파형레일(414)은 산(철)부와 골(요)부가 수직슬라이드홀(415)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슬라이드홀(415)은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를 중심으로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끼움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홈(413)과 연통되는 개방구(415a)가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방구(415a)는 일측 내면(415b)이 수직파형레일(414)의 산(철)부 또는 골(요)부에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브래킷(412)은 중앙브래킷(411)의 양측 하단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제1브래킷(416)과, 상기 제1브래킷과 소정각도를 구비하며 제1브래킷의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브래킷(417)과, 제2브래킷(417)에 돌출형성되어 럼버패드(500)가 결합되는 결합돌기(418)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날개브래킷(412)은 제1브래킷(416)과 제2브래킷(417)이 L자형상을 구비하며 중앙브래킷(411)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럼버패드(500)를 제2브래킷(417)의 상측에 결합돌기(418)가 돌출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럼버플레이트(420)는 중앙브래킷(411)에 체결고정되어, 중앙홈(413) 및, 수직슬라이드홀의 하단에 위치하는 개방구(415a)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하단에 개방구(415a)를 폐쇄시켜 럼버브래킷(410)의 상측방향(Z)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트돌기(4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럼버플레이트(420)는, 중앙홈(413)의 개방된 일측면이 폐쇄되도록 중앙브래킷(411)에 체결고정되어, 럼버브래킷의 수직슬라이드홀(415)내로 삽입된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가 개방구(415a)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 수직슬라이드홀(415)과 수직파형레일(414) 사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 및,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를 기준으로 럼버브래킷(410)의 상하방향(Z,Z`)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럼버플레이트(420)는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에 구비된 요철가이드(222a)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상하가이드(422)가 럼버브래킷(410)을 향하는 일면에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럼버플레이트(420)에 상하가이드(422)가 더 구비될 경우, 럼버패드(500)의 상하방향(Z,Z`) 이동 시, 럼버플레이트의 상하가이드(422)가 삽입돌기의 요철가이드(222a)에 맞물리면서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되므로, 럼버패드의 작동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유격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럼버플레이트에 구비된 상하가이드(422)는, 요(凹)부가 삽입돌기에 구비된 요철가이드(222a)의 철(凸)부에 삽입되고, 철(凸)부가 요철가이드(222a)의 요(凹)부에 삽입되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 조절 시, 삽입돌기의 요철가이드(222a)를 중심으로, 럼버패드의 상하가이드(422)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패드지지부(400)는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가 개방구(415a)를 통해 럼버브래킷의 수직슬라이드홀(415)내로 삽입된 후, 럼버브래킷(410)에 럼버플레이트(420)가 나사고정되어 수직슬라이드홀의 개방구(415a)가 폐쇄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이 럼버브래킷(410)에 럼버플레이트(420)가 조립되면, 수평이동대의 가이드홈(224)내로 럼버브래킷의 중앙브래킷 양측단(411a)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수평이동대의 삽입돌기(222)는 럼버브래킷의 중앙홈(413)내에 위치하게 되며, 삽입돌기의 탄성편(223)은 수직파형레일(414)에 탄성접촉되어, 삽입돌기(222)를 기준으로 패드지지부(400)의 단계적인 상하방향(Z,Z`)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럼버플레이트(420)에 의해 수직슬라이드홀의 개방구(415a)가 폐쇄되어지므로, 개방구(415a)를 통한 수평이동대(220)와 럼버브래킷(410)의 분리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럼버패드(5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접촉지지되는 것으로, 양단이 패드지지부(400)에 끼움결합되고, 착석자의 허리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럼버패드(500)는, 럼버프레임을 향하는 일면 양단에 결합고리(510)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고리(510)에 패드지지부의 럼버브래킷의 결합돌기(418)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럼버패드(500)는 결합고리(510)에 연결되어 럼버브래킷의 결합돌기(418)를 결합고리(51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턱(520)이 더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500)는 결합고리(510)가 럼버브래킷의 결합돌기(418)에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럼버패드(500)의 끼움결합 시, 결합돌기(418)를 따라 가이드 경사턱(520)이 접촉되며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결합돌기(418)에 결합고리(510)가 용이하게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럼버패드(500)는 결합고리(510)가 구비된 일면 하단에 패드지지부(400)의 럼버브래킷(410)내로 삽입되는 지지브래킷(530)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럼버패드(500)와 럼버브래킷(410)이 결합고리(510)의 끼움결합 및, 지지브래킷(530)의 삽입지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래킷(530)은 럼버브래킷(410)과 나사체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나사체결될 경우, 럼버패드(500)와 패드지지부(400)는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래킷(520)은 럼버브래킷의 중앙브래킷(411) 또는 중앙브래킷(411)과 날개브래킷(412)의 연결부위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럼버패드(500)는 착석자의 허리가 접촉되어 하중이 발생될 시, 착석자의 허리를 감싸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높낮이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럼버패드를 상하방향(Z,Z`)으로 이동시키면, 럼버패드(500)와 패드지지부(400)가 깊이조절부(30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어, 럼퍼패드(500)의 높낮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되어지게 된다.
이때, 패드지지부의 럼버브래킷(410)에 구비된 수직파형레일(414)이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에 구비된 탄성편(223)과 탄성접촉되며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며, 수직파형레일(414)의 일측 골(요)부에 탄성편(223)이 끼움되어 탄성접촉됨으로써, 럼버패드(400)의 높낮이 위치가 고정된다.
도 13 의 (a)는 럼버패드(500)가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높이 기본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수직파형레일(414)의 상측에 위치하는 일측 골(요)부에 수평이동대의 탄성편에 탄성편(223)이 탄성접촉되어 럼버패드(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3 의 (b)는 럼버패드(500)가 상측방향(Z)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럼버패드(500)를 상측방향(Z)으로 당기게 되면, 수직파형레일(414)이 상승이동되어 수직파형레일(414)의 또다른 골(요)부에 수평이동대의 탄성편에 탄성편(223)이 탄성접촉되어, 럼버패드(400)의 높낮이 위치가 고정된다.
도 13 의 (c)는 럼버패드(500)가 최상단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수직파형레일(414)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측 골(요)부에 수평이동대의 탄성편에 탄성편(223)이 탄성접촉되어 럼버패드(50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럼버패드를 상하방향(Z,Z`)으로 이동시키게 될 경우, 수직파형레일(414)의 범위내에서 럼버패드(500)의 상하방향(Z,Z`)으로 단계적으로 이동되어게 되며, 이와 같은 럼버패드(500)의 이동에 의해 높낮이가 단계적으로 다단 조절되어지게 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럼버패드의 깊이 조절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4 의 (a)는 럼버패드(500)가 럼버프레임(10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 즉, 후단방향(Y`)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기본상태)로, 작동핀(250)이 다단지지레일(320)의 하단걸림턱(321)에 안착지지되어 있다. 이때, 깊이조절레버(300)는 최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도 14 의 (b)는 럼버패드(500)가 전단방향(Y)으로 1단계 이동된 상태(1단계 조절상태)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깊이조절레버의 손잡이(331)를 하측방향(Z`)으로 이동시키면, 다단지지레일(320)이 하측방향(Z`)으로 이동되고, 하측방향(Z`)으로 이동되는 다단지지레일의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작동핀(250)이 접촉되며 이동되어 상단걸림턱(322``)에 안착지지된다.
이때, 상기 하향경사가이드(323)를 따라 작동핀(250)이 이동될 경우, 작동핀(250)은 탄성체(240)를 압축시키며 수평이동대(220)와 함께 전단방향(Y)으로 이동되며, 이와 같은 수평이동대(220)의 이동에 의해, 패드지지부(400) 및 럼버패드(500)가 전단방향(Y)으로 1단계 이동된다.
이와 같이 작동핀(250)이 상단걸림턱(322``)에 안착지지된 상태에서 깊이조절레버(3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핀(250)과 상단걸림턱(322``)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럼버패드(500)의 높이가 지지됨과 동시에, 깊이조절레버의 위치가 지지된다.
도 14 의 (c)는 럼버패드(500)가 전단방향(Y)으로 2단계 이동된 상태(2단계 조절상태)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깊이조절레버의 손잡이(331)를 하측방향(Z`)으로 다시 이동시키면, 다단지지레일(320)이 하측방향(Z`)으로 다시 이동되어 자동핀(250)이 상단걸림턱(322``)에서 하향경사가이드(323)를 따라 이동되어, 또다른 상단걸림턱(322`)에 안착지지된다. 이때, 깊이조절레버(300)는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핀(250)이 상단걸림턱(322``)에서 또다른 상단걸림턱(322`)으로 이동안착되면, 전단방향(Y)으로 작동핀(250)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 패드지지부(400) 및 럼버패드(500)가 전단방향(Y)으로 2단계 이동된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의자의 등판프레임(700)내에 본 발명에 따른 요추지지장치(600)가 설치된다. 즉, 상ㄱ 요추지지장치(600)는 럼버프레임(100)의 양단이 등판프레임(70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등판프레임(700)에는 메쉬 등받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럼버패드의 상하이동 및 깊이조절레버의 상하이동시, 럼버패드가 메쉬 등받이를 변형시키며 이동되어,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럼버패드의 높이 및 깊이가 조절되어지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력 테스트를 보인 사진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깊이조절을 위한 깊이조절레버의 1단계 조절 시, 약 24∼26N의 수직 작동력이 소요되었으며, 깊이조절레버의 2단계 조절 시에는, 약 40∼42N의 수직 작동력이 소요되었다. 이때, 탄성체는 압축력(약 5㎏f)의 압축스프링이 조립되었으며, 상기 깊이조절레버의 1단계 조절과, 2단계 조절에 따른 수직 작동력 차이는 탄성체의 압축정도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 45N 미만의 작은 수직 작동력에 의해 깊이조절레버가 상하작동되어 럼버패드의 깊이가 조절되어지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한 손 작업만으로도 손쉽게 럼버패드의 깊이에 대한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럼버프레임 (110) : 중앙프레임
(111) : 커버체결구 (112) : 가이드구
(113) : 수직리브 (114) : 가이드돌기
(120) : 날개프레임 (200) : 깊이조절부
(210) : 가이드커버 (211) : 사이드 장홀
(212) : 수평 슬라이드홀 (213) : 너트
(220) : 수평이동대 (221) : 본체
(221a): 너트삽입홀 (221b): 슬라이드홈
(222) : 삽입돌기 (222a): 요철가이드
(223) : 탄성편 (224) : 가이드 홈
(225) : 지지홀 (226) : 체결홀
(227) : 체결너트 (230) : 리미트볼트
(231) : 볼트머리 (240) : 탄성체
(250) : 작동핀 (300) : 깊이조절레버
(310) : 수용홀 (320) : 다단지지레일
(321) : 하단걸림턱 (321a): 스토퍼면
(321b): 지지면 (322) : 상단걸림턱
(322a): 수직평면 (322b): 접촉곡면
(322c): 수직평면 (323) : 하향경사가이드
(330) : 레버본체 (331) : 손잡이
(340) : 수직가이드홀 (350) : 플랜지나사
(360) : 가이드 슬롯 (370) : 레일홈
(400) : 패드지지부 (410) : 럼버브래킷
(411) : 중앙브래킷 (411a): 양측단
(412) : 날개브래킷 (413) : 중앙홈
(414) : 수직파형레일 (415) : 수직슬라이드홀
(415a): 개방구 (415b): 내면
(416) : 제1브래킷 (417) : 제2브래킷
(418) : 결합돌기 (420) : 럼버플레이트
(421) : 리미트돌기 (422) : 상하가이드
(430) : 변형공간부 (500) : 럼버패드
(510) : 결합고리 (520) : 가이드 경사턱
(530) : 지지브래킷 (600) : 요추지지장치
(700) : 등판프레임 (800) : 의자

Claims (20)

  1. 의자(800)의 등판프레임(700)에 양단이 고정설치되는 럼버프레임(100);
    럼버프레임(100)에 가이드 커버(210)가 고정설치되고, 가이드 커버(210)내에서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설치되는 깊이조절부(200);
    깊이조절부(200)가 수용되는 수용홀(310)이 구비되고, 수평이동대(220)의 양측에 고정설치된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는 다단지지레일(320)이 수용홀 양단에 구비되며, 럼버프레임(10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어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되는 깊이조절 레버(300);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220)에 구비된 탄성편(223)에 수직파형레일(414)이 탄성접촉되며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패드지지부(400);
    패드지지부(400)의 양단에 끼움결합되고 착석자의 허리에 탄성접촉되어 지지되는 럼버패드(500);를 포함하여,
    깊이조절레버(300)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어 럼버패드(500)의 전후방향 깊이가 조절되고, 수평이동대(220)를 기준으로 하는 패드지지부(400)의 상하방향(Z,Z`) 이동에 의해, 럼버패드(50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럼버프레임(100)은, 깊이조절부(200)의 가이드 커버(210)가 나사체결되어 일체로 고정되는 중앙프레임(110)과, 중앙프레임(110)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이 의자의 등판 프레임(800)에 고정설치되는 날개프레임(120)을 포함하되,
    상기 중앙프레임(110)은 깊이조절부의 가이드 커버(210)가 나사결합되는 커버체결구(111)와, 커버체결구(111)를 중심으로 대칭되어지도록 돌출형성되어 깊이조절레버(300)의 상하방향(Z,Z`)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구(112)와, 깊이조절레버(300)의 일면에 접촉지지되도록 돌출형성된 다수의 수직리브(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깊이조절부(200)는, 럼버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 커버(210)와, 가이드 커버(210)내에서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삽입설치되는 수평이동대(220)와, 수평이동대(220)를 관통하여 가이드 커버(210)에 끝단이 고정설치되는 리미트볼트(230)와, 리미트볼트의 볼트머리(231)에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타측이 수평이동대(220)의 일측에 접촉지지되도록 수평이동대(220)내에 설치되는 탄성체(240)와, 가이드 커버(2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장홀(211)을 관통하여 수평이동대(220)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작동핀(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가이드 커버(210)는,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수평이동되도록 삽입되는 수평 슬라이드홀(212)이 형성되고, 수평 슬라이드홀(212)과 연통되도록 양측면에 사이드 장홀(211)이 관통형성되며,
    수평이동대(220)는, 가이드 커버(210)의 수평 슬라이드홀(212)내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사이드 장홀(211)을 통해 작동핀(250)이 체결되는 본체(221)와,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4)이 구비되도록 본체의 일면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형성된 한 쌍의 삽입돌기(222)와, 삽입돌기(221)의 서로 마주하는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패드지지부(400)의 일측에 탄성접촉되는 탄성편(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수평이동대의 본체(221)에는 체결너트(227)의 삽입설치를 위한 너트삽입홀(221a)이 더 형성되고, 너트삽입홀(221a)내로 체결너트(227)가 삽입설치되어, 작동핀(250)이 체결홀(226)을 통해 체결너트(221a)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6. 청구항 4 에 있어서;
    가이드커버(21)의 수평 슬라이드홀(212)내에 수평가이드(21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수평가이드(214)에 대응되도록 수평이동대의 본체(221)에 슬라이드홈(221b)이 형성되어, 가이드커버의 수평슬라이드홀(212)내에서 수평이동대(220)가 전후방향(Y,Y`)으로 슬라이딩될 시, 가이드커버(21)의 수평가이드(214)를 따라 수평이동대(22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깊이조절레버(300)는, 하단에 손잡이(331)가 형성된 레버본체(330)와, 레버본체(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깊이조절부(200)가 수용되는 수용홀(310)과, 수용홀(310) 양단에 위치하도록 레버본체(330)에 형성된 다단지지레일(320)과, 럼버프레임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레버본체(330)를 관통하여 형성된 수직가이드홀(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 에 있어서;
    다단지지레일(320)은, 수용홀(310)의 양측에 수용홀(3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레일홈(370)내에 형성되되,
    상기 다단지지레일(320)은,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고 깊이조절레버(300)의 상측방향(Z) 이동을 제한하는 하단걸림턱(321)과, 하단걸림턱(3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되는 다수의 상단걸림턱(322)과, 하단걸림턱(321)과 상단걸림턱(322), 상단걸림턱과 이에 이웃하는 상단걸림턱을 연결하는 하향경사가이드(323)를 포함하여,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9. 청구항 8 에 있어서;
    하단걸림턱(321)은, 작동핀(250)에 접촉지지되어 깊이조절레버의 상측방향(Z)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면(321a)과, 작동핀(250)에 접촉지지되어 럼버패드(500)의 후단방향(Y`)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면(321b)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면(321a)은 작동핀(250)이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321b)은 작동핀(250)의 외면을 감싸면서 접촉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0.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단걸림턱(322)은, 작동핀(250)의 직경(D)에 대하여 0.5(D)∼1.0(D)의 높이(h)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하향경사가이드(323)는, 상단걸림턱(322)에 대하여 120°∼160°의 하향경사각(θ)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하단걸림턱(321)은, 깊이조절부의 작동핀(250)의 외면둘레가 면접촉되어 안착지지되도록 작동핀(25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1.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단걸림턱(322)은, 일정구간 수직평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2.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단걸림턱(322)은, 작동핀(250)의 외면둘레가 면접촉되는 접촉곡면(322b)과, 상기 접촉곡면(322b)에 연장되는 수직평면(322c)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평면(322c)은 접촉곡면(322b) 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접촉곡면(322b)는, 작동핀(250)이 접촉지지될 시, 작동핀의 중심(O)을 기준으로 하는 중심각(θ1) 25°∼45°에 대한 호의 길이에 해당되는 곡면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수직평면(322c)은, 작동핀의 직경(D)에 대하여 0.1(D)∼0.5(D)의 길이를 구비하며 접촉곡면(322b)의 하측에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곡면(322b)은, 상측이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연결되고, 수직평면(322c)은 하측이 또다른 하향경사가이드(323)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4. 청구항 7 에 있어서;
    깊이조절레버(300)는, 레버본체의 일면에 가이드 슬롯(360)이 더 구비되고, 럼버프레임(100)에는 가이드돌기(114)가 더 돌출형성되어, 깊이조절레버(300)가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될 시, 깊이조절레버의 가이드 슬롯(360)이 럼버프레임의 가이드돌기(114)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5. 청구항 1 에 있어서;
    패드지지부(400)는, 깊이조절부의 수평이동대(220)에 상하방향(Z,Z`)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연결되고 럼버패드(500)가 조립결합되는 럼버브래킷(410)과, 상기 럼버브래킷(410)에 나사결합되어 수평이동대(220)에서 럼버브래킷(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럼버플레이트(420)를 포함하되,
    상기 럼버브래킷(410)은, 상하방향(Z,Z`)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평이동대(220)에 끼움연결되는 중앙브래킷(411)과, 상기 중앙브래킷(411)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형성되고 럼버패드(500)가 끼움결합되는 날개브래킷(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6. 청구항 15 에 있어서;
    럼버브래킷(410)의 중앙브래킷(411)은, 럼버패드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중앙홈(413)과, 중앙홈(413)내에 위치하도록 대칭형성되어 수평이동대(220)의 일측이 탄성접촉되어 지지되는 한 쌍의 수직파형레일(414)과, 중앙홈(413)과 연통되도록 중앙브래킷의 양측을 관통형성되어 수평이동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수직슬라이드홀(415)을 포함하고,
    럼버플레이트(420)는, 개방구(415a)를 폐쇄시켜 럼버브래킷(410)의 상측방향(Z)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트돌기(421)가 하단에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7. 청구항 16 에 있어서;
    럼버플레이트(420)는 럼버브래킷(410)을 향하는 일면에, 상하가이드(422)가 더 구비되고, 수평이동대에는 상하가이드(422)에 대응되는 요철가이드(222a)가 더 형성되어, 럼버브래킷이 상하방향(Z,Z`)으로 이동될 시, 럼버플레이트의 상하가이드(422)가 수평이동대의 요철가이드(222a)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8. 청구항 1 에 있어서;
    럼버패드(500)는, 럼버프레임을 향하는 일면 양단에 결합고리(510)가 돌출형성되고, 패드지지부의 일측에 결합돌기(418)가 형성되며, 상기 럼버패드의 결합고리(510)에 패드지지부의 결합돌기(418)가 끼움결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19. 청구항 18 에 있어서;
    럼버패드(500)는, 결합고리(510)에 연결되어 럼버브래킷의 결합돌기(418)를 결합고리(51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턱(52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20. 의자의 등판프레임에, 청구항 1,2,3,7,14,15,16,17,18,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요추지지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지지장치를 구비한 의자.
KR1020210180311A 2021-12-16 2021-12-16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390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11A KR102390126B1 (ko) 2021-12-16 2021-12-16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US18/075,207 US20230190001A1 (en) 2021-12-16 2022-12-05 Lumbar supporting system of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311A KR102390126B1 (ko) 2021-12-16 2021-12-16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26B1 true KR102390126B1 (ko) 2022-04-25

Family

ID=8145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311A KR102390126B1 (ko) 2021-12-16 2021-12-16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90001A1 (ko)
KR (1) KR1023901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5B1 (ko) 2022-07-26 2022-11-18 신명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RU220615U1 (ru) * 2023-05-11 2023-09-26 Амир Анварович Фаткуллин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965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팬택 이물방지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36742Y1 (ko) 2007-03-28 2007-09-28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100107288A (ko)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20110033704A (ko) * 2009-09-25 2011-03-3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20110043307A (ko) 2009-10-21 2011-04-27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2273376B1 (ko)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포워드 기능을 갖는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2314380B1 (ko) * 2021-05-18 2021-10-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요추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65054C (no) * 1988-09-07 1990-12-19 Asbjoernsen & Jan Lade A S Sve Anordning ved omstillbar ryggstoepute paa stol.
ITTO20020775A1 (it) * 2002-09-06 2004-03-07 Pro Cord Spa Schienale di sedia.
KR100995964B1 (ko) * 2008-05-29 2010-11-22 (주) 에씨뉴 파트너스 의자 등받이 구조
US20120193959A1 (en) * 2011-02-01 2012-08-02 Ching-Ming Chen Automatic waistrest adjusting device for office chairs
US20120242130A1 (en) * 2011-03-21 2012-09-27 Yu-Ching Hung Chair with waist rest and armrests
US10264890B2 (en) * 2015-06-29 2019-04-23 Herman Miller, Inc. Back support
US10272282B2 (en) * 2016-09-20 2019-04-30 Corecentric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chairs
US20190281988A1 (en) * 2018-03-16 2019-09-19 Chih-Cheng Su Auxiliary backrest for a chair
US10827841B1 (en) * 2019-09-24 2020-11-10 Zhongshan Shi Songlin Furniture Co., Ltd Chair waist backrest height adjusting device
US11432649B2 (en) * 2019-09-24 2022-09-06 Beech Enterprises, Llc Adjustable desk chair
US20230200536A1 (en) * 2019-09-24 2023-06-29 Beech Enterprises, Llc Adjustable desk chai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2965A (ko) * 2004-08-05 2006-02-09 주식회사 팬택 이물방지 커버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36742Y1 (ko) 2007-03-28 2007-09-28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
KR20100107288A (ko) 2009-03-25 2010-10-05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
KR20110033704A (ko) * 2009-09-25 2011-03-3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20110043307A (ko) 2009-10-21 2011-04-27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2273376B1 (ko) * 2021-01-11 2021-07-07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포워드 기능을 갖는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2314380B1 (ko) * 2021-05-18 2021-10-21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의자용 요추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455B1 (ko) 2022-07-26 2022-11-18 신명수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RU220615U1 (ru) * 2023-05-11 2023-09-26 Амир Анварович Фаткуллин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ясничная поддерж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0001A1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5790B2 (en) Backrest elevation adjustment assembly
US8474914B2 (en) Armrest adjustment device
US20110148171A1 (en) Height adjustable headrest for an automobile seat backrest
US20040140701A1 (en) Backrest for a seating structure with an adjustable sacral support
EP3718439A1 (en) Seating structure with a contoured flexible backrest
KR102390126B1 (ko) 의자용 요추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한 의자
JP2007519480A (ja) 椅子のための高さ調節機構
US11166560B2 (en) Headrest device of office chair
US20150102648A1 (en) Tilting type chair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US3498672A (en) Vehicle headrest construction
JP2022168245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付き椅子
US10010182B1 (en) Device for vertically adjusting chair headrest
CN108652303B (zh) 椅子的头枕的上下调整结构
JP568791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装置
KR100328912B1 (ko) 의자용 허리받이
JP5860513B2 (ja) 椅子
KR102327381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의자용 팔걸이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의자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JP5588726B2 (ja) 車両用シート
JP6975674B2 (ja) 椅子の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2017113465A (ja) 椅子の背もたれ
CN208610269U (zh) 一种座椅的靠背升降调节机构
JP6192039B2 (ja) 枕スライ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