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140A -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 Google Patents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140A
KR20080066140A KR1020070003221A KR20070003221A KR20080066140A KR 20080066140 A KR20080066140 A KR 20080066140A KR 1020070003221 A KR1020070003221 A KR 1020070003221A KR 20070003221 A KR20070003221 A KR 20070003221A KR 20080066140 A KR20080066140 A KR 2008006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rame
piece
adjusting device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658B1 (ko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이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210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661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성 filed Critical 이호성
Priority to KR102007000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6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6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9Anti-tip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또 등받이의 각도 조절시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른 휠체어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환자나 몸이 불편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과 하부 중앙 연결프레임으로는 위치고정기구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며 그 일측 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는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눕혀진 상태에서의 중간 부분의 위치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어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이 결합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휠체어,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편 하중

Description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wheelchair having back support angle adjusting device and partial load prevention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장착한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부분을 부분 단면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의 등받이를 각도 조절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의 다른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설치한 휠체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휠체어 210 : 하부 프레임
211 : 앞쪽 바퀴 220, 280 :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
221 : 뒤쪽 바퀴 230 : 상부 프레임
231 : 받침부 240, 241-1 : 연결 프레임
250 : 팔걸이 260 : 등받이 프레임
261 : 등받이 281 : 지지프레임
282 : 미끄럼 방지 캡 300 : 각도 조절장치
310 : 위치 고정기구 311 : 헤드
311a : 장홈 311b : 연결구멍
312 : 장지주 편 312a, 313a : 절곡부
313 : 단지주 편 313b : 구멍
314 : 스프링 315 : 위치 고정탄성체
315a : 돌출 헤드부 320 : 내부 연결부재
321 : 관통공 330 : 슬리브 부재
331 : 위치조정 구멍
본 발명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에 의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또 등받이의 각도 조절시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른 휠체어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 자력으로 이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목욕의자나 좌대 의자 등 보행 대체용으로 제작된 다양한 휠체어가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등받이를 간단하게 뒤로 젖힐 수 있어야 하고, 또 등받이의 젖힘시 무게 이동에 따른 편 하중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 휠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는, 그 하부에는 앞쪽 바퀴(111)와, 뒤쪽 바퀴(112)를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110)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 측으로는 그 중앙 부분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 되는 받침부(121)를 갖는 상부 프레임(120)이 연결구(C)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양측 상부에는 팔걸이(1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120)의 양측 단부 측으로는, 그 중앙 부분에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141)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140)이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휠체어(100)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가 없거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가격도 통상의 휠체어에 비해 훨씬 비싸 보편화되지 못하 는 문제점이 있다.
또,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휠체어라 하더라도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의 사용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짐에 따라 무게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되면서 편 하중이 발생함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자칫 잘못하면 휠체어가 넘어지면서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더 크게 다치게 되는 위험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등받이의 각도 조절시 등받이가 뒤쪽으로 젖혀짐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이동하여 발생하는 편 하중(한쪽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는,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과 하부 중앙 연결프레임으로는 위치고정기구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며 그 일측 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는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눕혀진 상태에서의 중간 부분의 위치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어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이 결합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과 하부 중앙 연결프레임으로는 위치고정기구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며 그 일측 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는 휠체어의 등받이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를 위해 말굽형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이 결합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조절장치의 위치고정기구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으로 그 일단이 결합 형성되고, 타 일단으로는 절곡 부분을 갖는 장지주 편과, 상기 장지주 편에 대향 하여 아래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절곡 부분과 걸림 결합 되는 절곡 부분을 갖는 단지주 편과, 상기 단지주 편의 구멍 및 상기 내부 연결부재의 관통공, 상기 슬리브 부재의 위치조정구멍에 그 일 측이 탄성지지 되는 위치 고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에는 뒷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에 관해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장착한 휠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부분을 부분 단면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의 등받이를 각도 조절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200)는, 그 하부에는 앞쪽 바퀴(211)를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210)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10)의 일 측으로는 뒤쪽 바퀴(221)를 수용하는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20)이 연결구(C)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 프레임(210)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20)의 상부로는, 그 중앙 부분에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 되는 받침부(231)를 갖는 상부 프레임(230)이 연결구(C)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210)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20)과, 상기 상부 프레임(230)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결 프레임(240)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30)의 양측 상부에는 팔걸이(25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30)의 양측 단부 측으로는, 그 중앙 부분에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261)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260)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240)의 중간 부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가로 방향 중간 부분에는 위치 고정기구(310)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내부 연결 부재(320)와,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를 수용하며 그 일 측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331)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330)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 장치(300)의 양쪽 끝 부분이 각각 결합 형성된다.
또, 상기 위치고정기구(310)는, 그 몸체 중앙부에 스프링(314)을 수용하는 장홈(311a)을 갖고, 몸체의 외면으로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멍(311b)을 형성한 헤드(311)와, 상기 헤드(311)의 연결구멍(311b)이 형성된 몸체의 외면 측으로 위치하여 체결구(b)에 의해 체결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 경사진 절곡부(312a)를 갖는 장 지주 편(312)과, 상기 장지주 편(312)에 대향 하여 아래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절곡 부(312a)와 걸림 결합 되도록 그 상단부에 형성된 절곡부(313a)와, 하부에 구멍(313b)을 갖는 단지주 편(313)과, 상기 단지주 편(313)의 구멍(313b)에 그 일 측이 지지 되는 위치 고정 탄성체(31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각도조절장치(300)는, 상기 위치 고정기구(310)를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 형성시킨다.
즉, 상기 헤드(311)는 내부 연결부재(320)의 상단 위로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연결구멍(311b)이 형성된 몸체는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의 상단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한다.
또,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에 삽입된 상기 장지주 편(312)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단지주 편(313)은 상기 장지주 편(312)에 대향 하는 아래쪽에 위치하여 서로의 절곡부(312a), (313a)가 맞물리게 된다.
이때, 상기 단지주 편(313)의 구멍(313b)은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의 하단부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321)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는 그 돌출 헤드부(315a)가 상기 단지주 편(313)의 구멍(313b) 및 내부 연 결부재(320)의 하단부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321)에 삽입되도록 위치하고, 그 타단부는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의 다른 일 측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끼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를, 상기 슬리브 부재(3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의 관통공(321)에 삽입되어 돌출된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의 돌출 헤드부(315a)가 상기 슬리브 부재(330)의 일 측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331)과 결합 될 수 있는 위치로 오게 한다.
이후, 각도 조절장치(300)의 내부 연결부재(320)의 상단부를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가로 방향 중간 부분에 고정 형성된 브라켓(B)에 안착시킨 후, 볼트나, 연결핀 등의 체결구(b)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330)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 프레임(24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고정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 조절장치(30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헤드(311)를 들어올리면, 상기 장지주 편(312)의 절곡부(312a)와 맞물림 결합된 상기 단지주 편(313)의 절곡부(313a)도 같이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지주 편(313)의 하부 측이,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의 돌출 헤드부(315a)를 누르던 힘이 줄어들거나 제거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슬리브 부재(330)의 위치조정구멍(331)을 통해 돌출 형성된,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의 돌출 헤드부(315a)를 눌러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를 내부로 수축시켜 위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 부재(330) 내에 형성된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를 슬 라이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자유롭게 줄이거나 늘어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들어올렸던 힘을 해제하여 상기 헤드(311)를 원위치로 돌려놓게 되면 상기 장지주 편(312)은 상기 헤드(311)의 장홈(311a)에 수용된 스프링(314)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기 단지주 편(313)을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지주 편(313)은 이전 상태로 복구되고,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의 돌출 헤드부(315a)는 상기 슬리브 부재(330)의 위치조정구멍(33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내부 연결부재(320)는 상기 슬리브 부재(3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 이러한 각도 조절장치(300)의 길이가 길어 질수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은 그 양측 중간 부분에 형성된 힌지부(262)의 회전 동작에 의해 수직 각에 가깝게 조절되어 등받이 프레임(260)이 기립하게 되고, 반대로 각도 조절장치(300)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은 수평 각에 가깝게 조절되어 등받이 프레임(260)은 뒤쪽으로 눕혀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휠체어(200)의 등받이 프레임(260)을 조절한 후, 상기 위치 고정탄성체(315)를 상기 슬리브 부재(330)의 위치조정구멍(331)에 삽입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20)은, 상기한 각도 조절장치(300)의 동작에 따라, 등받이(261)를 갖는 등받이 프레임(260)의 각도 변화에 따라 무게 중심이 이동되면서 발생하는 편 하중(한쪽 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젖혀진(눕혀진) 상태에서의 중간 부분의 위치보다 더 바깥 측으로 연 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젖혀지는 각도가 커져 휠체어(200)의 무게 중심이 뒤쪽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눕혀진 등받이 프레임(260)의 중간 부분보다 더 뒤쪽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20)에 의해 안전하게 휠체어(20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을 설치한 휠체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80)은, 개략 말굽형으로 형성되고, 그 일 측 단부에는 지면에 접촉하는 미끄럼 방지 캡(282)을 형성한 개략 ㄱ자 형의 지지프레임(281)과, 휠체어(200)의 연결 프레임(241-1)과 연결을 위한 브라켓(B-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 캡(282)은, 고무재질이나, 합성수지재 등 미끄럼방지를 위한 재질은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80)은, 휠체어(200)의 하부 프레임(21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 프레임(241-1)에 체결구(b)를 이용하여 체결 형성한다.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80)은, 상기 연결 프레임(241-1)의 중간 부분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 프레임(241-1)의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약간 떨어진 좌/우 외 측에 각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80)도, 상기 등받이 프레임(260)의 눕혀진 상태에서의 중간 부분의 위치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280)은 선택적으로 지면에 놓여 지거나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휠체어(200)에 탑승한 환자나, 장애인 등 사용자들이 필요에 의해 등받이를 용이하게 각도 조절하고자 할 경우,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용이한 각도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등받이 각도 조절시 발생하는 중심 이동에 따른 편 하중으로 인해 휠체어가 균형을 잃고 넘어져 입을 수 있는 부상 등의 사고를 미연에 안전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에 의하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의 구조가 간단함과 동시에 조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또한 등받이 각도조절에 따른 휠체어의 무게 중심의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편 하중(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환자나 장애인 등 몸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들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과 하부 중앙 연결프레임으로는 위치고정기구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며 그 일측 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는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눕혀진 상태에서의 중간 부분의 위치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어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이 결합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
  2. 환자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사용하는 휠체어로서,
    상기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과 하부 중앙 연결프레임으로는 위치고정기구를 갖고 슬라이딩 동작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수용하며 그 일측 면으로는 위치 조정을 위한 복수의 위치조정구멍을 형성한 슬리브 부재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가 결합 형성되고,
    상기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는 휠체어의 등받이 각도 변화에 따른 편 하중 발생 방지를 위해 말굽형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의 위치고정기구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으로 그 일단이 결합 형성되고, 타 일단으로는 절곡 부분을 갖는 장지주 편과, 상기 장지주 편에 대향 하여 아래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절곡 부분과 걸림 결합 되는 절곡 부분을 갖는 단지주 편과, 상기 단지주 편의 구멍 및 상기 내부 연결부재의 관통공, 상기 슬리브 부재의 위치조정구멍에 그 일 측이 탄성지지 되는 위치 고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 하중 발생 방지 프레임에는 뒷바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
KR1020070003221A 2007-01-11 2007-01-11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KR100854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21A KR100854658B1 (ko) 2007-01-11 2007-01-11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21A KR100854658B1 (ko) 2007-01-11 2007-01-11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140A true KR20080066140A (ko) 2008-07-16
KR100854658B1 KR100854658B1 (ko) 2008-08-27

Family

ID=3982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221A KR100854658B1 (ko) 2007-01-11 2007-01-11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6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16Y1 (ko) * 2010-03-22 2013-03-07 (주)한영정공 휠체어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20220036024A (ko) * 2020-09-15 2022-03-22 방문균 자세 보정용 휠체어
KR102389238B1 (ko) * 2021-11-26 2022-04-21 주식회사 씨더코퍼레이션 보행보조를 위한 실버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418B1 (ko) 2009-07-29 2012-08-06 한국과학기술원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658Y2 (ko) * 1985-03-01 1989-07-07
JPH05305112A (ja) * 1991-07-18 1993-11-19 Uchie Kk リクライニング式車いす
US5943734A (en) * 1993-07-27 1999-08-31 Teksource, Lc Mount for mounting a caster wheel to a wheelchair
JPH09322913A (ja) * 1996-06-06 1997-12-16 Aprica Kassai Inc 車椅子
JP2004160055A (ja) 2002-11-15 2004-06-10 Kisaku Kobo:Kk 身体障害者用椅子
KR200311341Y1 (ko) * 2003-01-20 2003-05-09 대성공업주식회사 휠체어 등받이의 각도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716Y1 (ko) * 2010-03-22 2013-03-07 (주)한영정공 휠체어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KR20220036024A (ko) * 2020-09-15 2022-03-22 방문균 자세 보정용 휠체어
KR102389238B1 (ko) * 2021-11-26 2022-04-21 주식회사 씨더코퍼레이션 보행보조를 위한 실버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658B1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7469B2 (en) Seat furniture
JP3043418B2 (ja) 椅子、特に子供用椅子の配置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0854658B1 (ko)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휠체어
KR101231028B1 (ko) 기능성 좌판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N213820632U (zh) 座椅
JP4498980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US20120217771A1 (en) Standing Seat
JP2980185B2 (ja) 椅子の座の傾動方法および傾動自在の座を備えた椅子
KR102035211B1 (ko) 좌변 보조장치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US20110095583A1 (en) Adjustable back cushion structure
KR100862508B1 (ko) 등과 요추가 밀착되는 의자
JP4289957B2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02326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252699Y1 (ko)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
JP2019058357A (ja) 車椅子
KR101275621B1 (ko) 스탠드 지지대
US6883872B1 (en) Adjustable armrest with an auxiliary security unit
JP2004113454A (ja) 椅子
KR101113502B1 (ko) 의자용 겨드랑이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0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96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330

Effective date: 2019122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142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120

Effective date: 20200813