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966Y1 - 의자용 머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머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966Y1
KR200324966Y1 KR20-2003-0018089U KR20030018089U KR200324966Y1 KR 200324966 Y1 KR200324966 Y1 KR 200324966Y1 KR 20030018089 U KR20030018089 U KR 20030018089U KR 200324966 Y1 KR200324966 Y1 KR 200324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vertical support
fixing
horizontal frame
suppor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웅
Original Assignee
이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웅 filed Critical 이철웅
Priority to KR20-2003-0018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앉은키 등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석자의 후두부에서 이어지는 목을 안정적으로 떠받치고 착석자세의 올바른 교정을 도모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의자로 부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석을 위한 좌판부(11)가 하부 다리부(15)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어지고, 상기 좌판부(11)의 후단 중앙에 입설되어진 수직프레임(12)의 상단에는 좌우 등받이(14)를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3)이 제1고정노브(17)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수직지지간(21)이 관통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공(13c)이 상부와 하부 플렌지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3)의 일측에는 수직지지간(21)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편(24)이 제1고정노브(17)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상기 수직지지간(21) 상단부에는 머리받침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머리받침대{Headrest for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높이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침대 설치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등받이와 함께 상체 하중의 분산을 유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한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무직 근로자들은 일상생활중 상당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고 있는 바, 기본적으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는 상체의 하중이 적추뼈 및 골반에 작용하는 상태로 되어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게 되면 척추 및 골반 그리고 이들 주위의 근육에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피로감이나 통증이 수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 등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키면서 편안하고 안락한 착석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 및 머리받침대가 설치되어지고 있는데, 그 일예에 따른 종래 의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판부(1)의 후단 중앙부로 부터 수직지지대(2)가 입설되고, 그 수직지지대(2)의 상단부에 가로지지대(3)가 결합되며, 가로지지대(3)의 양편에는 좌우로 분리된 한쌍의 등받이(4)가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용 노브(knob;6)에 의해 각각 고정되며, 이들 좌판부(1)와 등받이(4)는 그 하부에 결합된 다리부(5)에 의해서 지면으로 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상승된 위치에서 지지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함께 허리에 가해지는 상체의 하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지지함과 아울러 편안한 착석자세를 유도하기 위하여 착석자의 후두부를 받쳐주기 위한 머리받침대(Headrest;7)가 수직지지대(2)에 장착되어져 있는 지지파이프(8)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머리받침대(7)는 단순히 후두만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따라 앉은키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머리받침대의 높낮이 조절을 필요로 하나 이러한 높이조절을 위해서는 제작시 주문 의뢰하여야 하며, 사용자가 임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머리받침대(7)는 착탈이 용이하지 않는 일체형 고정식이므로 머리받침대를 사용치 않기 위하여 의자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머리받침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좌판부의 후단 중앙부에 입설되어 고정된 등받이 지지대에 높이조절 및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머리받침대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필요에 따른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머리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일예에 따른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의자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좌판부 12 : 수직프레임
13 : 수평프레임 13a : 수평장공
14 : 등받이 15 : 다리부
16 : 체결브라켓 17 : 제1고정노브
18 : 제2고정노브 20 : 머리받침대
21 : 수직지지간 22 : 탄성결합부
23 : 유동방지턱 24 : 고정편
24a: 나사공 24b: 안착부
25 : 탄지스프링
상기 목적은, 착석을 위한 좌판부가 하부 다리부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어지고, 상기 좌판부의 후단 중앙에 입설되어진 수직프레임의 상단에는좌우 등받이를 지지하는 수평프레임이 제1고정노브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수직지지간이 관통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공이 상부와 하부 플렌지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는 수직지지간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편이 제1고정노브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상기 수직지지간 상단부에는 머리받침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바퀴가 부착되어져 있는 하부 다리부(15)에 의해 지면과 소정높이에 지지되어지는 좌판부(11)는 그 후면부에 수직프레임(12) 및 수평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2개의 등받이(14)가 쌍을 이루며 좌,우에 각각 장착되어져 있으며, 이와함께 머리받침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간(21)이 상기 수평프레임(13)에 장착되어지게 된다.
상기 좌판부(11)에 입설되어진 수직프레임(12)에는 판상의 체결브라켓(16)이 결합되어져 있는데, 체결브라켓(16)에는 수평프레임(13)을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고정노브(17)가 삽입되어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공은 수평프레임(13)의 고정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소정길이를 이루는 수직장공(16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측에 등받이부(14)가 제2고정노브(18)에 의해 각각 결합되어진 수평프레임(13) 역시 각 제2고정노브(18)가 삽입되는 삽입공으로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이루는 수평장공(13a)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어 양측 등받이부(14) 가 각각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수평프레임(13) 중앙에는 제1고정노브(17)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3b)이 형성되어져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직지지간(21)이 관통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공(13c)이 양측 상부와 하부 플렌지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3)의 내측면에는 수직지지간(21)을 소정 높이에서 가압시켜 지지하기 위한 고정편(24)이 탄지스프링(25)에 의해 소정 탄성력으로 지지되어지는 가운데 제1고정노브(17)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지고, 상기 수직지지간(21) 상단부에는 머리받침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머리받침대(20)에는 수직지지간(21)과의 억지끼움에 의한 착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탄성결합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짐과 함께, 탄성결합부(22)의 좌우 양측에는 수직지지간(21)이 결합된 상태에서 머리받침대(20)의 좌우 슬라이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23)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24)은 중앙에 제1고정노브(17)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공(24a)이 형성되어져 있고, 양측단에는 수직지지간(21)을 안착 지지하기 위한 반원형태의 안착부(24b)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착석자가 양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부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의 이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 실시예를 통해 나타내어진 의자는 등받이(14)의 좌우 폭조절 및 높이조절이 가능함과 함께 머리받침대(20)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본 고안의 기술요지는 머리받침대(20)의 높낮이 조절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므로 등받이(14)의 기능적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먼저, 좌우 등받이(14)가 구비되어져 있는 의자에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20)를 조립 체결코자 하는 경우에는 수직지지간(21)을 수평프레임(13)의 삽입공(13c)에 수직방향으로 삽입시켜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 제1고정노브(17)를 고정편(24)의 나사공(24a)에 삽입시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편(24)이 점차 조여지면서 수평프레임(13)에 압착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상호간의 압착력에 의해 수직지지간(21)이 가압되어짐으로서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수직지지간(21)은 고정편(24) 양단부에 형성되어져 있는 반원형태의 안착부(24b)에 의해 상호간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진 채로 지지되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지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수직지지간(21)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수직지지간(21)의 상단부에 머리받침대(20)를 조립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머리받침대(20)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져 있는 탄성결합부(22)와의 억지끼움력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머리받침대(20) 후면의 양측 탄성결합부(22)에 수직지지간(21)이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머리받침대(20)를 가압시켜 밀어주게 되면 수직지지간(21)이 탄성결합부(22) 사이에 압입되어지면서 이탈 방지를 위한 억지끼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는 머리받침대(20)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됨과 함께 양측 유동방지턱(2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유동이 방지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가 완료된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20)는 착석자의 후두부에서 이어지는 목을 안정적으로 떠받치고 착석자세의 올바른 교정을 도모함은 물론 휴식시간을 이용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
한편, 착석자의 앉은키 차이에 따른 머리받침대(20)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고정노브(17)를 반대방향으로 풀어주어서 고정편(24)과 수평프레임(13) 상호간의 압착력을 해제시킨다.
이때, 고정편(24)은 제1고정노브(17)에 의한 압착력이 해제되어지더라도 탄지스프링(25)에 의해 소정 탄성력으로 지지되어지게 됨으로서 유동은 발생하지 않게된다.
이와함께, 머리받침대(20)를 지지하고 있는 수직지지간(21)의 높이를 다시 조절한 후 제1고정노브(17)를 다시 정방향으로 조여주게 되면 고정편(2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수직지지간(21)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은높이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머리받침대(20)가 필요치 않거나 또는 보수, 교체가 필요하여 수직지지간(21)으로 부터 머리받침대(2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머리받침대(20)에 순간적인 힘을 가하여 당기게 되면 탄성결합부(22)에 소정 탄성력에 의해 억지끼움 되어져 있던 수직지지간(21)이 이탈되어짐으로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고정편(24)에 의해 고정되어져 있는 수직지지간(21)을 수평프레임(13)으로 부터 분리시킴으로서 구조적인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20)는 착석자의 앉은키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높이조절기능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분리, 결합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을 갖게됨으로, 제품의 유지 관리가 한층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의자 머리받침대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등받이(14)의 좌우 간격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의자에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20)가 적용된 구성에 대하여 도시 및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20) 높이조절 구조는 좌우폭 고정형 등받이 또는 단일형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은,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고가의 의자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함과 아울러 손쉽고 간단하게 설치가능함으로 인해서 헤드레스트가 일체로 고정된 고가의 의자와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앉은키 등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후두부에서 이어지는 목을 안정적으로 떠받치고 착석자세의 올바른 교정을 도모함은 물론 휴식시간을 이용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착석을 위한 좌판부(11)가 하부 다리부(15)에 의해 지면과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어지고, 상기 좌판부(11)의 후단 중앙에 입설되어진 수직프레임(12)의 상단에는 등받이(14)를 지지하는 수평프레임(13)이 제1고정노브(17)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져 있는 통상의 의자에 있어:
    상기 수평프레임(13)에는 수직지지간(21)이 관통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공(13c)이 상부와 하부 플렌지에 각각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3)의 내측면에는 수직지지간(21)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24)이 제1고정노브(17)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상기 수평프레임(13)과 고정편(24) 사이에는 탄지스프링(25)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수직지지간(21) 상단부에는 머리받침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20)에는 수직지지간(21)과의 억지끼움에 의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탄성결합부(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짐과 함께, 좌우 양측에는 머리받침대(20)의 좌우 슬라이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턱(23)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24)은 중앙에 제1고정노브(17)와의 체결을 위한 나사공(24a)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수직지지간(21)을 안착 지지하기 위한 안착부(24b)가 반원형상으로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2003-0018089U 2003-06-10 2003-06-10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0324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89U KR200324966Y1 (ko) 2003-06-10 2003-06-10 의자용 머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089U KR200324966Y1 (ko) 2003-06-10 2003-06-10 의자용 머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966Y1 true KR200324966Y1 (ko) 2003-08-29

Family

ID=4941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89U KR200324966Y1 (ko) 2003-06-10 2003-06-10 의자용 머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96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66B1 (ko) *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100856788B1 (ko) 2006-11-16 2008-09-05 김해용 헤드레스트 프레임유니트
KR101056076B1 (ko) 2009-02-13 2011-08-10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077143B1 (ko) 2009-04-10 2011-10-27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분리설치가 가능한 헤드레스트 조립체 및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조립방법
KR20200088572A (ko) 2019-01-15 2020-07-23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66B1 (ko) *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100856788B1 (ko) 2006-11-16 2008-09-05 김해용 헤드레스트 프레임유니트
KR101056076B1 (ko) 2009-02-13 2011-08-10 김정보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077143B1 (ko) 2009-04-10 2011-10-27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분리설치가 가능한 헤드레스트 조립체 및 헤드레스트 조립체의 조립방법
KR20200088572A (ko) 2019-01-15 2020-07-23 (주)앤드코 의자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2286B1 (en) Adjustable backrest
JP3654902B2 (ja) 可撓性張り材を有する背もたれを備えた椅子用の背支持調整装置
WO2004089693A3 (en) Seat with adjustable support system
WO2015093033A1 (ja) 椅子
KR20090124049A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200324966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0995964B1 (ko) 의자 등받이 구조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KR20120005993A (ko) 등받이의자
KR100777808B1 (ko) 흉추 지지를 위한 탈부착 가능한 의자용 등받이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WO2000032075A1 (fr) Support pour vertebres lombaires installe sur un siege
WO1996007344A1 (en) Adjustable back support
KR200443595Y1 (ko) 각도조절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AU2014215981A1 (en) Headrest assembly and chai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101161288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371543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325982Y1 (ko) 의자 등받이 연결부재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2326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