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00B1 - 의자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의자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00B1
KR102258600B1 KR1020190004991A KR20190004991A KR102258600B1 KR 102258600 B1 KR102258600 B1 KR 102258600B1 KR 1020190004991 A KR1020190004991 A KR 1020190004991A KR 20190004991 A KR20190004991 A KR 20190004991A KR 102258600 B1 KR102258600 B1 KR 10225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locking
head
parts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572A (ko
Inventor
김장태
Original Assignee
(주)앤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드코 filed Critical (주)앤드코
Priority to KR102019000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부(1)의 상단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부(2)를 머리쪽의 전방으로의 거리를 조정하는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은 헤드레스트부(2)의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21)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편(11),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전방변위 조정을 위해 연결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걸림부(12), 상기 지지부(1)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편(11)의 타단부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와 맞물려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에 헤드레스트부가 전방으로 거리조정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에 대해 헤드레스트부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과 안락함이 향상되며, 기존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정수단과 각도조정수단과 함께 결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헤드레스트{A HEADREST FOR CHAIRS}
본 발명은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및 각도 조정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사용자 머리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높이 조정가능하게 다리부에 장착된 시트에 대하여 등받이가 각도 조정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를 등받이 상단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의자의 헤드레스트는 쿠션이 제공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높이와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정 구조의 예로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24966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3047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36739호, 및 한국특허공개 제 10-2010-0066203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0119호(등록일자 2013년11월11일)에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를 사각형상의 이동공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하도록 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 하측에는 이동공에 삽입된 지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부재에 걸려지는 걸림후크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정가능하고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지만,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사용자 머리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24966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3047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36739호, 한국특허공개 제 10-2010-006620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01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상단의 절곡된 단부에서 각도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레스트부의 전방으로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의자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의 상단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부를 머리쪽의 전방으로의 거리를 조정하는 전방변위 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변위 조정수단은 헤드레스트부의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전방변위 조정을 위해 연결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걸림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고정된 가동걸림부와 맞물려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결합부재는 지지부의 상단에서 헤드레스트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단부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결합부재에는 상면을 가로지르는 요부의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은 가동걸림부의 일측부와 유사한 형상의 오목하게 만입된 형상의 가이드홈으로 형성되는 한편,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홈에서 양측으로 폭이 확장되어 형성된 확장부로 형성되고 그 확장부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의 단부에는 볼록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동걸림부는 2개의 걸림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들은 개구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들은 헤드부에서 일체로, 각각 외측으로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게 걸림부분들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분들의 단부가 개구부의 확장부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된다.
상기 걸림부분들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걸림부분들 사이에는 스프링이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분들중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대향된 측면에는 돌출된 삽입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부들이 가이드홈에 배치될 때 걸림부분의 돌기가 걸림부분의 돌출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걸림부가 개구부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에 헤드레스트부가 전방으로 거리조정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에 대해 헤드레스트부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과 안락함이 향상되며, 기존의 헤드레스트 높이조정수단과 각도조정수단과 함께 결합하여 쉽게 구성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의 전방위치 조정구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동걸림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헤드레스트 전방위치 조정구조에서 전방 이격거리가 최소인 조정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4의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부에 연결된 연결편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사용자 머리와의 간격을 좁히도록 조정하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도 6은 도 5의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부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하여 도 4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연결편을 최대로 인출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헤드레스트는 (미도시된)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제공되는 헤드레스트 고정부에 높이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1)의 상단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부(2)의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와 헤드레스트부(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락함을 향상시켜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은 헤드레스트부(2)가 회동가능하게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21)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편(11),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전방변위 조정을 위해 연결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걸림부(12), 상기 지지부(1)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편(11)의 타단부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와 맞물려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의 상단은 헤드레스트부(2)를 향하여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단부(4)의 저면에 상기 고정결합부재(15)가 안착되어 스크류로 고정되는 안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41)에 스크류로 고정되는 고정결합부재(15)는 상면을 가로질러 요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151)의 중앙에는 개구부(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52)에는 상기한 가동걸림부(12)가 배치되어 연결편(11)의 이동시에 가동걸림부(12)가 개구부(152)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152)의 일측은 가동걸림부(12)의 일측부와 유사한 형상의 오목하게 만입된 형상의 가이드홈(153)으로 형성되는 한편,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홈(153)에서 양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확장부(154)로 형성되고 그 확장부(154)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55)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의 단부에는 볼록한 돌출부(156)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개구부(152)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걸림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걸림부(121,122)들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121,122)들은 개구부의 가이드홈(153)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125)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중첩되어 배치되고, 그 헤드부(125)들을 관통하여 회전축(126)이 끼워져 헤드부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126)에는 걸림부(12)를 연결편(1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체결용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1,122)들은 헤드부에서 일체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게 걸림부분(121',122')들이 연장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분(121',122')들 사이에는 스프링(127)이 제공되어 걸림부분(121',122')들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걸림부분들의 단부는 상기한 개구부(152)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55)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분(121',122')들중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12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대향된 측면에는 돌출된 삽입홈(126')이 형성되어서 걸림부분(121')의 돌기(125')가 걸림부분(122')의 돌출된 삽입홈(126')에 결합되어 두개의 걸림부분(121',122')들은 그 사이의 스프링(127)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152)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152)의 가이드홈(153)의 폭은 상기한 걸림부(121,122)의 헤드부(125)들이 가이드홈(153)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부분(121',122')들이 그 사이의 스프링(127)을 압축하면서 돌기(125')와 삽입홈(126')이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걸림부(121,122)들이 그 걸림부분(121',122')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걸림부(121,122)들의 폭은 상기 개구부(152)의 확장부(154)의 폭보다 작게 되어서 상기 개구부(152)의 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21,122)들이 타측부의 단부에 도달하면 걸림부분(121',122')들이 볼록한 돌출부(156)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분(121')의 돌기(125')가 걸림부분(122')의 돌출된 삽입홈(126')에서 이탈하여 결합해제되고, 이때 스프링(127)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어 걸림부분(121',122')들의 단부는 확장부(154)의 양측에서 상기 돌출부(156)에 가장 근접한 걸림홈(155)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걸림홈(155)들은 가이드홈(153)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방 변위 조정을 위해 연결편(11)의 이동시에 그 연결편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가 개구부(152)의 확장부(154)에서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쪽을 향해 이동할 때 걸림부분(121',122')들의 단부가 순차적으로 상기 걸림홈(155)들에 맞물리게 되어 상기 걸림부(12)는 상기 확장부(154)의 타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제공되는 헤드레스트 고정부에 장착되는 지지부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헤드레스트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사용자 머리쪽으로의 거리를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머리를 뒤로 젖히지 않아도 헤드레스트부(2)가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헤드레스트부(2)를, 등받이 상단에서 상하로 높이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1)에서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을 조작하여 전방으로 이동시켜 머리와 헤드레스트부(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헤드레스트부(2)를 전방으로 당기면 헤드레스트부(2)의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21)에 연결된 연결편(11)이 도 4의 위치에서 도 5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편(11)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가 지지부(1) 상단의 절곡단부(4)의 안착홈(41)에 고정된 고정결합부재(15)의 개구부(152)에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동걸림부(12)의 2개의 걸림부(121,122)들에서 연장된 걸림부분(121',122')들의 단부들이 개구부(152)의 확장부(154)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155)들에 맞물리게 되어 전방 변위가 조정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부의 전방 위치를 다시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부(2)를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그 배면측의 힌지부(21)에 연결된 연결편(11)의 단부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의 2개의 걸림부(121,122)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헤드부(125)들이 개구부(152)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53)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부(121,122)들의 걸림부분(121',122')들이 그 사이의 스프링(127)이 압축하면서 돌기(125')와 삽입홈(126')이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121,122)들의 폭은 상기 개구부(152)의 확장부(154)의 폭보다 작게 되어서 도 4와 같이 상기 개구부(152)의 타측으로, 즉 헤드레스트부를 지지부쪽으로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21,122)들이 타측부의 단부에 도달하면 걸림부분(121',122')들이 볼록한 돌출부(156)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분(121')의 돌기(125')가 걸림부분(122')의 돌출된 삽입홈(126')에서 이탈하여 결합해제되고, 이때 스프링(127)에 의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어 걸림부분(121',122')들의 단부는 확장부(154)의 양측에서 상기 돌출부(156)에 가장 근접한 걸림홈(155)에 맞물리게 되고,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머리와의 거리를 편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의자의 헤드레스트부가 장착되는 지지부(1)를 등받이의 상단에서 인출하여 높이를 조정함과 함께 헤드레스트부를 그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에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정함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와의 거리를, 헤드레스트부를 전방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서 조정함으로써, 의자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의자의 헤드레스트부의 전방 변위를 조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헤드레스트부를 사용자 신체 조건에 따라 전방으로, 즉 사용자 머리쪽으로의 거리를 조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지지부 2 : 헤드레스트부
4 : 절곡단부 10 : 전방변위 조정수단
11 : 연결편 12 : 가동걸림부
15 : 고정결합부재 21 : 힌지부
41 ; 안착홈 121,122 : 걸림부
121',122' : 걸림부분 125 : 헤드부
126 : 회전축 127 : 스프링
125' : 돌기 126' : 삽입홈
152 : 개구부 153 ; 가이드홈
154 : 확장부 155 ; 걸림홈
156 : 돌출부

Claims (5)

  1. 의자의 등받이부 상단에 장착되는 지지부(1)의 상단에 제공되어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부(2)를 머리쪽의 전방으로의 거리를 조정하는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을 구비하며,
    상기 전방변위 조정수단(10)은 헤드레스트부(2)의 배면측에 제공된 힌지부(21)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편(11), 상기 연결편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전방변위 조정을 위해 연결편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걸림부(12), 상기 지지부(1)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편(11)의 타단부에 고정된 가동걸림부(12)와 맞물려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결합부재(15)를 포함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재(15)는 지지부(1)의 상단에서 헤드레스트부(2)를 향하여 수평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의 저면에 형성된 안착홈(41)에
    판상의 부재로서며, 상기 고정결합부재(15)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요부(151)의 중앙에 개구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2)의 일측은 가동걸림부(12)의 일측부와 유사한 형상의 오목하게 만입된 형상의 가이드홈(153)으로 형성되는 한편, 타측부는 상기 가이드홈(153)에서 양측으로 폭이 확장되어 형성된 확장부(154)로 형성되고, 그 확장부(154)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홈(155)들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의 단부에는 볼록한 돌출부(156)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걸림부(12)는 개구부의 가이드홈(153)에 삽입될 수 있는 헤드부(125)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중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걸림부(121,122)들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121,122)들은 헤드부에서 일체로, 각각 외측으로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게 걸림부분(121',122')들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분(121',122')들의 단부가 개구부(152)의 확장부(154)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55)들에 탄성적으로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분(121',122')들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걸림부분(121',122')들 사이에는 스프링(127)이 제공되며,
    상기 걸림부분(121',122')들중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125')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대향된 측면에는 돌출된 삽입홈(126')이 형성되어서 상기 헤드부(125)들이 가이드홈(153)에 배치될 때 걸림부분(121')의 돌기(125')가 걸림부분(122')의 돌출된 삽입홈(126')에 결합되어 걸림부가 상기 개구부(152)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0190004991A 2019-01-15 2019-01-15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25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91A KR102258600B1 (ko) 2019-01-15 2019-01-15 의자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991A KR102258600B1 (ko) 2019-01-15 2019-01-15 의자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72A KR20200088572A (ko) 2020-07-23
KR102258600B1 true KR102258600B1 (ko) 2021-06-01

Family

ID=7189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991A KR102258600B1 (ko) 2019-01-15 2019-01-15 의자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86B1 (ko) 2021-12-17 2023-04-2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951A (ja) * 2005-12-16 2007-06-28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用の調整式ヘッドレスト
KR100979273B1 (ko) * 2009-08-11 2010-08-31 주식회사 대한 헤드레스트
US20110109144A1 (en) * 2009-11-06 2011-05-12 Faurecia Autositz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966Y1 (ko) 2003-06-10 2003-08-29 이철웅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0383047Y1 (ko) 2005-02-16 2005-04-28 박용호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200436739Y1 (ko) 2007-03-05 2007-09-28 주식회사 리바트 헤드레스트
KR101075872B1 (ko) 2008-12-09 2011-10-25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KR101330119B1 (ko)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951A (ja) * 2005-12-16 2007-06-28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用の調整式ヘッドレスト
KR100979273B1 (ko) * 2009-08-11 2010-08-31 주식회사 대한 헤드레스트
US20110109144A1 (en) * 2009-11-06 2011-05-12 Faurecia Autositz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386B1 (ko) 2021-12-17 2023-04-21 주식회사 린백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572A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492A (en) Chair back arrangement
JP2022186976A (ja) 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7780237B2 (en) Headrest for child seat
JP414975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476622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US11166560B2 (en) Headrest device of office chair
KR200426959Y1 (ko)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JP2022168245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付き椅子
JP4133067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2258600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US11517112B2 (en) Cam adjustmen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rm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CN108652303B (zh) 椅子的头枕的上下调整结构
KR101970736B1 (ko) 의자
US20170295935A1 (en) Tilt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seating furniture
KR101476621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JP7414394B2 (ja) 椅子
JP4759128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JP7217110B2 (ja) 椅子
JP2019083956A (ja) 椅子
JP2017113465A (ja) 椅子の背もたれ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3513925B2 (ja) 椅 子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JP4278793B2 (ja) ヘッドレスト上下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