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484B1 -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484B1
KR101759484B1 KR1020170006131A KR20170006131A KR101759484B1 KR 101759484 B1 KR101759484 B1 KR 101759484B1 KR 1020170006131 A KR1020170006131 A KR 1020170006131A KR 20170006131 A KR20170006131 A KR 20170006131A KR 101759484 B1 KR101759484 B1 KR 10175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haft
tilting
backres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17000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6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조절레버부, 상기 바디와 의자의 등받이를 연결하고 등받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제1 조절레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복수의 단으로 로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로킹부, 상기 제2 조절레버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의자의 다리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고,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 및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ASSEMBLY AND CHAI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석부의 높이와 등받이의 기울기 및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다리 및 등받이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의자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과 팔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팔걸이가 마련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판의 전후 방향 위치 및 높이를 조절하거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의자 어셈블리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하부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의자 어셈블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 등판의 기울기 정도를 다단으로 제한하는 틸팅제한수단, 원하는 틸팅각도로 고정시키는 틸팅로킹수단, 틸팅수단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 케이스 양측에 각각 축설치되는 승강레버 및 로킹레버, 다단 틸팅할 수 있게 케이스 선단부에 설치되는 리미트레버 및 승강레버에 축설치되는 탄성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등판의 자유 틸팅각도를 설정하는 틸팅 제한부, 등판의 틸팅 상태를 고정시키는 다단 로킹부, 등판의 틸팅강도를 조절하는 탄성 조절부, 좌판을 앞으로 기울이는 좌판 탈팅부,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 조절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91454호(2008년 1월 3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28731호(2011년 4월 14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자 어셈블리는 등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등판 틸팅 기능,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좌판 틸팅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의자 어셈블리의 제조 작업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 작업에 소요되는 인적, 경제적, 시간적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자 어셈블리는 등받이의 틸팅 각도 조절시 좌석부도 등받이와 함께 후방으로 틸팅되어 기울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사용상의 불편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 어셈블리는 등판과 좌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시 사용자가 직접 조절스프링을 조작해서 장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석부의 높낮이 및 좌석부와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등받이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용이하게 로킹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조절레버부, 상기 바디와 의자의 등받이를 연결하고 등받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제1 조절레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복수의 단으로 로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로킹부, 상기 제2 조절레버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의자의 다리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의 양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이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과 바디의 후단부에는 각각 등받이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는 의자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좌석부 및 등받이의 틸팅 각도 및 강도를 조절하며,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고,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 및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조절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고, 제2 조절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좌석부의 높낮이 조절 및 틸팅 동작시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어셈블리 및 의자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부품 수를 감소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제조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좌석부의 높낮이, 좌석부와 등받이 틸팅 강도를 조절하고,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요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브래킷과 연결 브래킷의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틸팅 로킹부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좌석부를 중심으로 등받이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자의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의자의 전방이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11), 좌석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다수의 바퀴가 부착되는 다리부(12), 좌석부(11)의 후측에 연결되는 등받이(13) 및 좌석부(11)의 하부에 설치되고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하며 틸팅 동작시 틸팅 각도와 강도를 조절하며 틸팅 동작을 락킹 또는 해제하는 의자용 어셈블리(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석부(11) 또는 등받이(13)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팔을 받치는 팔걸이가 장착되고, 등받이(13)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이 장착될 수 있다.
다리부(12)의 상부에는 좌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신축 동작하는 실린더(1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의자용 어셈블리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이하 '어셈블리'라 약칭함)(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20), 바디(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조절레버부(30,40), 바디(20)와 등받이(13)를 연결하고 등받이(13)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등받이(13)와 좌석부(11)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바디(20)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50), 제1 조절레버부(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을 복수의 단으로 로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로킹부(60), 제2 조절레버부(4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다리부(12)에 설치된 실린더(15)의 신축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70) 그리고 등받이(13)와 좌석부(11)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는 강성을 갖도록 철과 같은 금속 재질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바디(20)의 상부에는 바디(20)의 양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2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22)이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22)은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래킷(22)의 중앙부에는 좌석부(11)의 하면과 결합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연결 플레이트(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22)은 바디(20)의 양측벽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1)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좌석부(11)를 틸팅 동작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브래킷(22)과 연결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좌석부(11)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브래킷(22)과 바디(20)의 후단부에는 각각 등받이(13)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래킷(50)은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 브래킷(50)의 전단과 중앙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축(51,52)이 연결 브래킷(5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브래킷과 연결 브래킷의 동작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축(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양측벽 및 연결 브래킷(50)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될 수 있다.
제2 축(52)은 연결 브래킷(50)의 양측벽 및 브래킷(22)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브래킷(50)의 양측벽 전단부에는 제1 축(51)이 결합되는 제1 결합공(53)이 형성되고, 연결 브래킷(50)의 양측벽 중앙부에는 제2 축(52)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54)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연결 브래킷(50)은 제1 축(51)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하고, 제2 축(52)에 의해 연결 브래킷(50)과 결합된 브래킷(22)은 체결부재(21)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할 수 있다.
즉, 브래킷(22)과 연결 브래킷(50)은 등받이(13)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등받이(13) 및 좌석부(1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울기 조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석부와 연결되는 브래킷 및 등받이와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을 각각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좌석부 및 등받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바디(20)의 후단부에는 바디(20)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제1 조절레버부(30)는 틸팅 로킹부(6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틸팅 로킹부(6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조절레버부(30)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축으로 마련되는 제1 회전통체(31)와 제1 회전통체(31)의 내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1 회전축(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32)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틸팅 로킹부(60)의 제1 연결링크(6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회전축(32)의 외측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1 잡이부재(33)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축(32)의 내측단에는 제1 연결링크(61)가 결합되는 결합부재(3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제1 연결링크(61)는 제1 회전축(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축(32)은 제1 회전통체(31)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제1 회전통체(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조절레버부(40)는 높낮이 조절부(70)와 강도 조절부(8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높낮이 조절부(70)와 강도 조절부(8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조절레버부(40)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축으로 마련되는 제2 회전통체(41)와 제2 회전통체(41)의 내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2 회전축(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통체(41)의 내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높낮이 조절부(70)의 제2 연결링크(71)의 일단이 결합되고, 사용자의 당김 조작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제2 연결링크(7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회전통체(41)의 외측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2 잡이부재(4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통체(41)의 외주면에는 조절레버(43)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2)은 제2 회전통체(41)의 내부에 관통 설치 가능하도록 제2 회전통체(4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2)의 내측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강도 조절부(80)의 제1 기어(83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축(42)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회전운동하여 제1 기어(8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축(42)의 외측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제2 잡이부재(4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틸팅 로킹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는 등받이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로킹이 해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등받이의 틸팅 동작이 로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틸팅 로킹부(6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의 양측벽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절공(63)이 형성되는 한 쌍의 조절판(62)(도 4 참조), 회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조절공(63)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한 쌍의 결합편(64), 한 쌍의 결합편(64) 전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65), 제1 축(51)에 설치되고 하면에 연결부재(65)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 통체(66), 제1 축(51)에 설치되고 일측에 제1 연결링크(61)의 후단이 결합되는 회전돌부가 형성되는 제2 통체(67) 및 상기 회전돌부와 제1 회전축(32)와 결합된 결합부재(34)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회전축(32)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링크(6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65)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65)의 전단은 제1 통체(61)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며, 연결부재(65)의 양측 후단은 각각 한 쌍의 결합편(64)에 결합될 수 있다.
각 결합편(64)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65)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고정볼트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결합편(64)의 후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조절판(62)에 형성되는 복수의 조절공(6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부(68)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한 쌍의 결합편(6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5)의 전방 이동시 한 쌍의 결합돌부(68)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한 쌍의 조절판(62)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63)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된 각 결합돌부(68)가 해당 조절공(63)에서 분리됨에 따라, 좌석부(11)와 등받이(13)는 틸팅 동작이 가능한 상태, 즉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반면, 한 쌍의 결합편(6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65)의 후방 이동시 한 쌍의 결합돌부(68)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도록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각 결합돌부(68)가 한 쌍의 조절판(62)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63)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됨에 따라, 좌석부(11)와 등받이(13)는 틸팅 동작 불가능하도록 로킹된다.
여기서, 제1 통체(66)와 제2 통체(67) 사이에는 탄성스프링(69)이 설치되고, 탄성스프링(69)의 양단은 각각 제1 통체(66)와 제2 통체(67)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편(64)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편(64)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69)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시 연결 브래킷의 회전각도에 따라 한 쌍의 결합편을 복수의 조절공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시켜 좌석부 및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로킹하고, 틸팅 동작된 등받이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70)는 제2 회전통체(41)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2 연결링크(71), 제1 축(51)에 결합되고 제2 연결링크(71)의 이동에 의해 축 회전하여 실린더(15)의 개폐핀을 가압하는 가압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 조절부(80)는 연결 브래킷(50)의 전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81), 스프링(81)의 중앙에 관통 결합되는 조절샤프트(82), 제2 회전축(52)의 회전운동을 조절샤프트(82)에 전달하는 기어유닛(83) 및 조절샤프트(82)의 후단에 결합되고 연결 브래킷(5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블록(8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유닛(83)은 제2 회전축(42)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제1 기어(831)와 조절샤프트(82)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기어(832)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조절샤프트(82)의 전단부에는 제2 기어(832)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스프링(81)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조절샤프트(82)의 전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판(85)과 지지블록(84)에 각각 지지된다.
지지블록(84)은 연결 브래킷(50)의 전단부 하부에 설치되는 제3 축(55)(도 4 참조)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블록(84)의 전면에는 조절샤프트(82)의 후단부가 결합되고, 지지판(85)은 조절샤프트(82)의 회전운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81)의 길이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축(42)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832)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지지판(85)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81)은 지지블록(84)과 지지판(85)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연결 브래킷(50)은 스프링(81)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이 감소함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반면, 제2 기어(832)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판(85)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81)은 지지블록(84)과 지지판(85)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짐에 따라 길이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연결 브래킷(50)은 스프링(81)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큰 힘을 가해야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강도 조절부(80)는 제2 회전축(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판(85)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프링(81)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좌석부(11)와 등받이(13)의 틸팅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등받이(13)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등받이(13)에 힘을 가해서 좌석부(11) 및 등받이(13)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결합편(64)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결합돌부(641)가 조절판(62)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63)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연결 브래킷(50)과 브래킷(22)은 바디(20)로부터 회전동작 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는 등받이(13)를 후방으로 가압해서 틸팅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을 락킹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조절레버부(30)의 제1 회전축(32)에 결합된 제1 잡이부재(35)를 일측 방향, 어셈블리(14)의 우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석부(11) 및 등받이(13)의 틸팅 동작을 락킹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32)에 설치된 결합부재(34)에 결합된 제1 연결링크(61)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및 제2 통체가 회전하면서 연결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65)의 양측 후단에 결합된 한 쌍의 결합편(64)이 고정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 결합편(64)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부(641)가 복수의 조절공(63)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1 조절레버부를 회전시켜 좌석부와 등받이를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로킹을 해제하거나, 틸팅 동작에 의해 조절된 각도로 로킹할 수 있다.
그리고 틸팅 강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조절레버부(40)의 제2 회전축(42)에 결합된 제2 잡이부재(44)를 일측 방향, 어셈블리(14)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 회전축(42)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맞물린 제1 및 제2 기어(831,832)가 각각 회전하고, 조절샤프트(82)에 나사 결합된 지지판(85)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81)은 지지블록(84)과 지지판(85) 사이의 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브래킷(22)은 스프링(81)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이 감소함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받이(13)의 틸팅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제2 잡이부재(44)를 반대 방향, 즉 어셈블리(14)의 좌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 기어(831,832)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절샤프트(82)에 나사 결합된 지지판(85)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스프링(81)은 지지블록(84)과 지지판(85)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짐에 따라 길이가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되고, 브래킷(22)은 스프링(81)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큰 힘을 가해야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받이(13)의 틸팅 강도가 강해질 수 있다.
또한,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2 조절레버부(40)의 제2 회전통체(41)에 형성되는 제2 조절레버(43)를 상방으로 당김 조작한다.
그러면, 제2 회전통체(41)에 결합된 높낮이 조절부(70)의 제2 연결링크(7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부재(72)가 축 회전하여 실린더(15) 상단에 마련된 개폐핀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실린더(15)의 밀폐 상태가 해제되면서 실린더(15)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좌석부(11)에 힘을 가해서 실린더(15)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해서 좌석부(1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2 조절레버(40)의 당김 조작을 해제하면, 가압부재(72)가 실린더(15)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 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실린더(15)의 신축 상태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고,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 및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고,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 및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기술에 적용된다.
10: 의자 11: 좌석부
12: 다리부 13: 등받이
14: 어셈블리 15: 실린더
20: 바디 21: 체결부재
22: 브래킷 23: 연결 플레이트
24: 커버 30,40: 제1,제2 조절레버부
31,41: 제1,제2 회전통체 32,42: 제1,제2 회전축
33,44: 제1,제2 잡이부재 34: 결합부재
43: 조절레버 50: 연결 브래킷
51,52,55: 제1 내지 제3 축 53.54: 제1,제2 결합공
60: 틸팅 로킹부 61: 제1 연결링크
62: 조절판 63: 조절공
64: 결합편 641: 결합돌부
65: 연결부재 66,67: 제1,제2 통체
68: 탄성스프링 69: 가이드판
70: 높낮이 조절부 71: 제2 연결링크
72: 가압부재 80: 강도 조절부
81: 스프링 82: 조절샤프트
83: 기어유닛 831,832: 제1,제2 기어
84: 지지블록 85: 지지판

Claims (7)

  1.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조절레버부,
    상기 바디와 의자의 등받이를 연결하고 등받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
    상기 제1 조절레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석부와 등받이의 틸팅 동작을 복수의 단으로 로킹 또는 해제하는 틸팅 로킹부,
    상기 제2 조절레버부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의자의 다리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신축 동작을 로킹 또는 해제하는 높낮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와 좌석부의 틸팅 동작시 틸팅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는 상기 바디의 양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이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과 바디의 후단부에는 각각 등받이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 브래킷은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브래킷의 전단과 중앙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 축이 상기 바디 및 연결 브래킷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제1 축은 상기 바디의 양측벽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연결 브래킷의 양측벽 및 상기 브래킷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설치되며,
    상기 제1 조절레버부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축으로 마련되는 제1 회전통체와
    상기 제1 회전통체의 내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1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 로킹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연결링크,
    상기 바디의 양측벽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절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조절판,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한 쌍의 결합편,
    상기 한 쌍의 결합편 전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제1 축에 설치되고 하면에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 통체 및
    상기 제1 축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링크의 후단이 결합되는 회전돌부가 형성되는 제2 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V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전단은 상기 제1 통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 후단은 각각 상기 한 쌍의 결합편에 결합되고,
    각 결합편은 상기 연결부재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고정볼트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각 결합편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조절판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레버부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축으로 마련되는 제2 회전통체와
    상기 제2 회전통체의 내부에 관통 결합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통체의 외주면에는 조절레버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2 회전통체의 내측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연결링크 및
    상기 제1 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연결링크의 이동에 의해 축 회전하여 실린더의 개폐핀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조절부는 상기 연결 브래킷의 전단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중앙에 관통 결합되는 조절샤프트,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조절샤프트에 전달하는 기어유닛 및
    상기 조절샤프트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브래킷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제2 회전축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조절샤프트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2 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어 직각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벨 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조절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2 기어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조절샤프트의 전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블록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
  7.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자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의자용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좌석부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좌석부 및 등받이의 틸팅 강도를 조절하며, 틸팅 동작을 복수의 단으로 로킹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KR1020170006131A 2017-01-13 2017-01-13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75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31A KR101759484B1 (ko) 2017-01-13 2017-01-13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131A KR101759484B1 (ko) 2017-01-13 2017-01-13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484B1 true KR101759484B1 (ko) 2017-07-20

Family

ID=5944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131A KR101759484B1 (ko) 2017-01-13 2017-01-13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0B1 (ko) * 2018-03-12 2018-10-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4B1 (ko) * 2014-06-05 2015-03-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4B1 (ko) * 2014-06-05 2015-03-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770B1 (ko) * 2018-03-12 2018-10-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5028B2 (ja) シート
KR101504534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623817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03661018B (zh) 用于安全带高度调节设备的锁止和解锁的设备及车辆座椅
JP4094421B2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KR10175948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075872B1 (ko)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
KR101759479B1 (ko) 의자용 등받이
JP6465525B2 (ja) 椅子
KR101590020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4350025B2 (ja) 椅子用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5144943B2 (ja) 椅子
JP6235303B2 (ja) 椅子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4871575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705879B2 (ja) 椅子
JP2001224459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6972232B2 (ja) 椅子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581333B1 (ko) 의자용 등받이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65599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각도 조절장치
JPH03661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