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151Y1 -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151Y1
KR200347151Y1 KR20-2004-0000436U KR20040000436U KR200347151Y1 KR 200347151 Y1 KR200347151 Y1 KR 200347151Y1 KR 20040000436 U KR20040000436 U KR 20040000436U KR 200347151 Y1 KR200347151 Y1 KR 200347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rame
frame
chair
headres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월드
Priority to KR20-2004-0000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등받이프레임 양측단 힌지부와 머리받침프레임 양측단 힌지부에는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다수개의 와샤를 갖는 볼트부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로 구성된 것으로서, 머리를 지탱하는 머리받침프레임 양측단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머리가 최적으로 기댈수 있도록 머리받침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THE HEAD FRAMEM A REVOLUTION AN ANGLE A REGULATOR CHAIR}
본 고안은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의자의 등받이 전면에는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를 구분 부착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의자를 제조하는 업체에서는 상기 머리받침부는 첫째 의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설치하고, 둘째로는 모양을 형성하기 위함이지 기능성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과 같은 의자에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앉아 업무를 처리할 경우 불규칙한 자세로 인하여 목이 아프다거나 척추에 큰 무리가 가해지는 경우를 흔히 볼 수가 있다. 설령 머리받침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의자라도 일반인 평균치수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서, 평균치수에 벗어나는 사람인 경우에는 오히려 머리받침부가 불필요 할 때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머리를 지탱하는 머리받침프레임 양측단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머리가 최적으로 기댈수 있도록 머리받침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람의 목을 보호하고, 척추에 큰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볼트와 너트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된 머리받침프레임과 볼트와 너트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머리받침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힌지부 결합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측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머리받침프레임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a)는 머리받침프레임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b)는 머리받침프레임이 중앙으로 회전된 상태이며,
(c)는 머리받침프레임이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등받이프레임 10. 힌지부 11. 너트
2. 머리받침프레임 20. 힌지부 21. 와샤
22. 볼트 21a. 호형의 와샤 21b. 제어돌기
23. 안내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등받이프레임 양측단 힌지부와 머리받침프레임 양측단 힌지부에는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다수개의 와샤를 갖는 볼트부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요부인 볼트와 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적용된 머리받침프레임과 볼트와 너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머리받침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의 힌지부 결합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측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머리받침프레임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등받이프레임(1) 상부에는 머리받침프레임(2)이 "ㄷ"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머리받침프레임(2) 양단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20)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샤(21)와 결합된 볼트(22)가 끼워지고, 상기 등받이프레임(1)의 양측단 힌지부(10)내부에는 상기 볼트(22)와 결합되는 너트(11)가 조립되어 머리받침프레임(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22)와 결합된 다수개의 와샤(21)중에 복수개의 호형의 와샤(21a)는 상기 너트(11)와 체결할 때 탄성의 수단을 갖도록 하여 볼트(22)와 너트(11)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도 머리받침프레임(2)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와샤(21)전방에 상하로 돌출된 제어돌기(21b)는머리받침프레임(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끼워져 머리받침프레임(2)의 기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의자 등받이프레임(1)에 기대어 앉게되면 자연스럽게 머리는 머리받침프레임(2)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머리가 머리받침프레임(1)에 닿지 않을 경우에는 머리받침프레임(1)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머리와 닿도록 한다. 즉,머리받침프레임(1) 힌지부(20)와 등받이프레임(2) 힌지부(10)에 결합된 볼트(22)와 너트(11)가 체결된체 그대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을 갖는 복수개의 호형의 와샤(21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로운 머리받침프레임(1)를 전방으로 잡아당길 경우, 머리받침프레임(2)에 끼워진 제어돌기(21b)를 기준으로 머리받침프레임(2)에 형성된 안내홈(23)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받침프레임 양측단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의 머리가 최적으로 기댈수 있도록 머리받침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람의 목을 보호하고, 척추에 큰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등받이프레임(1)양측단 힌지부(10)와 머리받침프레임(1) 양측단 힌지부(20)에는 머리받침프레임(1)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다수개의 와샤(21)를 갖는 볼트(22)가 끼워지고 타측에는 상기 볼트(2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와샤(21)중에 복수개의 호형의 와샤(21a)는 너트(11)와 체결할 때 탄성의 수단을 갖도록 하여 볼트(22)와 너트(11)가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도 머리받침프레임(2)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샤(21)전방에 상하로 돌출된 제어돌기(21b)는 머리받침프레임(2)에 형성된 안내홈(23)에 끼워져 머리받침프레임(2)의 기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2004-0000436U 2004-01-08 2004-01-08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47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36U KR200347151Y1 (ko) 2004-01-08 2004-01-08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436U KR200347151Y1 (ko) 2004-01-08 2004-01-08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151Y1 true KR200347151Y1 (ko) 2004-04-09

Family

ID=4934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436U KR200347151Y1 (ko) 2004-01-08 2004-01-08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1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72B1 (ko) 2008-12-09 2011-10-25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72B1 (ko) 2008-12-09 2011-10-25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6677B1 (en) Backrest device for chair
US10694855B2 (en) Ergonomic chair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US7416251B2 (en) Chair
KR101232825B1 (ko) 의자
KR20110114509A (ko) 틸팅 의자
RU2012120310A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KR101105780B1 (ko) 요추받이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KR101967182B1 (ko) 접이식 의자
KR200347151Y1 (ko) 의자 머리받침프레임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JP3843431B2 (ja) 椅子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KR20030015595A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JP5383583B2 (ja) 簡易便器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1044429B1 (ko)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JP5451027B2 (ja) ロッキング椅子
CN210249207U (zh) 一种摇摆椅靠背
JP6078290B2 (ja) 椅子
KR200245168Y1 (ko)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KR200254711Y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0392972Y1 (ko) 등받이가 구비되는 의자
CN218074203U (zh) 一种腰枕3d可调且腰枕带自负重的靠背椅
JP2012090757A (ja) 椅子の座回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