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665Y1 - 척추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665Y1
KR200232665Y1 KR2020010005975U KR20010005975U KR200232665Y1 KR 200232665 Y1 KR200232665 Y1 KR 200232665Y1 KR 2020010005975 U KR2020010005975 U KR 2020010005975U KR 20010005975 U KR20010005975 U KR 20010005975U KR 200232665 Y1 KR200232665 Y1 KR 200232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seat
backrest
seate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직원
Original Assignee
강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직원 filed Critical 강직원
Priority to KR2020010005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665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를 받쳐줄 수 있으며,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리(11)와, 이 다리(11)의 상단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13)과, 이 좌판(13)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를 구비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는 착석자의 척추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2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걸이부(30)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착석자의 등을 완전하게 받쳐줄 수 있으며, 체중에 의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용 의자{Chair for Rectification Vertebral Column}
본 고안은 척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를 받쳐줄 수 있으며,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척추의 목뼈에서부터 허리뼈까지 척추마디 사이에 끼어있는 원반모양의 일종의 관절이다. 디스크의 위 아래로는 척추뼈와 접해있는 연골판으로 되어 있고, 둥그런 외곽 주위로는 탄력있는 환상섬유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으며, 디스크의 내부 중심부에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들어있다.
이 수핵이 디스크의 중심 역활을 하는 부위로서, 환상섬유를 자동차 타이어의 고무바퀴에 비유한다면, 수핵은 공기가 들어있는 튜우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수핵은 대부분 점액성의 단백질로서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척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역활을 하며 또한 척추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관절역활도 하고 있다.
신체 체위변화에 따라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측정한 것을 보면, 반드시 누워 있으면 충격이 가장 작아 자기 몸무게의 약 1/3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며, 옆으로 누우면 자기 몸무게와 비슷한 정도이고, 서 있으면 체중의 약 한배반 정도이고, 의자에 기대지 않고 앉아 있으면 자기 체중의 약 2배의 충격이 허리 디스크에 가해진다.
또한 앉아 있을 때가 서 있을 때보다 더욱 심한 충격을 요추부에 주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증세가 있을 때가 제일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수가 많다.
상기와 같은 의자를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다리(11)와 좌판(13) 및 등받이(15)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11)는 의자(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그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13) 및 등받이(15)를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11)의 상단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13)이 구비되며, 이 좌판(13)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13)에는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팔걸이(14)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좌판(1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12)가 상기 좌판(13)의 하면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15)에는 만곡부(1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의자는 척추의 요추곡선에 맞도록 등받이에 만곡부를 구비하여 착석자의 등만을 밀착하여 받쳐주도록 하고 있어, 착석자의 등에 형성된 협세부를 받쳐주지 못하고, 착석시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척추 곡선을 자연스럽게 해주고 착석자의 체중에 의한 하중이 척추 부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 척추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리와, 이 다리의 상단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과, 이 좌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를 구비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착석자의 척추 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착석자 등의 협세부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걸이부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척추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일반적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높이조절수단이 적용된 상태의 일측면도
도6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본 고안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스토퍼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상체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의자 11:다리 12:높이조절부
13:좌판 14:팔걸이 15:등받이
15a:만곡부 20:등받이 21:만곡부
22:돌기 30:걸이부 31:쿠션
32:높이조절장치 321:수직바 321a:래치
322:구멍 322a:스토퍼 322b:버튼
33:지지대 40:경추지지수단 50:상체지지수단
51:힌지 52:잠금장치
이하,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높이조절수단이 적용된 상태의 일측면도, 도6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높이조절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7은 본 고안 높이조절수단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스토퍼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척추 교정용 의자의 상체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의자이다. 이 의자(10)는 다리(11)와, 이 다리(11)의 상단에는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13)이 구비되고, 이 좌판(13)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로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20)는 착석자의 척추곡선과 동일한 곡선을 갖도록 만곡부(21)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2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걸이부(30)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20)의 곡선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자의 등부분과 허리가 안정적으로 받쳐질 수 있도록, 외주연이 소정길이 만끔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걸이부(30)에는 쿠션(31), 높이조절수단(32) 및 지지대(33)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32)은 상측에는 쿠션(3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지지대(33)가 구비되어, 상기 쿠션(31)과 지지대(33) 사이에 구비된 래칫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장치는 상기 쿠션(31)의 하측에서 하향돌출되며, 그 일측방향에 래치(321a)가 형성된 수직바(3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321)가 삽입되는 구멍 (322)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스토퍼(322a)가 버튼(322b)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2)을 본 고안에서는 래칫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다른 구성을 통해 상기 지지대(33)의 상측에 구비된 쿠션(31)의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20)의 상부에는 전면이 개방되어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경추지지수단(4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추지지수단(40)을 본 고안에는 상기 등받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2 및 도3을 통해 도시하고 있느나, 경추지지수단(40)과 등받이(20)를 각기 제작하여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경추지지수단(40)을 상기 등받이(20)의 상부에 체결가능하다.
상기 경추지지수단(40)은 일반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20)의 전방에는 그 일측이 등받이(20)의 일단에 힌지(51)에 의해 결합하여 회동되며, 그 타측에는 잠금장치(52)가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 (20)의 타단에 잠금되는 상체지지수단(50)이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석자가 좌판(13)과 등받이(20)에 밀착되어 앉는다. 이때, 상기 등받이(20)의 만곡부(21) 및 돌기(22)에 의해 착석자의 등 및 협세부를 완전하게 밀착하여 받쳐주고, 등받이(20)의 외주연이 소정길이 만끔 절곡형성되어 착석자의 유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착석자는 걸이부(30)를 겨드랑이 사이에 끼운 후 엉덩이 부분이 좌판(13)에 들릴듯 말듯 하게 한 후, 높이조절장치(32)를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착석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장치(32)에 의해 좀더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버튼 (322b)을 잡아당겨 스토퍼(322a)를 해제하여 쿠션(31)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착석자의 신체에 맞도록 좀더 정확하게 조절한다.
상기 등받이(20)와 걸이부(30)에 의해 착석자의 상체가 완전히 지지되면, 착석자의 신체하중은 그 등받이(20)와 걸이부(30)에 각각 척추에 가해지는 신체하중이 분산한다.
또한, 착석자의 목부분은 경추지지수단(40)에 지지되어 좀더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등받이(30)의 전방에 구비된 상체지지수단(40)에 의해 상체가 지지되어 착석한 상태에서 학습 또는 사무를 본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되는 본 고안의 척추 교정용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의 만곡부 및 돌기에 의해 착석자 등과 그 등에 형성된 협세부(狹細部)를 완전히 받쳐주고, 걸이부에 겨드랑이를 걸어 상체를 지지함으로써,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이 분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석자의 등을 완전하게 받쳐줄 수 있으며, 체중에 의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다리(11)와, 이 다리(11)의 상단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되는 좌판(13)과, 이 좌판(13)의 후면에 구비되어 착석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20)를 구비한 통상의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는 착석자의 척추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착석자 등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 돌기(22)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상단부에는 걸이부(30)가 전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착석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30)에는 높이조절수단(32)이 구비되어 상기 걸이부(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2)은 상측에는 쿠션(31)이 구비되고, 하측에는 지지대(33)가 구비되어, 상기 쿠션(31)과 지지대(33) 사이에 구비된 래칫장치에 의해 상기 걸이부(3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상부에는 전면이 개방되어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경추지지수단(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전방에는 그 일측이 등받이(20)의 일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하여 회동되며, 그 타측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등받이 (20)의 타단에 잠금되어 착석자의 상면 전면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체지지수단(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의자.
KR2020010005975U 2001-03-06 2001-03-06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32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75U KR200232665Y1 (ko) 2001-03-06 2001-03-06 척추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975U KR200232665Y1 (ko) 2001-03-06 2001-03-06 척추 교정용 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69A Division KR100435846B1 (ko) 2002-05-08 2002-05-08 척추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665Y1 true KR200232665Y1 (ko) 2001-09-28

Family

ID=7309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975U KR200232665Y1 (ko) 2001-03-06 2001-03-06 척추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6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159A1 (en) * 2001-12-17 2003-06-26 Soo-Ho Bae Chair for spinal therap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1159A1 (en) * 2001-12-17 2003-06-26 Soo-Ho Bae Chair for spinal therap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642C (en) Backrest
US5114209A (en) Chair insert having a contoured back support portion and a seat support portion
JP3654902B2 (ja) 可撓性張り材を有する背もたれを備えた椅子用の背支持調整装置
US7469963B2 (en) Back support for seat
US20080303324A1 (en) Back support for seat
JP6028108B2 (ja) 椅子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2326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KR20080066140A (ko)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WO2008054225A1 (en) Chair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1384102B1 (ko) 의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110000141U (ko) 다기능 자세조절 의자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JP4563111B2 (ja) 椅子用バックレスト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423526Y1 (ko) 장애인용 휠체어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