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72B1 -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72B1
KR101075872B1 KR1020080124894A KR20080124894A KR101075872B1 KR 101075872 B1 KR101075872 B1 KR 101075872B1 KR 1020080124894 A KR1020080124894 A KR 1020080124894A KR 20080124894 A KR20080124894 A KR 20080124894A KR 101075872 B1 KR101075872 B1 KR 10107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hair
leaf spring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203A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받침의 회동시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머리받침을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와, 그리고 이동 부재에 머리받침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다단 회동 유닛은 이동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 부재와, 머리받침의 배면에 구비되고 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와, 축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그리고 안착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한다.
의자, 머리받침, 머리받침, 어셈블리, 조립

Description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머리받침의 회동시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머리받침을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받침은 의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거나 착석한 상태에서 잠을 청할 경우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편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람 마다 신체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머리받침의 회동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머리받침 조절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연구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머리받침 회동을 위해 머리받침과 지지부(머리받침과 의자 사이에 구비되어 머리받침을 의자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 사이에 고무 결착구를 장착하는 기술과,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부를 고정 부재와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 재로 구성하고 이에 스위칭 부재와 누름 버튼을 채용하는 기술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를 뒤로 젖히면 고무 결착구의 탄성에 의해 고무 결착구를 기준으로 머리받침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받침이 머리 또는 목 등의 원하는 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의자에서 일어나 고정 부재에 구비된 누름 버튼을 눌러 스위칭 부재의 잠금 상태(고정 부재에 구비된 스위칭 부재의 걸림 돌기가 이동 부재의 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머리받침을 이동시키고, 누름 버튼을 놓으면 스위칭 부재가 탄성체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상기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 특히, 스위칭 부재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누름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도록 스위칭 부재의 중심은 고정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고무 결착구는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하려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필요한 하중(복원력보다 큰 하중)이 머리받침에 계속 가해지지 않게 되면 머리받침이 원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받침에 머리 또는 목을 살짝 기대는 상황인 경우 머리받침이 회전되지 않을 수 있거나, 회전되더라도 바로 원상 복귀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부재가 절곡 형상을 가짐과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 사이에는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스위칭 부재가 회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헐거운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거나 동작감이 떨어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머리받침의 회동시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함께 머리받침을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머리받침의 회동 및 높낮이를 조절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와;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에 상기 머리받침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다단 회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 부재와; 상기 머리받침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는 제1 판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판 스프링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홈이 상기 안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상기 머리받침의 회전 반경을 설정 각도 범위로 한정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멈춤 돌기와; 그리고 상기 설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멈춤 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이동용 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이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다단 이동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과;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제2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체는 제2 판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판 스프링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판 스프링 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홈이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를 상승시킬 경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 방지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상단이 막힌 제2 이동용 안내홈과; 그리고 상기 제2 판 스프링에서 절개되고 절곡되며 상기 제2 이동용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멈춤 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고무 결착구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머리받침이 원 위치되지 않고 최적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의자에서 편하게 쉬거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회동 유닛 또는 다단 이동 유닛이 제공됨에 따라, 머리받침이 다단으로 조절되므로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누름 버튼이나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종래와 같은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 로,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좌/우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머리받침이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장착된 상태 및 머리받침 조절 장치가 의자에 장착된 상태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도 1의 V-V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머리받침(10)의 회동 및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0)와, 이동 부재(200)와, 그리고 다단 회동 유닛(300)을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20)(또는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또는 틸팅 장치)에는 등판(30)을 지지하기 위한 등판 지지 결착판(40)이 구비될 수 있고, 등판 지지 결착판(40)에는 수직 프레임(50)이 장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직 프레임(50)에 상기 고정 부재(100)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 부재(100)는 그 길이를 길게 하여 좌판(20)(또는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또는 틸팅 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동 부재(200)는 고정 부재(1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도 8의 화살표 참조).
다단 회동 유닛(300)은 이동 부재(200)에 머리받침(10)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구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축 부재(310)와, 안착부(320)와, 복수개의 걸림홈(330)과, 그리고 제1 걸림 돌기(341)를 갖는 제1 탄성체(3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단 회동 유닛(300)의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축 부재(310)는 그 종단면이 원 형상을 하고, 이동 부재(200)의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머리받침(1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축 부재(310)는 후술하는 머리받침(10)의 배면에 형성된 안착부(320)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된다. 참고로, 볼트 체결을 위해, 축 부재(310)의 중심에 제1 볼트 통과공(391)이 형성될 수 있 고, 안착부(320)의 양측에 체결 리브(392)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체결 리브(392)에 제2 볼트 통과공(3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394)가 제2 볼트 통과공(393) 및 제1 볼트 통과공(391)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너트(395)에 의해 체결되면, 볼트 체결이 완료된다. 이후, 볼트(394)와 너트(395)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즉,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캡(396)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안착부(320)는 축 부재(31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곳으로서, 머리받침(10)의 배면에 구비된다.
복수개의 걸림홈(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3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후술하는 제1 걸림 돌기(341)가 이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리게 된다.
제1 탄성체(340)는 안착부(320)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홈(330)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330)에 걸리는 제1 걸림 돌기(341)를 포함한다. 일예로, 제1 탄성체(340)는 제1 판 스프링일 수 있고, 제1 걸림 돌기(341)는 제1 판 스프링(340)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판 스프링(3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홈(350)이 안착부(3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 또는 목이 머리받침(10)에 닿으면 머리받침(10)이 축 부재(31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종래와 달리 최적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종래의 고무 결착구(미도시)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머리받침(10)이 원 위치되지 않고 최 적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의자(1)에서 편하게 쉬거나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머리받침(10)이 회전되는 동안 제1 걸림 돌기(341)가 복수개의 걸림홈(330) 중 해당 걸림홈에 위치되거나 빠지면서 동작감을 부여하게 된다. 특히, 제1 걸림 돌기(341)가 걸림홈(330)에 위치되거나 빠질 때 "똑딱"하는 소리가 나면서 사용자에게 그 소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작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10)의 회전 반경을 설정 각도 범위로 한정하는 회동 제한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 제한 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0)에 형성되는 멈춤 돌기(410)와, 그리고 설정 각도 범위에서 멈춤 돌기(4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축 부재(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이동용 안내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멈춤 돌기(410)가 축 부재(310)에 형성되고, 제1 이동용 안내홈(420)이 안착부(32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10)의 모서리가 어떠한 경우에서도 결코 전방을 향해 위치되지 않기 때문에 즉, 머리받침(10)이 설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머리 또는 목을 머리받침(10)에 기대될 경우 머리 또는 목이 머리받침(10)의 모서리에 부딪힐 가능성을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0)에 이동 부재(20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이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이동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단 이동 유닛(500)은 고정 부재(10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510)과, 그리고 이동 부재(200)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공(510)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제2 걸림 돌기(521)를 갖는 제2 탄성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탄성체(520)는 제2 판 스프링일 수 있고, 제2 걸림 돌기(521)는 제2 판 스프링(520)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판 스프링(5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홈(530)이 이동 부재(20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받침(10)을 잡고 올리거나 내리면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므로 종래와 같은 누름 버튼(미도시)이나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미도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종래와 같은 누름 버튼이나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 부재(200)와 고정 부재(100) 사이에 종래와 같은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미도시)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200)와 고정 부재(100)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머리받침(10)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좌/우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머리받침(10)이 높낮이 조절되는 동안 제2 걸림 돌기(521)가 복수개의 걸림공(510) 중 해당 걸림공에 위치되거나 빠지면서 동작감을 부여하게 된다. 특히, 제2 걸림 돌기(521)가 걸림공(510)에 위치되거나 빠질 때 "똑딱"하는 소리가 나면서 사용자에게 그 소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작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이동 유닛(50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를 상승시킬 경우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유닛(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 방지 유닛(530)은 고정 부재(100)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상단이 막힌 제2 이동용 안내홈(531)과, 그리고 제2 판 스프링(520)에서 절개되고 절곡되며 제2 이동용 안내홈(531)을 따라 이동하는 멈춤 절편(5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받침(10)을 잡고 의자(1)를 이동시키는 등의 상황에서 머리받침(10)이 의자(1)에서 완전히 빠지지 않게 되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이동 부재(2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700)(fitting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고무 결착구(미도시)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머리받침(10)이 원 위치되지 않고 최적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의자에서 편하게 쉬거나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단 회동 유닛(300) 또는 다단 이동 유닛(500)이 제공됨에 따라, 머리받침(10)이 다단으로 조절되므로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누름 버튼(미도시)이나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미도시)를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 부재(200)와 고정 부재(100) 사이에 종래와 같은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200)와 고정 부재(100)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머리받침(10)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좌/우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머리받침이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장착된 상태 및 머리받침 조절 장치가 의자에 장착된 상태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하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머리받침 100: 고정 부재
200: 이동 부재 300: 다단 회동 유닛
310: 축 부재 320: 안착부
330: 복수개의 걸림홈 341: 제1 걸림 돌기
340: 제1 탄성체

Claims (8)

  1. 삭제
  2. 머리받침의 회동 및 높낮이를 조절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와;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에 상기 머리받침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회동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로서,
    상기 다단 회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 부재와;
    상기 머리받침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축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홈과; 그리고
    상기 안착부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에 걸리는 제1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1 탄성체는 제1 판 스프링이고,
    상기 제1 걸림 돌기는 상기 제1 판 스프링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그리고
    상기 제1 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홈이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머리받침의 회전 반경을 설정 각도 범위로 한정하는 회동 제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회동 제한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형성되는 멈춤 돌기와; 그리고
    상기 설정 각도 범위에서 상기 멈춤 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이동용 안내홈을 포함하는 의자 머리받침 조절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이동 부재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이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다단 이동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과;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제2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2 탄성체는 제2 판 스프링이고,
    상기 제2 걸림 돌기는 상기 제2 판 스프링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이고, 그리고
    상기 제2 판 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홈이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다단 이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를 상승시킬 경우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되 그 상단이 막힌 제2 이동용 안내홈과; 그리고
    상기 제2 판 스프링에서 절개되고 절곡되며 상기 제2 이동용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멈춤 절편을 포함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KR1020080124894A 2008-12-09 2008-12-09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KR10107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4A KR101075872B1 (ko) 2008-12-09 2008-12-09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4A KR101075872B1 (ko) 2008-12-09 2008-12-09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03A KR20100066203A (ko) 2010-06-17
KR101075872B1 true KR101075872B1 (ko) 2011-10-25

Family

ID=4236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894A KR101075872B1 (ko) 2008-12-09 2008-12-09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97B1 (ko) * 2012-11-21 2014-08-06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242B1 (ko) * 2011-04-27 2013-01-28 김홍만 미용의자의 머리 받침대
KR101330119B1 (ko) * 2011-06-01 2013-11-15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헤드레스트 각도 및 높이조절장치
KR102258600B1 (ko) 2019-01-15 2021-06-01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362934B1 (ko) * 2019-10-16 2022-02-14 심병섭 접이식 선반 받침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421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347151Y1 (ko) 2004-01-08 2004-04-09 주식회사 씨.월드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95900Y1 (ko) *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KR200411914Y1 (ko) * 2005-12-28 2006-03-2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용 헤드 레스트의 회동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421Y1 (ko) 2003-12-03 2004-02-21 주식회사 리바트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347151Y1 (ko) 2004-01-08 2004-04-09 주식회사 씨.월드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95900Y1 (ko) * 2005-06-29 2005-09-14 (주)거성 의자용 헤드레스트 구조
KR200411914Y1 (ko) * 2005-12-28 2006-03-21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의자용 헤드 레스트의 회동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697B1 (ko) * 2012-11-21 2014-08-06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03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4421B2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US9409503B2 (en)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JP2015515945A (ja) 車両シート
JP2011136039A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1413697B1 (ko) 의자의 머리받침 부재 조절 장치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KR101008889B1 (ko) 암레스트 수평 이동 조절 장치
JP3967150B2 (ja) 椅子
JP5562025B2 (ja) 椅子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382313Y1 (ko) 의자의 각도조절장치
JP4451549B2 (ja) 座席用テーブル
JP5601818B2 (ja) ロッキング椅子
KR10175948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4008691B2 (ja) ロッキング椅子
WO2005034689A1 (en) Bed with anti-rattle mechanism for a bed rail
JP2005211467A (ja) 椅子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2019083958A (ja) 椅子
JP2006076494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102029788B1 (ko) 회전식 차량용 의자
JP5728644B2 (ja) 椅子
KR101590020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H0622282Y2 (ja) 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